KR20100014325A -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 - Google Patents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325A
KR20100014325A KR1020097015113A KR20097015113A KR20100014325A KR 20100014325 A KR20100014325 A KR 20100014325A KR 1020097015113 A KR1020097015113 A KR 1020097015113A KR 20097015113 A KR20097015113 A KR 20097015113A KR 20100014325 A KR20100014325 A KR 2010001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ylinder portion
hole
liquid level
flo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212B1 (ko
Inventor
마사후미 도이
노리아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닛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0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the products being mixed with gas, e.g. soft-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 부근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41)가 원료 액면(L)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하강한다. 이 하강 운동을 이중통부(51)의 외통부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 이중통부(51)의 내통부에 설치된 유통공과 외통부에 설치된 유통공의 겹치는 부분인 연통공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변화된다. 이 변화는 유통공의 형상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고, 원료 탱크(10)로부터 실린더부(20)에 공급되는 원료(M)와 수직관(61)으로부터 실린더부(20)에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필요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빙과, 원료 공급 장치, 원료 탱크, 액면, 부상 부재

Description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MATERIAL SUPPLY DEVICE FOR FROZEN-DESSERT MAKING MACHINE, AND FROZEN-DESSERT MAK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소프트 아이스크림(soft ice cream)이나 쉐이크(shake)라고 하는 빙과를 제조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종래의 빙과 제조기를 나타내는 측면측에서 본 개략 구성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빙과 제조기에 사용되는 재료 공급 밸브(valve)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빙과 제조기에 사용되는 재료 공급 밸브의 횡단면도이다. 
소프트 아이스크림이나 쉐이크 등의 빙과를 제조하는 종래의 빙과 제조기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2-65171호 공보에 기재된 기계가 있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이 빙과 제조기는 액상의 빙과용 원료(M)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tank)(1)와, 빙과 원료(M)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S)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cylinder portion)(2)와, 원료 탱크(1) 및 실린더부(2)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원료 탱크(1) 내에 설치되어 원료(M)를 실린더부(2)에 공급할 수 있는 재료 공급 밸브(3)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액상의 빙과용 원료」는 「믹스(mix)」라고 불리고, 「재료 공급 밸브」는 「믹스 밸브(mix valve)」라고 불린다.
원료 탱크(1)는 저부에 원료 도입로(1a)를 가진다. 원료 도입로(1a)는 실린더부(2)에 접속되어 있고, 이 원료 도입로(1a)에 재료 공급 밸브(3)가 장착되어 있다. 또, 원료 탱크(1)의 저부에는 모터(motor)에 의해 회전하여 원료 탱크(1) 내의 원료(M)를 교반하는 도시하지 않은 임펠러(impeller)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부(2)는 실린더부(2)의 내부에 공급된 원료(M)와 공기를 교반 혼합하는 나선형의 대셔(dasher)(2a)와, 대셔(2a)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2c)와, 실린더부(2)의 내부에서 제조된 빙과(S)를 추출하는 추출부(2b)를 가진다. 실린더부(2) 내의 빙과(S)는 추출부(2b)의 추출로(extraction path)의 개방 및 대셔의 회전에 의해 추출된다. 
냉각부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등이 서로 관로를 통하여 언급된 순서로 루프(loop) 모양으로 연결된 냉동 사이클 기구이다.   
재료 공급 밸브(3)는,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듯이, 외통(4)과 내통(5)의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외통(4)은 원료 탱크(1) 내의 상기 원료 도입로(1a)와 접속됨과 아울러, 원료 탱크(1)의 바닥 부근에 유통공(4a)을 가지고 있다. 
외통(4)의 상부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내통(5)은 외통(4)의 유통공(4a)과 연 통 가능한 크기가 다른 복수(도에 있어서는 2개)의 유통공(5a, 5b)을 하부에 가지고 있다. 유통공(4a)과 유통공(5a 또는 5b)이 연통공을 형성한다. 
또한, 외통(4)은 상단에 위치 결정용의 절결홈(cutout slot)(4b, 4c)을 가지고, 내통(5)은 상단에 위치 결정용의 절결홈(4b, 4c)에 걸리는 돌편(protruding piece)(5c)을 가지고 있다. 또, 재료 공급 밸브(3)는 상단이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 탱크(1) 내의 공기를 개구로부터 원료(M)와 함께 실린더부(2) 내에 도입시키는 공기 도입관을 겸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재료 공급 밸브(3)는 외통(4)과 내통(5)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각 통의 내외를 연통하는 상기 유통공(4a, 5a 및 5b)의 위치를 겹치게 하거나 어긋나게 함으로써 연통공을 개폐할 수가 있다. 
또한, 내통(5)의 작은 유통공(5a)과 큰 유통공(5b)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외통(4)의 유통공(4a)과 겹치게 함으로써, 원료 탱크(1)와 실린더부(2)를 연통하는 연통공의 크기를 조정할 수가 있다. 이 연통공의 크기의 조정에 의해, 원료 탱크(1) 내의 원료(M)의 액면(L)의 높이가 변화해도, 실린더부(2)에 유입하는 원료(M)의 유량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실린더부(2)에 있어서의 원료(M)와 공기의 혼합비를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한다.  
실린더부(2)로부터 빙과(S)를 추출할 때에 공기와 원료 탱크(1)로부터의 원료(M)가 재료 공급 밸브(3)를 통하여 실린더부(2)에 보급된다. 
즉, 연통공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 경우, 원료 탱크(1) 내의 원료(M)의 액면(L)이 낮아짐에 따라, 연통공에 걸리는 원료에 의한 압력은 저하된다. 이 결과, 연통공을 통과하여 실린더부(2) 내에 유입하는 원료(M)의 유량이 저하된다. 그에 부가하여, 실린더부(2)에 도입되는 재료 공급 밸브(3) 내의 원료(M)의 양도 저하되기 때문에, 실린더부(2) 내에서의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은 소정 범위 내보다도 공기의 비율이 높아져, 빙과(S)의 품질이 허용 범위로부터 일탈해 버린다. 그 때문에, 원료 액면(L)이 저하됨에 따라 연통공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크게 하여, 실린더부(2) 내에 공급되는 원료(M)의 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게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실린더부(2) 내에서의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종래의 빙과 제조기에서는, 조작자가 원료의 액면 높이를 감시하고, 액면 높이에 따라 내통의 적절한 크기의 유통공을 수동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즉, 조작자가 원료 탱크(1)로부터 실린더부(2)에의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의 번잡함이 발생함과 아울러, 원료에 조작자의 손을 접근시키는 것에 의한 위생면에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 액면(L)이 저하됨에 따라 연통공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크게 하여, 실린더부(2) 내에서의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연통공을 다음의 크기로 바꿀 때까지, 재료 공급 밸브(3) 내에 유입하는 원료(M)의 유량은 원료 탱크(1) 내의 원료(M)의 액면(L)이 강하함에 따라 저하된다. 그 결과 실린더부(2) 내에 공급되는 원료(M)에 대한 공기의 혼합 비율이 점점 증가된다. 또, 연통공의 크기를 바꾸는 타이밍(timing)도 조작자에 따라 격차가 있다. 그 때문에 도 22 중의 파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타이밍이 큰 폭으로 어긋나면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이 소정 범위 내로부터 일탈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빙과 제조기에서는, 연통공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바꾸는 것과, 조작자가 수동으로 연통공의 크기를 바꾸는 것에 의해, 실린더부(2) 내에 공급되는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이 안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료의 액면 높이에 따른 조작자에 의한 밸브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고, 조작의 간소화와 위생면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의 빙과용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와, 빙과용 원료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와, 상기 원료 탱크 및 실린더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구비한 빙과 제조기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 탱크로부터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빙과용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원료 공급 장치로서, 원료 탱크 내의 빙과용 원료의 액면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액면 검출 수단과, 검출된 액면 높이와 연동하여 빙과용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 수단과, 실린더부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면 검출 수단은 원료 탱크 내의 빙과용 원료 액면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이고, 상기 공급량 조절 수단은 제1유통공을 가지는 외통부 및 상기 제1유통공과 연통 가능한 제2유통공을 가지는 상기 외통부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이중통부와, 상기 부상 부재의 상하의 변위를 상기 이중통부에 전달하여 상기 외통부와 내통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유통공과 제2유통공의 겹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공의 크기를 변화시켜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변위 전달 수단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른 관점에 의하면, 액상의 빙과용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와, 빙과용 원료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와, 상기 원료 탱크 및 실린더부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를 구비한 빙과 제조기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액면 검출 수단에 의해 원료 탱크 내의 원료의 액면 높이가 검출되고, 공급량 조절 수단에 의해 검출된 액면 높이와 연동하여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실린더부 내에서의 원료와 공기의 혼합 비율을 소정 범위 내로 자동 조정하여 소망의 빙과를 제조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조작자가 원료의 액면 높이를 감시하고, 액면 높이에 따라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수동으로 밸브 조절한다고 하는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조작자가 밸브를 조작하기 위해서 탱크 내에 손을 넣을 필요가 없어져 위생적인 면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액면 검출 수단은 원료 탱크 내의 원료 액면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이고, 전기적인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급량 조절 수단에 의하면, 원료 탱크 내에서의 부상 부재의 변위를 변위 전달 수단으로 이중통부에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외통부와 내통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외통부와 내통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motor)라는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원료 탱크 내의 원료의 액면 높이의 변위에 수반하여 변위하는 부상 부재의 움직임을 동력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공급량 조절 수단을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액면 검출 수단 및 공급량 조절 수단은 후술의 각종 타입(type)의 것을 채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빙과 제조기의 실시의 형태 1을 나타내는 측면측에서 본 개략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액면 검출 수단과 공급량 조절 수단과 공기 도입 수단이 조립되어 유니트(unit)화된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 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 (a) 및 도 4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연통공의 크기가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a) 및 도 5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연통공의 크기가 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부상 부재가 강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a) 및 도 7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실린더부에 원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a) 및 도 8 (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실린더부에 원료 및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의 빙과 제조기에 있어서, 원료 탱크 내의 원료의 액면 강하와,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원료와 공기의 혼합 비율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 (a) 내지 도 10 (f)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의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핀(pin)이 강하함으로써 제1유통공이 회전하여 연통공이 서서히 커지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3의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5의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핀이 강하함으로써 외통부가 회전하여 연통공이 서서히 커지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빙과 제조기를 나타내는 측면측에서 본 개략 구성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재료 공급 밸브(valve)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재료 공급 밸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빙과 제조기에 있어서, 원료 탱크 내의 원료의 액면 강하와,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원료 및 공기의 양에 대한 공기의 혼합 비율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는, 액상의 빙과용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tank)와, 빙과용 원료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cylinder portion)과, 상기 원료 탱크 및 실린더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구비한 빙과 제조기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 탱크로부터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빙과용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원료 공급 장치로서, 원료 탱크 내의 빙과용 원료의 액면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액면 검출 수단과, 검출된 액면 높이와 연동하여 빙과용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 수단과, 실린더부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면 검출 수단은 원료 탱크 내의 빙과용 원료 액면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이고, 상기 공급량 조절 수단은 제1유통공을 가지는 외통부 및 상기 제1유통공과 연통 가능한 제2유통공을 가지는 상기 외통부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이중통부와, 상기 부상 부재의 상하의 변위를 상기 이중통부에 전달하여 상기 외통부와 내통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유통공과 제2유통공의 겹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공의 크기를 변화시켜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변위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빙과 제조기는 냉각하에서 원료와 공기를 소정 범위 내의 혼합 비율로 교반 혼합하여, 미세한 기포가 분산된 소프트 아이스크림(soft ice cream)이나 쉐이크(shake)로 불리는 음료 등의 빙과를 제조하는 빙과 제조기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의 각종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빙과 제조기의 실시의 형태 1을 나타내는 측면측에서 본 개략 구성 단면도이다. 
이 빙과 제조기는 액상의 빙과용 원료(M)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10)와, 빙과용 원료(M)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20)와, 원료 탱크(10) 및 실린더부(20)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원료 탱크(10)로부터 실린더부(20)에 공급되는 빙과용 원료(M)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원료 공급 장치(F1)를 구비한다. 
원료 탱크(10)는 덮개 부재(10a)에 의해 개폐되는 상방 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저부에 원료 도입로(11)를 가지고, 원료 도입로(11)가 실린더부(2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원료 탱크(10)의 저부의 저면 상에 모터(motor)에 의해 회전하여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를 교반하는 도시하지 않은 임펠러(impeller)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부(20)는 내부에 공급된 원료(M)와 공기를 교반 혼합하는 나선형의 교반 블레이드(blade)를 가지는 대셔(dasher)(21)와, 대셔(21)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22)와, 내부에서 제조된 빙과(S)를 추출하는 추출부(23)를 가진다. 실린더부(20) 내의 빙과(S)는 대셔(21)가 회전한 상태에서 추출부(23)의 추출로를 개방함으로써 추출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냉각부는 특정의 구성을 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료 탱크(10) 및 실린더부(20)의 주위에 배치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valve) 등에 의해 구성된 냉동 사이클 기구이다. 
또한, 원료 탱크(10), 실린더부(20) 및 냉각부는 도 19에서 설명한 종래의 빙과 제조기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원료 탱크(10) 내에 설치된 원료 공급 장치(F1)는 탱크 내의 원료(M)의 액면(L)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액면 검출 수단(40)과, 검출된 액면 높이와 연동하여 원료(M)의 실린더부(20)에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 수단(50)과, 실린더부(20)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 수단(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액면 검출 수단(40)과 공급량 조절 수단(50)과 공기 도입 수단(60)이 조립되어 유니트화된 원료 공급 장치(F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이 원료 공급 장치(F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공기 도입 수단(60)은 상부에 외기 도입구(61a)를 가지고, 이 외기 도입구(61a)로부터 원료 탱크(10) 내를 통과하여 실린더부(20) 내까지 연통한 수직관(61)이다. 이 수직관(61)은 그 하단이 원료 탱크(10)의 원료 도입로(11)에 삽입된다. 수직관(61)은 O링(ring)(9)을 끼워맞추기 위한 오목 둘레홈(61b)을 가짐과 아울러, 오목 둘레홈(61b)보다도 조금 위에 원료 탱크(10)의 저부에 접하는 외측 플랜지(flange)(61c)를 가지고 있다. O링(9)은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가 후술의 연통공 이외로부터 실린더부(2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액면 검출 수단(40)은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41)이다. 부상 부재(41)는 상기 수직관(61)을 삽통시키는 구멍을 가지는 링(ring) 모양이고, 둥근 용기 모양의 부상 부재 본체(42)와, 부상 부재 본체(42)에 끼워넣어져 상방 개구부를 덮는 덮개 부재(43)로 이루어진다. 
또, 부상 부재 본체(42)는 중심에 수직관(61)을 삽통시키기 위한 원통부(42a)를 가짐과 아울러, 저면에는 원통부(42a)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42b)를 가지고 있다. 
또, 부상 부재 본체(4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오목부(42b)의 상방 위치에서 동일한 축심 상에는 제1수평축(156a)이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제1수평 축(156a)은 후술의 링크(link) 기구(155)의 제1암(arm)(157)을 부상 부재(41)에 요동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축이다. 
또, 덮개 부재(43)는 짧은 원통부(43a)와 외주 벽부(43b)를 가지고 있다. 짧은 원통부(43a)는 덮개 부재(43)의 중심에 수직관(61)을 삽통시키고 또한 원통부(42a)에 끼워맞춰진다. 외주 벽부(43b)는 덮개 부재(43)의 외주 에지(edge)을 따라 수직 설치되어 부상 부재 본체(42)의 외주 상부 에지에 끼워맞춰진다.  
공급량 조절 수단(5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이중통부(51)와 변위 전달 수단인 링크(link) 기구(15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중통부(5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유통공(53a)을 가지는 내통부(53)와, 제2유통공(53a)과 연통 가능한 제1유통공(52a)을 가지는 외통부(52)를 구비한다. 외통부(52)는 내통부(53)가 외통부(52)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어진다. 
이 이중통부(51)는 그 일단이 개구하여 상기 수직관(61)과 연통하여 원료 탱크(10) 내의 저부 부근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이중통부(51)는 그 타단은 폐구하고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내통부(53)는 그 일단이 수직관(61)에 연통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은 개구하고 있다. 또, 내통부(53)는 하부에 제2유통공(53a)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 외주면에는 축심 방향으로 돌출부(53b)를 가지고 있다. 
한편, 외통부(52)는 개구한 일단측으로부터 내통부(53)에 끼워넣어지고, 타단은 폐구하고 있고, 그 외통부(52)의 폐구한 단부에 제2수평축(156b)이 일체적으 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수평축(156b)은 후술의 링크(link) 기구(155)의 제2암(arm)(158)을 외통부(52)에 장착하고, 또한 링크 기구(155)로부터의 전달력을 외통부(52)로 전달하기 위한 축이다. 그 때문에 제2수평축(156b)은 둥근 축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이등변 삼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외통부(52)는 내통부(53)의 제2유통공(53a)과 연통 가능하도록 하부에 제1유통공(52a)을 가짐과 아울러, 제1유통공(52a)과 반대측의 내주면에 오목부(52b)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52b)는 내통부(53)의 상기 돌출부(53b)를 받아들임과 아울러, 둘레 방향에 소정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중통부(51)는 외통부(52)가 내통부(53)의 외측에 거의 간극 없이, 또한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또, 제2수평축(156b)으로부터 수직관(61)의 반대측에는, 수직관(61)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지지 로드(rod)(159)가 뻗어 있다. 또한, 지지 로드(159)의 단부에는, 제2수평축(156b)의 축심과 일치하는 축심을 가지는 부(sub)제2수평축(1156b)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제2수평축(1156b)은 링크 기구(155)의 상기 제2암(158)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연통공의 크기가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연통공의 크기가 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내통부(53)의 제2유통공(53a)은 축심 방향으로 뻗어 있 는 긴 구멍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통부(52)의 제1유통공(52a)은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중통부(51)는 외통부(52)의 제1유통공(52a)과 내통부(53)의 제2유통공(53a)이 겹쳐 형성된 연통공(51a)을 가지고 있다. 
이 이중통부(51)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외통부(52)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유통공(52a)의 위치가 이동하여, 도 5에 나타내듯이, 상기 연통공(51a)의 크기가 변화된다. 이때 제2유통공(53a)에 대한 제1유통공(52a)의 이동은, 외통부(52)의 오목부(52b)의 둘레 방향 단면이 내통부(53)의 돌출부(53b)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이 높은 상태에서는, 제1유통공(52a)과 제2유통공(53a)의 위치 관계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연통공(51a)의 크기가 작은 상태로 된다. 한편, 액면이 원료 탱크의 저부 부근까지 강하한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연통공(51a)의 크기가 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원료 액면(L)의 높이에 따른 제1유통공(52a)과 제2유통공(53a)의 위치 관계 및 연통공(51a)의 크기가 상술한 바와 같이 되도록, 내통부(53)에 있어서의 제2유통공(53a)의 형상, 크기 및 돌출부(53b)의 폭, 외통부(52)에 있어서의 제1유통공(52a)의 형성 위치, 형상, 크기 및 오목부(52b)의 크기 등이 고려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공급량 조절 수단(50)에 있어서, 변위 전달 수단인 상기 링크 기구(155)는 부상 부재(1)의 원료 액면(L)의 높이에 따라 오르내리는 운동을 외통부(52)와 내통부(53)의 상대적인 수평 축심 둘레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그에 따라 이중통부(51)의 연통공(51a)(도 4 및 도 5 참조)의 크기를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시킨다. 즉, 링크 기구(155)는 원료(M)의 실린더부(20)에의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공(51a)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155)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양단에 피봇(pivot) 결합부를 가지는 제1암(157)과, 양단에 피봇 결합부를 가지는 제2암(158)을 구비한다. 상기 제1암(157)의 일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와 상기 제2암(158)의 일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가 서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 결합한다. 제1암(157)의 타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는 상기 제1수평축(156a)에 요동가능하게 피봇 결합한다. 제2암(158)의 타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는 상기 외통부(52)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제2수평축(156b)에 장착되어 있다.  
제1암(157)은 일단측에 두갈래부(157a)를 가지는 대략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굴곡부(157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두갈래부(157a)의 양단에 한 쌍의 제1수평축(156a)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피봇 결합부로서의 축공(157c)이 형성되어 있다. 또, 굴곡부(157b)의 단부에 축 모양의 피봇 결합부(156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암(158)도 제1암(157)과 마찬가지로 일단측에 두갈래부(158a)를 가지는 대략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갈래부(158a)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한 쌍의 평행 직선부(158b)를 가지고 있다. 
두갈래부(158a)의 일방의 단부에, 이등변 삼각 기둥형의 상기 제2수평 축(156b)에 끼워맞춰지는 피봇 결합부로서의 삼각공(158c)이 형성됨과 아울러, 두갈래부(158a)의 타방의 단부에, 부(sub)제2수평축(1156b)을 두갈래부(158a)의 타방의 단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피봇 결합부로서의 축공(158d)이 형성되어 있다. 두갈래부(158a)는 외통부(52)가 내통부(53)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한 쌍의 평행 직선부(158b)의 단부에는, 축 모양의 피봇 결합부(156c)를 평행 직선부(158b)의 단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구멍 모양의 피봇 결합부(158e)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평행 직선부(158b)가 제1암(157)의 피봇 결합부(156c)를 피봇 지지한 상태에서 끼워지지한다. 또, 한 쌍의 평행 직선부(158b)에 있어서의 피봇 결합부(158e)가 설치된 단부 대향면에는, 피봇 결합부(158e)로부터 평행 직선부(158b)에 대해서 수직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깊어지는 한 쌍의 테이퍼홈(tapered slot)(158f)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 결합부(156c)의 축 선단을 각 테이퍼홈(158f)을 따라 이동시키고, 또한 한 쌍의 평행 직선부(158b) 사이가 탄성 변형에 의해 넓어짐으로써, 피봇 결합부(156c)를 피봇 결합부(158e)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크 기구(155)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원료 탱크(10) 내에 원료(M)가 상부까지 채워져 부상 부재(41)가 상방 위치에 있을 때는, 제1·제2암(157, 158)이 L자형으로 절곡되어 서로 연결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가 실린더부(20)에 공급되면 액면(L)이 서서히 강하한다. 그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듯이, 부상 부재(41)가 서서히 강하해 감으로써, 제2암(158)이 제2수평축(156b)에 대해서 하방(화살표 A 방향)으로 요동하여 제1암(157)과 제2암(158)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 된다. 
제2암(158)이 하방으로 요동함으로써, 제2암(158)과 연결된 이중통부(51)의 외통부(52)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유통공(52a)이 제2유통공(53a)에 대해서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의 상태로 이동하여 연통공(51a)의 크기가 서서히 커진다. 또한,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 부재가 강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6에 나타내듯이, 링크 기구(155)의 굴곡부(157b)는 제1암(157)과 제2암(158)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오목부(42b)는 부상 부재(41)의 저면이 이중통부(51)에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부상 부재(41)가 원료 탱크(10)의 저부 부근 내지 저부까지 강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부상 부재(41)의 저면이 평평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2암(158)의 요동 스트로크(stroke)가 커지고, 그에 따라 외통부(52)의 회전 가능한 범위도 넓어진다. 이 결과 제2유통공(53a)에 대한 제1유통공(52a)의 긴 이동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액면 강하에 수반하는 연통공(51a)의 크기의 변화량이 급격하게 되지 않고 완만하게 하기 쉬어진다.
또, 부상 부재(41)가 원료 탱크(10)의 저부 부근 내지 저부까지 강하할 수 있고, 연통공(51a)이 이중통부(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의 액면(L)이 저부 부근까지 강하해도 실린더부(20)에 원료를 공급할 수 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료 공급 장치(F1)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의 플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1의 빙과 제조기에 있어서의 원료 탱크(10)로부터 실린더부(20)에 원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실린더부에 원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실린더부에 원료 및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빙과 제조기에 있어서, 실린더부(20) 내에는 냉각 하에서 원료와 공기가 소정 범위 내의 혼합 비율, 예를 들면 소프트 아이스크림(soft ice cream)의 경우는 원료와 공기가 체적비로 7:3 정도의 비율로 교반 혼합되어 제조된 빙과(S)가 저장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빙과 제조기에 있어서, 원료(M)가 원료 탱크(10) 내에 상한 높이 부근까지 저장된 상태에 있을 때, 도 7 (a)에 나타내듯이, 수직관(61) 내에는 원료 탱크(10) 내의 액면(L)의 높이와 같은 높이까지 원료(M)가 유입하고 있다. 이때 이중통부(51)에 있어서의 외통부(52)의 제1유통공(52a)과 내통부(53)의 제2유통공(53a)이 겹쳐 형성된 연통공(51a)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추출부(23)의 추출로를 개방하고, 실린더부(20) 내의 대셔(dasher)(21)를 회전시킴으로써 소정량의 빙과(S)가 추출된다. 이때, 도 7b에 나타내듯이, 실린더부(20) 내가 부압(negative pressure)으로 되기 때문에, 먼저 수직관(61) 내의 원 료(M)가 실린더부(20) 내로 부압에 의한 흡인 작용으로 유입해 간다. 이에 수반하여 수직관(61) 내의 원료(M)의 액면(L1)이 강하해 간다. 
수직관(61) 내의 원료(M)의 액면(L1)이 강하해 가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의 높이와 수직관(61) 내의 원료(M)의 액면(L)의 높이의 차 및 원료(M)의 고유의 비중 등의 관계로부터, 이중통부(51) 내의 원료(M)에 의해 연통공(51a)에 걸리는 압력보다도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에 의해 연통공(51a)에 걸리는 압력이 서서히 크게 되어간다. 이 결과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가 이중통부(61)의 연통공(51a)에 유입해 간다(도 8 (a) 참조). 
빙과(S)가 더 추출되면, 수직관(61) 내의 원료(M)의 액면(L1)이 내려가 실린더부(20) 내부에 이른다. 이에 수반하여, 도 8 (a)에 나타내듯이, 원료 탱크(10)로부터 연통공(51a)을 흐르는 원료(M)와 수직관(61) 내의 공기가 실린더부(20) 내에 유입하고, 실린더부(20) 내에서 원료(M)와 공기가 냉각 하에서 교반 혼합되어 빙과가 형성된다. 이때 실린더부(20) 내에 유입한 공기는 원료(M)의 혼합에 의해 빙과 중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빙과(S)의 추출이 종료하면, 도 8 (b)에 나타내듯이, 실린더부(20) 내에 원료(M) 및 공기가 유입하지 않게 되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과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수직관(61) 내에 원료가 유입된다. 
빙과를 추출하는 동안에,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이 강하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부상 부재(41)도 강하한다. 부상 부재(41)가 강하함으로써, 상술과 같은 링크 기구(155)의 동작에 의해 제2암(158)의 요동량에 상당하는 회전 량으로 외통부(52)가 회전하여, 연통공(51a)이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간다. 
따라서,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이 연속적으로 강하하고, 그에 따라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에 의해 연통공(51a)에 걸리는 압력이 서서히 저하해도, 연통공(51a)을 통과하는 원료(M)의 유량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이 결과 실린더부(20) 내에 유입하는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실린더부(20)로부터 빙과(S)를 소정량씩 복수회로 추출해 감으로써,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의 높이는 서서히 강하해 간다. 이 사이의 빙과(S)의 추출 정지시에는, 도 8 (b)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처럼, 원료가 수직관(61) 내에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높이와 같은 높이까지 유입되지만, 빙과(S)를 추출할 때마다 수직관(61) 내의 원료 액면(L1)의 높이는 감소한다. 즉, 빙과(S)를 추출할 때마다 빙과 추출시에 실린더부(20)에 도입되는 수직관(61) 내의 원료(M)의 양은 감소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료 공급 장치는 이러한 수직관(61) 내의 원료(M)의 양도 고려하고 있다. 즉, 원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높이, 및 빙과(S)를 추출하고 있지 않을 때의 수직관(61) 내의 원료 액면(L1)의 높이가 빙과 추출 개시시마다 달라도, 원료(M)와 공기가 소정 범위 내의 혼합 비율로 되는 연통공(51a)의 크기 및 그 변화량으로 설계된다. 이것에 의해, 이중통부(51)에 유입하는 원료(M)의 유량을, 실린더부(20) 내에 원료(M)와 공기가 적절한 비율로 공급되는 유량으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료 공급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빙과 제조기에서는, 이와 같이 빙과(S)를 추출해 감으로써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가 감소하고, 원료 액면(L)이 연통공(51a)보다도 내려가면, 원료(M)는 실린더부(20) 내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액면(L)이 연통공(51a)보다도 위인 시점, 예를 들면 이중통부(51)가 공기 중에 액면(L)보다도 위에서 노출된 시점에서, 조작자가 원료 탱크(10) 내에 원료(M)를 보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M)를 보급함으로써, 부상 부재(41)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공급량 조절 수단(50)은 부상 부재(41)의 강하시와는 반대의 동작을 하여 연통공(51a)의 크기는 도 5에 나타내는 큰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작은 상태로 돌아온다.  
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빙과 제조기에서는, 냉각부를 냉동 사이클과는 역의 가열 사이클로 작동시켜 원료 탱크(10) 및 실린더부(20)를 원료(M)가 변질되지 않는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원료(M) 및 빙과(S)를 가열 살균할 수가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상단에 외측 칼러(collar)를 가지는 차폐통을 수직관(61)에 삽입하여 이중통부(51)와 수직관(61)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 차단은 실린더부(20) 내의 빙과(S)가 녹아 원료(M)와 공기로 분리되고, 그 때문에 실린더부(20) 내에 공간이 형성되어도 연통공(51a)을 통하여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를 실린더부(20) 내에 유입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1의 원료 공급 장치(F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져온다.
(효과 1-1) 
부상 부재(41)에 의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의 높이가 검출되고, 링크(link) 기구(155)가 검출된 액면(L)의 높이와 연동한다. 또한, 외통부(52)가 내통부(53)에 대해서 회전하여 연통공(51a)의 크기가 조정됨으로써, 원료(M)의 실린더부(20)에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이것에 의해, 실린더부(20) 내에서의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이 소정 범위 내로 자동 조정되어 소망의 빙과를 제조할 수가 있다. 
그에 부가하여, 조작자가 원료(M)의 액면(L)의 높이를 감시하고, 액면(L)의 높이에 따라 원료(M)의 실린더부(20)에의 공급량을 수동으로 밸브(valve) 조절한다고 하는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조작자가 밸브를 조작하기 위해서 원료 탱크(10) 내에 손을 넣을 필요가 없어져 위생적인 면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듯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액면(L)이 저하함에 따라 연통공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중통부(51) 내에 유입하는 원료(M)의 유량은 안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2) 내에 공급되는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이 소정 범위 내로부터 일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혼합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선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정 비율의 직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소정 범위 내라면 직선 이외라도 문제는 없다.  
(효과 1-2) 
또, 액면 검출 수단은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41)이기 때문에, 전기적인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급량 조절 수단으로서는, 원료 탱크(10) 내에서의 부상 부재(41)의 변위를 변위 전달 수단을 통하여 이중통부(61)로 기계적으로 전달하여 외통부(52)와 내통부(5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기구를 이용하여, 외통부(52)와 내통부(5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motor)라고 하는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는다. 즉, 공급량 조절 수단으로서는,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높이의 변위에 수반하여 변위하는 부상 부재(41)의 움직임을 동력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는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급량 조절 수단을 전기적인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효과 1-3) 
또, 변위 전달 수단이 링크 기구(155)이기 때문에, 부상 부재(41)의 상하 변위를 회전 방향의 힘으로 매끄럽게 변환하여 외통부(52)에 확실히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부상 부재(41)의 구멍에 수직관(61)을 삽통시켜 부상 부재(41)를 원료 액면(L) 상에서 자유롭게 부유시키지 않고, 제1수평축(156a)을 제2수평축(156b)의 대략 바로 상방 위치에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외통부(52)가 원료 액면(L)의 상하 변위에 따른 회전량으로 고정밀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 기구(155)를 동작시킬 수가 있다.
(효과 1-4) 
공기 도입 수단으로서 수직관(61)을 이용함으로써, 공기를 실린더부(20)에 도입하는 수단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원료 공급 장치(F1)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가 있다.
(효과 1-5) 
연통공(51a)이 이중통부(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의 액면(L)이 저부 부근까지 강하해도 안정하게 실린더부에 원료를 공급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 1은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도이다.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이중통부의 제1 및 제2유통공은, 예를 들면 도 10 (a)∼10 (f)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10 (a)는 외통부(152)의 제1유통공(152a)과 내통부(153)의 제2유통공(153a)이 모두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이고, 또한 각 삼각형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유통공의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 이외에도 정삼각형, 직각 삼각형 등으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0 (b)는 외통부(252)의 제1유통공(252a)과 내통부(253)의 제2유통공(253a)이 모두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이고, 또한 각 삼각형이 역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 (c)는 외통부(352)의 제1유통공(352a)과 내통부(353)의 제2유통공(353a)이 모두 둘레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동일한 장원형(oblong shape)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유통공의 형상은 장원형 이외에도 타원형, 액적형(droplet shape) 등으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0 (d)는 외통부(452)의 제1유통공(452a)과 내통부(453)의 제2유통공(453a)이 모두 동일한 정방형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유통공의 형상은 정방형 이외에도 장방형, 마름모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0 (e)는 외통부(552)의 제1유통공(552a)과 내통부(553)의 제2유통공(553a)이 모두 동일한 원형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 (f)는 외통부(652)의 제1유통공(652a)과 내통부(653)의 제2유통공(653a)이 모두 둘레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동일한 긴 구멍이고, 또한 통축 방향으로 2개씩 나란히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유통공의 수는 3개 이상으로 적당히 변경할 수 있고, 또 각 구멍의 크기를 다르게 해도 좋다. 
또, 도시 생략하지만, 제1 및 제2유통공은 이중통부의 단면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내통부의 단부를 외통부와 마찬가지로 폐구하고, 그 폐구한 내통부 및 외통부의 끝벽(end wall)에 있어서의 제2수평축의 주위에 제1 및 제2유통공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유통공의 형상은 상기와 같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에 부가하여 원호상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유통공의 형상 및 조합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1유통공과 제2유통공은 다른 형상 및 수로 조합해도 좋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2) 
도 11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도이다.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링크 기구의 제2수평축(156b)은, 도 11에 나타내듯이, 이중통부의 내통부(753)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개구한 양단을 가지는 외통부(752)의 일단을 수직관과 연통 연결한다. 또, 내통부(753)는 그 일단을 외통부(752)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의 끝벽(753a)으로 폐구하고, 이 끝벽(753a)에 제2수평축(156b)을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내통부(753)의 개구한 단부를 외통부(752)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또한, 외통부(752) 및 내통부(753)의 하부에는 제1유통공(752a) 및 제2유통공(75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통부(753)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기 위해서, 외통부(752)의 개구부측 및 내통부(753)의 끝벽(753a)측에,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오목부 및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 
도 12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원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링크 기구는 복수 쌍의 제1수평축(156a)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3에 나타내듯이, 상하 위치가 다른 복수의 제1수평축(156a) 중에서 한 쌍의 제1수평축(156a)을 선택하여 제1암(157)을 피봇(pivot) 결합함으로써, 부상 부재(41)에 대한 축공(157c)(도 3 참조)의 높이를 변경할 수가 있고, 링크 기구(155)에 있어서의 제1암(157)과 제2암(158)이 이루는 장착 각도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부상 부재(41)가 동일한 높이 위치라도, 선택한 제1수평축(156a)의 위치에 의해 이중통부(51)의 연통공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원료(M)의 점도가 높은 경우, 점도가 낮은 경우보다도 연통공의 크기를 약간 크게 한다고 하는 대응을 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선택한 제1수평축(156a)의 위치에 의해, 부상 부재의 하강량에 대한 연통공의 크기의 변화량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4) 
도 1, 도 2 등에 나타낸 부상 부재(41)는 수직관(6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구멍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그 때문에 부상 부재(41)는 링(ring)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C자형이나 편자형(horseshoe shape) 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부상 부재(41)는 예를 들면 발포 플라스틱 등의 발포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41)의 부력은 부상 부재(41)의 중량 및 부상 부재(41) 내의 공기량 등에 의해 결정된다. 그 때문에, 부상 부재(41)에 부력 조정용의 추를 장착하는 것, 혹은 부상 부재 본체(42)에 물을 넣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변형예 3과 마찬가지의 효과, 즉 원료 액면(L)에 대한 제1수평축(156a)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5)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는 링크 기구(155)의 제1암(157)에 굴곡부(157b)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제2암(158)에 굴곡부를 설치해도 좋고, 혹은 제1암(157)과 제2암(158)의 양방에 굴곡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굴곡부는 직각인 절 곡 형상뿐만 아니라 만곡 형상이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6)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는 링크 기구로서 제1암(157) 및 제2암(158)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단일의 암(arm)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단일의 암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축공(157c) 및 축공(158c, 158d)이 설치되고, 양단간의 길이가 제3수평축(156c)으로부터 축공(157c)까지의 거리와, 축공(158c, 158d)으로부터 축공(158e)까지의 거리의 합계와 대략 같다. 이 경우 부상 부재(41)가 강하할 때에는 수직관(61)에 슬라이드(slide)하지 않고 수직관(61)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때문에 부상 부재(41)는 원통부(42a) 및 오목부(42b)를 가질 필요는 없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2는 빙과 제조기의 원료 공급 장치가 액면 검출 수단과 공급량 조절 수단과 공기 도입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이지만, 그 구조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는 다르다. 이하, 실시의 형태 2가 실시의 형태 1과는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의 원료 공급 장치(F2)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핀(pin)(85)이 강하함으로써 제1유통공(81a)이 회전하여 연통공(86)이 서서히 커지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 원료 공급 장치(F2)에 있어서, 액면 검출 수단은 원료 탱크(10) 내의 빙과용 원료 액면에 부상하는 링(ring) 모양의 부상 부재(241)이다. 부상 부재(241)는 평평한 저부를 가지고, 실시의 형태 1의 부상 부재(41)의 오목부(42b)를 가지지 않는다(도 1 및 도 3 참조).   
공급량 조절 수단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듯이, 이중통부(80)와 변위 전달 수단을 구비한다. 
이중통부(80)는 제1유통공(81a)을 가지는 외통부(81) 및 제1유통공(81a)과 연통 가능한 제2유통공(82a)을 가지는 외통부(81)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통부(82)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연통공(86)은 제1유통공(81a)과 제2유통공(82a)이 서로 겹친 부분으로 형성된다. 
변위 전달 수단은 부상 부재(241)의 상하의 변위를 이중통부(80)에 전달하여 외통부(81)와 내통부(8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연통공(86)의 크기를 변화시켜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또한, 도 14는 내통부(82)로부터 외통부(81)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내통부(82)의 하단은 원료 탱크(10)의 저부의 원료 도입로에 액밀 상태(liquid-tight state)로 접속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통부(81)는 원료 탱크(10)의 저부로부터 상부까지 뻗어 있는 수직관이다. 내통부(82)도 수직관으로서, 하단에 원료 탱크(10)의 저부에 접하는 외측 플랜지(flange)를 가짐과 아울러, 외측 플랜지보다도 하부에는 원료 탱크(10)의 원료 도입로에 삽입되었을 때에 씰링(sealing)하는 O링(ring)을 끼워넣기 위한 오목 둘레홈을 가지고 있다. 
내통부(82)를 외통부(81)에 삽입하여 조립되는 이중통부(80)는 상부에 외기 도입구를 가지고, 원료 탱크(10) 내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다. 원료 탱크(10) 내 에 장착된 이중통부(80)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는 실린더부 내에 연통 접속되고, 그에 따라 이중통부(80)는 공기 도입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변위 전달 수단은, 부상 부재(241)가 원료 액면 높이에 따라 오르내리는 운동을 외통부(81)와 내통부(8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방향 변환 기구이다. 
이 운동 방향 변환 기구는 외통부(81) 및 내통부(82)의 둘레의 벽에 형성된 각각 다른 가이드 슬릿(guide slit)과, 부상 부재(241)에 장착되어 각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금속제 또는 경질 플라스틱제의 핀(pin)(85)을 구비한다. 
외통부(81)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은, 예를 들면, 통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세로 가이드 슬릿으로서 상기 제1유통공(81a)을 겸한다. 내통부(82)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84)은, 예를 들면, 나선 가이드 슬릿으로서 상기 제2유통공(82a)을 겸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유통공(81a) 및 제2유통공(82a)은 핀(85)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guide)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핀(85)의 부상 부재(241)에의 장착은 부상 부재(241)의 저면에 설치한 L자 편(piece)형의 장착부(87)에 나사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나사를 가지는 핀(85)을 나사공에 나사 결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부상 부재(241)의 구멍에 이중통부(80)를 삽입한 후, 핀(85)을 장착부(87)에 장착하여 제1 및 제2유통공(81a, 82a)에 삽입시켜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듯이, 제2유통공(82a)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폭을 가지고 있다. 부상 부재(241)의 강하에 수반하여 상기 핀(85)이 제1유통공(81a) 및 제2유통공(82a)을 따라 강하함으로써, 외통부(81)와 내통부(83)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핀(85)이 삽입되어 있는 제1유통공(81a)과 제2유통공(82a)의 겹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공(86)의 크기가 서서히 커진다.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듯이, 내통부(82)는 원료 탱크(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상 부재(241)의 강하에 수반하여, 핀(85)이 장착된 부상 부재(241)와 함께 외통부(81)가 회전한다. 외통부(81)의 회전에 수반하여 연통공(86)의 위치가 강하함과 아울러 연통공(86)이 서서히 커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도 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으로부터 핀(85)이 존재하는 위치인 연통공(86)까지의 거리는 원료 액면(L)의 높이가 변화해도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원료 액면(L)의 높이가 변화해도, 연통공(86)은 연통공(86)으로부터 원료 액면(L) 부근까지의 거리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위치에 있다. 
실시의 형태 2의 빙과 제조기로부터 빙과(S)를 추출함으로써, 우선 이중통부(80) 내의 원료(M)가 실린더부(20) 내의 공간에 유입한다. 그리고, 이중통부(80) 내의 원료 액면(L)이 강하하여 연통공(86)에 이르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가 연통공(86)을 통과하여 이중통부(80) 내에 유입하기 시작한다. 원료 도입로(11) 내의 원료 액면(L)이 실린더부(20) 내에 이르면, 실린더부(20) 내에 공기도 공급되고, 원료(M)와 공기가 교반 냉각된다. 그리고, 빙과(S)의 추출이 종료하면, 이중통부(80) 내에 계속 유입하고 있는 원료(M)의 액면(L)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 면(L)과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 사이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강하에 수반하여, 핀(85)이 나선형의 제2유통공(82a) 및 직선형의 제1유통공(81a)을 따라 강하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연통공(86)의 크기가 서서히 커지고, 이중통부(80) 내에 유입하는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유량도 서서히 커진다. 
실시의 형태 2의 경우,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으로부터 연통공(86)까지의 거리는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높이가 변화해도,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에 의해 연통공(86)에 걸리는 압력은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렇지만, 이중통부(80) 내의 원료(M)의 양은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높이에 의해 변동된다. 즉, 빙과 추출시마다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의 높이가 낮아지면, 실린더부(20) 내에 유입하는 이중통부(80) 내의 원료(M)의 양은 감소한다.   
이러한 이중통부(80) 내의 원료(M)의 감소를 보충하기 위해서,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제2유통공(86)의 폭을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넓게 하고, 그에 따라 이중통부(80) 내에 유입하는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M)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실린더부(20) 내에 공급되는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나선 가이드 슬릿인 제2유통공(82a)의 폭의 증가율, 제1유통공(81a)의 폭, 핀(85)의 직경 등은 실린더부(20) 내에 공급되는 원료(M)와 공기의 혼합 비율이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됨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의 상기 효과 1-1 및 1-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옴과 아울러, 이하의 효과를 가져온다.
(효과 2-1) 
이중통부(80)가 공기 도입 수단을 겸하고 있다. 그에 부가하여, 변위 전달 수단이 부상 부재(241)에 장착된 핀(85)과, 외통부(81) 및 내통부(82)의 둘레의 벽에 형성된 각각 다른 가이드 슬릿에 의해 구성된다. 그 때문에 부품수가 적고 간소한 구성 및 저비용으로 원료 공급 장치를 제작할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 2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 
핀(85)을 부상 부재(241)에 장착하는 L자 편(piece)형의 장착부(87)에 상하 복수의 나사공을 형성할 수가 있고, 핀(85)의 장착 높이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부상 부재(241)가 동일한 높이 위치라도 선택된 핀(85)의 장착 높이 위치에 의해 이중통부(80)의 연통공(86)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원료(M)의 점도가 높은 경우, 점도가 낮은 경우보다도 연통공(86)의 크기를 어느 정도 크게 한다고 하는 대응을 할 수 있다. 
혹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4와 같이, 부상 부재(241) 내에 추 또는 물을 넣어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원료 탱크(10) 내의 원료 액면(L)에 대한 핀(85)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2) 
핀(pin)을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성한다, 혹은 고무나 탄성 플라 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재료로 형성하여 부상 부재(241)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부상 부재(241)의 이중통부(80)에의 조립 및 분리에 있어서 핀이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외통부(81)에 제1유통공(81a)과 동일한 유통공을 180о의 대향 위치에 또 하나 형성함과 아울러, 내통부(82)에 제2유통공(82a)과 동일한 유통공을 180о의 대향 위치에 또 하나 형성하고, 또한 핀도 180о의 대향 위치에 한 쌍 설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의 핀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내통부(82)에 추가하는 유통공 대신에 내통부(82)의 둘레의 벽을 관통하지 않는 핀 안내용 홈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 구성은 금속제나 경질 플라스틱제의 핀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3) 
내통부(82)의 제2유통공(82a)의 폭을 일정하게 하고, 외통부(81)의 제1유통공(81a)의 폭을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넓게 할 수가 있다. 
혹은, 제2유통공(82a)의 폭 및 제1유통공(81a)의 폭을 모두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넓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6은 실시의 형태 3의 원료 공급 장치(F3)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3은 이중통부(180)에 있어서의 외통부(181)에 가이드 슬릿을 겸하는 나선형의 제1유통공(181a)을 형성하고, 내통부(182)에 가이드 슬릿을 겸하 는 직선형의 제2유통공(182a)을 형성한 점이 실시의 형태 2와는 다르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대체로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내듯이, 적어도 제1유통공(181a)과 제2유통공(182)의 어느 일방을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폭넓게 형성한다. 
실시의 형태 3의 원료 공급 장치(F3)에서는, 핀(85)이 내통부(182)의 제2유통공(182a)을 따라 직선형으로 강하하고, 핀(85)에 슬라이딩(sliding) 접합하는 제1유통공(181a)의 에지부(edge portion)가 둘레 방향의 힘을 받아 외통부(181)가 회전한다. 그리고, 핀(85)이 삽입된 연통공(86)(도 15 참조)이 서서히 커지고,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원료 탱크(10) 내로부터 이중통부(180)에 유입하는 원료(M)의 유량이 증가해 간다.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의 상기 효과 1-1, 1-2 및 실시의 형태 2의 상기 효과 2-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실시의 형태 3의 변형예) 
실시의 형태 3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 2 및 3을 적용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4는, 이중통부를 원료 탱크의 원료 도입로에 접속하는 구조가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2 및 3과는 다른 외에는, 실시의 형태 2 및 3과 동일하다. 
즉,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2를 이용하여 설명하면(실시의 형태 3도 마찬가 지),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이중통부(80)에 있어서의 내통부(82)를 원료 탱크(10)의 원료 도입로(11)에 접속 고정하여 외통부(8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외통부(81)를 원료 탱크(10)의 원료 도입로(11)에 접속 고정하여 내통부(82)를 회전시킨다.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원료 탱크(10)의 저부와 접하는 외측 플랜지 및 O링용의 오목 둘레홈을 외통부(81)의 하부에 형성한다. 또한, 외통부 및 내통부에 각각 형성하는 유통공(81a 및 82a)이나, 부상 부재(241)에의 핀(85)의 장착 구조 등은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의 상기 효과 1-1, 1-2 및 실시의 형태 2의 상기 효과 2-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 내지 3을 적용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7은 실시의 형태 5의 원료 공급 장치(F5)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5는 부상 부재(241) 및 핀(85)을 구비하는 실시의 형태 2 및 3과 유사한 구성이지만, 부상 부재(241)가 원료 액면(L)의 높이에 따라 오르내리는 운동을 외통부(281)와 내통부(282)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방향 변환 기구와, 이중통부(280)의 제1유통공(281a) 및 제2유통공(282a)이 실시의 형태 2 및 3과는 다르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2 및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실시의 형태 5가 실시의 형태 2 및 3과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5의 운동 방향 변환 기구는 외통부(281)의 둘레의 벽에 형성된 축심 방향의 세로 가이드 슬릿(283)과, 내통부(282)의 둘레의 벽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가이드홈(guide slot)(285)과, 부상 부재(24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핀(185)을 구비한다. 
핀(185)은 세로 가이드 슬릿(guide slit)(283)에 삽입되고, 또한 그 선단이 경사 가이드홈(285)을 따라 슬라이드(slide)할 수가 있다. 
이중통부(280)에 있어서, 내통부(282)에 형성된 경사 가이드홈(285)의 둘레 방향의 범위가 외통부(281)와 내통부(282)의 상대적인 회전 범위로 된다. 
또, 제1유통공(281a)은 외통부(281)의 둘레의 벽 하부에 있어서의 세로 가이드 슬릿(283)이 없는 위치에,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긴 긴 구멍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유통공(282a)은 내통부(282)의 둘레의 벽 하부에 있어서의 경사 가이드홈(285)이 없는 위치에, 예를 들면 둘레 방향으로 긴 긴 구멍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유통공(281a)과 제2유통공(282a)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또한 외통부(281)와 내통부(282)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핀(185)이 강하함으로써 외통부(281)가 회전하여 연통공(286)이 서서히 커지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5에 의하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부상 부재(241)의 강하에 수반하여 핀(85)이 세로 가이드 슬릿(283) 및 경사 가이 드홈(285)을 따라 강하할 때, 핀(185)이 세로 가이드 슬릿(283)의 사이드 에지(side edge)를 둘레 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그에 따라 외통부(281)가 내통부(282)에 대해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1유통공(281a)이 제2유통공(282a)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유통공(281a)과 제2유통공(282a)이 겹쳐 형성된 연통공(286)이 서서히 커진다. 따라서, 이중통부(80) 내에 유입하는 원료 탱크 내의 원료의 유량이 증가한다. 
실시의 형태 5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의 상기 효과 1-1, 1-2 및 실시의 형태 2의 상기 효과 2-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실시의 형태 6) 
도 17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이중통부(280)에 있어서의 내통부(282)를 원료 탱크(10)의 원료 도입로(11)에 접속 고정하고, 외통부(28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외통부(281)를 원료 탱크(10)의 원료 도입로(11)에 접속 고정하고, 내통부(282)를 회전시킨다(도시 생략).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원료 탱크(10)의 저부와 접하는 외측 플랜지 및 O링용의 오목 둘레홈을 외통부(281)의 하부에 형성한다. 또한, 외통부(281) 및 내통부(282)에 각각 형성하는 가이드 슬릿 및 가이드홈이나, 부상 부재에의 핀의 장착 구조 등은 실시의 형태 5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 6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의 상기 효과 1-1, 1-2 및 실시의 형태 2의 상기 효과 2-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실시의 형태 5 및 6의 변형예) 
실시의 형태 5 및 6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 및 2를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5 및 6에 있어서의 제1유통공과 제2유통공의 형상이나 조합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과 같이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 실시의 형태 5 및 6에 있어서, 외통부에 경사 가이드 슬릿을 형성하고, 내통부에 세로 가이드홈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9)

  1. 액상의 빙과용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와, 빙과용 원료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와, 상기 원료 탱크 및 실린더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구비한 빙과 제조기에 설치되어, 상기 원료 탱크로부터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빙과용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원료 공급 장치로서, 
    원료 탱크 내의 빙과용 원료의 액면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액면 검출 수단과,
    검출된 액면 높이와 연동하여 빙과용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 수단과,
    실린더부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면 검출 수단은 원료 탱크 내의 빙과용 원료 액면에 부상하는 부상 부재이고, 
    상기 공급량 조절 수단은 제1유통공을 가지는 외통부 및 상기 제1유통공과 연통 가능한 제2유통공을 가지는 상기 외통부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통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이중통부와, 상기 부상 부재의 상하의 변위를 상기 이중통부에 전달하여 상기 외통부와 내통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유통공과 제2유통공의 겹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공의 크기를 변화시켜 원료의 실린더부에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변위 전달 수단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 수단은 상부에 외기 도입구를 가지고, 실린더부까지 연통한 수직관이고, 상기 이중통부는 그 일단이 상기 수직관과 연통하여 원료 탱크 내의 저부 부근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변위 전달 수단은 상기 부상 부재가 원료 액면 높이에 따라 오르내리는 운동을, 상기 이중통부에 있어서의 외통부와 내통부의 상대적인 수평 축심 둘레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부재는 그 외주면에 제1수평축을 가지고, 
    상기 이중통부는 그 외통부 또는 내통부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제2수평축을 가지고, 
    상기 링크 기구는 양단에 피봇 결합부를 가지는 제1암과, 양단에 피봇 결합부를 가지는 제2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1암의 일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와 상기 제2암의 일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가 요동 가능하게 피봇 결합하고, 제1암의 타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는 상기 제1수평축에 요동가능하게 피봇 결합하고, 제2암의 타단의 상기 피봇 결합부는 상기 외통부 또는 내통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제2수평축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축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부재는 상기 수직관을 삽통시키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상기 이중통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통부는 상부에 외기 도입구를 가지고, 원료 탱크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공기 도입 수단을 겸함과 아울러, 상기 외기 도입구가 외통부 또는 내통부를 통하여 실린더부 내까지 연통 접속되고, 
    상기 변위 전달 수단은 상기 부상 부재가 원료 액면 높이에 따라 오르내리는 운동을 외통부와 내통부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방향 변환 기구이고, 
    상기 운동 방향 변환 기구는 외통부 및 내통부의 둘레의 벽에 형성된 각각 다른 가이드 슬릿과, 상기 부상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각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부재는 상기 핀을 상하 복수 개소에 착탈할 수 있는 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9. 액상의 빙과용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탱크와, 빙과용 원료를 공기와 함께 교반 냉각하여 빙과로 하기 위한 실린더부와, 상기 원료 탱크 및 실린더부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제1항에 기재된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를 구비한 빙과 제조기.
KR1020097015113A 2007-04-19 2008-04-10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 KR101266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10589 2007-04-19
JP2007110589 2007-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325A true KR20100014325A (ko) 2010-02-10
KR101266212B1 KR101266212B1 (ko) 2013-05-21

Family

ID=3979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113A KR101266212B1 (ko) 2007-04-19 2008-04-10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02196B2 (ko)
KR (1) KR101266212B1 (ko)
CN (1) CN101605464B (ko)
TW (1) TW200847932A (ko)
WO (1) WO200813319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97B1 (ko) * 2010-12-09 2013-08-07 한국기계연구원 요거트 아이스크림용 호퍼 및 이를 구비하는 요거트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KR101356793B1 (ko) * 2013-01-29 2014-01-28 (유)예주월드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카브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5423A (zh) * 2017-07-13 2017-09-05 陈志河 一种家用水果冰淇淋制作机
US11641978B2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D983603S1 (en) 2020-12-31 2023-04-18 Sharkninja Operating Llc Blade for a micro puree machine
US11925298B2 (en) 2020-12-31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D985331S1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Housing for a micro puree machine
US11154163B1 (en) 2020-12-31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11871765B2 (en) 2020-12-31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Micro puree machine
USD985334S1 (en) 2020-12-31 2023-05-09 Sharkninja Operating Llc Nested bowl for a micro puree machine
CN216674577U (zh) 2020-12-31 2022-06-07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微果泥机
CN112853514A (zh) * 2021-01-07 2021-05-28 黄立勇 一种易透气化纤复合丝制备工艺
USD1021533S1 (en) 2022-05-09 2024-04-09 Sharkninja Operating Llc User interface for a micro puree machine
USD1021520S1 (en) 2022-05-09 2024-04-09 Sharkninja Operating Llc Housing for a micro pure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983Y2 (ko) * 1971-07-15 1975-06-02
US4052180A (en) * 1975-06-16 1977-10-04 Erickson V Robert Soft ice cream machine
US4045976A (en) * 1976-02-26 1977-09-06 Mills John W Valve for soft ice cream machine
IT1103775B (it) * 1978-07-11 1985-10-14 Carpigiani Bruto Mach Dispositivo erogatore di gelato e sciroppo per la preparazione estemporanea di gelati conditi vcon sciroppi di gusti differenti
US4617802A (en) * 1985-04-18 1986-10-21 International Freezer Corporation Freezer apparatus
DE3544803A1 (de) * 1985-12-18 1987-06-19 Lumen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peiseeis, milchshake, sorbet, gefrorenen suessspeisen u.dgl. jeweils aus einem pumpfaehigen ansatz
JPH0374289U (ko) * 1989-11-20 1991-07-25
JP2001245596A (ja) * 2000-03-06 2001-09-11 Sanyo Electric Co Ltd 冷菓製造装置
EP1166642A1 (en) * 2000-06-21 2002-01-02 Hoshizaki Denki Co., Ltd. Frozen dessert dispenser
JP4130056B2 (ja) * 2000-09-04 2008-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菓製造装置
JP4099691B2 (ja) * 2000-09-27 2008-06-11 日世冷機株式会社 冷菓製造装置
JP4372641B2 (ja) * 2004-08-16 2009-11-25 日世株式会社 バルブ構造体及び冷菓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97B1 (ko) * 2010-12-09 2013-08-07 한국기계연구원 요거트 아이스크림용 호퍼 및 이를 구비하는 요거트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KR101356793B1 (ko) * 2013-01-29 2014-01-28 (유)예주월드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카브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5464B (zh) 2012-11-28
JP5302196B2 (ja) 2013-10-02
KR101266212B1 (ko) 2013-05-21
WO2008133190A3 (en) 2008-12-31
CN101605464A (zh) 2009-12-16
WO2008133190A2 (en) 2008-11-06
JP2010524429A (ja) 2010-07-22
TW200847932A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212B1 (ko) 빙과 제조기용 원료 공급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빙과 제조기
US20180325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rozen confectionary product
JP5959365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5826264B2 (ja) フレーバード氷を連続的又は半連続的に生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7566164B2 (en) Floating agitation device to heat and froth milk
CN101132722A (zh) 调配和分装可至少部分起泡或不起泡的饮料的设备
KR20010012607A (ko) 자체에 스트로가 구비된 음료 저장용기
US4551026A (en) Household appliance for making ice cream
JP2005514023A (ja) スラッシュ飲料製造装置
US9586185B2 (en) Mixer nozzle assembly
EP1533023B1 (en) Machine for producing granita and similar beverages
CN205431915U (zh) 一种用于冰淇淋机的膨化管
CN204972295U (zh) 一种奶瓶搅拌器配件
CN105902132B (zh) 搅拌机
CN212414602U (zh) 一种喉座组件及其食品制作设备
JP3325205B2 (ja) 冷菓製造機
US3497115A (en) Partially frozen product dispensing machine having a scraper assembly
JP4994321B2 (ja) オーガ式製氷機
CN116100035B (zh) 球形铜粉生产设备及其提高球形铜粉率的方法
JP5367315B2 (ja) オーガ式製氷機
JPS6332449A (ja) ソフトクリ−ムフリ−ザーにおける原料供給とオ−バ−ラン制御方法とその装置
CN111374214A (zh) 一种喉座组件及其食品制作设备
JP2010032202A (ja) オーガ式製氷機
JP2006238711A (ja) 冷菓製造装置
JPH11169094A (ja) フローズン飲料ディスペンサのフロート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