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558A -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 Google Patents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558A
KR20100013558A KR1020080075133A KR20080075133A KR20100013558A KR 20100013558 A KR20100013558 A KR 20100013558A KR 1020080075133 A KR1020080075133 A KR 1020080075133A KR 20080075133 A KR20080075133 A KR 20080075133A KR 20100013558 A KR20100013558 A KR 2010001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polypropylene
blanke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954B1 (ko
Inventor
노귀영
Original Assignee
노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귀영 filed Critical 노귀영
Priority to KR102008007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9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04B9/0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for interlock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양면 파일의 담요 원단에 있어서, 지조직용 엮음사(entwining yarn)로는 75~25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이용하고 지사(ground yarn) 및 파일사는 100~300denier의 폴리프로필렌 사와 아크릴 혼방사로 되는 담요 원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볍고 부드러우며, 특히 PP사는 가염성 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미려한 담요 원단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담요의 촉감이 양호하며, 볼륨감이 풍부하여 보온성이 좋고, 필링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PP가 50%이상 함유되어 있어 때가 잘 타지 않으므로 세탁 주기를 늘릴 수 있고 세제를 적게 사용하여도 세탁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이며, PP 특유의 소수성으로 속건성이 양호하여 운동복, 등산이나 레저용품용 원단은 물론 해군이나 해경의 선박에서 또는 항공기 내에서 사용이 편리한 담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담요원단, PP사, 아크릴 사, 혼방사, 가염성

Description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a blanket yard-goods take dye-ability PP blend yarn}
본 발명은 가염성 PP 혼방사(Polypropylene spun blend yarn)를 이용한 담요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담요원단의 지조직 및 파일사에 가염성의 PP혼방사를 이용하여 가볍고, 따뜻하며 촉감이 좋고, 용도가 다양한 고부가가치의 담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인류의 문명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 섬유의 개발과 함께 편안한 쉼을 위한 침구용의 담요 및 야외 활동이 빈번하고, 항공기나 배를 이용한 활동공간이 확장되면서,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가벼운 섬유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원적외선 방사기능, 항균 및 방취 기능, 자외선 차단기능, 정전기 방지 기능 등의 기능을 갖는 섬유를 이용하여 양면 파일 직물을 제직하여 가공한 기능성 담요가 있었으나, 이들 제품은 직물로 되어 있으므로 제품이 딱딱한 문 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편기를 이용한 편물로 제조함으로서 보다 부드러운 담요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용되는 원사의 제조가 까다롭거나 원사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편물로 되는 담요 원단은 그 지사(ground yarn) 및 엮음사(entwining yarn)를 폴리에스터 사(polyester yarn)를 사용하여 편성하기 때문에 후 가공 시에 폴리에스터 섬유가 갖는 32% 이상의 과도한 수축력으로 인하여 원하는 직폭을 얻기 어려웠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확포(tentering)할 때에 원단에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그 지조직이 흐트러져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파일사로 이용되는 폴리에스터 사 및 나일론/폴리에스터 분할사, 면사, 울(wool) 등의 섬유의 비중이 높아 제품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져서 그 무게로 인하여 환자, 노약자 등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경우도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 발명자는 출원번호 제10-2003-0078580호로 PP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을 개발하여 등록특허 제10-0517824호로 등록된 바 있으나, 이는 중량 문제는 해소가 되었으나, 지사(地絲 ; ground yarn) 및 엮음사(entwining yarn)의 지조직에는 비교적 굵은 폴리에스터 사에 PP사가 25~40중량% 혼합된 혼방사를 사용하고 파일사는 PP 원착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이 드러눕는 문제가 발생하여 후 가공이 어렵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원단 편성 후 가공 시 안료를 많이 사용하므로 안료에 의하여 제품이 빳빳해지므로 촉감이 좋지 않아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볍고 부드러우며 가염성 PP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미려한 담요 원단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 편성 후 가공 시 안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담요의 촉감이 양호한 담요 원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혼방사로 아크릴을 이용하므로 파일의 형성이 양호하여 볼륨감이 풍부하여 보온성이 좋고, PP 단사를 사용하는 것보다 필링의 발생이 적으며, PP 특유의 소수성으로 속건성이 양호하여 해군이나 해경의 선박에서 사용이 편리한 담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PP가 50%이상 함유되어 있어, 때가 잘 타지 않으므로 세탁 주기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를 적게 사용하여도 세탁이 용이하여 친환경의 담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양면 파일의 담요 원단에 있어서, 지조직용 엮음사(entwining yarn)로는 75~25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이용하고 지사(ground yarn) 및 파일사는 100~300denier의 폴리프로필렌과 아크릴 혼방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엮음사만을 폴리에스터 사로 하는 것은 폴리에스터 사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후 가공 시 폴리에스터 사가 수축하면서 조직을 보다 촘촘히 하면서 파일을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혼방사는 폴리프로필렌 50~99중량%에 아크릴 사 50~1중량%를 혼방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아크릴 사가 1중량% 미만이면 루프가 부드러워 드러눕기 때문에 후 가공이 어렵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아크릴 사가 5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소수성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속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보다 양호한 효과를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65~75중량%에 아크릴 35~25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기모성이나 전모성이 양호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경사 방향 루프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루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루프를 길게하여 루프를 컷트하고 전모(shearing)하기에 편리하므로 엮음사를 75~100denier 정도의 폴리에스터 사를 이용하면 좋으며, 경사 방향 루프를 기모하고자 하는 경우 과도한 외력에 의해 경사 방향에 줄(stripe)이 발생하므로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위사 방향 루프는 루프를 길게 할 수 없으므로 루프의 컷트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기모(raising) 처리를 하여야 되며, 기모할 때 강한 외력에 의하여 조직이 흐트러질 염려가 있으므로 루프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30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가염성을 갖는 PP사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PP사가 가염성이기 때문에 원단 편성 후 안료에 의한 프린팅을 하지 않으므로 파일이 빳빳해져 촉감이 불량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편성 후에 염색하므로 다양한 색상의 아름다운 담요를 얻을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파일이 부드러우므로 감촉과 보온성이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 파일의 경우에는 원단을 편성한 후 전모하고 염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 파일의 경우에는 원단 편성 후 염색을 하고 기모를 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염색할 때에 엮음사가 최대한으로 수축하여 루프를 확실하게 잡아준 상태에서 기모를 하는 것이 기모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볍고 부드러우며 가염성 PP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미려한 담요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 편성 후 가공시 안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담요의 촉감이 양호한 담요 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방사로는 PP에 아크릴을 혼방하므로 파일의 형성이 양호하여 볼륨감이 풍부하여 보온성이 좋고, PP 단사를 사용하는 것보다 필링의 발생이 적으며, PP 특유의 소수성으로 속건성이 양호하여 스포츠 용품, 등산이나 레저용품용 원단은 물론 해군이나 해경의 선박에서 또는 항공기 내에서 사용이 편리한 담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P가 50%이상 함유되어 있어, 때가 잘 타지 않으므로 세탁 주기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를 적게 사용하여도 세탁이 용이하여 친환경의 담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양면 파일의 담요 원단에 있어서, 지조직용 엮음사(entwining yarn)로는 75~25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이용하고 지사(ground yarn) 및 파일사는 100~300denier의 폴리프로필렌과 아크릴 혼방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엮음사는 폴리에스터 사로 하고 나머지 모든 사는 폴리프로필렌과 아크릴 혼방사로 되는 것이 중요하며, 혼방사는 폴리프로필렌 50~99중량%에 아크릴 사 50~1중량%를 혼방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사 방향 루프를 편성하는 경파일의 경우에는 루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루프를 길게하여 루프를 컷트하고 전모(shearing)하기에 편리하므로 엮음사를 75~100denier 정도의 폴리에스터 사를 이용하면 좋으며, 위사 방향 루프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루프를 길게 할 수 없으므로 루프의 컷트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기모(raising) 처리를 하여야 되며, 기모할 때 강한 외력에 의하여 조직이 흐트러질 염려가 있으므로 루프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30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PP사는 가염성 PP사인 것이 좋으며, 이는 원단 편성 후 염색함으로서 과도한 안료에 의해 파일이 빳빳해져 촉감이 불량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파일이 부드러우므로 감촉과 보온성이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 파일의 경우에는 원단을 편성한 후 전모하고 염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 파일의 경우에는 원단 편성 후 염색을 하고 기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염색할 때에 엮음사가 최대한으로 수축하여 루프를 확실하게 잡아준 상태에서 기모를 하는 것이 기모 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실시예 1>
엮음사로는 175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사용하고, 지사 및 파일사는 모두 휴비스사 제품 가염성인 폴리프로필렌 70중량%와 일반 아크릴 30중량%를 혼방한 혼방사를 이용하여 경편기에서 경파일 원단을 편성하고, 얻어진 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전모 및 염색하여 건조함으로 경파일 담요 원단을 제조하였다.
파일의 직립성이 양호하여 볼륨감이 풍부하고 부드러우며 비교적 가벼운 담요 원단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엮음사로는 175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사용하고, 지사 및 파일사는 모두 휴비스사 제품 가염성인 폴리프로필렌 75중량%와 일반 아크릴 25중량%를 혼방한 혼방사를 이용하여 위편기에서 위파일 원단을 편성하고, 얻어진 원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염색 및 건조한 후 기모하여 위파일 담요 원단을 제조하였다.
파일이 비교적 짧은 원단으로 스포츠용 아웃 웨어 및 등산이나 레저용품에 적합한 가벼우면서 통기성과 속건성이 좋은 담요 원단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지조직용 사 및 파일사 모두를 175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담요 원단을 제조하였다.
원단의 열 셋팅이 불완전하여 파일이 흐트러져 원단이 전반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서 촉감이 까칠하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워 조악한 원단이 생산되었다.
<비교예 2>
지조직으로 15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 사를 30중량% 혼방한 혼방사를 사용하고, 파일사는 모두 150denier의 폴리프로필렌 멀티필라멘트 사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담요 원단을 제조하였다.
파일이 촘촘하면서 균일하고 부드럽고 가벼웠지만, 루프가 드러누워 전모 가공이 어렵고 볼륨감이 부족하며, 조그만 마찰에도 필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3>
지조직용 사 및 파일사 모두를 폴리에스터 사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 사를 30중량% 혼방한 150denier의 혼방사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담요 원단을 제조하였다.
파일이 촘촘하면서 균일하고 부드럽지만 볼륨감이 부족하고, 통기성과 발수성이 낮아 운동복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의 사용에 부적합하였다.

Claims (5)

  1. 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양면 파일의 담요 원단에 있어서, 지조직용 엮음사(entwining yarn)로는 75~25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를 이용하고 지사(ground yarn) 및 파일사는 100~300denier의 폴리프로필렌 사와 아크릴 혼방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혼방사는 폴리프로필렌 50~99중량%에 아크릴 사 50~1중량%를 혼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혼방사는 폴리프로필렌 65~75중량%에 아크릴 35~25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편성된 담요 원단이 경사 방향 루프를 편성하는 경편기를 이용한 경파일인 경우에는 엮음사를 75~10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로 하고, 위사 방향 루프는 루프를 편성하는 위편기를 이용한 위파일인 경우에는 엮음사를 200~300denier의 폴리에스터 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5.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사는 가염성 PP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KR1020080075133A 2008-07-31 2008-07-31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KR10098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133A KR100981954B1 (ko) 2008-07-31 2008-07-31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133A KR100981954B1 (ko) 2008-07-31 2008-07-31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58A true KR20100013558A (ko) 2010-02-10
KR100981954B1 KR100981954B1 (ko) 2010-09-13

Family

ID=4208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133A KR100981954B1 (ko) 2008-07-31 2008-07-31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9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346A1 (ko) * 2012-05-29 2013-12-05 Ahn Young Hoon 보풀 방지용 니트웨어 및 편직 방법
CN105274717A (zh) * 2015-11-04 2016-01-27 江苏奥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阻燃隔热面料及其制备方法
CN107419417A (zh) * 2017-07-26 2017-12-01 上海三问家居服饰有限公司 一种运动面料的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172B1 (ko) * 2002-02-21 2004-09-16 노귀영 세척용 양면 파일 편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0517824B1 (ko) 2003-11-07 2005-09-28 노귀영 Pp사를 이용한 담요원단
KR200415189Y1 (ko) 2006-02-03 2006-05-02 김준봉 스팀 청소기용 걸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346A1 (ko) * 2012-05-29 2013-12-05 Ahn Young Hoon 보풀 방지용 니트웨어 및 편직 방법
CN105274717A (zh) * 2015-11-04 2016-01-27 江苏奥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阻燃隔热面料及其制备方法
CN107419417A (zh) * 2017-07-26 2017-12-01 上海三问家居服饰有限公司 一种运动面料的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954B1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586B1 (ko)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쾌적한 기능성 데님 원단의 제조방법
US11174577B2 (en) Brushed circular knitted fabric
KR100981954B1 (ko) 가염성 폴리프로필렌 혼방사를 이용한 담요 원단
KR100700209B1 (ko) 기모면을 갖는 벨로아 편직 및 벨로아 제조 방법
Patra et al. Novel varieties of denim fabrics
WO2016013995A1 (en) Flat over dye denim fabric
JP2020002495A (ja) 柄を有するアウター衣料用編地
CN104389083A (zh) 御寒防晒的衣服面料
ES2923186T3 (es) Tejido elástico indesmallable y prenda de vestir para actividades deportivas fabricada a partir del mismo
JP2017125278A (ja) 複合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繊維構造物
KR200418228Y1 (ko) 인디고 데님 원단 제작용 환편기 및 이를 통해 편직된인디고 데님 원단
US7578148B2 (en) Color-fast stretch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225727A1 (en) High-strength fabric system
JP7079110B2 (ja) シングル丸編地
KR101131492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고흡수성 의류
WO2016108773A1 (en) Denim fabric with denim front face and towel back face
KR101772435B1 (ko) 경편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05684B1 (ko)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포함하는 트리코트 원단의 제조방법
CN216860839U (zh) 一种印花罗马布
RU2177516C2 (ru) Трикотажное полотно
CN209775752U (zh) 一种尺寸稳定性好的粗针面料
CN216733345U (zh) 一种针织染色布料
KR102659341B1 (ko)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KR101384238B1 (ko) 신축성 청원혼합사 및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신축성 청니트직물
CN110184730B (zh) 单向导湿单面针织面料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