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341B1 -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9341B1 KR102659341B1 KR1020230085642A KR20230085642A KR102659341B1 KR 102659341 B1 KR102659341 B1 KR 102659341B1 KR 1020230085642 A KR1020230085642 A KR 1020230085642A KR 20230085642 A KR20230085642 A KR 20230085642A KR 102659341 B1 KR102659341 B1 KR 1026593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
- yarn
- fabric
- knit
- ba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0085 cashmer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4522 Pentaglottis sempervire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1416177 Vicugna paco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0050 mo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4 fix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32 l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5620 Dermochelys cori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BAPJBEWLBFYGME-UHFFFAOYSA-N Meth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 BAPJBEWLBFYG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92 sheep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78 Vi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7 ango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67 med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활용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한 혼방 원단을 편성하는 편성 단계, 혼방 원단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 지지대 및 형상 고정부를 포함하는 형상 고정대에 있어서 형상 고정부의 형상을 선택하고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상 고정부 세팅 단계, 소정의 크기로 재단된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키는 형상 고정 단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된 혼방 원단을 가열하여 고착사를 고착화하는 고착화 단계를 포함하는 가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니트원사를 고착사와 혼방한 혼방 원단을 이용하여 니트원단의 장점은 유지하면서도 단점은 보완하는 혼방원단 및 이 혼방원단을 이용하여 니트원단의 특성을 갖는 동시에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가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니트(knit)는 본래 「뜨다·짜다」라는 동사인데, 통상적으로는 의류에 있어서 뜨개질하여 만든 옷이나 옷감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니트 원단은 원사로 고리를 만든 후 그 고리에 원사를 걸어 새로운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즉, 니트 원단은 원사 고리들이 서로 얽혀 만들어지는 조직을 가지는 원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니트 원단으로 만들어지는 니트 웨어 제품의 예로는 각종 스웨터, 가디건, 셔츠, 조끼 등의 의류 제품이 대표적이고, 숄, 모자, 장갑 등의 신변 장식품들도 다수 존재한다.
니트는 신축성이 있고 잘 구겨지지 않으며, 함기성(含氣性)이 우수하여 따뜻하고, 또한 입기 편해 캐주얼성이 우수하다는 기능적인 특징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니트는 그 특유의 질감(texture)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원단과 비교되고, 공예적·수예적으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니트가 대표적인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량운동이 대중화되고 신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신체 라인을 아름답게 드러내기 위한 패션 아이템으로서도 니트를 많이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패션업계는 종래 캐주얼에만 국한되었던 니트를 드레이프성과 보온성 및 활동성의 특성과 더불어 기능성을 추가시켜 스포츠 의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으로 적용되면서 패션 산업분야에 경쟁력을 더하고 있다.
나아가, 니트 원단을 사람이 직접 신체에 착용하는 의류뿐만 아니라 가방 등의 패션 악세서리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니트 원단이 갖는 특유의 질감에서 발현되는 미적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니트 원단은 신축성이 있고 잘 구겨지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니트 원단으로 가방을 제조했을 경우 가방 안에 물건을 넣으면 그 물건의 중량으로 인해 가방이 늘어나면서 축 처지게 되고, 가방에 집어넣은 물건의 외면 형상이 가방 겉면으로 그대로 드러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니트 원단으로 가방을 제조할 경우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100%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활용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차용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방 제조 방법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활용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형상 고정력을 갖는 혼방 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은,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한 혼방 원단을 편성하는 편성 단계, 혼방 원단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 지지대 및 형상 고정부를 포함하는 형상 고정대에 있어서 형상 고정부의 형상을 선택하고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상 고정부 세팅 단계, 소정의 크기로 재단된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키는 형상 고정 단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된 혼방 원단을 가열하여 고착사를 고착화하는 고착화 단계를 포함하고, 니트원사는 면, 양모, 캐시미어, 알파카, 아크릴, 모헤어, 플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고착사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착화 단계는, 혼방 원단에 90~130℃의 스팀을 가하여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편성 단계는, 제1 원단층을 편성하는 제1 원단층 편성 단계와, 제1 원단층 상에 제2 원단층을 편성하는 제2 원단층 편성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원단층은,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중량을 기준으로 6:4 내지 7:3의 비율로 혼방하여 편성하고, 제2 원단층은 니트원사만으로 편성하고, 고착화 단계에서는, 제1 원단층이 형상 고정대와 맞닿도록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지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내부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팀관을 포함하고, 형상 고정부는 그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부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형상부에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고, 지지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형상 고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중공부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대의 상단부는 스팀관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이 분출되는 분출구를 포함하고, 스팀관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은 중공부 내부로 분출되어 통기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편성 단계는, 혼방 원단을 버드아이 자카드 방식으로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착화 단계는, 형상 고정대 상부에 배치된 샤워헤드부로부터 형상 고정대에 배치된 혼방 원단을 향하여 스팀을 분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형상부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활용하여 미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형상 고정력을 갖는 혼방 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노멀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버드 아이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플로팅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튜불러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레더백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블리스터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트랜스퍼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인타르시아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노멀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버드 아이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플로팅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튜불러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레더백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블리스터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트랜스퍼 자카드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인타르시아 조직의 앞면 및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방의 정면도이다.
근래, 니트 원단을 사람이 직접 신체에 착용하는 의류뿐만 아니라 가방 등의 패션 악세서리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니트 원단이 갖는 특유의 질감에서 발현되는 미적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니트 원단은 신축성이 있고 잘 구겨지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니트 원단으로 가방을 제조했을 경우 가방 안에 물건을 넣으면 그 물건의 중량으로 인해 가방이 늘어나면서 축 처지게 되고, 가방에 집어넣은 물건의 외면 형상이 가방 겉면으로 그대로 드러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니트 원단으로 가방을 제조할 경우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100%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니트 원단 특유의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형상 고정력을 갖는 혼방 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하는 방법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은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한 혼방 원단을 이용하여 가방을 제조한다. 니트원사는, 예컨대 면, 양모, 캐시미어, 알파카, 아크릴, 모헤어, 플리스와 같은 종래 니트 웨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면(綿, cotton)은 섬유 중 한가지로 목화에서 얻어낸 솜에서 추출한 실이다. 식물성 섬유의 대표주자로서, 몸에 자극이 적고 흡습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다. 겉옷과 속옷을 포함하여 양말, 거즈, 붕대, 침구 등 사람 살에 닿는 재료라면 어디에나 쓰이는 보편적이고 유용한 섬유이며, 니트 원사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면은 피부에 닿는 감촉이 부드럽고 보송보송하며 산뜻한 것이 장점이다. 흡습성이 좋아 땀을 잘 흡수하고, 통기성도 좋아 통풍에 유연하다. 또한 대부분의 염료에 대한 염색성도 뛰어나 다양한 색 표현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면은 물에 젖으면 강도가 강해져 세탁하기도 용이하다.
양모(羊毛, wool)는 면양(緬羊)의 체표(體表)를 덮어 싸고 있는 섬유이다. 양털이라고도 한다. 양모는 표피(表皮), 피질부(皮質部), 수질부(髓質部)로 이루어진다. 표피는 양털을 보호하며 광택·탄성·축융성(縮絨性)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섬유 간의 포합성을 크게 하여 방적성을 좋게 한다. 양모는 섬유 자체의 열전도율이 낮고 섬유가 공기를 많이 함유하여 보온성이 우수하다. 또한, 표준 수분율이 16%로 습기를 쉽게 흡수 및 발산하여 흡습성이 우수하며, 2% 신장 시 탄성 회복률이 99% 정도로 탄력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면 소재와 같이 염색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색을 표현하기에 용이하고, 강도는 약한 편이나 신도는 매우 높아서 굴곡 강도가 높아 내구성이 좋다. 나아가, 표면에 스케일이 있어 옷이 잘 수축하는 축융성이 있지만 축융 가공을 하면 섬유가 서로 엉켜서 쉽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단단하고 힘 있는 옷감이 된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세탁하는 물의 온도가 높으면 쪼그라들거나 수축하는 특성이 있어 양모 전용 세제로 찬물(30℃이하)에 손 세탁하거나 드라이클리닝을 맡기는 것이 권장되므로 세탁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캐시미어(cashmere)는 카슈미르 지방, 인도 북부, 티베트, 이란 등지에서 기르는 캐시미어 산양에서 채취한 모사(毛)를 사용하여 능직으로 짠 섬유를 일컫는다. 캐시미어는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아 코트나 숄 등에 사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메리노종의 양모 혹은 목면과 혼방하기도 하며, 목면만으로 캐시미어를 모방한 능직의 천을 코튼 캐시미어라 부르기도 한다. 캐시미어는 내구성이 양모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탄성과 신축성, 윤기 등은 더 뛰어나다. 게다가 섬유가 상당히 가볍고 가는 편이라 부드럽고 따뜻하다. 양모와 마찬가지로 곰팡이에도 강한 편이다. 또한 보온성이 양모보다 약 8배 높을 정도로 뛰어나기 때문에 니트 등의 겨울철 의류에 주로 사용된다. 옷감에 캐시미어가 많이 사용될수록 옷이 얇고 가볍고 따뜻하고 비싸지지만, 내구성이 다소 떨어지므로 다른 섬유와 혼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캐시미어 100%인 경우 보풀이 자주 생기는 단점이 있다.
알파카(alpaca)는 날실에는 면사, 씨실에는 알파카의 실을 써서 짠 직물을 일컫는다. 알파카의 광택이 나타나서 독특한 태를 가진다. 윤기가 좋고 따뜻하고 가볍기 때문에 캐시미어 다음으로 고급섬유 취급된다. 알파카는 보온성이 뛰어나고 캐시미어에 견줄만큼 부드러운 촉감과 견고한 모질을 가지며, 광택이 고급스럽기 때문에 고급 겨울 의료 소재로 인기가 높다. 또한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고 변색이 되지 않으며 먼지도 잘 묻지 않아 실용성도 뛰어나다. 피부에 자극도 적은 편이다.
아크릴(acrylic)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중합체를 원료로 해서 만드는 합성섬유로서 나일론·폴리에스터·비닐론과 함께 대표적인 합성섬유에 속한다. 아크릴로나이트릴의 단위체를 적어도 85% 포함해야만 하며, 이것에 아크릴산메틸·아세트산비닐·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타크릴산 등의 저분자 화합물이 혼성 중합되어 있다. 보온성이 좋고 가벼우며 탄력이 좋아 주름이 잘 잡히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햇빛에 강하고, 흡습성은 낮지만 수분이 빠르게 배출되기 때문에 땀을 흘려도 불쾌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다만 강도는 약한 편이고, 정전기가 잘 생기며 열가소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모헤어(mohair)는 앙고라 산양에서 얻은 모섬유를 일컫는다. 섬유는 순백색에 가깝고 회색이나 담황색, 적갈색의 것도 있다. 탄력성이 좋고 광택이 풍부하지만 질감은 거칠다. 모헤어는 실크와 비슷하고 우아하면서도 화려한 광택이 난다는 특징이 있다. 여름에는 몸에 잘 달라붙지 않고 통기성이 뛰어나 시원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고급 하복지 소재로 쓰인다. 그러나 습기에는 매우 예민하여 구김살이 잘 생기는 단점이 있다. 내구력이 뛰어나 의자나 실내장식용의 첨모직물(添毛織物) 제조에도 사용된다. 풍부환 광택으로 외관이 고급스럽고 촉감이 부드럽기 때문에 니트 소재로도 많이 이용된다.
플리스(fleece)는 1980년대 미국의 말덴 밀즈사(Malden Mills)에서 처음으로 폴리에스터 플리스 원단을 개발한 후 '폴라 플리스(Polar Fleece)'라는 상표로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원단 자체에 부드러운 보풀을 만들어 양털과 유사한 감촉을 갖도록 제작한 것으로서 복슬복슬한 질감이 특징이다. 또한 보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겨울철 의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구김이 적어 보관과 관리가 편하며 무게가 가볍고 활동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염색이 쉬워 여러 색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의류 업계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다만 바람을 막는 기능이 떨어지고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방 원사는 상술한 니트원사를 사용하여, 니트웨어가 갖는 질감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방 원사는,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형상 고정력을 갖는 원단을 구현하기 위해, 니트원사에 고착사(固着絲)를 혼방하여 편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착사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착사는 열이 가해졌을 때 단단하게 굳는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을 고착사의 이러한 성질에 착안하여, 니트원사에 고착사를 혼방하여 편성한 혼방 원단을 안출하게 되었고, 이러한 혼방 원단을 통해 니트웨어가 갖는 질감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고착사에 열을 가하여 단단하게 함으로써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 고정력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은,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한 혼방 원단을 편성하는 편성 단계(S1), 혼방 원단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S2), 지지대 및 형상 고정부를 포함하는 형상 고정대에 있어서 형상 고정부의 형상을 선택하고,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상 고정부 세팅 단계(S3), 소정의 크기로 재단된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키는 형상 고정 단계(S4),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된 혼방 원단을 가열하여 고착사를 고착화하는 고착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니트원사는 면, 양모, 캐시미어, 알파카, 아크릴, 모헤어, 플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고착사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성 단계(S1)는 종래의 니트 원단을 편성하는 다양한 편성 방법을 통하여 혼방 원단을 편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방 원단은 자카드(jacquard) 편성기에 의해 편성된 자카드 원단일 수 있다. 자카드 원단이란 프랑스의 발명가 조셉 마리 자카드(Joseph Marie Jacquard)가 개발한 편성기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무늬가 있는 직물의 통칭한다. 자카드 방식으로 편성할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원사를 사용해 편성 시 무늬를 삽입하여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다. 니트 자카드는 편직기의 바늘이 개별적으로 사용되어 원단 표면에 무늬를 나타내는 부분이 짜여지고, 이면의 경우 원사들이 원단의 뒷부분에 떠있거나 표면과 이면을 이어주는 가온데 존재하면서, 한 가지 이상의 원사로 편직 되도록 구성된다. 자카드 원단은 그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도 4 내지 도 11은 다양한 종류의 자카드 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는 노멀 자카드(Normal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노멀 자카드의 경우 사용된 선염사가 교대로 뒷면에 줄무늬를 이루는 조직을 갖는다. 원사 소요량이 많은 편이고 선염사가 3가지 이상일 경우 표면 무늬가 늘어나거나 뒷면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5에는 버드 아이 자카드(Bird's eye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버드 아이 자카드는 뒤 침상의 바늘이 한 바늘 걸러 짜여지는 편성 원리를 갖기 때문에 이면에는 사용된 색사의 점무늬가 보이는 특징이 있다. 노멀 자카드의 단점(원사 소요량이 맞고 표면이 늘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조직으로서, 4도 이상의 색상으로 작업할 시 가장 선호되는 조직이다.
도 6에는 플로팅 자카드(Floating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플로팅 자카드 조직은 자카드 무늬가 선명하게 표현되고 원사 소요량이 적어 완성된 니트가 가볍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뒷면의 원사가 떠 있게 되어 착용 시 원사가 당겨져 조직이 파괴되거나 원사가 끊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도 7에는 튜불러 자카드(Tubarlar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튜불러 자카드 조직은 자카드 편직 중 가장 두꺼운 조직이다. 2도 색상의 경우 표면과 이면의 무늬와 색상이 반전되기 때문에 리버서블(reversible) 형태의 디자인에 응용된다. 튜브(tube)와 같이 표면과 이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특징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도 8에는 레더백 자카드(Ladder's back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튜불러 자카드와 플로팅 자카드의 혼방형 자카드로서, 튜블러 및 플로팅 자카드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조직이다. 뒷면의 원사 배열이 사다리 모양으로 편직되는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도 9에는 블리스터 자카드(Blister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버드 아이 자카드와 튜불러 자카드의 중간 조직으로, 부풀어 보이는 블리스터(수포)는 튜불러 자카드로 편직되고, 그 외의 부분은 버드 아이 자카드로 편직되므로 강조하고 싶은 배색 무늬의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조직이다. 다만, 부풀어 오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위해 그 부분이 반복해서 짜여져야 하므로 편직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도 10에는 트랜스퍼 자카드(Transfer Jacquard)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트랜스퍼 자카드 조직은 뒷면의 실이 앞에서 보이도록 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바닥 조직을 형성하는 편사중 뒤 침상의 바늘들에 편성되는 편사의 색상 선정에 따라 패턴 상태가 변화된다.
도 11에는 인타르시아(Intarsia) 조직이 도시되어 있다. 이탈리아어인 'Intarsiare'에서 유래된 말로서 영어로는 Inlay(무늬를 새겨 넣다)를 뜻한다. 이탈리아의 모자이크 공법에서 비롯되었으며, 평편 조직을 기본으로 바탕색으로 짠 편직물 속에 다른 색으로 짠 무늬를 넣는 조직으로 편직된다. 편직물 속에 다른 색상의 원사를 넣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으로서 뒷면을 보면 자기 무늬 뒤에는 다른 원사가 지나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편성 단계(S1)는 특히 버드 아이 자카드 방식으로 혼방 원단을 편성할 수 있다. 다만, 혼방 원단의 편성 방식이 버드 아이 자카드 방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자카드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편성 단계(S1)는, 제1 원단층을 편성하는 제1 원단층 편성 단계(S1-1)와, 제1 원단층 상에 제2 원단층을 편성하는 제2 원단층 편성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원단층은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중량을 기준으로 6:4 내지 7:3의 비율로 혼방하여 편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원단층은 니트원사만으로 편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혼방 원단을 2층 구조로 편성하는 것에 의해 니트 특유의 질감을 100% 표현하고 미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방 원사를 1층 구조로 형성할 경우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하여 편성하게 되는데, 니트원사가 고착사와 혼방되므로 고착사에 의해 니트원사 자체의 질감을 100% 표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고착사의 소재의 한계로 인해 염색에 있어서도 니트원사를 100%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면 다소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혼방 원사를 2층 구조로 형성할 경우, 가방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층은 100% 니트원사로 편성하고 가방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층은 니트원사와 고착사의 혼방 원단으로 편성하므로, 외면에서 보았을 때 니트원사 특유의 질감을 100% 표현하여 미적인 효과를 극대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내층의 경우 고착사의 고착화에 의해 형상 고정력을 가지므로,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원단층이 내층에 해당하고, 제2 원단층이 외층에 해당한다. 외층에 해당하는 제2 원단층이 100% 니트원사로 편성되므로 니트의 질감을 방해받지 않고 100%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내층에 해당하는 제1 원단층이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하여 편성되므로, 고착사에 열을 가하여 고착화하면 형상 고정력을 갖게 되어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정부 세팅 단계(S3)에서 형상 고정대가 사용될 수 있다. 형상 고정대는 지지대 및 형상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대의 하단에는 지면을 지지하기 위한 납작하고 넓은 원판 형태의 지지판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는 그 내부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관은 지지대의 외부로부터 스팀을 공급받고 유동시키는 통로이다. 스팀관은 지지대 외부에 존재하는 스팀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의 상단부는 스팀관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이 분출되는 분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형상 고정부는 그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부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부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방 제조에 사용되는 혼방 원단을 특정 형상으로 고착화하기 위해 혼방 원단을 거치하는 곳이다. 혼방 원단을 원하는 모양으로 고착화하기 위해, 형상부는 가방의 최종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외면을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형상부는 원하는 가방 형태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형상을 갖도록 복수개 제작되고 구비된다. 원하는 가방 형태에 따라 그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형상부를 선택하고, 해당 형상부를 지지대 상단에 결합한다. 그 후, 혼방 원단을 형상부 상에 배치한다(형상 고정 단계(S4)). 고착화되기 전의 혼방 원단은 니트원사의 특징에 의해 탄성이 좋고 잘 늘어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혼방 원단을 형상부에 내려놓으면 형상부의 형상을 따라 연직 아래 방향을 향해 축 늘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혼방 원단, 정확하게는 고착사에 열을 가하여 고착화하면, 형상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혼방 원단의 형태가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형상 고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중공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형상부에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팀관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은 형상 고정부의 중공부 내부로 분출되어 형상부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팀이 형상부에 배치된 혼방 원단과 접촉하게 되고, 스팀의 뜨거운 열기가 고착사에 가해져 고착사가 고착화하게 된다. 이로써, 혼방 원단이 원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 고정력을 갖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형상부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형상부가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되므로, 스팀이 맞닿아도 부식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즉, 스테인리스스틸로 형상부를 제조하여 형상 고정부의 내구성 및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착화 단계(S5)는, 혼방 원단에 90~130℃의 스팀을 가하여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스팀의 온도를 90~130℃로 할 때 혼방 원단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고착사를 충분히 고착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수차례의 실험에 의해 알게 되었다. 즉, 혼방 원단에 가하는 스팀의 온도는 90~130℃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고착화 단계(S5)에서 가하는 스팀의 온도는 90~130℃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고착화 단계(S5)에서는 제1 원단층이 형상 고정대와 맞닿도록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고착사가 혼방된 제1 원단층이 형상 고정대에 맞닿도록 하면, 형상 고정대의 내부로 분출되는 스팀이 형상부의 통기구를 통과하면서 제1 원단층에 먼저 접촉하여 고착사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즉, 제1 원단층이 형상 고정대와 맞닿도록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원단층의 고착사를 효율적으로 고착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고착화 단계(S5)는 형상 고정대 상부에 배치된 샤워헤드부로부터 형상 고정대에 배치된 혼방 원단을 향하여 스팀을 분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형상 고정대의 상부에는 샤워헤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샤워헤드부는 예컨대 형상 고정대의 연직 상방의 천장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부는 외부의 스팀 공급부와 스팀을 공급하는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샤워헤드부는 형상 고정대의 연직 상방으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형상 고정대를 향해 가열된 스팀을 분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된 혼방 원단에 상방으로부터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샤워헤드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는 90~130℃일 수 있다.
형상 고정대의 지지대 내부에 포함되는 스팀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은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된 혼방 원단 입장에서는 하방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샤워헤드부를 포함할 경우, 스팀을 혼방 원단의 상하방의 양방에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혼방 원단을 더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빠르고 효율적인 고착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 편성 단계
S2: 재단 단계
S3: 형상 고정부 세팅 단계
S4: 형상 고정 단계
S5: 고착화 단계
S2: 재단 단계
S3: 형상 고정부 세팅 단계
S4: 형상 고정 단계
S5: 고착화 단계
Claims (5)
- 니트원사와 고착사를 혼방한 혼방 원단을 편성하는 편성 단계(S1);
상기 혼방 원단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 단계(S2);
지지대 및 형상 고정부를 포함하는 형상 고정대에 있어서 상기 형상 고정부의 형상을 선택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형상 고정부 세팅 단계(S3);
소정의 크기로 재단된 상기 혼방 원단을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키는 형상 고정 단계(S4);
상기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된 상기 혼방 원단을 가열하여 상기 고착사를 고착화하는 고착화 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니트원사는 면, 양모, 캐시미어, 알파카, 아크릴, 모헤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착사는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내부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팀관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 고정부는 그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부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부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되고, 상기 형상부에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형상 고정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상기 스팀관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이 분출되는 분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관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은 상기 중공부 내부로 분출되어 상기 통기구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기 편성 단계(S1)는,
제1 원단층을 편성하는 제1 원단층 편성 단계(S1-1)와, 상기 제1 원단층 상에 제2 원단층을 편성하는 제2 원단층 편성 단계(S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단층은, 상기 니트원사와 상기 고착사를 중량을 기준으로 6:4 내지 7:3의 비율로 혼방하여 편성하고,
상기 제2 원단층은 니트원사만으로 편성하고,
상기 고착화 단계(S5)에서는, 상기 제1 원단층이 형상 고정대와 맞닿도록 상기 혼방 원단을 상기 형상 고정대 상에 배치시키고,
상기 고착화 단계(S5)는, 상기 형상 고정대 상부에 배치된 샤워헤드부로부터 상기 형상 고정대에 배치된 상기 혼방 원단을 향하여 스팀을 분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방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화 단계(S5)는, 상기 혼방 원단에 90~130℃의 스팀을 가하여 가열하는,
가방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 단계(S1)는, 상기 혼방 원단을 버드아이 자카드 방식으로 편성하는,
가방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5642A KR102659341B1 (ko) | 2023-07-03 | 2023-07-03 |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5642A KR102659341B1 (ko) | 2023-07-03 | 2023-07-03 |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9341B1 true KR102659341B1 (ko) | 2024-04-22 |
Family
ID=9088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5642A KR102659341B1 (ko) | 2023-07-03 | 2023-07-03 |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934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895A (ko) * | 1994-06-10 | 1996-01-26 | 고시마 히사도시 | 화학증폭 포지형 레지스트 조성물 |
KR101545250B1 (ko) | 2014-04-21 | 2015-08-27 | 이순광 | 니트 패션의 창의적 디자인 차별화를 위한 니트의 편직방법 |
KR101550707B1 (ko) * | 2015-05-11 | 2015-09-07 | 한장훈 | 보풀 발생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니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니트 의류 |
KR20180023119A (ko) | 2016-08-24 | 2018-03-07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전기 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 섬유 멤브레인 레이어를 포함하는 난연성 투습 방수 니트 원단 |
KR20190114891A (ko) * | 2018-03-29 | 2019-10-10 | 권승 |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
KR102119059B1 (ko) * | 2019-08-02 | 2020-06-04 | 김지협 | 탄소섬유를 이용한 가방 제작용 원단 제조방법 |
KR102319073B1 (ko) | 2016-04-01 | 2021-10-29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방염 및 방진 니트 용품 |
KR102478388B1 (ko) | 2020-04-06 | 2022-12-15 | 홍문정 | 재단이 가능한 니트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23
- 2023-07-03 KR KR1020230085642A patent/KR1026593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1895A (ko) * | 1994-06-10 | 1996-01-26 | 고시마 히사도시 | 화학증폭 포지형 레지스트 조성물 |
KR101545250B1 (ko) | 2014-04-21 | 2015-08-27 | 이순광 | 니트 패션의 창의적 디자인 차별화를 위한 니트의 편직방법 |
KR101550707B1 (ko) * | 2015-05-11 | 2015-09-07 | 한장훈 | 보풀 발생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니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니트 의류 |
KR102319073B1 (ko) | 2016-04-01 | 2021-10-29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방염 및 방진 니트 용품 |
KR20180023119A (ko) | 2016-08-24 | 2018-03-07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전기 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 섬유 멤브레인 레이어를 포함하는 난연성 투습 방수 니트 원단 |
KR20190114891A (ko) * | 2018-03-29 | 2019-10-10 | 권승 | 열융착몰드를 이용한 부분몰드형 모자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 |
KR102119059B1 (ko) * | 2019-08-02 | 2020-06-04 | 김지협 | 탄소섬유를 이용한 가방 제작용 원단 제조방법 |
KR102478388B1 (ko) | 2020-04-06 | 2022-12-15 | 홍문정 | 재단이 가능한 니트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40054B2 (en) | Composite textile fabrics | |
KR101009586B1 (ko) |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쾌적한 기능성 데님 원단의 제조방법 | |
CN109640723B (zh) | 具有区域化的保温性和可变透气性的服装 | |
EP0515543B1 (en) | Knit fabric material with stretch and insulative properties and related articles of clothing | |
CN102452194A (zh) | 一种多功能复合面料 | |
CN204780413U (zh) | 涤棉色织法兰绒 | |
CN106381595A (zh) | 一种空气层织物及其织造方法 | |
CN108842271A (zh) | 一种高弹纬编针织三线衬垫组织的加工方法 | |
KR102659341B1 (ko) |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 |
CN106757712B (zh) | 羊毛与棉和棉涤交织纬编双面绒面料及制造方法 | |
CN105332144A (zh) | 一种纳米憎水憎油服装面料 | |
US9803298B2 (en) | Cooling shirt and method of making same | |
CN208812644U (zh) | 一种抑菌保暖网布 | |
CN211645522U (zh) | 一种细旦聚乙烯超凉感面料及服装 | |
JP2017078246A (ja) | アンゴラ混成生地 | |
KR200385745Y1 (ko) | 편직물과 편직물제품 | |
KR20060018189A (ko) |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CN208216202U (zh) | 一种舒适保暖且挺括有型的针织上衣 | |
CN215209878U (zh) | 一种丙纶弹性针织面料及服装 | |
CN216545169U (zh) | 耐磨服饰面料 | |
CN216733345U (zh) | 一种针织染色布料 | |
TWM485256U (zh) | 吸濕排汗單向導濕織物結構 | |
CN220123994U (zh) | 一种针织衫 | |
Van Amber | Apparel and household textiles and their role in forensics | |
CN214646512U (zh) | 一种多组分混纺交织针织布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