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189A -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189A
KR20060018189A KR1020040066553A KR20040066553A KR20060018189A KR 20060018189 A KR20060018189 A KR 20060018189A KR 1020040066553 A KR1020040066553 A KR 1020040066553A KR 20040066553 A KR20040066553 A KR 20040066553A KR 20060018189 A KR20060018189 A KR 20060018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low
fabric
temperature
temperature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주)티엠코프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코프레이션 filed Critical (주)티엠코프레이션
Priority to KR102004006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189A/ko
Publication of KR2006001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융착되는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직물제품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갖는 저온융착사를 적어도 일정 이상 포함하여 직조된 직물이나 편물을 이용한 직물 또는 편물 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나 편물을 적당한 온도의 열을 가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저온융착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된 직물을 온도에 따라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함에 따라, 생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생산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됨에 따라, 염색이 자유롭고, 열이나 물에 강하기 때문에 세탁시 수축이 일어나지 아니하며, 직물의 빳빳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가공시 코팅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직물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온융착사, 폴리에스테르, 직물, 의류, 모자, 커튼, 직물제품

Description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WOVEN FABRICS AND WOVEN FABRIC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에 경사와 위사 중 하나로 사용되는 저온융착사의 단면도,
도 1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물에 경사와 위사 중 하나로 사용되는 혼방저온융착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로 제작된 모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모자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로 직물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온융착사 11 : 코어
12 : 시스 15 : 저온융착섬유
20 : 혼방저온융착사 25 : 일반사
100 : 모자 110 : 챙
120 : 크라운
본 발명은 직물과 직물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충분한 빳빳함을 갖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색이 자유롭고, 열이나 물에 강하여 형태가 보존되는 직물과 직물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이라 하면,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짜여져 어떤 넓이의 평면체가 된 천을 말하며, 직포(織布)라고도 한다. 또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실을 각각 편침을 사용하여 편환을 만들어서 이를 서로 연결시켜 만들어진 넓은 천을 편성물 또는 편직물이라 한다. 직물은 신생아의 배냇저고리로부터 시신의 수의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의생활을 꾸며 주는 재료이며, 옷감으로서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새로운 직물이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실내장식용·의료용·운송용·산업자재용 등 그 용도가 소비재로부터 생산재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직물은 통상적으로 섬유의 종류, 용도, 의장과 조직, 염색단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서 직물은, 면직물·마직물·모직물·견직물 그리고 혼방직물·교직물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는 옷감(복지)·안감(이지)·이불감·기저귀감 그리고 벽걸이용포·깔개용포·포장용포·보강용포·여과포·범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의장과 조직에 따라 무지직물·줄무늬직물·날염직물·문직물·자수직물·타월직물·벨루어직물·익직물 등으로 분 류되고, 염색단계에 따라서는 선염직물·후염직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에서 옷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직물은 한정되어 있으며, 옷감으로 사용하는 직물은 보온·흡습·유연·탄력 등 착용상 기능성을 지녀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패션의료로서의 심미성도 아울러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옷감으로 사용하는 직물로는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이 중, 천연섬유로는 면, 마, 모, 견 등이 있고, 재생섬유로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이 있으며, 합성섬유로 나일론,아크릴,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각 섬유가 옷감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분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연섬유인 면섬유는, 옷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섬유로서, 흡수성과 착용감이 좋고, 오염을 잘 흡수하여 위생적이며, 세탁하기가 편리하다. 이에 따라, 속옷을 비롯하여 기저귀, 손수건, 운동복, 행주감, 이불깃, 아동복, 작업복 등의 모든 옷의 재료로 사용된다. 마섬유는, 흡습성이 좋고 건조가 빠르며, 습윤시 강도가 증가하고, 뻣뻣하고 구김이 잘 생기고 부스러지는 성질이 있어서 주로 폴리에스테르와 혼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강도와 내열성이 천연 섬유 중 가장 우수 열전도율이 크고 통기성이 커서 시원하기 때문에 손수건이나, 한복, 식탁보 등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모섬유는 면양의 털을 사용한 것으로서, 보온성이 크고 탄성이 우수하여 잘 구겨지지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겨울 외투로부터 여름옷까지 사계절 고급 옷감으로 쓰이고, 편성물로서 속에 입는 내복에서 스웨터, 장갑, 목도리, 저지로 쓰이고 있다. 견섬유는 뽕을 먹고 자라는 누에고치로부터 뽑아낸 실로 만든 섬유로서, 촉감이 부드럽고 광택이 좋고 보온성이 크며, 고급 의류에 주로 사용된다.
재생섬유 중 레이온은, 인류가 최초로 만든 인조 섬유로서, 정전기 발생이 적고 표면이 매끄럽다. 그러나 구김이 잘 생겨 고급의류용으로 부적합하고, 정전기 발생이 없어 안감으로 가장 좋은 재료로서, 여름철 옷감, 안감, 란제리, 블라우스 등의 옷감 재료에 많이 쓰인다. 아세테이트 섬유는,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견섬유 대용으로 많이 쓰이며, 여성들과 아동용 옷감으로 애용되고 있다. 남성용으로는 넥타이, 가운, 잠옷, 셔츠 등에 사용되며, 매끄럽고 부드러워 양복, 드레스의 안감으로 쓰이기도 한다.
합성섬유 중 나일론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아크릴(Acryl)섬유의 출현으로 옷감으로의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강도가 우수하여 견섬유의 대용으로 신사, 숙녀, 아동복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섬유는, 가볍고, 촉감이 부드러워 울(wool)에 가깝고, 보온성과 탄력성이 좋아 의류로 많이 사용된다. 폴리우레탄 섬유는 섬유 중에서 신축성과 탄력성이 가장 우수, 탄성이 아주 우수하여 고무 대용으로 쓰이며, 마찰 및 굴곡강도는 고무보다 우수함,천연고무보다 노화되지 않으며 염색성이 우수하여 청바지, 수영복, 란제리, 기타 스판소재 옷에 많이 쓰인다.
그런데, 이렇게 옷감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직물들은 그 두께가 얇고 부드러운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형태의 보존을 필요로 하는 옷이나 모자, 커튼, 가방 등에 사용할 경우에는 겉감과 안감을 따로이 사용하거나 겉감 내에 직물을 사 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심지는 겉감 소재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의류, 모자 등에 부착되어 전체 또는 어느 한정된 부위를 보강하거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심지의 종류에는 직물, 편성물, 부직포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심지의 선택은 의류의 종류, 용도, 겉감소재의 특성과, 유행의 변화 및 개인적인 선호도를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심지의 소재로 얇은 부직포 접착심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두꺼운 심지는 오버코트나 재킷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모자나 의류의 벨트 부분에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와 면사를 혼용한 심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심지는 직물에 따라 그 종류를 벨트용 심지, 면심지, 마심지, 모심지, 헤어크로스, 부직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심지와 용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벨트용 심지는, 스커트나 바지의 허리 밴드 부분에 힘을 주기 위해 넣는 심지로서, 옷감이 약간 강도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며, 부드러운 옷감으로 제작된 옷에는 이러한 벨트용 직물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접착 직물을 여러 겹 붙여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벨트용 심지는 500 내지 80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를 경사로 사용하고, 위사로는 면을 사용하고 있으며, 모자나 벨트와 같이 형태의 유지가 중요한 직물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면심지는 면섬유로 제작되며, 프레스 후 또는 세탁 후에 수축이 심해 겉소재에 주름이 생긴다. 그래서 100%면보다는 폴리에스테르섬유와 혼합하여 직조함으로 써, 밀도가 높고 얇은 심지로 만들어 많이 사용하고 있다. 면과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심지는 형태보존이 좋고 땀에 강하여 많이 사용된다.
마심지는 100%마나 마혼방으로 제조되며, 내마모성은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뻣뻣하여 유연성이 없고 신축성이 적다. 일반적으로 양복의 앞몸판이나 칼라의 심지 등 두꺼운 소재로 쓰인다.
모심지는 여러 종류의 털과 사람의 머리털로 짜인 직조로, 표면이 거칠고 단단하나, 신축성과 유연성이 좋아 형태의 구성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주로 재킷, 양복, 코트 등 앞몸판, 칼라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모와 다른 섬유를 혼방하여 사용된다.
헤어 크로스(Hair Cloth)는 모심지와 같이 여러 종류의 털로 짜인 직조로서, 얇은 평직으로 질이 낮은 양모사를 경사와 위사에 사용하기도 한다. 말털을 비롯한 헤어와 면, 비스코스레이온을 사용하여 평직이나 수자직으로 짜인 빳빳한 소재로서 주로 양복심지에 많이 사용된다.
부직포는 여러 종류의 섬유를 얇게 혹은 두껍게 펴서 접착제를 사용, 고정시켜 제작한다. 이 소재는 가볍고 올이 안 풀리며 식서방향이 없는 것이 장점이나 드레이프성이 없고 강도가 약한 점이 단점이다. 직물소재 및 편성물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세탁에 의한 변함이 없고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옷감으로 사용되는 직물이 얇고 부드럽기 때문에 형태의 유지가 필요한 부분에는 안감 이외에도 직물을 사용해야 한다. 이렇게 직물을 사용함에 따라 생산공정에서 직물을 부착하는 공정이 증가하게 되고, 별도의 심지 부착 공정을 위한 생산설비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부착되는 직물의 종류나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직물을 사용해야 하므로, 직물을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생산라인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도 생산성 저하와 생산비용의 증가가 초래된다.
한편, 벨트용 심지의 경우, 일정 이상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와 면을 각각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직조하고 있는데, 이렇게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랜 사용이나 세탁으로 인해 경사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가 접히거나 밀릴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가 옷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렇게 접히거나 옷밖으로 나온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는 의류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 만 아니라 인체에 접촉할 경우 인체에 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벨트용 심지는 실의 굵기로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직조시 실을 바꿔줘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는 염색이 불가능하며, 열이 과도히 가해질 경우 심지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직물로 제작된 가방이나 버티컬 커튼의 경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외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수지를 바르고 말리는 가공과정을 추가함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생산과정이 복잡해지며, 생산설비의 구비에 따른 비용의 상승이 초래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충분히 형태의 보존이 가능한 정도의 빳빳함을 가지는 직물을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심지의 사용과 수지를 코팅함에 따라 초래하는 생산성 저하와 생산원가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직물의 개발로 인해, 심지의 사용시 모노 필라멘트로 인한 인체의 손상과 직물제품 외관의 저하 및 염색이 불가능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품의 질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하여도 충분한 정도의 빳빳함을 갖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색이 자유롭고, 열이나 물에 강하여 형태가 보존되는 직물과 직물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융착섬유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융착사는, 상기 저온융착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혼방된 혼방저온융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은,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조될 수도 있고,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사와 위상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될 수도 있다.
상기 직물은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조될 수도 있고,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될 수도 있으며,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하나를 경사와 위사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될 수도 있다.
상기 저온융착사는, 160 내지 240℃ 사이의 온도에서 융착되며, 상기 온도내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빳빳함의 정도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융점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섬유를 포함하며, 저온에서 융착되는 폴리에스테르인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직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추어 용도대로 사용되는 직물제품에 있어서,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하 여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직물제품은, 의류, 모자와 가방을 포함하는 소품, 커튼을 비롯한 인테리어 제품 등 직물을 이용하는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하여 직조된 직물을 이용한 직물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적당한 온도의 열을 가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을 융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직물로 제작하려는 직물제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상기 직물의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을 융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직물에 160 내지 240℃ 사이의 열을 주어 융착시키며, 상기 온도내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직물의 빳빳함의 정도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가 일정 이상 포함된 실을 편직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온융착사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 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융착섬유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온융착사는, 상기 저온융착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혼방된 혼방저온융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물은, 상기 저온융착사와 혼방저온융착사 중 적어도 하나의 실을 이용하여 편직으로 직조될 수도 있고, 상기 저온융착사와 혼방저온융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하나를 혼방한 실을 이용하여 편직으로 직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직물은,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 또는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 직조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저온융착사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원사는 다수의 섬유를 나란히 배열하고 단계적으로 가늘게 잡아늘이면서 섬유가 흐트러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꼬임을 주어 요구하는 굵기의 실을 뽑아내는 방적작업을 통해 생산된다. 저온융착사(10)도 다수의 섬유를 방적하여 생산되며, 저온융착사(10)를 이루는 저온융착섬유(15)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11)와, 코어(11)를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12)로 이루어진다.
시스(12)의 성분으로는 통상의 융점 분석기기로 융점이 나타나지 않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코어(11)의 성분으로는 상대적으로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12)의 성분인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60℃ 이상이고, 50∼70몰%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공중합 산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통상의 디카르복실산은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탈산 또는 무수 프탈산 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아디프산 또는 석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이 가능하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이외에도,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과 같은 지방족 다가알코올, 사이클로디메탄올(CHDM) 등과 같은 치환족 다가알코올 등도 가능하다.
이러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80∼99중량%, 바람직하기로는 97∼90중량%와, 폴리올레핀 20∼1중량%, 바람직하게 10∼3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시스(12)를 구성한다. 폴리올레핀의 경우 융점이 80℃에서 135℃까지 다양하며 분자량의 경우도 그 폭이 넓으므로 가장 적합한 올레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단독 또는 혼합이 가능하고, 특별히 어느 한 종류의 폴리올레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 중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를 사용하는 것이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뿐만 아니라 용융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올레핀은 용융흐름지수가 1∼45이면 되나, 15∼3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융흐름지수가 너무 낮으면 너무 폴리에스테르와의 점도 차이가 생겨 용융성이 저하되고, 너무 높으면 방사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올레 핀의 용융점도도 중요한 척도로 작용하는데, 점도가 실제가공온도인 150℃에서 측정한 결과 500에서 10,000 Pa.S의 점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0에서 3,000 Pa.s이 적당하다.
한편, 코어(11) 성분으로 사용하는 고융점 성분으로는 융점이 160℃ 이상인 폴리머가 적합하며, 그 사용가능한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아마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등이 있다.
이러한 시스(12)와 코어(11)로 형성된 저온융착사(10)는, 75 내지 500 데니어로 형성되며, 일반 폴리에스테르보다 낮은 온도에서 융착하게 된다. 특히,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융착섬유(15)만으로 방적하여 저온융착사(10)를 형성할 경우에는 저온융착섬유(15)가 형성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온도에서 융착이 시작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온융착섬유(15)만으로 저온융착사(10)를 방적하였으나,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융착섬유(15)를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25)의 섬유 중 하나와 적당한 비율로 혼방하여 혼방저온융착사(20)를 방적할 수도 있다. 이 때, 혼방저온융착사(20)를 이루는 저온융착섬유(15)의 혼방비율은 25~75%정도가 좋으며, 저온융착섬유(15)의 함량비가 낮을수록 높은 온도에서 융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가 융착되는 온도범위는 최고 240℃에서 최저 16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40℃ 온도범위에서 융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를 위사 또는 경사로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할 때도 다음의 다섯가지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직조가 가능하며, 직조방법도 평직, 능직, 수자직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제1실시예 >
100% 저온융착섬유(15)만으로 방적된 저온융착사(10)를 위사와 경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 또는 현성한다.
< 제2실시예 >
100% 저온융착섬유(15)만으로 방적된 저온융착사(10)를 위사(또는 경사)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 중 하나를 경사(또는 위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 또는 편성한다.
< 제3실시예 >
저온융착섬유(15)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25)의 섬유 중 하나를 혼방하여 방적한 혼방저온융착사(20)를 위사(또는 경사)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 중 하나를 경사(또는 위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한다.
< 제4실시예 >
저온융착섬유(15)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25)의 섬유 중 하나를 혼방하여 방적한 혼방저온융착사(20)만으로 위사와 경사를 형성하여 직물을 직조한다.
< 제5실시예 >
100% 저온융착섬유(15)만으로 방적된 저온융착사(10)를 경사(또는 위사)로 하고, 혼방저온융착사(20)를 위사(또는 경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5실시예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경사(또는 위사) 위사(또는 경사)
제1실시예 저온융착사 저온융착사
제2실시예 저온융착사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하나
제3실시예 혼방저온융착사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하나
제4실시예 혼방저온융착사 혼방저온융착사
제5실시예 저온융착사 혼방저온융착사
이렇게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 중 하나를 위사와 경사로 하여 직조한 본 직물은, 일반 폴리에스테르보다는 낮고 저온융착사(10) 보다는 높은 온도인 160 내지 240℃에서 융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직물을 직조한 후 160 내지 240℃ 사이의 열을 가하게 되면, 저온융착섬유(15)의 시스(12) 부분이 변형되어 원사간에 쉽게 융착이 발생하게 되므로, 직물이 빳빳해질 뿐만 아니라, 특별한 후가공을 하지 않더라도 코팅 또는 본딩효과가 발현된다.
한편, 본 직물은 160℃와 240℃ 사이에서 미리 분류된 복수의 온도범위에 따라 빳빳함의 정도(stiffness)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70℃정도의 열을 가하면 저온융착사(10)는 일반 정도의 빳빳함을 느낄 수 있는 정도로 융착되며, 180℃정도의 열을 가하면 종이만큼 강한 빳빳함을 느낄 수 있는 정도로 융착된다. 이에 따라, 일정 온도 범위내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빳빳함의 정도가 상승되고, 온도가 낮을수록 빳빳함의 정도가 하강하므로, 원하는 빳빳함의 정도를 구현하기 위해 서는 해당하는 온도를 가해주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 심지와는 달리 염색이 자유로우며, 원사에 염색하는 사염뿐만 아니라, 직물에 염색하는 포염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직물은 일정 온도 범위내에서 온도를 조절하여 빳빳함의 정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형태의 보존이 필요한 다양한 직물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복과 같은 의류뿐만 아니라, 모자나 가방과 같은 소품, 커튼과 같은 인테리어 제품 등, 직물로 제작되는 거의 모든 제품에 용도나 빳빳함의 정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본 직물로 모자를 제작한 경우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직물로 제작된 모자(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을 가리기 위해 얼굴 전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챙(110)과, 머리를 감싸는 크라운(120)을 갖는다. 여기서, 챙(110)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은 모두 본 직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챙(110)이 결합되는 크라운(120)은,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크라운(120)도 본 직물로 형성된다. 즉, 본 직물로 모자(100)를 제작할 경우에는,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직물을 가공하여 모자(100)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온융착사(10)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평직, 능직, 수자직 등의 직조방법을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거나 편직 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여(S10),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을 한다(S20). 그런 다음, 직물을 원하는 용도에 따라 열을 가하여 적당한 빳빳함의 정도를 얻을 수 있도록 경화시킨다(S30). 이 때, 챙(110)을 형성하는 직물은 비교적 높은 열경화온도, 예를 들면, 240℃정도의 열을 가하여 저온융착사(10)의 시스(12)를 융착시키고, 크라운(120)을 형성하는 직물은 비교적 낮은 열경화온도, 예를 들면, 160℃ 정도의 열을 가하여 비교적 덜 빳빳하도록 가공한다. 한편, 챙(110)의 빳빳한 정도를 향상시키고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서 여러 장의 직물을 적층시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챙(110)과 크라운(120)을 이루는 직물을 열경화시킨 다음, 모자(100)의 챙(110)과 크라운(120)에 맞게 직물을 제단하고(S40), 챙(110)과 크라운(120)을 제단에 맞게 각각 바느질하고, 크라운(120)의 전방에 챙(110)을 결합시켜 모자(100)를 완성시킨다(S50).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모자(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커튼과 같은 인테리어 제품에 본 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커튼은 일반 커튼과 버티컬 커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일반 커튼은 천으로 제작하고, 버티컬 커튼은 수지를 입힌 천이나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제작함으로써, 전혀 다른 재질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직물을 사용할 경우, 충분한 빳빳함 정도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커튼뿐만 아니라, 버티컬 커튼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방과 같은 경우에도 본 직물을 사용하면 열처리하여 원하는 빳빳함 의 정도로 직물을 열경화시킨 다음, 원하는 디자인으로 제단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직물에 수지 등으로 코팅하지 아니하여도 될 뿐만 아니라, 본 직물의 특성상 열경화시킬 경우 코팅효과까지 발생되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모자, 커튼, 가방과 같은 소품 이외에도 양복과 같은 의류에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에 양복에 심지가 장착되는 부분이었던 주머니, 카라, 어깨, 가슴, 주머니입술부위, 앞섶, 주머니 덮개 등에 사용되는 직물은 제단 전 또는 제단 후에 열가공함으로써, 직물을 융착시켜 빳빳해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각 부분을 제단에 맞추어 바느질함으로써, 의류를 완성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저온에서 융착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고, 직물의 빳빳함 정도를 160부터 240℃내에서 온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하여 직물제품에 직접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심지의 생산 및 가공라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생산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됨에 따라, 염색이 자유롭고, 열이나 물에 강하기 때문에 세탁시 수축이 일어나 쭈글쭈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물의 빳빳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가공시 코팅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직물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직물을 직물제품의 제작시,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함에 따라, 종래에 폴리에스테르 모노 필라멘트로 제작된 심지에 의해 발생하던 인체에 손상을 주거나, 외관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 일반사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직물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직물이 아니라,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를 한 줄로 코를 만들어 짜는 편직으로 편물을 직조하고, 이 편물로 편물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저온융착사(10)나 혼방저온융착사(20)를 각각 한 줄로 편직하여 편물을 직조할 수도 있으나,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를 혼방하거나, 저온융착사(10)와 혼방저온융착사(20) 중 하나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등의 일반사 중 하나를 혼방한 것을 편직하여 편물을 직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융착사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된 직물을 온도에 따라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 써,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아니함에 따라, 생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생산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됨에 따라, 염색이 자유롭고, 열이나 물에 강하기 때문에 세탁시 수축이 일어나지 아니하며, 직물의 빳빳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가공시 코팅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직물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융착섬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상기 저온융착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혼방된 혼방저온융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사와 위상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하나를 경사와 위사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160 내지 240℃ 사이의 온도에서 융착되며, 상기 온도내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빳빳함의 정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0. 고융점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섬유를 포함하며,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1. 직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추어 용도대로 사용되는 직물제품에 있어서,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 직조된 직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융착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상기 저온융착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혼방된 혼방저온융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사와 위상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상기 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상기 혼방저온융착사를 경사와 위사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하나를 경사와 위사 중 다른 하나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19. 제 11 항에 있어서,
    의류, 모자와 가방을 포함하는 소품, 커튼을 비롯한 인테리어 제품 등 직물을 이용하는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160 내지 240℃ 사이의 온도에서 융착되며, 상기 온도내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빳빳함의 정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21.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갖는 저온융착사를 적어도 일정 이상 포함하여 직조된 직물을 이용한 직물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적당한 온도의 열을 가하여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융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직물로 제작하려는 직물제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상기 직물의 빳빳함의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 물제품의 제조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융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직물에 160 내지 240℃ 사이의 열을 주어 융착시키며, 상기 온도내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직물의 빳빳함의 정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의 제조방법.
  24. 비교적 저온에서 융착되는 저온융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저온융착사가 일정 이상 포함된 실을 편직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적어도 일영역을 둘러싸며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시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융착섬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는, 상기 저온융착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혼방된 혼방저온융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27.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와 혼방저온융착사 중 적어도 하나의 실을 이용하여 편직으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28.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융착사와 혼방저온융착사 중 적어도 하나와, 일반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모, 레이온사 중 적어도 하나를 혼방한 실을 이용하여 편직으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KR1020040066553A 2004-08-23 2004-08-23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18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553A KR20060018189A (ko) 2004-08-23 2004-08-23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553A KR20060018189A (ko) 2004-08-23 2004-08-23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090U Division KR200379576Y1 (ko) 2004-08-23 2004-08-23 직물과 직물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189A true KR20060018189A (ko) 2006-02-28

Family

ID=3712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553A KR20060018189A (ko) 2004-08-23 2004-08-23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1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886B1 (ko) * 2004-08-23 2008-04-30 (주)티엠코프레이션 심지 및 직물제품과 이러한 심지를 직물제품에 장착하는방법
FR2909391A1 (fr) * 2006-12-01 2008-06-06 Id & Sarl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pour operations de panification et de viennoiserie et bande obtenue selon ce procede
WO2010143777A1 (ko) * 2009-06-12 2010-12-1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101020210B1 (ko) * 2008-05-19 2011-03-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20170068210A (ko) * 2015-12-09 2017-06-19 이명진 우수한 린넨느낌 및 실크터치감을 가지는 직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886B1 (ko) * 2004-08-23 2008-04-30 (주)티엠코프레이션 심지 및 직물제품과 이러한 심지를 직물제품에 장착하는방법
FR2909391A1 (fr) * 2006-12-01 2008-06-06 Id & Sarl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pour operations de panification et de viennoiserie et bande obtenue selon ce procede
KR101020210B1 (ko) * 2008-05-19 2011-03-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WO2010143777A1 (ko) * 2009-06-12 2010-12-1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20170068210A (ko) * 2015-12-09 2017-06-19 이명진 우수한 린넨느낌 및 실크터치감을 가지는 직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49691B (zh) 一种可外穿轻塑功能针织内衣的生产方法及应用
KR101009586B1 (ko)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쾌적한 기능성 데님 원단의 제조방법
CN105951284B (zh) 一种防窜毛绒布的生产工艺
WO2008018122A1 (fr) Tricot extensible absorbant l&#39;eau
CN207062493U (zh) 双面毛圈布
CN102452194A (zh) 一种多功能复合面料
CN203792824U (zh) 一种四层结构的透气针织花边面料
CN201201998Y (zh) 一种形状记忆真丝面料
CN211747057U (zh) 一种珠地网眼保暖有型针织上衣
KR200385745Y1 (ko) 편직물과 편직물제품
KR20060018189A (ko) 직물과 직물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5886B1 (ko) 심지 및 직물제품과 이러한 심지를 직물제품에 장착하는방법
CN206654602U (zh) 一种无缝服装用铺布机压布装置
KR200379576Y1 (ko) 직물과 직물제품
KR101009636B1 (ko) 신축성 발현 형상기억 복합 가연사 및 그를 사용한 직물
KR200372991Y1 (ko) 심지 및 직물제품
JP7079110B2 (ja) シングル丸編地
CN110344171A (zh) 一种吸湿保暖的仿麻面料及其制备方法
CN215209878U (zh) 一种丙纶弹性针织面料及服装
CN216733345U (zh) 一种针织染色布料
CN212560642U (zh) 一种经编透气条形网孔布
KR102659341B1 (ko) 고착사와 니트원사의 혼방원단 및 그를 이용한 가방 제조 방법
CN220703955U (zh) 一种绒感透气舒适的提花面料
CN208274104U (zh) 一种吸湿抗菌且具有直条提花结构的足球圆领t恤
CN211091944U (zh) 一种具有麦穗纹外观且舒适有型的针织上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808

Effective date: 2007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