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744U - 주방용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744U
KR20100012744U KR2020090016420U KR20090016420U KR20100012744U KR 20100012744 U KR20100012744 U KR 20100012744U KR 2020090016420 U KR2020090016420 U KR 2020090016420U KR 20090016420 U KR20090016420 U KR 20090016420U KR 20100012744 U KR20100012744 U KR 201000127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andle
case
kitchen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504Y1 (ko
Inventor
이계윤
Original Assignee
이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윤 filed Critical 이계윤
Priority to KR2020090016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0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주방용품을 수납하며, 수납된 주방용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된 구조의 주방용품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주방용품 케이스는, 헤드와 손잡이를 구비한 주방용품을 수납 포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헤드를 수용하며 수용된 헤드가 상부 및 양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 수용부와,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부를 구비한 수납부재와; 케이스 본체의 측벽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손잡이 고정부에 간섭되게 마련되어, 손잡이 고정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와;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케이스{KITCHEN PRODUCT PACKAGING CASE}
본 고안은 주방용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방용품을 수납하며, 수납된 주방용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된 구조의 주방용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거래실정에 있어서 주걱, 뒤집게 등의 주방용품은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거나, 투명비닐 포장 형태로 판매된다. 이와 같은 판매형태는 주방용품을 선물용으로 인식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주방용품을 운반, 보관, 전시 및 판매시 주방용품이 손상될 염려가 높다.
상기한 주방용품을 선물용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케이스를 이용하여 포장하여야 하는 바, 그 크기에 맞는 케이스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케이스 내에서 주방용품을 고정하는 구조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케이스 내에서 주방용품이 움직이면서 소음을 유발하거나, 개봉시 주방용품이 정위치에 놓여있지 않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걱, 뒤집게, 수저 등의 주방용품을 용이하게 수납하며, 수납된 주방용품이 케이스의 정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된 구조의 주방용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헤드와 손잡이를 구비한 주방용품을 수납 포장하는 주방용품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헤드가 상부 및 양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 수용부와, 상기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부를 가지는 수납부재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벽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상기 손잡이 고정부에 간섭되게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일 단면은 '
Figure 112009077919028-UTM00001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 및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
Figure 112009077919028-UTM00002
' 형상 내부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은, 상기 헤드 수용부측에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 수용부는, 상기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을 절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헤드 수용부에 수납된 상기 헤드의 일부에 간섭 가능 하게 상기 헤드 수용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수납된 주방용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주방용품의 손잡이를 수용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손잡이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복수의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수용부는 복수개의 헤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복수개의 손잡이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는, 주걱, 뒤집게, 숟가락, 포크 등의 헤드와 손잡이로 구분되는 주방용품을 정위치에 수납함과 아울러, 운반, 보관, 전시 및 판매시 수납된 주방용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를 헤드 수용부의 테두리에 형성함으로써, 케이스가 뒤집어지더라도 수납된 주방용품이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는 수납부재의 손잡이 고정부 폭을 넓게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에 유동방지부를 형성하여 손잡이 고정부를 지지함으로써, 케이스 본체 내의 정위치에서 수납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를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판매하는 경우, 주방용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고, 선물용 상품 포장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는 헤드(3)와 손잡이(5)를 구비한 주방용품(1)을 수납하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10), 수납부재(20), 유동방지부(15)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주방용품(1)으로서 주걱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케이스 본체(10)는 내부에 주방용품(1) 및 수납부재(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수납부재(20)는 케이스 본체(10)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헤드 수용부(21)와 손잡이 고정부(25)를 포함한다. 이 수납부재(20)는 단일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판재를 절개 및 절곡함으로써 상기 헤드 수용부(21)와 손잡이 고정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20)의 상면은 헤드 수용부(21) 측에서 손잡이 고정부(25)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수용부(21)는 주방용품(1)의 헤드(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납부재(20)의 상면을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재(20)와 헤드 수용부(21)를 형성함으로써, 헤드 수용부(21)는 주방용품(1)의 헤드(3)를 수용하며, 수용된 헤드(3)가 상부 및 양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25)는 주방용품(1)의 손잡이(5)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소정 폭 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손잡이 수용홈(25a)를 가진다. 즉, 손잡이 고정부(25)의 단면 형상은 '
Figure 112009077919028-UTM00003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 수용홈(25a)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부 폭은 주방용품(1)의 손잡이(5)의 폭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 수용홈(25a)을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수용홈(25a)에 끼워지는 손잡이(5)가 양측면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케이스 본체(10)가 뒤집히더라도 손잡이(5)가 손잡이 수용홈(25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손잡이 고정부(25)는 케이스 본체(10)의 내부 한 곳에 판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손잡이 고정부(25)는 손잡이(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는 것도 가능하다.
유동방지부(15)는 케이스 본체(20) 내의 손잡이 고정부(25)의 단부와 마주하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동방지부(15)는 케이스 본체(20)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 및 손잡이 고정부(25)의 '
Figure 112009077919028-UTM00004
' 형상 내부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도 3은 유동방지부(15)를 형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0)의 측벽을 절개 및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 본체(20)의 저면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부(15)를 형성함으로써, 주방용품(1)의 손잡이(5) 길이방 향으로 손잡이 고정부(24)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지지부(31)에 수납되는 주방용품(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의 수납부재(20)는 헤드수용부(21)에 수납된 주방용품(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이탈방지부(27)는 헤드(3)의 일부에 간섭 가능하게 헤드수용부(21)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주방용품(1)을 직상방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주방용품(1)의 헤드(3) 일부가 이탈방지부(27)에 걸리게 되어, 주방용품(1)이 수납부재(2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방용품(1)을 후방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는 손잡이(5)의 단부(5a)가 케이스 본체(10)의 일측 내벽(10a)에 의해 규제되어, 이탈을 방지한다.
본 고안과 주방용품 케이스를 구성하는 경우, 주방용품(1)은 특정 방향에서의 수납 및 분리가 용이한 반면, 다른 방향에서의 수납 및 분리는 규제함으로써, 수납 상태에서 주방용품이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방향은 주걱의 헤드(3)가 손잡이(5) 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주걱을 기울인 상태에서 헤드(3)의 단부를 헤드수용부(21)에 결합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헤드(3)를 헤드수용부(21)에 결합한 후, 손잡이(5)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이를 손잡이 수용홈(25a)에 결합함으로써 수납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동작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주방용품(1)을 수납부재(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는 헤드(103)와 손잡이(105)를 구비한 복수의 주방용품(100)을 수납하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110), 수납부재(120), 유동방지부(115) 및 커버(130)를 포함한다. 도 4는 주방용품(100)으로서 복수의 숟가락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케이스 본체(110)는 내부에 주방용품(100) 및 수납부재(1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수납부재(120)는 케이스 본체(110)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의 주방용품(100)에 대응되는 복수의 헤드 수용부(121)를 포함한다. 또한, 수납부재(120)는 복수개의 손잡이 수용홈(125a)을 가지는 손잡이 고정부(125)를 포함한다. 손잡이 고정부(125)는 유동방지부(115)에 의해 규제되어, 주방용품(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납부재(120)의 상면은 헤드 수용부(121) 측에서 손잡이 고정부(25)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헤드 수용부(121) 각각은 헤드(10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납부재(120)의 상면을 절개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복수의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그 이외의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는, 주걱, 뒤집게, 숟가락, 포크 등의 헤드와 손잡이로 구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방용품을 정위치에 수납함과 아울러, 운반, 보관, 전시 및 판매시 수납된 주방용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를 헤드 수용부의 테두리에 형성함으로써, 케 이스가 뒤집어지거나, 옆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수납된 주방용품이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주방용품 케이스를 이용하여 주방용품을 판매하는 경우, 주방용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고, 선물용 상품 포장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주방용품(주걱) 3, 103: 헤드
5, 105: 손잡이 10, 110: 케이스 본체
15, 115: 유동방지부 20, 120: 수납부재
21, 121: 헤드 수용부 25, 125: 손잡이 고정부
25a, 125a: 손잡이 수용홈 27, 127: 이탈방지부
30: 커버 100: 주방용품(수저)

Claims (6)

  1. 헤드와 손잡이를 구비한 주방용품을 수납 포장하는 주방용품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헤드가 상부 및 양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 수용부와, 상기 손잡이를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부를 구비한 수납부재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벽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상기 손잡이 고정부에 간섭되게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일 단면은 '
    Figure 112009077919028-UTM00005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 및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
    Figure 112009077919028-UTM00006
    ' 형상 내부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은,
    상기 헤드 수용부측에서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 수용부는,
    상기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수납부재의 상면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헤드 수용부에 수납된 상기 헤드의 일부에 간섭 가능하게 상기 헤드 수용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수납된 주방용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주방용품의 손잡이를 수용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손잡이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복수의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수용부는 복수개의 헤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복수개의 손잡이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케이스.
KR2020090016420U 2009-06-15 2009-12-16 주방용품 케이스 KR200456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20U KR200456504Y1 (ko) 2009-06-15 2009-12-16 주방용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698 2009-06-15
KR2020090007698 2009-06-15
KR2020090016420U KR200456504Y1 (ko) 2009-06-15 2009-12-16 주방용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44U true KR20100012744U (ko) 2010-12-23
KR200456504Y1 KR200456504Y1 (ko) 2011-11-04

Family

ID=4448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20U KR200456504Y1 (ko) 2009-06-15 2009-12-16 주방용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04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89Y1 (ko) 2001-04-17 2001-10-26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수저 케이스
KR200296312Y1 (ko) 2002-08-06 2002-11-23 최금덕 음식용구 세트의 포장을 겸한 진열용 케이스
KR200340650Y1 (ko) 2003-11-10 2004-02-05 문승철 수저진열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504Y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9202A1 (en) Low Depth Stackable Tray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DE602007005868D1 (de) Behälteranordnung mit Stapelanordnung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JP2007269349A (ja) 容器
CN101263359A (zh) 冷藏物品承载器
KR200456504Y1 (ko) 주방용품 케이스
JP6073667B2 (ja) 包装容器
JP5468308B2 (ja) 合成樹脂発泡体製容器
JP6406964B2 (ja) 陳列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US8397943B2 (en) Apparatus for containing goods
JP5496724B2 (ja) 鮨用包装容器
KR101380304B1 (ko) 다목적 컵
KR20120008103A (ko) 묵 포장용기
TWM543210U (zh) 具有可樞轉隔板的置物容器
JP4568025B2 (ja) ボトル用トレー
KR101585228B1 (ko) 미니 상자를 갖는 케이크 상자
JP2012111496A (ja) 魚用簡易トレイ
AU2010101192A4 (en) Storage container
JP3163824U (ja) 殻入れ付き食器
JP4825039B2 (ja) 包装用容器
KR200488044Y1 (ko) 캔 트레이
KR20080004051U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1681228B1 (ko)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