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228B1 -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228B1
KR101681228B1 KR1020150096115A KR20150096115A KR101681228B1 KR 101681228 B1 KR101681228 B1 KR 101681228B1 KR 1020150096115 A KR1020150096115 A KR 1020150096115A KR 20150096115 A KR20150096115 A KR 20150096115A KR 101681228 B1 KR101681228 B1 KR 10168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storage
plate
packaging box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페이퍼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이퍼팩 filed Critical (주)페이퍼팩
Priority to KR102015009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포장 및 진열하기 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단위 포장함 하여 선물용으로 사용함에 있어, 내용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포장상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내용물을 진열함에 있어 내용물을 포장상자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내용물의 경사 진열이 가능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내용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Packing box convenient display identification and flow prevention of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을 포장 및 진열하기 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단위 포장함 하여 선물용으로 사용함에 있어 포장상자 내부에서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함으로 내용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내용물을 진열함에 있어 내용물을 포장상자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내용물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진열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라 함은, 내용물의 훼손이나 내용물의 위생상태 유지를 목적으로 포장된 단일개의 내용물을 다수개 수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즉, 포장상자는, 제조사로부터 제조되어 마트나 슈퍼 등의 매장에 도매 판매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내용물의 파손이나 유통이 용이하게 단일개의 내용물을 다수개 수용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위 내용물로 포장된 포장상자는 그 매장으로 이동되며, 이동된 포장상자는 개방하여 단일개의 내용물을 꺼내어 별도 지정된 내용물 진열대에 진열 및 소비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식별 및 내용물을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는, 그 용도가 단순히 내용물의 단위포장이나 운반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며, 매장에서 내용물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용물을 포장상자로부터 꺼내어 별도의 내용물진열대의 진열공간에 소비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내용물을 적층 또는 중첩되게 진열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특허출원공개 제10-2012-0056961호와 같이 포장상자를 상부의 개방부와 하부에 진열함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며, 진열함에는 서로 체결되는 양측의 지지편을 형성하되, 내용물을 진열함으로부터 꺼내지 않고 진열함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편에 의해 내용물이 탄력 지지되게 하는 내용물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는, 내용물을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의 진열은 가능하였으나, 그 사용함에 있어, 반드시 포장상자를 개방부와 진열함을 절개 분리하여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진열 후 재포장이 불가하며, 내용물을 판매함에 있어서도 낱개의 내용물판매용으로의 한정 사용되는 등 내용물이 포장된 상태 그대로 판매되는 선물용 내용물의 경우 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569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내용물을 단위 포장하여 선물용으로 사용함에 있어, 내용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포장상자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내용물을 진열함에 있어 내용물을 포장상자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내용물의 경사 진열이 가능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내용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부 개방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마감하는 덮개로 된 포장상자에 있어서,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한 수납 트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수납 트레이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한 내용물 수납부와, 내용물 수납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내용물 수납부의 경사를 지지하는 경사 버팀부재와, 내용물 수납부를 폭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한 한열 이상의 수납부 구획공으로 된 내용물 수납대; 및
내용물 수납대의 각각의 수납부 구획공에 삽입되어 내용물 수납부를 폭방향 구획하는 한편, 내용물 수납부의 경사를 지지하는 전, 후방 길이를 갖는 수납부 구획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는, 본체 내부에 낱개의 내용물이 구별 수납되도록 다수의 수납 칸으로 구획 형성되는 한편, 각 칸이 전면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수납 트레이가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이 포장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수납 칸에 수용된 상태로 포장되어 내용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유동이 방지되어 그 내용물의 보호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용물을 진열함에 있어, 내용물을 본체로부터 꺼지지 않고도 덮개만 개방하게 되면, 본체 내부에서 내용물의 정돈된 상태로의 경사 진열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심미감 부여 및 사용자로 하여금 내용물을 식별시 시야 확보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결합상태 내부도.
도 3은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수납 트레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수납 트레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내용물 포장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내용물 진열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결합상태 내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1)는, 낱개의 내용물이 다수 수용되어 포장이 가능한 것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부 개방형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마감하는 덮개(20)로 된 포장상자로부터,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한 수납 트레이(1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수납 트레이(100)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내용물의 거치 수납이 가능한 내용물 수납대(200)와, 내용물 수납대(200)를 구획하는 수납부 구획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 수납대(200)는, 내용물 수납부(210)와, 경사 버팀부재(220)와, 수납부 구획공(230)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 수납부(210)는, 재단된 대지가 절곡되어 구성되며,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이루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한 경사 수납판(211)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경사 수납판(211)의 후단에는 수직 절곡 형성되어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직 지지판(212)이 연장 형성된 것으로, 수직 지지판(212)에 의해 상기 경사 수납판(211)의 경사가 유지된다.
한편, 경사 수납판(211)과 수직 지지판(212)으로 된 내용물 수납부(210)는, 수직 지지판(212)의 하단으로 또 다른 경사 수납판(211)이 연속하여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2열 이상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연속 형성되는 내용물 수납부(210)는, 경사 수납판(211)과 수직 지지판(212)이 미리 재단된 대지(도면 중 미도시함)를 지그재그 형태 즉, 단면상 복수의 쐐기가 연속 형성된 형태를 이루게 절곡되어 구성된 것으로, 경사 수납판(211)을 통해 내용물을 2열 이상 경사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 버팀부재(220)는,
내용물 수납부(2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내용물 수납부(210)의 경사를 지지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 수납판(21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하단부가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 구획공(230)은,
하기하는 수납부 구획대(300)가 결합되어 내용물 수납부(210)를 폭방향으로 구획 가능하게 구성되며, 한 열 이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수납부 구획공(230)은, 각 열에 해당하게 상기 경사 수납판(211)에 일렬을 이루게 구성되며, 수직 지지판(212)으로부터 경사 수납판(211)이 절개 형성되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편(231)이 형성되고, 절개부로부터 경사 수납판(211)으로 선(線)상의 끼움공(232)이 연장 및 관통되게 구성된다.
한편, 수납부 구획공(230)은,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내용물 수납부(210)의 경사 수납판(211)에 형성되는 끼움공(232)이 경사 수납판(211)의 중간부까지만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 구획대(300)는, 상기 내용물 수납부(210)의 각각의 수납부 구획공(230)에 삽입되어 내용물 수납부(210)를 폭방향 구획하는 한편, 내용물 수납부(210)의 경사를 지지하게 구성된 것으로, 전, 후방 길이를 가지게 구성된다.
이때, 수납부 구획대(300)는, 재단된 대지가 절곡되어 구성된 것으로, 그 중간부 하부가 절개 형성되어 전, 후방 이웃하는 내용물 수납부(210)의 연결부에 해당하는 수직 지지판(212)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 개방형 결합홈(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10)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및 후방에는 끼움공(232)에 삽입되는 결합돌부(320)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320)는, 그 후단에 상기 끼움공(232)에 삽입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편(231)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 것으로, 걸림편(231)의 걸림 지지에 의해 수납부 구획대(30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한편, 수납부 구획대(300)는,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경사 수납판(211)에 형성되는 끼움공(232)에 결합되는 결합돌부(320)의 하부가 전방에는 절개 형성되는 한편 경사 수납판(211)의 상부면에 거치 수납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 지지턱(322)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전방의 결합돌부(320)가 끼움공에 끼움 결합시 경사 지지턱(322)이 경사 수납판(211)의 상부에 거치 수납되게 구성된다.
즉, 수납부 구획대(300)는, 결합돌부(320)를 통해 내용물 수납부(210)의 수납부 구획공(230)에 끼움 결합되어 내용물 수납부(210)의 폭방향 구획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 트레이(100)를 구성함에 있어, 내용물 수납부(210)가 2열로 구성됨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포장상자의 크기에 따라 다수열로 구성 가능하며, 이때에는 수납부 구획대(300) 또한 연장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는, 다수개의 내용물을 단위 포장함에 있어, 포장상자 내부에서 그 유동이 방지되게 하여 운반시 제품의 안전성이 확보되게 하고, 특히, 내용물을 진열함에 있어 포장상자로부터 내용물을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의 진열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 포장상자(1)는, 도 1 내지도 도 3을 참조하여 본체(10)의 내부에 수납 트레이(100)가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 트레이(100)는, 본체(10) 내부에서 전, 후, 좌, 우 구획 형성된 평면상 "격자"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내용물 수납부(210)를 이루게 된다.
이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내용물(30)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구획 형성된 각각의 내용물 수납부(210)에 내용물(30)을 수납하되, 경사 수납판(211)의 상부에 거치 수납함으로 다수의 내용물을 분리 포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이렇게 분리 포장된 내용물은 운반하는 과정에서 경사 수납판(211)을 구분하는 수직 지지판(212)에 걸림되어 길이방향 전, 후 유동이 방지되게 되고, 수납부 구획대(300)를 통해 걸림되어 폭방향 좌, 우 유동이 방지되게 되는 것인바, 운반하는 과정에서 수납된 내용물(30)들 간의 충돌이 방지되어 내용물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포장된 내용물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포장상자(1)의 덮개(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본체(10)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진열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수납된 각각의 내용물(30)은, 경사 수납판(211)의 경사도를 통해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은 경사 형태로의 수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내용물 진열상의 심미감이 부여되며, 소비자로 하여금 내용물(30)을 바라보는 시야가 확보되어 내용물(30)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10 : 본체 20 : 덮개
100 : 수납 트레이
200 : 내용물 수납대 210 : 내용물 수납부
211 : 경사 수납판 212 : 수직 지지판
220 : 경사 버팀부재 230 : 수납부 구획공
231 : 걸림편 232 : 끼움공
300 : 수납부 구획대 310 : 결합홈
320 : 결합돌부 321 : 걸림홈
322 : 경사 지지턱

Claims (3)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부 개방형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마감하는 덮개(20) 및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한 수납 트레이(100)를 포함하되, 수납 트레이(10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내용물의 경사 수납이 가능한 내용물 수납부(210)와, 내용물 수납부(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내용물 수납부(210)의 경사를 지지하는 경사 버팀부재(220)와, 내용물 수납부(210)를 폭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한 한열 이상의 수납부 구획공(230)으로 된 내용물 수납대(200); 및 내용물 수납대(200)의 각각의 수납부 구획공(230)에 결합되어 내용물 수납부(210)를 폭방향 구획하는 한편, 내용물 수납부(210)의 경사를 지지하는 전, 후방 길이를 갖는 수납부 구획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내용물 수납대(200)의 내용물 수납부(21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 수납판(211)과 경사 수납판(211)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직 지지판(212)으로 구성되되, 경사 수납판(211)과 수직 지지판(212)이 연속 연결되게 2열 이상을 이루게 구성되고, 경사 버팀부재(220)는 경사 수납판(21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구성되며, 수납부 구획공(230)은 수직 지지판(212)으로부터 경사 수납판(211)이 절개 형성되어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편(231)이 형성되고, 그 걸림편(231)으로부터 경사 수납판(211)으로 선(線)상의 끼움공(232)이 관통되게 구성되며, 수납부 구획대(300)는 중간부에 전, 후방 이웃하는 내용물 수납부(210)의 연결부에 해당하는 수직 지지판(212)이 끼움 결합되는 하부 개방형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10)을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의 끼움공(232)에 삽입되며 후단에는 끼움공(232)에 삽입시 걸림편(231)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 결합돌부(320)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한편,
    수납부 구획공(230)은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내용물 수납부(210)의 경사 수납판(211)에 형성되는 끼움공(232)이 경사 수납판(211)의 중간부까지만 형성되며, 수납부 구획대(300)는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경사 수납판(211)에 형성되는 끼움공(232)에 결합되는 결합돌부(320)의 하부가 전방에는 절개 형성되고, 경사 수납판(211)의 상부면에 거치 수납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 지지턱(322)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2. 삭제
  3. 삭제
KR1020150096115A 2015-07-06 2015-07-06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KR10168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15A KR101681228B1 (ko) 2015-07-06 2015-07-06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15A KR101681228B1 (ko) 2015-07-06 2015-07-06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228B1 true KR101681228B1 (ko) 2016-12-01

Family

ID=5757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115A KR101681228B1 (ko) 2015-07-06 2015-07-06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2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872U (ko) * 1976-09-09 1978-04-08
JPS57164015U (ko) * 1981-04-09 1982-10-16
KR20120056961A (ko)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켈스타에이지피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0872U (ko) * 1976-09-09 1978-04-08
JPS57164015U (ko) * 1981-04-09 1982-10-16
KR20120056961A (ko)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켈스타에이지피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3627A1 (en) Bottle carrier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US6681953B2 (en) Rail-track display box
BR112012009716B1 (pt) caixa de transporte e de exposição
US20200061801A1 (en) Tilt bin storage systems
KR101681228B1 (ko) 내용물 유동방지 및 진열식별이 용이한 포장상자
KR200452126Y1 (ko) 쿠키 포장상자
JP6406964B2 (ja) 陳列台
US9243838B1 (en) Drawer in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flexible cover
ES2246758T3 (es) Refrigerador con dispensador para latas o botellas de bebidas en general.
KR20049104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KR20120056961A (ko)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KR20120103210A (ko) 상품 경사 진열이 가능한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KR101258395B1 (ko) 제품 진열 및 적재용 포장용 박스
US20020148849A1 (en) Gravity feed product dispenser
KR101631824B1 (ko) 상품 포장박스
AU2022200221A1 (en) Merchandising display tray
JP6289265B2 (ja) 容器支持トレー
JP4193107B2 (ja) 冷蔵庫扉
US10772441B1 (en) Multi-level riser display and storage system
JP2012111496A (ja) 魚用簡易トレイ
JP6994395B2 (ja) 冷蔵庫
JP2010063489A (ja) 商品陳列装置
KR101409166B1 (ko) 포장용기 및 그 조립체
KR101707645B1 (ko) 튜브형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