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289Y1 - 수저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289Y1
KR200242289Y1 KR2020010010849U KR20010010849U KR200242289Y1 KR 200242289 Y1 KR200242289 Y1 KR 200242289Y1 KR 2020010010849 U KR2020010010849 U KR 2020010010849U KR 20010010849 U KR20010010849 U KR 20010010849U KR 200242289 Y1 KR200242289 Y1 KR 200242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cover
case
body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Priority to KR2020010010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289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케이스가 흔들리더라도 심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수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는, 상측이 개구되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 내부에 조립되며 수저, 포크, 젓가락 등이 수납되는 수납틀과, 몸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몸체부와 덮개부의 일측에 이들보다 얇은 두께로 이들과 함께 사출성형되어 덮개부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박육부로 이루어진다. 덮개부의 내부면에는 수납된 수저 등의 식사 도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누름돌기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덮개부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는 박육부가 몸체부 및 덮개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가 단순해지며, 케이스가 흔들리더라도 누름돌기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수저 케이스{SPOON CASE}
본 고안은 휴대용 특히, 도시락용 수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납된 수저 등의 흔들림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한 수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 등의 도시락과 함께 구비하는 수저, 포크, 젓가락 등의 식사 도구는 이들의 케이스에 수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덮개가 오픈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수저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저 케이스(1)는, 상부가 개구된 몸체(2)와, 몸체(2)의 내부에 수납되며 수저(3), 포크, 젓가락(4)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5a)가 구비된 수납틀(5)과, 몸체(2)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2)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6)로 이루어진다.
몸체(2)와 덮개(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보스(2a)(6a)가 각각 형성된다. 이 힌지보스(2a)(6a)(도 1에 도시됨)에는 힌지핀(7)이 결합되어 덮개(6)가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저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몸체(2)와 덮개(6)는 각각 단품으로 이루어지면서 힌지핀(7)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2)와 덮개(6)를 독립된 공정에 의해 제조하고, 힌지핀(7)을 몸체(2)와 덮개(6)에 조립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짐과 아울러,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저(3), 포그(4) 등의 식사 도구가 그 크기에 상관없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저(3), 젓가락(4) 등의 식사도구가 수납되는 수납틀(5)의 표면과 덮개(6)의 저면 사이에는 여유공간이 만들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케이스(1)가 흔들리게 되면, 수납된 수저(3), 젓가락(4) 등이 덮개(6)에 부딪쳐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수저 등의 식사 도구가 수납되는 몸체와 이를 개폐하는 덮개가 별도의 조립공정없이 하나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도록 한 수저 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납된 수저, 젓가락 등의 식사 도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덮개가 열린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덮개가 열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분의 부호설명>
10 : 수저 케이스 20 : 몸체부
21 : 걸림편 30 : 수납틀
31 : 수납홈 40 : 덮개부
41 : 누름돌기 50 : 박육부
60 : 잠금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는, 내부에 수저, 포크, 젓가락 등의 식사 도구 수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내면에 상기 몸체에 수납된 수저, 포크 등의 식사 도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출부가 구비된 덮개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 및 덮개부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 및 덮개부보다 얇은 두께로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에 의해 절첩되면서 상기 덮개부의 개폐를 안내하는 박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10)는, 상측이 개구되는 몸체부(20)와, 몸체부(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저(3), 포크, 젓가락(4) 등의 식사 도구가 수납되는 수납틀(30)과, 몸체부(20)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40)와, 몸체부(20)와 덮개부(40)의 마주보는 일측에 이들 몸체부(20) 및 덮개부(40)와 일체로 형성되어 덮개부(40)가 몸체부(20)에 대해 회전되면서 개폐되도록 절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육부(5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20), 덮개부(40) 및 박육부(50)는 한번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며, 이때, 몸체부(20)와 덮개부(40)는 성형이 완료되면 구부러지는 등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두께, 강도로 이루어지는 한편, 박육부(50)는 덮개부(40)의 개폐 동작시 유연성 있게 절첩될 수 있는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부(20)와 덮개부(40)는 그 두께(T1)(T2)가 대략 동일하며, 박육부(50)의 두께(T3)는 이들(20)(40)의 두께(T1)(T2)보다 얇게 형성된다.
수납틀(30)에 수납되는 수저(3), 포크, 젓가락(4) 등의 높이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수저(3)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틀(30)의 표면과 덮개부(40)의 저면 사이에는 여유공간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하여, 수납된 식사 도구가 심하게 흔들리면서 덮개부(40)에 부딪쳐 심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1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덮개부(40)의 저면에 수납된 수저(3), 젓가락(4) 등을 상측에서 눌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돌기(41)가 형성된다.
덮개부(40)의 회전을 안내하는 박육부(50)와 반대측의 몸체부(20)의 대략 중앙요입부에는 걸림편(21)이 몸체부(20)의 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덮개부(40)에는 걸림편(21)에 결합되어 덮개부(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구(6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몸체부(20)의 바닥면과 수납틀(30)의 저부에는 수납틀(30)을 쉽게 삽입함과 아울러, 몸체부(20)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용 돌기(22)와 보스(32)(도 4에 도시됨)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의 작용 상태는 다음과 같다.
수저(3), 젓가락(4)의 식사 도구가 수납된 수납틀(30)의 보스(32)와 몸체부(20) 바닥면의 위치설정용 돌기(22)를 일치하여 이 돌기(22)가 보스(32)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수납틀(30)을 몸체부(20)에 조립한다.
덮개부(40)를 몸체부(20)에 덮으면, 박육부(50)가 자신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접히게 되어 덮개부(40)가 회전되면서 몸체부(20)를 덮고, 잠금구(60)를 걸림편(21)에 끼워 덮개부(4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식사 도구가 수납되면 덮개부(40) 저면의 누름돌기(41)가 수납된 수저(3), 젓가락(4), 포크 등의 식사 도구의 상측에 놓여진다.
이렇게 되면, 본 고안 수저 케이스(10)가 흔들리는 경우 누름돌기(41)가 수납된, 수저(3) 등의 식사 도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수납된 식사 도구는 흔들림이 적으며, 덮개부(40)에 부딪치지 않는다.
한편, 수납된 식사 도구를 사용하려는 경우 잠금구(60)를 걸림편(21)으로부터 분리한 후, 덮개부(40)를 열면, 덮개부(40)와 몸체부(20)를 연결하는 박육부(50)가 펼쳐지면서 덮개부(40)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40)의 개폐를 안내하는 박육부(50)가 몸체부(20) 및덮개부(40)에 일체로 형성되어 한번의 사출 성형공정으로 제조되므로 종래와 같이 몸체와 덮개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없어지며, 덮개의 개폐를 위한 힌지핀 등의 별도 부품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덮개부(40)의 내면에 형성된 누름돌기(41)에 의해 수납된 수저(3) 등은 흔들림이 적으면서 덮개부(40)에 부딪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저 케이스에 의하면, 한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가 완료되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부품이 감소됨에 따라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수저 케이스가 흔들리더라도 수납된 수저, 젓가락 등이 누름돌기에 의해 이들의 흔들림이 적으므로 심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등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수저, 포크, 젓가락 등의 식사 도구 수납부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구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내면에 상기 몸체에 수납된 수저, 포크, 젓가락 등의 식사 도구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출부가 구비된 덮개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 및 덮개부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 및 덮개부보다 얇은 두께로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에 의해 절첩되면서 상기 덮개부의 개폐를 안내하는 박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케이스.
KR2020010010849U 2001-04-17 2001-04-17 수저 케이스 KR200242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49U KR200242289Y1 (ko) 2001-04-17 2001-04-17 수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49U KR200242289Y1 (ko) 2001-04-17 2001-04-17 수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289Y1 true KR200242289Y1 (ko) 2001-10-26

Family

ID=7309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49U KR200242289Y1 (ko) 2001-04-17 2001-04-17 수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28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31B1 (ko) * 2009-08-18 2010-06-22 박태규 숟가락을 포함한 살균 숟가락 케이스
KR200456504Y1 (ko) 2009-06-15 2011-11-04 이계윤 주방용품 케이스
KR200485902Y1 (ko) * 2017-01-17 2018-03-08 김광현 휴대용 수저세트 케이스
KR20220014427A (ko) 2020-07-27 2022-02-07 지연화 친환경 항균 수저 케이스
KR102362641B1 (ko) * 2021-09-30 2022-02-14 (주)엠테크윈 휴대용 포크 또는 스푼 살균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04Y1 (ko) 2009-06-15 2011-11-04 이계윤 주방용품 케이스
KR100965231B1 (ko) * 2009-08-18 2010-06-22 박태규 숟가락을 포함한 살균 숟가락 케이스
KR200485902Y1 (ko) * 2017-01-17 2018-03-08 김광현 휴대용 수저세트 케이스
KR20220014427A (ko) 2020-07-27 2022-02-07 지연화 친환경 항균 수저 케이스
KR102362641B1 (ko) * 2021-09-30 2022-02-14 (주)엠테크윈 휴대용 포크 또는 스푼 살균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3466B2 (en) Storage box
US11141349B1 (en) Structure with lid, and storage container
KR200242289Y1 (ko) 수저 케이스
US6422245B1 (en) Rouge compact
KR20190129711A (ko) 식기구 휴대용 케이스
KR200375840Y1 (ko)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JPH08107809A (ja) 化粧品容器
KR200310109Y1 (ko) 화장품 케이스
JP4498713B2 (ja) 化粧料容器
KR940006860Y1 (ko) 녹음테이프용 수납케이스
KR200297657Y1 (ko) 화장품 용기의 덮개
JP2001104047A (ja) 化粧料容器
JP2002274559A (ja) 物品収納容器
KR920007703Y1 (ko) 도시락
JPH0847418A (ja) レフィル容器
JPH077841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752645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637766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537674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582969Y2 (ja) レフィル容器
KR100373088B1 (ko) 저장용기
JP2000175734A (ja) 気密化粧料容器
JP3017844U (ja) コンパクト容器
KR920005440Y1 (ko) 카셋트 테이프 케이스
JP2584781Y2 (ja) 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