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390U - 접이식 정리 상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정리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390U
KR20100012390U KR2020090007216U KR20090007216U KR20100012390U KR 20100012390 U KR20100012390 U KR 20100012390U KR 2020090007216 U KR2020090007216 U KR 2020090007216U KR 20090007216 U KR20090007216 U KR 20090007216U KR 20100012390 U KR20100012390 U KR 201000123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side wall
main body
fold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송 왕
Original Assignee
뤼싱 (푸저우) 레지던스 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뤼싱 (푸저우) 레지던스 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뤼싱 (푸저우) 레지던스 구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90007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390U/ko
Publication of KR20100012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Abstract

본 실용신안에서는 접이식 정리 상자를 제공하는 바, 본체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 설치된 측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면과 측벽이 공동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은 4개 또는 4개 이상의 경질체로 구성되고, 상기 경질체 수량은 짝수 개이며, 상기 경질체의 외부에는 연포층이 덮어씌워져 있고, 상기 각 경질체는 연포층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커버에는 본체에 대응되게 상부면 및 상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 설치된 연장벽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연장벽은 연성 측벽이며, 상기 연성 측벽 내측에는 대응되게 경질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질편의 일 변과 연성 측벽의 아래 변이 연결되며, 다른 한 자유 변은 연성 측벽의 아래 변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경질편의 양측과 인접한 연성 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본 실용신안 접이식 정리 상자는 하부면 수량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접을 수 있어 응용범위가 넓다.
접이식, 상자, 연장벽, 경질체

Description

접이식 정리 상자{FOLDING STORAGE BOX}
본 실용신안은 일상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옷가지를 넣어 저장할 수도 있고, 정리 상자 자체를 접어 보관할 수도 있는 정리 상자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정리 상자는 옷가지 등 생활용품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는 정리 상자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 바, 재질이 부동함에 따라 연성 재질의 정리 상자와 경질 재질의 정리 상자로 구분할 수 있다. 경질 재질로 제조된 정리 상자는 대부분 접을 수 없기 때문에 운송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
출원번호가 200620025281.7인 중국 실용신안에서 접이식 정리 상자를 제시하고 있는 바, 하부면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면의 네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 설치된 측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마주한 두 측벽은 굽힘이 불가능한 경직체이고, 다른 두 마주한 측벽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파선이 구비된 경직체인 직사각형 본체; 본체 하부면에 대응되는 경직판체인 밑판; 그리고 상부면 네 변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벽이 형성되고, 각 연장벽은 상기 상부면에 대응되게 굽혀졌으며, 마주한 두 연장벽 양측에는 세 변이 모여지는 각단(角端)으로부터 자유 변으로 연장 형성된 경 사 파선이 설치되어 있는 직사각형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장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 형성된 파선을 따라 커버를 접을 수 있다. 하지만 파선이 자연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파선이 불규칙적이고 균일하지 못하여, 꾸러미를 꾸밀 때의 정확성과 효율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접은 후에도 평편하지 못하다. 그리고, 꾸러미로 꾸려 운송한 후 형성되는 불규칙 파선이 경질 연장벽을 파손시켜, 커버의 사용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본체의 마주한 두 측벽에 파선이 구비되어 있어, 본체의 안정성이 낮으며, 제조원가가 높다.
본 실용신안은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정리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용신안의 접이식 정리 상자는 본체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에서, 상기 본체에는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 설치된 측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면과 측벽이 공동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은 4개 또는 4개 이상의 경질체로 구성되고, 상기 경질체 수량은 짝수 개이며, 상기 경질체의 외부에는 연포층이 덮씌워져 있고, 상기 각 경질체는 연포층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커버에는 본체에 대응되게 상부면 및 상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 설치된 연장벽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연장벽은 연성 측벽이며, 상기 연성 측벽 내측에는 대응되게 경질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질편의 일 변과 연성 측벽의 아래 변이 연결되며, 다른 한 자유 변은 연성 측벽의 아래 변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경질편의 양측과 인접한 연성 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 하부면은 3 변 또는 3변 이상이고, 변의 수량은 홀수 개이며, 상기 본체의 일 측벽은 접힘면이고, 상기 접힘면은 2개의 경질체로 구성되었으며, 본체의 기타 각 측벽은 모두 하나의 경질체로 구성되었고, 상기 집힘면 2개 경질체 사이에 하부면과 수직되는 파선을 형성하며, 상기 파선은 하부면 길이를 두 부분으 로 나누고, 상기 두 부분의 길이는 각각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하부면 상의 개구는 상기 접힘면과 대응되는 꼭지각과 파선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 하부면은 6 변 또는 6 변 이상이고, 변의 수량은 짝수 개이며, 상기 측벽 경질체 수량은 아래 변 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하부면 개구는 하부면 각 대응되는 꼭지각 사이 거리가 가장 큰 두 꼭지각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두 꼭지각에 각각 형성된 두 측면은 접힘면이고, 상기 접힘면의 아래 변 길이는 긴 변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접이식 정리 상자는 본체 하부면과 대응되는 경질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밑판은 연성 재질로 경질 재질을 감싸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개구는 지퍼, 단추 또는 매직 스티커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접이식 정리 상자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 시, 본체와 커버를 평편한 모양으로 접을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또 생산 후의 운송이 간편하여 운송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실용신안에서는, 연성 재질로 경질 재질을 감싸는 방식으로 본체를 제조하기 때문에, 전반 구조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걸상의 대용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효과가 바람직하다.
본 실용신안의 본체는 하부면 수량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접을 수 있어 응용범위가 넓다.
본 실용신안의 상기 커버는, 그 연장벽의 모양이 규칙적이고, 연장벽과 인접 한 연성 구역의 모양도 규칙적이기 때문에, 빠르고 정연하게 접을 수 있으며, 접는 과정에 발생하는 불규칙 주름이 커버를 겹쳐 보관할 때 경질 재료를 파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1: 본 실시예는 하부면이 오각형, 6개 경질체가 5개 측벽을 구성하는 본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정리 상자는 본체(2)와 커버(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2)에는 오각형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 설치된 5개 측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면과 측벽이 공동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개구(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측벽은 6개 경질체로 구성되고, 그 중에서, 본체 일 측벽은 2개 경질체로 구성되어 접힘면(8)을 형성하고, 기타 4개 측벽은 각각 1개의 경질체로 구성되며, 상기 경질체의 외표면에는 연성층이 덮씌워 있고, 각 경질체는 연포층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접힘면의 2개 경질체 사이에 하부면과 수직되는 파선(7)을 형성하고, 상기 파선(7)은 하부면 길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상기 두 부분의 길이는 각각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하부면 상의 개구(9)는 상기 접힘면과 대응되는 꼭지각과 파선 사이에 형성된다.
도3 및 도4는 본 실용신안 커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커버에는 본체에 대응되게 상부면 및 상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 설치된 연장벽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연장벽은 연성 측벽(5)이며, 상기 연성 측벽 내측에는 대응되게 경질편(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질편의 일 변(41)과 연성 측벽의 아래 변(51)이 연결되며, 다른 한 자유 변(42)은 연성 측벽의 아래 변(51)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경질편의 양측(43, 44)과 인접한 연성 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원하는 대로 평편한 모양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정리 상자는 또 본체 하부면과 대응되는 경질 밑판(3)을 포함하며, 상기 밑판은 연성 재질로 경질 재질을 감싸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개구(9)는 지퍼, 단추 또는 매직 스티커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실용실안 구조의 접힘 수납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경질 종이판에 연포를 덮어씌워 재봉 제조한 본체의 5개 측벽 중에서, 일 측벽은 접힘면(8)이고, 상기 접힘면(8)은 2개 경질체(81, 82)로 구성되며, 이의 연결점은 하부면에 수직되는 파선(7)이고, 각 측벽은 연성 재질을 통하여 연결되어, 접힘면(8)은 파선(7)으로부터 중심으로 접근하여 제1단계의 접힘을 완성하여 평편한 상태를 이루고 있어서, 접힘면과 인접하지 않은 두 측벽을 한 조로하여, 측벽 사이의 간격을 따라 제2단계 접힘을 완성하여, 5개 측벽의 겹침 상태를 완성한다. 경질체는 경질 플라스틱판, 목판 또는 기타 경질 판재일 수 있으며, 연성 재질은 연성 플라스틱 또는 가죽 재료 등 연성 재질일 수 있다.
본체를 펼친 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 하부면에 본체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질 밑판(3)이 설치되고, 상기 밑판은 경질 재료에 연성 재료를 덮어씌워 재봉 제조한 것이며, 경질 재료는 경질 플라스틱판, 목판 또는 기타 경질 판재일 수 있고, 연성 재료는 천, 플라스틱 또는 가죽 재료 등 연성 재질일 수 있다. 밑판(3) 을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하여, 밑판의 각 변이 본체 내부의 각 면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본체의 입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체가 지지되면, 본체의 하부면은 따라서 평편해 진다.
본 실용신안 접이식 정리 상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상태 시에, 사용자는 상기 정리 상자 위에 앉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앉을 때에 편안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 상부면(11)에는 쿠션패드를 설치하며, 상기 쿠션패드는 발포면, 섬유면 등 부드러운 탄성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접이식 정리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시, 커버를 본체로부터 취하고, 밑판을 본체 내에서 꺼낸 후, 본체 하부면의 지퍼를 열고, 본체를 도5, 도6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평편하게 접는다.
실시예2: 본 실시예는 하부면이 육각형, 6개 경질체가 6개 측벽을 구성하는 본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정리 상자는 본체(2)와 커버(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2)에는 육각형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 설치된 6개 측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면과 측벽이 공동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개구(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9)는 하부면 각 대응되는 꼭지각 사이 거리가 가장 큰 두 꼭지각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두 꼭지각에 각각 형성된 두 측면은 접힘면(8)이고, 상기 접힘면(8)의 아래 변 길이는 긴 변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개구(9)는 지퍼, 단추 또는 매직 스티커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용신안에서는 경질 재료에 연성 재료를 덮씌워 재봉 제조하여 본체의 육각형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는 하부면 각 대응되는 꼭지각 사이 거리가 가장 큰 두 꼭지각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두 꼭지각에 각각 형성된 두 측면은 접힘면(8)이고, 측벽 사이는 연성 재질을 통하여 연결되어, 접힘면으로 하여금 접힘면 사이 간격으로 중심으로 접근하도록 하여 제1단계의 접힘을 완성고, 또한 다른 두 접힘면도 점힘면 사이 간격으로 중심으로 접근하도록 하여, 두개의 두 접힘면이 엇갈려 접히게 함으로써, 6개 측벽의 겹침 상태를 완성한다. 경질 재료는 경질 플라스틱판, 목판 또는 기타 경질 판재일 수 있으며, 연성 재료는 천, 플라스틱 또는 가죽 재료 등의 연성 재질일 수 있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연장벽은 연성 측벽(5)이며, 상기 연성 측벽 내측에는 대응되게 경질편(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질편의 일 변과 연성 측벽의 아래 변이 연결되며, 다른 한 자유 변은 연성 측벽의 아래 변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경질편의 양측과 인접한 연성 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원하는 대로 평편한 모양으로 접을 수 있다.
도1은 본 실용신안의 하부면이 오각형일 때 본체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입체도.
도2는 본 실용신안 본체, 커버 및 밑판 분리 후의 분해 구조 도면.
도3은 본 실용신안 제1실시예 커버 접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4은 본 실용신안 제1실시예 커버 접힘 후 평편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5은 본 실용신안 하부면이 오각형일 때 본체 제1단계 접힘 상태 구조 도면.
도6은 본 실용신안 하부면이 오각형일 때 본체 제2단계 접힘 상태 구조 도면.
도7은 실용신안의 하부면이 육각형일 때 본체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입체도.
도8는 도7의 본체, 커버 및 밑판 분리 후의 분해 구조 도면.
도9은 본 실용신안 제2실시예 커버 접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10은 본 실용신안 제2실시예 커버 접힘 후 평편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11은 본 실용신안 하부면이 육각형일 때 본체 제1단계 접힘 상태 구조 도면.
도12은 본 실용신안 하부면이 육각형일 때 본체 제2단계 접힘 상태 구조 도면.

Claims (5)

  1. 본체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정리 상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하부면 및 상기 하부면 각 변두리로부터 위로 연장 설치된 측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면과 측벽이 공동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은 4개 또는 4개 이상의 경질체로 구성되고, 상기 경질체 수량은 짝수 개이며, 상기 경질체의 외부에는 연포층이 덮씌워져 있고, 상기 각 경질체는 연포층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커버에는 본체에 대응되게 상부면 및 상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 설치된 연장벽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연장벽은 연성 측벽이며, 상기 연성 측벽 내측에는 대응되게 경질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질편의 일 변두리와 연성 측벽의 아래 변두리가 연결되며, 다른 한 자유 변두리는 연성 측벽의 아래 변두리를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경질편의 양측과 인접한 연성 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리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면은 3 변 또는 3변 이상이고, 변의 수량은 홀수 개이며, 상기 본체의 일 측벽은 접힘면이고, 상기 접힘면은 2개의 경질체로 구성되었으며, 본체의 기타 각 측벽은 모두 하나의 경질체로 구성되었고, 상기 집힘면 2개 경질체 사이에 하부면과 수직되는 파선을 형성하며, 상기 파선은 하부면 길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상기 두 부분의 길이는 각각 인접한 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하부면 상의 개구는 상기 접힘면과 대응되는 꼭지각과 파선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리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면은 6 변 또는 6 변 이상이고, 변의 수량은 짝수 개이며, 상기 측벽 경질체 수량은 아래 변 수량과 동일하고, 상기 하부면 개구는 하부면 각 대응되는 꼭지각 사이 거리가 가장 큰 두 꼭지각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두 꼭지각에 각각 형성된 두 측면은 접힘면이고, 상기 접힘면의 아래 변 길이는 긴 변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리 상자.
  4.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정리 상자는 본체 하부면과 대응되는 경질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밑판은 연성 재질로 경질 재질을 감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리 상자.
  5. 제1, 2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지퍼, 단추 또는 매직 스티커를 이용하여 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정리 상자.
KR2020090007216U 2009-06-04 2009-06-04 접이식 정리 상자 KR201000123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16U KR20100012390U (ko) 2009-06-04 2009-06-04 접이식 정리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16U KR20100012390U (ko) 2009-06-04 2009-06-04 접이식 정리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90U true KR20100012390U (ko) 2010-12-14

Family

ID=4420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216U KR20100012390U (ko) 2009-06-04 2009-06-04 접이식 정리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3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630B2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7229001B2 (en) Folding collapsible rectangular storage box
EP3075674B1 (en) Storage box
US9169036B2 (en) Storage box
KR20150108070A (ko) 접이식 수납박스
CN201961614U (zh) 多层包装盒
JP3151741U (ja) 折りたたみ可能の収納ボックス
KR20100012390U (ko) 접이식 정리 상자
KR20120079311A (ko) 수납박스
CN201665338U (zh) 改进的可做为座椅的收纳箱结构
JP3160270U (ja) 椅子として使用可能な収納箱の構造
US20070210142A1 (en) Folding collapsible storage box
JP2011030593A (ja) クッション、枕、及び、クッションカバー
CN207843914U (zh) 一种防摔灯泡包装盒
CN207791415U (zh) 酒器包装盒
JP3121096U (ja) 座椅子となる折り畳み収納箱
JP2006151496A (ja) 折り畳み自在な収納ボックス、及びこの収納ボックスを引出し箱として用いた収納ボックス付き収納ラック
CN201976957U (zh) 一种多功能收纳箱
JP7390261B2 (ja) 座椅子、折り畳み箱入り座椅子、及び座椅子の梱包方法
JP3171638U (ja) 折りたたみと展開可能な収納箱
JP3113823U (ja) 折り畳み式収納ケース
JP3103705U (ja) 置物ボックス
CN201703638U (zh) 一种塑料储物盒
JP3166008U (ja) 複数の収納箱を嵌め合わせて重ねることが可能な構造をもつ収納箱
CN209950789U (zh) 一种便于运输的收纳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