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834U -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834U
KR20100011834U KR2020090006430U KR20090006430U KR20100011834U KR 20100011834 U KR20100011834 U KR 20100011834U KR 2020090006430 U KR2020090006430 U KR 2020090006430U KR 20090006430 U KR20090006430 U KR 20090006430U KR 20100011834 U KR20100011834 U KR 201000118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enter
roller
tank
r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7230Y1 (ko
Inventor
권영화
제정기
오삼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6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3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6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rotary disc, roller, or like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06B1/16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the treating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inside the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26Glossing of fabrics or yarns, e.g. silk-fin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터 전단부에 원단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기가 일체로 구비되어 원단 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텐터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 내부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이 탱크에 내부에 저장된 약품에 침지되어 1차 수세되는 약품조와, 1차 수세된 상기 원단이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어 2차 수세되는 수세조가 구비되는 정련부; 상기 정련부를 통하여 수세된 원단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및 건조된 상기 원단을 셋팅하기 위한 텐터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망글 롤러와 가이드 롤러에 의해 상기 원단이 일련의 장치를 통과하면서 정련 및 텐터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텐터 가공 장치는 원단을 정련하는 공정과 최초 원단을 셋팅하는 공정이 동일 라인의 공정으로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원단 처리 과정에서의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정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원단, 불순물, 염색, 정련장치, 텐터장치

Description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Tenter apparatus with soaping device}
본 고안은 텐터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터 전단부에 원단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기가 일체로 구비되어 원단 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텐터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은 원사를 이용한 방직기로 생지 또는 원단을 제조하는 전처리 공정과 제조된 생지 또는 원단을 표백, 염색 등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용도의 원단을 제조하는 후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 공정에 있어서 생지 또는 원단 표면에는 작업 환경에 의해 필연적으로 미고착 염료나 불순물, 기타 오염 물질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표백이나 염색 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련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고, 정련 공정을 거친 생지 또는 원단은 다시 건조 공정, 텐터 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용도로 완성된다.
즉, 방직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지 또는 원단에는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단을 원하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표백이나 염색과 같은 후처리 공정을 하기 위해서는 그 전 단계에서 반드시 상기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정련 공정(soaping)이 이루어지고, 이물질이 제거된 원단을 셋팅(pre-setting)하는 텐터 공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단 처리 공정은 원단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 공정과 텐터 공정이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는 공정으로 수행되어 진다. 즉, 상기 정련 공정은 별도로 설치된 정련 장치(soaping device)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원단을 수급하여 다시 별도의 건조 및 텐터 장치로 이동시켜 프리 셋팅(pre-setting) 장치 내부로 투입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터 장치는 정련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원단 처리를 위한 전체적인 장치의 구조와 처리 공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공정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련 공정과 텐터 공정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정련 후 원단을 수급하고 텐터 장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원단의 변부 말림 현상이나 적재 주름 현상 등이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 개선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정련 장치는 수세 공정이 원단을 단순히 물에 침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원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자들은 정련을 위한 장치가 텐터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공정의 효율성과 공정 비용, 제품의 불량 개선 등에 불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정련공정과 텐터공정을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텐터 가공 장치의 전단부에 원단에 잔류하는 유제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 장치가 일체로 구비되어, 원단을 수세하는 공정과 최초 원단을 셋팅하는 공정이 동일 라인의 공정으로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 공정비 절감 및 제품의 불량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중 구조의 수세 롤러와 진동에 의하여 정련 과정에서 원단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잔류 지분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텐터 가공 장치는 장치 내부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이 탱크에 내부에 저장된 약품에 침지되어 1차 수세되는 약품조와, 1차 수세된 상기 원단이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어 2차 수세되는 수세조가 구비되는 정련부, 상기 정련부를 통하여 수세된 원단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및 건조된 상기 원단을 셋팅하기 위한 텐터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망글 롤러와 가이드 롤러에 의해 상기 원단이 일련의 장치를 통과하면서 정련 및 텐터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텐터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세조 내부에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 동일한 중심 축으로 제1롤러의 내부에 구비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곡면 요철이 형성되는 제2롤러로 구성되는 수세 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세 롤러는 진동 기능이 구비된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 의하면 전단부에 원단에 잔류하는 유제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 장치가 일체로 구비되어, 원단을 정련하는 공정과 최초 원단을 셋팅하는 공정이 동일 라인의 공정으로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원단 처리 과정에서의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정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 의하면 이중 구조의 수세 롤러와 진동에 의하여 원단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불 량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고안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원단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는 원단 공급부(10), 약품조(100)와 수세조(200)가 구비된 정련부(20), 건조부(30), 텐터부(40) 및 원단 수급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단 공급부(10)는 방직기(미도시)에서 직조된 원단을 수급하여 텐터 가공 장치의 정련부(20)로 공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원단 공급부(10)는 설비 내에서 이동이 용이한 전동 대차와 같은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련부(20)는 쇼핑 장치(soaping device)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원단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원단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정련부(20)는 약품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수세하기 위한 약품조(100)와 물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수세하기 위한 수세조(200)로 구성된다. 즉, 공급되는 원단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약품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제거하고, 다시 물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약품조(100)는 약품 탱크(110) 내부에 수세를 위한 약품(120)이 저장되며, 가이드 롤러(70)가 상하측에서 열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이동되는 원단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측의 가이드 롤러(70)는 상기 원단이 상기 약품 탱크(110) 내부의 상기 약품(120) 속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약품조(100)는 일측에서 공급되는 원단은 상기 가이드 롤러(70)를 통하여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약품 탱크(110) 내부에 저장된 약품(120)에 침지를 반복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원단 표면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화학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약품 탱크(110)에 저장되는 상기 약품(120)은 세정액 중에서 일반적으로 세정제라 불리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측의 가이드 롤러(70)가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채워져야 한다.
또한, 상기 수세조(200)는 수세 탱크(210) 내부에 수세를 위한 물(220)이 저장되며,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70)와 원단을 효율적으로 수세하기 위한 수세 롤러(230)가 구비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조(200)에서의 수세 롤러(230)는 외부의 제1롤러(도 4의 231)와 내부의 제2롤러(도 4의 232)에 의한 이중 구조를 이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4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세조(200)에서는 상기 약품조(100)에서 1차 처리된 원단을 물을 이용하여 2차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 롤러(70)와 수세 롤러(230)에 의해 원단이 수세 탱크(210)에 저장된 물(220)에 침지되어 2차 수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세 탱크(210)에는 상기 수세 롤러(230)가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물(220)이 채워져야 한다. 또한, 상기 수세 롤러(230)는 탱크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수 회의 수세 과정에 의해 수세가 완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2개 내지 3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부(30)는 상기 정련부(20)를 통하여 수세가 이루어진 원단을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원단이 건조 챔버(31) 내부를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부(30)는 일반적으로 열풍 건조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챔버(31)에는 고온의 열풍이 공급되는 공급구(32)와 건조 후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3)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이 상기 건조부(30)의 건조 챔버(31) 내부를 수회 왕복하면서 건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70)가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70)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텐터부(40)는 건조된 원단을 셋팅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원단이 텐터 챔버(41) 내부를 통과하면서 염색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단의 주름이나 말림 없이 셋팅시키게 된다.
상기 원단 수급부(50)는 상기 텐터부(40)를 통하여 셋팅된 원단을 최종적으로 수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텐터부(40)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수취할 수 있는 권취 장치나 적재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는 원단이 상술한 구성의 각 챔버들을 통과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망글(Mangle) 롤러(60)가 배치되며, 상기 망글 롤러(60)는 각 구성의 챔버 사이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원단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70)도 원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다수개 배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텐터부(40)와 원단 수급부(50) 사이에는 고온 열풍에 의해 건조된 원단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원단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원단 공급부(10)에서 원단이 공급되면, 정련부(20)의 약품조(100)에서 1차 수세가 이루어지며(S1000), 다시 수세조(200)에서 2차 수세가 이루어진다(S2000). 수세된 원단은 건조부(30)에서 열풍 건조되며(S3000), 텐터부(40)에서 셋팅되어(S4000) 표백이나 염색 공정을 위한 정련 및 텐테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정에서 열풍 건조된 원단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공정(S5000)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텐터 가공 장치에 의해 원단의 수세를 위한 정련 공정과 셋팅을 위한 텐터 공정이 동일한 공정 라인 상에서 수행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제품의 불량 개선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수세조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수세조에서의 수세 롤러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세조(200)는 내부에 물(220)이 채워진 탱크(210)와 공급되는 원단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70), 수세를 위한 수세 롤러(2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70)는 상기 수세조(200)에 원단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수세 롤러(230)는 물(220) 속에 충분히 잠기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원단은 상기 수세 롤러(230)에 의해 탱크(210)의 물 속에 침지되어 표면에 남아 있는 미고착 염료, 불순물, 기타 오염물질 등을 세정한다.
한편, 상기 수세 롤러(2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표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234)이 형성되는 제1롤러(231)와 상기 제1롤러(231)의 내부에 구비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곡면 요철(235)이 형성되는 제2롤러(2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롤러(232)는 상기 제1롤러(231)보다 작은 직경으로 동일한 중심 축(233)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회전 축(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세 롤러(230)에 의한 수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1롤러(231)와 제2롤러(232) 사이의 공간에 물이 채워지게 되고, 각 롤러(231,232)가 회전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 채원진 물이 제2롤러(232)의 곡면 요철(235)에 의해 제1롤러(231)의 홀(234)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제1롤러(231)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물의 이동에 의하여 제1롤러(231) 외부에 감겨진 원단에 부착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231)와 제2롤러(232)는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을 달리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물의 진동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므로,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231) 또는 제2롤러(232)의 회전 축에는 진동 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롤러를 진동시키면서 회전시키는 경우 원단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는 텐터 장치의 전단부에 정련 장치가 함께 구비됨으로써, 정련 공정과 텐터 공정이 동일 공정상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 구조의 수세 롤러에 의해 수세 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원단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수세조를 나타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수세 롤러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텐터 가공 장치에서의 수세 롤러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단 공급부 20 : 정련부
30 : 건조부 40 : 텐터부
50 : 원단 수급부 60 : 망글 롤러
70 : 가이드 롤러
100 : 약품조 200 : 수세조
230 : 수세 롤러

Claims (4)

  1. 장치 내부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원단이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약품에 침지되어 1차 수세되는 약품조와, 1차 수세된 상기 원단이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어 2차 수세되는 수세조가 구비되는 정련부;
    상기 정련부를 통하여 수세된 원단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
    건조된 상기 원단을 셋팅하기 위한 텐터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망글 롤러와 가이드 롤러에 의해 상기 원단이 일련의 장치를 통과하면서 정련 및 텐터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텐터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조 내부에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동일한 중심 축으로 제1롤러의 내부에 구비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곡면 요철이 형성되는 제2롤러가 구비된 수세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서로 다른 속도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 가공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롤러는 진동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 가공 장치.
KR2020090006430U 2009-05-27 2009-05-27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KR200457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30U KR200457230Y1 (ko) 2009-05-27 2009-05-27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30U KR200457230Y1 (ko) 2009-05-27 2009-05-27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34U true KR20100011834U (ko) 2010-12-07
KR200457230Y1 KR200457230Y1 (ko) 2011-12-09

Family

ID=4420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30U KR200457230Y1 (ko) 2009-05-27 2009-05-27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19B1 (ko) * 2019-07-15 2019-12-13 김겸훈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CN113005679A (zh) * 2019-12-20 2021-06-22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布料前处理用松弛精炼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922B1 (ko) 2017-04-28 2018-08-22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원단 전처리 가공장치
KR102076706B1 (ko) 2019-01-08 2020-02-12 (주)동진다이닝 친환경 원단 전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1A (ja) 1984-06-11 1986-01-06 塚本 和子 編物の苛性アルカリ処理加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19B1 (ko) * 2019-07-15 2019-12-13 김겸훈 수세부가 구비되는 원단 열처리 가공기
CN113005679A (zh) * 2019-12-20 2021-06-22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布料前处理用松弛精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230Y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230Y1 (ko) 정련기가 구비된 텐터 가공 장치
JP2023541431A (ja) 布地を洗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17137A (ko) 날실을 세척하기 위한 탱크
JP5917589B2 (ja) シート湯洗処理ユニットおよびシート湯洗処理装置
KR101518396B1 (ko) 그라데이션 염색방법
KR101519115B1 (ko) 그라데이션 염색장치
WO2002004733A1 (fr) Procede de blanchissage a utilite commerciale et dispositif de blanchissage a utilite commerciale permettant de mettre en oeuvre le procede
KR20100082472A (ko) 세탁기
EP3981901A1 (en) Machine for the washing of fabrics
JP5330102B2 (ja) 連続水洗機
KR960004905B1 (ko) 섬유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장치
US656315A (en) Apparatus for mordanting, &amp; c.
KR101578107B1 (ko) 직물의 세척 및 건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직물을 세척 및 건조하는 방법
CN113882097B (zh) 用于处理纺织织物的方法和设备
AU2015351325B2 (en) Laundry method
JP7321422B2 (ja) 液流式布帛処理装置及び処理済み布帛の製造方法
KR100995336B1 (ko) 복합제염장치
KR102598300B1 (ko) 리본 제조 장치 및 포장용 리본 제조 방법
JP2969131B2 (ja) 水洗装置
CN110872752B (zh) 洗涤设备及其喷淋控制方法
KR200459576Y1 (ko) 산업용 의류 처리 장치
JP3391936B2 (ja) 編織物の浸漬式染色処理装置
KR100279602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세탁/헹굼방법
KR101074944B1 (ko) 염색기
CN114481502A (zh) 一种纺织生产用纺布清洗装置及清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