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673A -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673A
KR20100011673A KR1020080072985A KR20080072985A KR20100011673A KR 20100011673 A KR20100011673 A KR 20100011673A KR 1020080072985 A KR1020080072985 A KR 1020080072985A KR 20080072985 A KR20080072985 A KR 20080072985A KR 20100011673 A KR20100011673 A KR 20100011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ousing
actuator
coupl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563B1 (ko
Inventor
최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to KR102008007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커넥터 양측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측으로 다수의 접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에프.피.씨 필름을 접지하는 쉘과, 중앙에 수직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의 양측 상,하부에 나란히 수평바가 배치되어진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힌지공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양측으로 돌설되는 엑추레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터미널의 일측으로 에프.피.씨 필름을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에프.피.씨 필름의 상측에서 쉘의 접지부가 상기 에프.피.씨 필름과 접지되어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의 타측에 결합된 엑추레터를 회전하여 상기 터미널의 일측이 지렛대와 같이 하강하면서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에프.피.씨 필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엑추레터가 일측의 단자부와 접속하여 원터치 접속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간단히 고정하는 작업공정의 편의성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형성된 단자부를 통하여 전자기기에 직접 연결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 및 상기 에프.피.씨 필름이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지가능하여 효율적인 작업효과를 갖는 우수한 발명이다.
커넥터, 하우징, 쉘, 엑추레터, 터미널, 필름

Description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The fpc film of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에프.피.씨 필름이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에프.피.씨 필름이 엑추레터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하우징에 에프.피.씨 필름이 결합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커넥터 1-하우징
2-엑추레터 3-터미널
4-쉘 5-필름
11-걸림턱 12-힌지공
13-돌기부 14-단자부
15-결합공 21-홈부
22-힌지부 31-수직바
32-수평바 41-접지부
51-걸림편 321-걸림돌기
본 발명은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양측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측으로 다수의 접지부가 형성된 쉘과, 중앙에 수직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의 양측 상,하부에 나란히 수평바가 배치되어진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힌지공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양측으로 돌설되는 엑추레터를 갖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명된 커넥터는 일측으로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결합한 후 상기 접지부에 의하여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접지하며 엑추레터를 이용하여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고정하여 연결 및 사용가능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커넥터는 주로 커넥터의 일측으로 케이블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의 타측으로 트랜스부재가 결합되어져 상기 트랜스부재를 전자제품등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을 단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커넥터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되어진 커넥터의 외측으로 다시 트랜스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이 불편하고 상기 커넥터를 제외한 각 부재간의 유기적인 결합이 곤란하여 사용상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한 것을 보다 간단히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상기 케이블과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필름이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안된 필름의 경우 상기 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필름이 사용자의 실수등에 의하여 뒤집어져서 결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에 바르게 결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필름이 결합된 커넥터의 단부에 트랜스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트랜스부재가 티브이나 오디오 등과 같은 전자제품과 결합됨으로서 결합과정이 복잡하게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를 임의로 분해시에는 모든 부재를 다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상기 커넥터의 부재가 각각 분리되어짐으로서 노이즈 발생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프.피.씨 필름을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진 터미널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의 결합된 에프.피.씨 필름의 상측으로 쉘의 접지부가 접지되어지며 상기 터미널의 타측에 결합된 엑추레터를 회전하여 상기 터미널의 일측이 지렛대와 같이 하강하면서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에프.피.씨 필름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 기 하우징과 상기 엑추레터가 일측의 단자부와 접속하여 원터치 접속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징의 결합공 방향에 양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턱의 위치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지는 에프.피.씨 필름의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바르게 결합되어지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으로 필름(5)이 결합되는 결합공(15)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엑추레터(2)가 결합되어지는 결합공(15)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결합공(15) 상측으로 결합되어지고 하측으로 다수의 접지부(41)가 형성된 쉘(4)과; 중앙에는 수직바(3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31)의 양측 상,하부에 나란히 수평바(32)가 배치되어진 터미널(3)과; 상기 하우징(1)의 타측 결합공(15)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공(12)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2)가 양측으로 돌설되고 중앙에는 홈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21)가 터미널(3)의 타측 수평바(32) 사이에 결합되어지는 엑추레터(2)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되는 필름(5)이 쉘(4)의 접지부(41)와 접지되고 상기 엑추레터(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3)의 양측 수평바(32)가 상기 수직바(31)를 중심으로 지렛대형상으로 탄성구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5)이 결합되는 하우징(1)의 결합공(15) 양측으로 각각 걸림턱(11)이 형성되어지되, 일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1)과 타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1)의 위 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져 상기 결합공(15)에 결합되는 필름(5) 양단부의 걸림편(51)이 평행하게 안착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의 타측 결합공(15) 하부 양측으로 "ㄷ"형상의 돌기부(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기부(13)의 상부가 하부보다 연장형성되어져 상기 엑추레터(2)의 양단부가 탄성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쉘(4)의 접지부(41) 단부가 내측영역으로 상향밴딩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쉘(4)의 하부에 형성된 접지부(41)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3)의 결합공(15)영역에 형성되는 수평바(32)는 내측으로 걸림돌기(321)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으로 에프.피.씨 필름(5)이 결합가능한 결합공(15)과 타측으로 엑추레터(2)가 결합가능한 결합공(15)이 각각 형성되어진 하우징(1)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1)의 일측으로 다수의 접지부(41) 형성된 쉘(4)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다수의 터미널(3)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터미널(3)은 중앙에 수직바(31)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바(31)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바(32)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터미널(3)은 연질로 구성되어져 상기 수직바(31)를 중심으로 일측의 수평바(32)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면 상기 수직바(31)의 타측에 형성된 수평바(32)는 상기 일측 수평바(32)의 승강에 따라 하강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일측 수평바(32)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타측의 수평바(32)는 승강하게 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터미널(3)의 일측으로 엑추레터(2)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엑추레터(2)는 양측으로 힌지부(22)가 돌설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설된 힌지부(22)는 상기 하우징(1)의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공(12)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상기 엑추레터(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엑추레터(2)의 알측이 상기 터미널(3)의 일측 수평바(32) 사이에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엑추레터(2)가 상기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엑추레터(2)와 연결형성된 터미널(3)의 상부 수평바(32)를 승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기 터미널(3)의 타측 수평바(32)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의 일측에 결합되는 쉘(4)은 상기 하우징(1)에 필름(5)이 결합시 상기 필름(5)과 접지되는 접지부(41)가 형성되어져 상기 필름(5)과 접지되어 노이즈를 방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넥터(A)는 하우징(1)과 쉘(4) 및 터미널(3)과 엑추레터(2)가 각각 결합 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하우징(1)의 외측방향에는 양측으로 걸림턱(11)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턱(11)의 위치는 양단부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걸림턱(11)을 통하여 진입되는 에프.피.씨 필름(5) 양측으로 돌설된 걸림편(51)과 결합시 보다 기밀하게 결합되어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의 양측으로 돌설된 걸림편(51)의 위치가 상호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의 걸림편(51)과 상기 하우징(1)의 걸림턱(11)이 기밀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프.피.씨 필름(5)의 걸림편(51)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된 이유는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을 뒤집어서 끼울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에프.피.씨 필름(5)이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에프.피.씨 필름(5)이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되는 터미널(3)의 일측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되는 에프.피.씨 필름(5)의 양단부에는 각각 걸림편(51)이 형성되어져 상기 하우징(1)의 걸림턱(11)과 바르게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프.피.씨 필름(5)이 상기 터미널(3)의 일측 수평바(32)와 수평바(32) 사이에 임시로 안착결합된 상태이며 이때 엑추레터(2)의 단부는 상기 터미널(3)의 타측 수평바(32)와 수평바(32) 사이에 안착결합되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의 일측 개구부에는 쉘(4)이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쉘(4)은 하측으로 접지부(4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지부(41)는 필름(5)과 접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의 결합공(15)을 통하여 진입되는 에프.피.씨 필름(5)을 보다 안전하게 결합가능하며 가이드역할을 제공함과 동시에 노이즈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지부(41)의 단부는 내부영역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밴딩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지부(41)의 단부를 밴딩형성함으로서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을 결합 및 분해시에도 상기 필름(5)의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에프.피.씨 필름(5)이 엑추레터(2)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에프.피.씨 필름(5)이 고정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엑추레터(2)를 힌지부(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엑추레터(2)가 회전하면서 상기 엑추레터(2)의 단부가 상기 터미널(3)의 타측에 배치된 상부 수평바(32)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3)의 수직바(31)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 위치한 수평바(32)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평바(32)가 하강하면서 상기 수평바(32)와 수평바(32) 사이에 진입되어진 에프.피.씨 필름(5)의 단부를 기밀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엑추레터(2)가 회전된 상태에서 항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의 단부에는 양측으로 "ㄷ"형상의 돌기부(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돌기부(13)는 상부가 하부보다 연장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돌기부(13)의 상부와 상부 사이에 엑추레터(2)가 인위적으로 끼움결합되어져 상기 엑추레터(2)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6은 하우징(1)에 에프.피.씨 필름(5)이 결합되는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1)과 타측에 위치한 걸림턱(11)이 상기와 같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의 양측으로 돌설된 걸림편(51)의 위치 또한 상기 걸림턱(11)과 같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에프.피.씨 필름(5)의 걸림편(51)은 상기 하우징(1)의 걸림턱(11) 내측에 위치할 때까지 밀어넣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프.피.씨 필름(5)의 걸림편(51)을 하우징(1)의 걸림턱(11) 내측영역까지 일정하게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은 바르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걸림편(51)이 각각 형성된 에프.피.씨 필름(5)을 반대로 삽입하게 되는 경우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의 걸림편(51)이 각각 하우징(1)의 걸림턱(11)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11)의 높이에 의하여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이 바르지 않게 결합되어지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하우 징(1)의 양측으로 걸림턱(11)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우징(1)의 양측에 걸림턱(11)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은 하우징(1)에 결합은 가능하나 상기 에프.피.씨 필름(5)이 정확하게 결합된 것인지 또는 반대로 결합된 것인지에 대한 확인이 곤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우징(1)에는 위치가 상이한 걸림턱(11)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터치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여 에프.피.씨 필름을 하우징에 삽입하여 쉘의 접지부와 접지됨으로서 노이즈 방지효과와, 상기 엑추레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에프.피.씨 필름을 간단히 고정하는 작업공정의 편의성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형성된 단자부를 통하여 전자기기에 직접 연결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에프.피.씨 필름이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을 통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지가능하여 효율적인 작업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일측으로 필름(5)이 결합되는 결합공(15)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엑추레터(2)가 결합되어지는 결합공(15)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결합공(15) 상측으로 결합되어지고 하측으로 다수의 접지부(41)가 형성된 쉘(4)과;
    중앙에는 수직바(3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31)의 양측 상,하부에 나란히 수평바(32)가 배치되어진 터미널(3)과;
    상기 하우징(1)의 타측 결합공(15)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공(12)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2)가 양측으로 돌설되고 중앙에는 홈부(21)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21)가 터미널(3)의 타측 수평바(32) 사이에 결합되어지는 엑추레터(2)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되는 필름(5)이 쉘(4)의 접지부(41)와 접지되고 상기 엑추레터(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3)의 양측 수평바(32)가 상기 수직바(31)를 중심으로 지렛대형상으로 탄성구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5)이 결합되는 하우징(1)의 결합공(15) 양측으로 각각 걸림턱(11)이 형성되어지되, 일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1)과 타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1)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어져 상기 결합공(15)에 결합되는 필름(5) 양단부의 걸림편(51)이 평행하게 안착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 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타측 결합공(15) 하부 양측으로 "ㄷ"형상의 돌기부(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기부(13)의 상부가 하부보다 연장형성되어져 상기 엑추레터(2)의 양단부가 탄성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쉘(4)의 접지부(41) 단부가 내측영역으로 상향밴딩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쉘(4)의 하부에 형성된 접지부(41)가 한 몸체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KR1020080072985A 2008-07-25 2008-07-25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KR10100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985A KR101002563B1 (ko) 2008-07-25 2008-07-25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985A KR101002563B1 (ko) 2008-07-25 2008-07-25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73A true KR20100011673A (ko) 2010-02-03
KR101002563B1 KR101002563B1 (ko) 2010-12-17

Family

ID=4208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985A KR101002563B1 (ko) 2008-07-25 2008-07-25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8936A1 (en) * 2012-03-30 2013-10-03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sheet
US9444194B2 (en) 2012-03-30 2016-09-13 Molex, Llc Connector with she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49B1 (ko) 2015-02-04 2016-08-24 주식회사 연호전자 필름 결합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157B2 (ja) 2002-06-14 2006-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100664236B1 (ko) 2005-10-07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프 콘넥터의 에프피시비 이탈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8936A1 (en) * 2012-03-30 2013-10-03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sheet
US9444194B2 (en) 2012-03-30 2016-09-13 Molex, Llc Connector with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563B1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522B1 (en) Plug connector
US813308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or
JP3097075U (ja) インターフェイス・カード取付装置
US7381082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the cable positioned inside
US20110230066A1 (en) Connector, card edge connector, and sensor using the same
KR101002563B1 (ko) 에프.피.씨 필름용 커넥터
US11670887B2 (en) Protection cover device for socket and socket
WO2007013672A1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US7972162B2 (en) Socket with fixing equipment
US7470144B2 (en) Stacking connector
KR10121627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N1835663B (zh) 快闪存储器及其usb接口保护罩
KR101638179B1 (ko)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CN209880947U (zh) 卡线装置及具有该卡线装置的电插塞连接器
CN218415104U (zh) 一种板对板母端连接器
KR20050118378A (ko) 커넥터의 커버 장치
KR200231223Y1 (ko) 플랙시블 와이어용 콘넥터
WO2007148874A1 (en)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JP2008504645A (ja) フリーロックコネクタ
KR20090074920A (ko) 커넥터 결합장치
JP2003068411A (ja) ゼロ挿入力電気コネクタ
KR100560197B1 (ko) 소형 전자기기용 커넥터
KR100725483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0475350Y1 (ko) Ffc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