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350Y1 - Ffc 커넥터 - Google Patents
Ffc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350Y1 KR200475350Y1 KR2020130003355U KR20130003355U KR200475350Y1 KR 200475350 Y1 KR200475350 Y1 KR 200475350Y1 KR 2020130003355 U KR2020130003355 U KR 2020130003355U KR 20130003355 U KR20130003355 U KR 20130003355U KR 200475350 Y1 KR200475350 Y1 KR 2004753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fc
- wire
- housing
- terminal member
- connection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리하게 FFC와 와이어(wire)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FFC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FFC 연결부, 상기 터미널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와이어 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FFC 연결부가 관통된 측에 힌지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FFC 연결부에는 FFC(flexible flat cable)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FFC 연결부, 상기 터미널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와이어 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FFC 연결부가 관통된 측에 힌지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FFC 연결부에는 FFC(flexible flat cable)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FFC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편리하게 FFC와 와이어(wire)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FFC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는 소형화, 특히 두께가 얇아져 감에 따라 내부에 조립되는 각종 전자부품의 크기도 소형화된다. 그에 따라 주 인쇄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도 점차 소형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렉서블 케이블의 일단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FFC 커넥터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60172 호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FFC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FFC 커넥터를 분해하여 FFC와 함께 전개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10)는 케이블(20)이 탈착되며, 케이블(20)과 접촉하는 핀(30)이 결합되는 케이스(40)와 케이스(40)의 양측에 각 결합되어 상부는 케이블(20)의 상면에 접착되는 쉴드 테이프(shield tape, 21)와 접촉하고, 하부는 PCB 그라운드 패드(1)에 고정됨과 함께 접지하는 접지부재(50)와 일측에 회전축(71)이 형성되며, 회전축(71)이 핀(30)에 회전 결합하는 액추에이터(70)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FFC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실장하는 방식이 대부분으로 FFC와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FFC와 와이어(wire)를 직접연결하는 방식의 FFC 커넥터를 개발함에 따라 FFC 커넥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FFC와 와이어(wire)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FFC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FFC를 필름 상태에서 바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FFC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FFC 연결부, 상기 터미널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와이어 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FFC 연결부가 관통된 측에 힌지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FFC 연결부에는 FFC(flexible flat cable)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함몰된 FFC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관통된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FFC 연결부는 상기 FFC 결합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를 통해 외부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힌지됨에 따라 상기 FFC 결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FFC 연결부가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단에 갈라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터미널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양측면이 상측으로 라운드되게 기울어지며 상기 양측면에는 각 압착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FC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란스부와 상기 란스부의 하측에 상기 와이어 연결부측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의하면, 간편하게 FFC 에서 와이어(wire)로 연결하게 하는 FFC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의하면, FFC와 와이어(wire)를 연결하고, FFC를 플립 타입의 액추에이터로 탈착 고정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의하면, FFC를 필름상태에서 FFC 커넥터에 결합할 수 있게 하여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FFC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FFC 커넥터를 분해하여 FFC와 함께 전개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FFC와 와이어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FFC 커넥터를 분해하여 FFC와 함께 전개하여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FFC와 와이어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FFC 커넥터는 일반적인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렉서블 케이블과 전기 와이어(wire)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FFC와 와이어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양단이 외부와 소통하는 터미널부재(120) 및 상기 하우징(110) 중 일단에 힌지 결합하는 액추에이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통체일 수 있으며,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FFC 결합부(1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FFC 결합부(111)를 통해 FFC(F; flexible flat cable)가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FC(F)에는 필름(F1; film)이 형성된 측에 노치(F2)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FFC 결합부(111)에는 FFC(F)의 노치(F2)에 걸리도록 걸림턱(111a)이 돌출되어 FFC(F)가 FFC 결합부(11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FFC 결합부의 반대측)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와이어 결합부(113;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를 통해 전선 등과 같은 와이어(wire)가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10)은 종래의 커넥터가 PCB(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것과는 다르게 PCB에 실장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재(120)는 전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FFC 결합부(111)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를 통해 외부와 소통한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부재(120)의 일단에는 FFC 연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재(120)의 타단에는 와이어 연결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FFC 연결부(121)는 상측과 하측을 향해 양 갈래로 갈라지게 형성되어 하측은 접속단(121a)을 이루고 상측은 고리단(121b)을 이룬다. 상기 접속단(121a)은 상기 FFC 결합부(111)로 연결되는 FFC(F)의 필름(F1)과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123)는 양측면이 상측으로 라운드되게 기울어지게 형성(도 4에서 보아 "U"자 또는 "V"자를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W)의 플러그(plug)를 탄성에 의해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123)의 양측면에는 압착돌기(123a)가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W)의 플러그를 탄성에 의해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압착돌기(123a)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형성된 압착돌기(123a)는 외측에 형성된 압착돌기(123a)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와이어(W)의 플러그 구조에 최적화함에 따라 와이어(W)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FC 연결부(121)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123)의 사이에는 란스부(12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란스부(125)는 중앙 일부가 절단되어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지지턱(125a)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턱(125a)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터미널부재(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터미널부재(120)가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를 통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턱(125a)의 끝단이 기울어지는 방향이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측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턱(125a)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115;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턱(125a)의 구성은 상기 터미널부재(120)가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은 쉽게하고, 반대로 상기 터미널부재(120)가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하여 조립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부재(120)의 일단에 접속하는 FFC(F)와 상기 터미널부재(120)의 타단에 접속하는 와이어(W)는 상기 터미널부재(12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121a)은 상기 필름(F1)과 접속하는 부분에 복수의 돌기(121a')가 돌출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돌기(121a')가 형성되어 2 접점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FFC(F)와의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터미널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FFC(F)와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좋다.
상기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FFC 결합부(111)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30)는 힌지축(131; 도 6참조)을 중심으로 선회 가동하여 상기 FFC 결합부(111)에 FFC(F)가 연결되도록 상기 FFC 결합부(111)를 개방하고, 상기 FFC 결합부(111)에 연결된 FFC(F)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FFC 결합부(111)를 폐쇄함과 동시에 FFC(F)를 압착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힌지축(131)이 상기 고리단(121b)과 힌지 결합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130)가 선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FC 커넥터에 의하면, 간편하게 FFC 에서 와이어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하고, FFC를 플립 타입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FFC를 필름상태에서 FFC 커넥터에 결합할 수 있게 하여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FFC 커넥터 110: 하우징
111: FFC 결합부 111a: 걸림턱
113: 와이어 결합부 115: 걸림홀
120: 터미널부재 121: 연결부
121a: 접속단 121a': 돌기
121b: 고리단 123: 와이어 연결부
123a: 압착돌기 125: 란스부
125a: 지지턱 130: 액추에이터
131: 힌지축 F: FFC
F1: 필름 F2: 노치
111: FFC 결합부 111a: 걸림턱
113: 와이어 결합부 115: 걸림홀
120: 터미널부재 121: 연결부
121a: 접속단 121a': 돌기
121b: 고리단 123: 와이어 연결부
123a: 압착돌기 125: 란스부
125a: 지지턱 130: 액추에이터
131: 힌지축 F: FFC
F1: 필름 F2: 노치
Claims (5)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는 FFC 연결부와, 상기 터미널부재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되도록 다수로 배열되는 와이어 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 중 상기 FFC 연결부가 관통된 측에 힌지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FFC 연결부에는, FFC(flexible flat cable)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와이어(wire)가 연결되며, 상기 FFC 연결부는 상측과 하측을 향해 양 갈래로 갈라지게 형성되어 하측은 FFC와 연결되는 접속단이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힌지축과 힌지 결합되는 고리단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FFC 연결부가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단에 갈라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터미널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양측면이 상측으로 라운드진 "U" 형상 또는 "V"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측면에는 각 압착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FFC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사이에는, 란스부와, 상기 란스부의 하측에 상기 와이어 연결부측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커넥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함몰된 FFC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관통된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FFC 연결부는 상기 FFC 결합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소통하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를 통해 외부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커넥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힌지됨에 따라 상기 FFC 결합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커넥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355U KR200475350Y1 (ko) | 2013-04-30 | 2013-04-30 | Ffc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355U KR200475350Y1 (ko) | 2013-04-30 | 2013-04-30 | Ffc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715U KR20140005715U (ko) | 2014-11-07 |
KR200475350Y1 true KR200475350Y1 (ko) | 2014-11-26 |
Family
ID=522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355U KR200475350Y1 (ko) | 2013-04-30 | 2013-04-30 | Ffc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350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59561A (ja) | 2001-08-13 | 2003-02-28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20100023746A (ko) * | 2008-08-22 | 2010-03-04 |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 케이블용 커넥터 |
-
2013
- 2013-04-30 KR KR2020130003355U patent/KR2004753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59561A (ja) | 2001-08-13 | 2003-02-28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20100023746A (ko) * | 2008-08-22 | 2010-03-04 |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 케이블용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715U (ko) | 2014-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63559B2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 |
US6712645B1 (en) | Cable fixture of coaxial connector | |
JP3600223B2 (ja) | 多芯コネクタ | |
US6312274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H10284201A (ja) |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 |
KR101113591B1 (ko) | 마이크로 usb 소켓 | |
KR20130083254A (ko) |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
JP2008041338A (ja) | コネクタ | |
JP2004520630A (ja) |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用の電気コネクタ | |
JP2004259672A (ja) | 同軸コネクタ | |
KR200475350Y1 (ko) | Ffc 커넥터 | |
US6699066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20070287330A1 (en) | Audio jack | |
KR102165737B1 (ko) |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
JP2003158355A (ja)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 |
KR200475349Y1 (ko) | Ffc 커넥터 | |
KR101216275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101847875B1 (ko) | 이종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
KR101113500B1 (ko) |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 |
JP2016136462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18049750A (ja) | 高周波コネクタ部品及び高周波伝送ケーブル | |
KR102281531B1 (ko) | 신호 전송 커넥터 및 전기 커넥팅 모듈 | |
KR101525169B1 (ko) |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
TW201843891A (zh) | 電連接器 | |
KR101260320B1 (ko) |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