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488A - 개폐기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개폐기의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488A
KR20100010488A KR1020090066285A KR20090066285A KR20100010488A KR 20100010488 A KR20100010488 A KR 20100010488A KR 1020090066285 A KR1020090066285 A KR 1020090066285A KR 20090066285 A KR20090066285 A KR 20090066285A KR 20100010488 A KR20100010488 A KR 2010001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aft
operating
switchgear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438B1 (ko
Inventor
미키 야마자키
겐지 츠치야
다카히코 사와다
마사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890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14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8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8954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1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7Details concerning lever type driving rod arrangemen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분의 전력용 개폐기 및 접지 개폐기의 조작장치를 간소화하고, 개폐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개폐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폐기의 접점을 개폐 조작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에서, 간격을 가지고 병설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조작 레버(6)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6)의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1 연결체(6D)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조작 레버(7)와, 상기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2 연결체(7D)와,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에 삽입한 공통의 지지축(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개폐기의 조작장치{OPERATING DEVICE OF SWITCH}
본 발명은 수배전 설비에 사용되는 전력용 개폐기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폐기의 조작기구로서, 투입 로드를 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투입 코일이 배치된 조작기측과 3상 3대의 진공 밸브가 배치된 차단기측에 걸치는 개폐 레버를, 차단기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개폐 레버에 연동하여 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구동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이 샤프트에 연동하여 3대의 진공 밸브를 일괄하여 개폐 동작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6-89646호 공보
전력용 개폐기에는, 점검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지 개폐기를 부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종류의 개폐기에는, 이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레버 조작장치와, 접지 개폐기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 조작장치를 구비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 레버 조작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축이 2개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지지축의 설치 공간이 커져, 개폐기 전체가 대형화가 된다는 유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항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3상분의 전력용 개폐기 및 접지 개폐기의 조작장치를 간소화하고, 개폐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개폐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는, 개폐기의 접점을 개폐 조작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로서, 간격을 가지고 병설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조작 레버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1 연결체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조작 레버와, 상기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2 연결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에 삽입한 공통의 지지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상의 개폐기의 가동 접점을 일괄 조작하는 조작 레버와, 접지 개폐기의 가동 접점을 일괄 조작하는 조작 레버와의 기단(基端)부를 교대로 병설하고, 각 조작 레버의 기단부를 하나의 공통의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였기 때문에, 레버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기 전체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구비한 개폐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III-I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IV-IV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개폐기(1)의 박스체(2) 내에는, 도 1에서, 상하방향으로 병설한 3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와, 이들 개폐기(4)에 대응하여 도 1에서, 상하방향 병설한(도 1에서, 상하방향) 접지 개폐기(5)가, 이 예에서는, 도 1에서 좌우방향으로 3 세트 병설되어 있다.
상기한 3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에는, 이 3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를 일괄 조작하는 제 1 조작 레버(6)가, 3상의 접지 개폐기(5)에는, 이 3상의 접지 개폐기를 일괄 조작하는 제 2 조작 레버(7)가, 동축상에 병설되어 있다.
상기한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의 상세한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조작 레버(6)는, 간격을 가지고 병설되고, 구멍(6a)을 가지는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축통부(6A)와, 각 축통부(6A)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각 축통부(6A)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6B)을 가지는 레버부(6C)와, 레버부(6C)를 연결하도록 레버부(6C)의 측부 사이에 설치한 제 1 연결체(6D)와, 한쪽 끝의 레버부(6C)의 측면에 설치한 위치 결정부재(6E)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조작 레버(7)는, 상기한 제 1 조작 레버(6)와 동일한 구조로서, 제 1 조작 레버(6)의 축통부(6A)의 끝면 사이에 배치되고, 구멍(7a)을 가지는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축통부(7A)와, 각 축통부(7A)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각 축통부(7A)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7B)을 가지는 레버부(7C)와, 레버부(7C)를 연결하 도록 레버부(7C)의 측부 사이에 설치한 제 2 연결체(7D)와, 한쪽 끝의 레버부(7C)의 측면에 설치한 위치 결정부재(7E)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그 기단부가 되는 각 축통부(6A)와 각 축통부(7A)가 교대로 끼워 넣어져 있고, 각 축통부(6A)와 각 축통부(7A)에 공통의 지지축(8)이 삽입되어 있다. 지지축(8)의 양쪽 끝은, 도 2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축 지지부(9)의 구멍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축 지지부(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2)의 내면에 볼트(1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 1 조작 레버(6)의 각 레버부(6C)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축(11)에 의하여 주회로용 개폐기(4)의 조작 로드(4A)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조작 로드(7)의 각 레버부(7C)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축(12)에 의해 접지 개폐기(5)의 조작 로드(5A)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 1 조작 레버, 및 제 2 조작 레버(7)는, 조작기(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조작 레버(6)및 제 2 조작 레버(7)를, 주물에 의한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6A), 축통부(7A)의 구멍에는, 지지축(8)이 삽입되기 때문에, 구멍 내면이 기계 가공된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조립순서를,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동일한 구조인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를, 각 축통부(6A)와 각 축통부(7A)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 레버(7)를, 제 1 조작 레버(6)에 대하여, 반전시킨다.
다음에, 제 2 조작 레버(7)를, 제 1 조작 레버(6)측으로 이동시켜,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7A)의 구멍이 제 1 조작 레버(6)의 각 축통부(6A)의 구멍에 일치하도록,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7A)를, 제 1 조작 레버(6)의 각 축통부(6A)에 끼워 맞춘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레버(6) 의 축통부(6A) 및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각 구멍에, 지지축(8)을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지지축(8)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축(8)에 연결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8)의 각 양쪽 끝에 축 지지부(9)를 설치하여, 개폐기(1)의 박스체(2) 내에 배치한 후, 축 지지부(9)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2)의 바깥쪽으로부터 볼트(10)에 의하여 박스체(2)에 고정하면,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를, 박스체(2)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박스체(2) 내에 설치한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축(11)에 의해 주회로용 개폐기(4)의 조작 로드(4A)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조작 레버(7)의 레버부(7C)는, 핀축(12)에 의해 접지 개폐기(5)의 조작 로드(5A)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조작기의 조작에 의해, 각 상의 제 1 조작 레버(6) 및 각 상의 제 1 조작 레버(7)는, 각각 연동하여, 각 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 및 접지 개폐기(5)를 3상 일괄하여 개폐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3상의 개폐기의 가동 접점을 일괄 조작하는 제 1 조작 레버(6)와, 접지 개폐기의 가동 접점을 일괄 조작하는 제 2 조작 레버(7)의 기단부를 교대로 병설하고, 각 조작 레버의 기단부를 하나의 공통의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였기 때문에, 레버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기 전체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동일 구조로, 각각 동일 주 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비용 및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6A) 및 축통부(7A)의 축방향 치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양호하다.
또,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를, 주물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함으로써, 변형이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하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IX-IX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X-X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축통부(6A, 7A)와, 레버부(6C, 7C)를, 2부재로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레버부(60A, 70A)와,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 넣기 가능한 바깥쪽 레버부(61A, 71A)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 레버부(60A, 70A)는, 각 기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60A1, 70A1)을 가지는 반원형의 축통부(60A2, 70A2)와, 이 반원형의 축통부(60A2, 70A2)에 각각 설치되고, 선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60A3, 70A3)을 가지는 레버부(60A4, 70A4)를 구비 하고 있다.
바깥쪽 레버부(61A, 71A)는,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 넣기 가능하고, 기단 안쪽에 반원형의 구멍홈(61A1, 71A1)을 가지는 반원형의 축통부(61A2, 71A2)와 이 반원형의 축통부(61A2, 71A2)에 설치되고, 선단 안쪽에 반원형의 구멍홈(61A3, 71A3)을 가지는 레버부(61A4, 71A4)를 구비하고 있다. 바깥쪽 레버부(61A, 71A)는,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와 동일하게 주물로 제작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체(7D)로 각각 연결된 안쪽 레버부(70A)에, 위치 결정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 레버부(61A, 71A)를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차례로 끼워 넣어 조립함으로써, 조작 레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제 2 조작 레버(7)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조작 레버(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지지축(8)으로 연결한 후, 지지축(8)의 각 양쪽 끝에 축 지지부(9)를 설치하여, 개폐기(1)의 박스체(2)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버부(6C, 7C)를, 안쪽 레버부(60A, 70A)와,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 넣기 가능한 바깥쪽 레버부(61A, 71A)로 구성한 것에 의하여, 안쪽 레버부(60A, 70A)에서의 반원형의 축통부(60A2, 70A2)의 반 원형의 구멍홈(60Al, 70A1)의 내면과, 레버부(60A4, 70A4)에서의 선단측의 반원형의 구멍홈(60A3, 70A3)의 내면과의 기계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축통부(6A, 7A)와, 레버부(6C, 7C)를, 2부재로 구성하는 다른 예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형단면을 가지는 안쪽 레버부(61A, 71A)와, 이 안쪽 레버부(61A, 71A)의 바깥쪽에 끼워 넣기 가능하고, 기단 안쪽에 축통부와 이 축통부에 설치되어,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 레버부(61A, 71A)로 구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예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쪽 레버부(61A, 71A)의 바깥쪽에 끼워 넣어지는 바깥쪽 레버부(61A, 71A)에서의 축통부의 구멍 및 레버부의 선단측의 연결구멍의 내면 가공을, 더욱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6A) 및 각 축통부(7A)의 축방향 치수를, 두 갈래 형상의 레버부(6C) 및 레버부(7C)의 폭방향 치수와 동일하게 하였으나, 각 축통부(6A) 및 각 축통부(7A)의 축방향 치수를, 두 갈래 형상의 레버부(6C) 및 레버부(7C)의 폭방향 치수보다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면,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레버부(6C) 및 레버부(7C)를, 두 갈래 형상으로 하였으나, 하나의 레버로 하는 것 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에 위치 결정부재(6E, 7E)를 설치하였으나, 이것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축(8)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8에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당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레버(6)는, 간격을 가지고 병설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지지축이 삽입되는 구멍(6a)을 가지는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축통부(6A)와, 각 축통부(6A)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각 축통부(6A)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6B)을 가지는 레버부(6C)와, 레버부(6C)를 연결하도록 레버부(6C)의 측부 사이에 설치한 제 1 연결체(D)와, 한쪽 끝의 레버부(6C)의 측면에 설치한 회동 저지부재(16E)로 이루어져 있다. 즉 3개의 축통부(6A)가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볼록부(6g)를 형성하고, 2개의 제 1 연결체(6D)와 3개의 축통부(6A)가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2개의 오목부(6f)를 형성하고 있다. 또, 1개의 회동 저지부재(16E)는, 한쪽 끝의 레버부(6C)의 측면에 설치되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체(6D, 6D)의 축선방향으로 연신(延伸)하여 설치되는 직립부(16h)와, 이 직립부(16h)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혀형상(舌形狀)의 돌기부(16i)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16i)는, 뒤에서 설명하는 끼워 맞춰지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지지축 의 축심과 동심형상의 곡률을 가진 원호형상의 판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조작 레버(7)는, 상기한 제 1 조작 레버(6)와 동일한 구조이고, 제 1 조작 레버(6)의 축통부(6A)의 끝면 사이에 배치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지지축이 삽입되는 구멍(7a)을 가지는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축통부(7A)와, 각 축통부(7A)의 축선과 직교하도록 각 축통부(7A)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7B)을 가지는 레버부(7C)와, 레버부(7C)를 연결하도록 레버부(7C)의 측부 사이에 설치한 제 2 연결체(7D)와, 한쪽 끝의 레버부(7C)의 측면에 설치한 회동 저지부재(17E)로 이루어져 있다. 즉, 3개의 축통부(7A)가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볼록부(7g)를 형성하고, 2개의 제 1 연결체(7D)와 3개의 축통부(7A)가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2개의 오목부(7f)를 형성하고 있다. 또, 1개의 회동 저지부재(17E)는, 한쪽 끝의 레버부(7C)의 측면에 설치되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체(7D, 7D)의 축선방향으로 연신하여 설치되는 직립부(17h)와, 이 직립부(17h)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혀형상의 돌기부(17i)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17i)는, 뒤에서 설명하는 끼워 맞춰지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지지축의 축심과 동심형상의 곡률을 가진 원호형상의 판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그 기단부가 되는 각 축통부(6A)와 각 축통부(7A)가 교대로 끼워 넣어져 있고, 각 축통부(6A)의 구멍(6a)과 각 축통부(7A)의 구멍(7a)에 공통의 지지축(8)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조작장치의 조립순서를 도 17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동일한 구조인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를, 각 축통부(6A)와 각 축통부(7A)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 레버(7)를, 제 1 조작 레버(6)에 대하여, 반전시킨다.
다음에, 제 2 조작 레버(7)를, 제 1 조작 레버(6)측으로 이동시켜, 제 1 조작 레버(6)의 볼록부(6g)와 제 2 조작 레버(7)의 오목부(7f)를 도 17의 화살표방향으로 끼워 맞춘다. 이때,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7A)의 구멍(7a)이 제 1 조작 레버(6)의 각 축통부(6A)의 구멍(6a)에 일치하도록,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각 축통부(7A)를, 제 1 조작 레버(6)의 각 축통부(6A)에 끼워 맞춘다. 이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레버(6)의 축통부(6A) 및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각 구멍(6a, 7a)에, 지지축(8)을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지지축(8)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축(8)에 연결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8)의 각 양쪽 끝에 축 지지부(9)를 설치하여, 개폐기(1)의 박스체(2) 내에 배치한 후, 축 지지부(9)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2)의 바깥쪽으로부터 볼트(10)에 의하여 박스체(2)에 고정하면,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를, 박스체(2)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조작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박스체(2) 내에 설치한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축(11)에 의하여 주회로용 개폐기(4)의 조작 로드(4A)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조작 레버(7)의 레버부(7C)는, 핀축(12)에 의하여 접지 개폐기(5)의 조작 로드(5A)에 각각 연결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기의 조작에 따라, 각 상의 제 1 조작 레버(6) 및 각 상의 제 2 조작 레버(7)는, 각각 연동하고, 각 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 및 접지 개폐기(5)를 3상 일괄하여 개폐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0은, 각 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 및 접지 개폐기(5)가 모두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와 제 2 조작 레버(7)의 레버부(7C)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180도이다.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 저지부재(16E)의 돌기부(16i)는,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바깥 둘레에 간극을 가지고 위치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 2 조작 레버(7)의 회동 저지부재(17E)의 돌기부(17i)는, 제 1 조작 레버(6)의 축통부(6A)의 바깥 둘레에 간극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도 21은, 각 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가 폐쇄상태, 접지 개폐기(5)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와 제 2 조작 레버(7)의 레버부(7C)가 이루는 각도는, 180도 이상이 된다.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와 조작 로드(4A)를 밀어 내려, 주회로용 개폐기(4)에서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속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이 각도는, 주회로용 개폐기(4)를 구성하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갭에 따라 정하고, 구체적으로는, 이하 의 구성으로 실현하고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 저지부재(16E)의 돌기부(16i)의 선단이,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바깥 둘레에 맞닿는다. 이 결과, 회동 저지부재(16E)는, 접지 개폐기(5)를 구동하는 제 2 조작 레버(7)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한다. 또, 마찬가지로, 제 2 조작 레버(7)의 회동 저지부재(17E)의 돌기부(17i)의 선단은, 제 1 조작 레버(6)의 축통부(6A)의 바깥 둘레에 맞닿고, 접지 개폐기(5)를 구동하는 제 2 조작 레버(7)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한다. 이 결과, 이 상태로부터, 접지 개폐기(5)의 투입조작은 록된다.
또, 각 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가 개방상태, 접지 개폐기(5)가 폐쇄상태인 경우에서도,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 저지부재(16E)의 돌기부(16i)의 선단이,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바깥 둘레에 맞닿는다. 이 결과, 회동 저지부재(16E)는, 주회로용 개폐기(4)를 구동하는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을 저지한다. 또, 마찬가지로 제 2 조작 레버(7)의 회동 저지부재(17E)의 돌기부(17i)의 선단은, 제 1 조작 레버(6)의 축통부(6A)의 바깥 둘레에 맞닿고, 주회로용 개폐기(4)를 구동하는 제 1 조작 레버(6)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한다. 이 결과, 이 상태에서, 주회로용 개폐기(4)의 투입조작은 록된다.
여기서 회동 저지부재(16E)의 돌기부(16i)의 길이와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 각도와의 관계를 도 2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에서, l은 레버부(6C)의 길이로서, 연결구멍(6B) 중심과 구멍(6a) 사이 의 길이를 나타낸다. θ는,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 각도로서, 돌기부(16i)의 선단이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바깥 둘레에 맞닿을 때의 구멍(6a)의 중심 수선(垂線)으로부터의 회동 각도를 나타낸다. x는, 제 1 조작 레버(6)의 상하방향 이동거리로서, 개폐기(4)를 구성하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갭에 상당하는 길이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는 회동 저지부재의 동작에서, 회동 각도(θ)와 레버부재(6)의 상하방향 이동거리(x)는, 하기 관계식에 따라 회동 저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x = l × tanθ
즉, 사용하고 있는 개폐기(4)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갭에 의하여, x가 결정되고, 제 1 조작 레버(6)의 레버부(6C)의 길이(l)로부터, 회동 각도(θ)가 결정된다. 따라서, 제 1 조작 레버(6)가 이 회동 각도(θ)만큼 회동하였을 때에, 회동 저지부재(16E)의 돌기부(16i)의 선단이 제 2 조작 레버(7)의 축통부(7A)의 바깥 둘레에 맞닿는 길이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도 22에는, 제 1 조작 레버(6)의 회동 저지부재(16E)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 2 조작 레버(7)의 회동 저지부재(17E)에 대해서도, 동일한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개폐기(4, 5)를 구성하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갭에 따라, 각 조작 레버(6, 7)의 레버부(6C, 7C)의 회동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회동 저지부재(16E, 17E)에서의 돌기부(16i, 17i)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레버부(6C, 7C)의 회동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3상의 주회로용 개폐기(4)의 가동접점을 일괄 조작하는 제 1 조작 레버(6)와, 접지 개폐기(5)의 가동접점을 일괄 조작하는 제 2 조작 레버(7)와의 기단부를 교대로 병설하고, 각 조작 레버(6, 7)의 기단부를 하나의 공통 지지축(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한쪽의 조작 레버에, 다른쪽의 조작 레버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저지부재(16E, 17E)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개폐기의 자물쇠 잠금기구의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다. 이 결과, 구성 부품수를 저감화한 개폐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각 회동 저지부재(16E, 17E)에서의 혀형상의 돌기부(16i, 17i)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레버부(6C, 7C)의 회동 각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접점 간극을 가지는 개폐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작 비용, 및 부품점수를 저감한 개폐기의 조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동일 구조이고, 각각 동일 주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비용, 및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제 1 조작 레버(6) 및 제 2 조작 레버(7)를, 주물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함으로써, 변형이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하다.
도 23 내지 도 26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축통부(6A, 7A)와, 레버부(6C, 7C)를, 2부재로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레버부(60A, 70A)와,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 넣기 가능한 바깥쪽 레버부(61A, 71A)로 구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쪽 레버부(60A, 70A)는, 각 기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60A1, 70A1)을 가지는 반원형의 축통부(60A2, 70A2)와, 이 반원형 축통부(60A2, 70A2)에 각각 설치되고, 선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60A3, 70A3)을 가지는 레버부((60A4, 70A4)를 구비하고 있다.
바깥쪽 레버부(61A, 71A)는,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 넣기 가능하고, 기단 안쪽에 반원형의 구멍홈(60A1, 70A1)을 가지는 반원형의 축통부(61A2, 71A2)와 이 반원형의 축통부(61A2, 71A2)에 설치되고, 선단 안쪽에 반원형의 구멍홈(61A3, 71A3)을 가지는 레버부(61A4, 71A4)를 구비하고 있다. 바깥쪽 레버부(61A, 71A)는,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와 동일하게 주물로 제작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결체(7D)로 각각 연결된 안쪽 레버부(70A)에, 위치 결정하고,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 레버부(61A, 71A)를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차례로 끼워 넣어 조립함으로써, 조작 레버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6(a), 도 26(b)에는, 제 2 조작 레버(7)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조작 레버(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지지축(8)으로 연결한 후, 지지축(8)의 각 양쪽 끝에 축 지지부(9)를 설치하고, 개폐기(1)의 박스체(2) 내에 배치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버부(6C, 7C)를, 안쪽 레버부(60A, 70A)와, 안쪽 레버부(60A, 70A)의 바깥쪽에 각각 끼워 넣기 가능한 바깥쪽 레버부(61A, 71A)로 구성함으로써, 안쪽 레버부(60A, 70A)에서의 반원형의 축통부(60A2, 70A2)의 반원형의 구멍홈(60A1, 70A1)의 내면과, 레버부(60A4, 70A4)에서의 선단측의 반원형의 구멍홈(60A3, 70A3)의 내면과의 기계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 제 1 조작 레버(6)와 제 2 조작 레버(7)에서의 축통부(6A, 7A)와, 레버부(6C, 7C)를, 2부재로 구성하는 다른 예로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형 단면을 가지는 안쪽 레버부(61A, 71A)와, 이 안쪽 레버부(61A, 71A)의 바깥쪽에 끼워 넣기 가능하고, 기단 안쪽에 축통부와 이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 레버부(61A, 71A)로 구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예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쪽 레버부(61A, 71A)의 바깥쪽에 끼워 넣어지는 바깥쪽 레버부(61A, 71A)에서의 축통부의 구멍, 및 레버부의 선단측의 연결구멍의 내면 가공을, 더욱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회동 저지부재(16E, 17E)는, 각 조작 레버(6, 7)의 한쪽 끝의 레버부(6C, 7C)의 측면의 바깥쪽에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레버부(6C, 7C)의 측면의 안쪽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 회동 저지부재(16E, 17E)가, 각 조작 레버(6, 7)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1개의 회동 저지부재가 어느 1개의 조작 레버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회동 저지부재(16E, 17E)의 혀형상의 돌기부(16i, 17i)는, 끼워 맞춰지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구멍(6a)의 곡률을 가진 원호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원호형상의 판부재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판부재로 이루어지는 돌기부(16i, 17i)를 위쪽의 직립부(16h, 17h)와 대향하는 축통부의 아래쪽에 간극을 가지는 각도로, 대략 L자 형상으로 연결하여도 된다. 즉, 조작 레버부재가 소정 각도 회동하였을 때에 돌기부(16i, 17i)의 선단이, 대향하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에 맞닿으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구비한 개폐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III-I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IV-IV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IX-IX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X-X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레버부의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III-I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IV-IV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동작상태(개폐기 모두가 개방)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동작상태(한쪽의 개폐기가 폐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회동 저지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XII-X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25는 도 2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XIII-XI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개폐기의 조작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기 2 : 박스체
4 : 주회로용 개폐기 5 : 접지 개폐기
6 : 제 1 조작 레버 7 : 제 2 조작 레버
6A, 7A : 축통부 6B, 7B : 연결구멍
6C, 7C : 레버부 6D, 7D : 제 1 연결체
6E, 7E : 위치 결정부재 8 : 지지축

Claims (11)

  1. 개폐기의 접점을 개폐 조작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간격을 가지고 병설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조작 레버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1 연결체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조작 레버와,
    상기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2 연결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에 삽입한 공통의 지지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레버와 상기 제 1 연결체, 및 상기 제 2 조작 레버와 상기 제 2 연결체가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레버, 및 상기 제 2 조작 레버는,
    기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을 가지는 반원형의 축통부와 상기 반원형의 축통 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안쪽 레버부와,
    상기 안쪽 레버부의 바깥쪽에 끼워 넣기 가능하고, 기단 안쪽에 반원형의 구멍홈을 가지는 반원형의 축통부와 상기 반원형의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반원형의 구멍홈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 레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레버, 및 상기 제 2 조작 레버는,
    안쪽 레버부와,
    상기 안쪽 레버부의 바깥쪽에 끼워 넣기 가능하고, 기단측에 설치한 축통부와 상기 축통부에 설치되고,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 레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레버, 및 상기 제 2 조작레버에서의 최측단의 레버부의 측면에, 위치 결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 레버는, 조작 로드를 거쳐 개폐기의 가동접점에, 상기 제 2 조작 레버는, 조작 로드를 거쳐 접지 개폐기의 가동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7. 개폐기의 접점을 개폐 조작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간격을 가지고 병설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어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1 연결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조작 레버와,
    상기 제 1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 사이에 배치한 복수의 축통부와, 상기 각 축통부에 설치되어 선단측에 연결구멍을 가지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 사이에 설치한 제 2 연결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조작 레버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조작 레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조작 레버에서의 레버부의 회동에 응동(應動)하여 상기 제 2 또는 제 1 조작 레버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저지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 레버의 상기 축통부에 삽입한 공통의 지지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부재는, 상기 연결체의 축선방향으로 연신하여 설치되는 직립부와, 이 직립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부재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가 소정 각도 회동하였을 때에, 대향하는 상기 축통부의 바깥 둘레에 맞닿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부재의 상기 돌기부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상기 지지축의 축심과 동심형상의 곡률을 가진 원호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부재의 상기 돌기부는, 축통부의 바깥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위쪽의 직립부와 대향하는 상기 축통부의 아래쪽에 간극을 가지는 각도로, 대략 L자 형상으로 연결된 평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조작장치.
KR20090066285A 2008-07-22 2009-07-21 개폐기의 조작장치 KR101486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89051A JP4611408B2 (ja) 2008-07-22 2008-07-22 開閉器の操作装置
JPJP-P-2008-189051 2008-07-22
JPJP-P-2009-088991 2009-04-01
JP2009088991A JP5189544B2 (ja) 2009-04-01 2009-04-01 開閉器の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88A true KR20100010488A (ko) 2010-02-01
KR101486438B1 KR101486438B1 (ko) 2015-01-26

Family

ID=4117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66285A KR101486438B1 (ko) 2008-07-22 2009-07-21 개폐기의 조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148348B1 (ko)
KR (1) KR101486438B1 (ko)
HK (1) HK11378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4811A (en) * 2021-08-05 2024-05-29 Glove Ip Pty Ltd Glove, rigid guard structure for a glo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4524A (en) * 1970-02-09 1971-07-20 Gen Electric Vacuum-type electric circuit breaker
JPH0689646A (ja) 1992-09-10 1994-03-29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JPH1117629A (ja) * 1997-06-24 1999-01-22 Nec Corp 受信機の故障検出回路
JPH1140012A (ja) * 1997-07-15 1999-02-12 Toshiba Corp 開閉器の操作機構
JP4358698B2 (ja) * 2004-07-23 2009-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操作装置
JP4423598B2 (ja) * 2004-08-17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の単相モジュールおよび真空スイッチギヤ
ITBG20060051A1 (it) * 2006-10-06 2008-04-07 Abb Service S Rl Interruttore di bassa tensione con poli intercambiabili di tipo sigilla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4811A (en) * 2021-08-05 2024-05-29 Glove Ip Pty Ltd Glove, rigid guard structure for a glo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37851A1 (en) 2010-08-06
EP2148348B1 (en) 2014-04-23
EP2148348A1 (en) 2010-01-27
KR101486438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3498B1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transformer room of vacuum circuit breaker
WO2011015943A2 (en) Motor control center and subunit therefor
RU2510542C2 (ru) Смотровое окно и контактный вывод заземления дл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системы
US20180122590A1 (en) Switch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and gas insulated switching device
KR20100010488A (ko) 개폐기의 조작장치
US20040070473A1 (en) Low -voltage power switch with a bearing arrangement for a switch shaft
US8803012B2 (en) High-voltage assembly
CN106960740B (zh) 具有悬浮式活动触头组件的开关装置
EP1138992B1 (en) Motor operated butterfly valve arrangement
ZA200505224B (en) Earthing switch
CN103247463B (zh) 用于电气开关设备的开关单元
RU2423264C1 (ru) Привод двигательный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CN1270402A (zh) 用于开关设备,特别是中压开关设备的接地开关的操作装置
JP4611408B2 (ja) 開閉器の操作装置
TWI469175B (zh) The operating device of the switch
ES2929357T3 (es) Conjunto de interruptor
CN114382920A (zh) 用于汽车的冷却剂循环的阀控制装置
CN102460627B (zh) 用于具有三个断路点的开关电器设备的驱动机构
US10337215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5358513B2 (ja) スイッチギヤ
WO2019183744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s including switch devices and lock assemblies
CN102456517B (zh) 电气开关设备及用于该电气开关设备的轴组件
KR100746722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WO2020069585A1 (pt) Módulo auxiliar para contator eletromagnético
FI80357C (fi) Manoeverdon foer kopplingsanord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