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71U - 에어 타카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타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71U
KR20100010271U KR2020090004239U KR20090004239U KR20100010271U KR 20100010271 U KR20100010271 U KR 20100010271U KR 2020090004239 U KR2020090004239 U KR 2020090004239U KR 20090004239 U KR20090004239 U KR 20090004239U KR 20100010271 U KR20100010271 U KR 201000102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aple
taka
air tak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한종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271U/ko
Publication of KR20100010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8Stapl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3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26Stapling machines without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4Driving means oper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타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창유니트(66)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을 스태플검출센서(54)가 자동 검출하여 제어부(55)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5)는 스태플검출센서(54)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53)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게 되며, 아울러 스태플(63)의 보충 작업을 위한 에어 타카(60)의 구동 종료 및 스태플(63) 보충 완료 후 재 구동이 모두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스태플(63)의 미발사로 인한 불량제품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에어 타카, 스태플, 센서

Description

에어 타카 장치{Air tacker apparatus}
본 고안은 에어 타카의 탄창유니트내에 존재하는 스태플의 잔량을 검출하여 스태플의 보충시점을 작업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기 위한 에어 타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타카(air tacker)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스태플(staple, 또는 못)을 고속으로 발사하는 공구이며, 상기 에어 타카에서 발사된 스태플에 의해 2개 이상의 부품은 서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에어 타카는 내외장 인테리어 작업이나 알루미늄 섀시의 작업 및 특히 자동차 부품간의 조립시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에어 타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와 피스톤이 내부에 구비되고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포트(11a)를 구비한 몸체(11)와, 상기 에어 타카(1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몸체(11)에 구비된 방아쇠(12)와, 다수개의 스태플을 일렬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방아쇠(12)의 작동시 스태플을 한 단계씩 상승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스프링과 받침판을 구비한 탄창유니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에어 타카(10)는 작업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조립대상에 해당하는 부품의 외형이 크거나 또는 다수 군데의 위치에 조립작업을 한 번에 행하는 경우 등에는 다수개의 에어 타카(10)를 도 2와 같이 에어 타카 장치(20)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타카 장치(20)에는 제품(1)이 안착 고정되는 제품다이(21)와, 다수개의 에어 타카(10)가 고정 설치되는 에어 타카 블록(22)과, 상기 에어 타카 블록(22)이 동작(전후좌우 및 승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3)와, 상기 구동부(2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4)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에어 타카 블록(22)에는 에어 타카(10)의 방아쇠(12)를 동작시킬 수 있는 방아쇠 작동기(미도시)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 타카 장치(20)는 에어 타카(10)의 동작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에어 타카(10)의 동작횟수를 카운트(count)하여 상기 제어부(24)로 신호를 보내는 카운터(25)와, 상기 에어 타카(10)의 동작횟수가 상기 카운터(25)에 의해 설정된 횟수와 일치할 경우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경고음발생기(26) 및 경고등(27)을 함께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에어 타카(10)의 탄창유니트(13)에 장전된 스태플의 개수만큼 카운터(25)의 횟수를 설정하고, 제어부(24)를 수동 조작하여 구동부(23)를 통해 에어 타카 블록(22)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 타카 블록(22)의 동작으로 인해 에어 타카(10)가 1회씩 동작하면, 상기 에어 타카(10)의 동작 횟수를 카운터(25)가 카운트하여 제어부(24)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에어 타카(10)의 동작횟수가 상기 카운터(25)에 의해 설정된 횟수와 일치할 경우 제어신호를 보내 경고음발생기(26)와 경고등(27)을 함께 동작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이를 통해 스태플의 보충시점을 알 수 있게 된다.
경고음발생기(26) 및 경고등(27)이 동작하면 작업자는 제어부(24)를 수동 조작하여 구동부(23)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에어 타카(10)의 탄창유니트(13)로 스태플을 보충하며, 상기 탄창유니트(13)에 보충된 스태플의 개수만큼 상기 카운터(25)의 횟수를 재 설정한 다음, 상기 제어부(24)를 재차 수동 조작하여 구동부(23)를 동작시킴으로써 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 타카 장치는, 어에 타카(10)의 동작횟수가 카운터(25)의 설정횟수에 의해 결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로 카운터(25)의 횟수가 잘못 설정되면, 어에 타카(10)의 동작횟수 제어가 틀려지게 되며, 이럴 경우 에어 타카(10)가 동작하더라도 스태플이 발사되지 않음으로 인해 불량제품이 생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에어 타카(10)의 탄창유니트(13)로 스태플을 보충하는 작업시, 상기 에어 타카(10)의 구동 종료 및 스태플 보충 완료 후 재 구동이 모두 작업자의 제어부(24) 조작에 따른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 저하 및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 타카의 탄창유니트내에 존재하는 스태플의 잔량을 검출하여 스태플이 없을 경우 에어 타카의 구동을 자동 종료하고, 스태플의 보충 완료 후에는 일정시간 경과 후 에어 타카의 구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태플의 미발사로 인한 불량제품의 생산방지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타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에어 타카 장치는, 에어 타카의 탄창유니트내에 존재하는 스태플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에어 타카 블록에 구비된 스태플검출센서와; 상기 에어 타카 블록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스태플검출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타카 장치는, 탄창유니트에 존재하는 스태플의 잔량을 스태플검출센서가 자동 검출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는 스태플검출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게 되며, 아울러 스태플의 보충 작업을 위한 에어 타카의 구동 종료 및 스태플 보충 완료 후 재 구동이 모두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스태플의 미발사로 인한 불량제품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타커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타커 장치에 설치되는 에어 타커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타커 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1)이 안착 고정되는 제품다이(51)와, 다수개의 에어 타카(60)가 고정 설치되는 에어 타카 블록(52)과,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이 동작(전후좌우 및 승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3)와, 상기 에어 타카(10)의 탄창유니트(13)내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 구비된 스태플검출센서(54)와,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5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제어부(55)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고음발생기(56) 및 경고등(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는 상기 에어 타카(60)의 작동을 위한 방아쇠 작동기(미도시)가 함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 고정 설치된 상기 에어 타카(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와 피스톤이 내부에 구비되고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포트(61a)를 구비한 몸체(61)와, 상기 에어 타카(6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몸체(61)에 구비된 방아쇠(62)와, 다수개의 스태플(63)을 일렬로 수납하여 보 관할 수 있고 상기 방아쇠(62)의 작동시 상기 스태플(63)을 한 단계씩 상승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스프링(64)과 받침판(65)을 구비한 탄창유니트(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는 다수개의 에어 타카(60)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타카(60)마다 한 개씩의 탄창유니트(66)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는 모든 탄창유니트(66)의 스태플(63)을 각각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한 구성이기는 하나, 이럴 경우 탄창유니트(66)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스태플검출센서(54)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한 개의 스태플검출센서(54)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 설치된 다수개의 에어 타카(60) 중 어느 한 개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내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하였다.
즉, 에어 타카 블록(52)에 다수개의 에어 타카(60)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스태플(63)의 보충은 에어 타카(60) 한 개씩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에어 타카(60)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 설치된 모든 에어 타카(60)는 스태플(63)의 개수가 서로 동일한 개수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한 개의 스태플검출센서(54)를 이용하여 한 개의 탄창유니트(66)내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만을 검출하더라도, 다른 에어 타카(60)의 스태플(63)의 잔량도 모두 동일한 개수이기 때문에, 본 고안은 원가절감의 차원에서 한 개의 스태플검출센서(54)만을 이용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의 검출대상이 되는 어느 한 개의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에는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가 스태플(63)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홀(66a)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타카(10)를 최초로 작동시키기 전에 에어 타카 블록(52)에 설치된 모든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를 개방하여 동일한 개수로 스태플(63)을 최대한 장전한다.
한편, 스태플(63)이 탄창유니트(66)내에 충분히 장전된 상태가 되면, 상기 탄창유니트(66)에 형성된 센서홀(66a)은 상기 스태플(63)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되므로, 스태플검출센서(54)의 빛은 상기 센서홀(66a)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가 되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의 오프(OFF) 상태는 상기 탄창유니트(66)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이 한 개씩 줄어들어서 센서홀(66a)이 도 6과 같이 받침판(65)에 의해서도 가려진 상태를 벗어나게 되면, 이때부터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는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스태플(63)의 장전이 완료되고 나면 작업자는 제어부(55)를 조작하여 구동부(53)를 초기 구동시키게 되고, 이때부터 에어 타카 블록(52)은 상기 구동부(53)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을 시작하게 되며, 에어 타카(60)는 제품다이(51)에 안착된 제품(1)으로 스태플(63)을 한 개씩 발사하게 된다.
에어 타카(60)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탄창유니트(66)에 존재하는 스태 플(63)이 한 개씩 줄어들어서 도 6과 같이 센서홀(66a)이 받침판(65)에 의해서도 가려진 상태를 벗어나게 되면, 이때부터 스태플검출센서(54)는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이때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55)는 구동부(53)의 동작을 자동 종료시키고, 동시에 제어신호를 보내 경고음발생기(56)와 경고등(57)을 함께 동작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이를 통해 스태플(63)의 보충시점을 알 수 있게 된다.
구동부(53)의 동작이 종료되면 에어 타카 블록(52) 및 에어 타카(60)의 작동도 함께 종료되므로, 작업자는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를 개방한 후 새로운 스태플(63)를 보충시키게 된다.
이때, 스태플(63)의 보충은 에어 타카 블록(52)에 설치된 모든 에어 타카(60)에 동시에 적용되며, 보충되는 스태플(63)의 개수도 모든 에어 타카(60)에 동일한 개수로 보충된다.
스태플(63)의 보충 후 개방하였던 탄창유니트(66)를 다시 밀폐시키게 되면, 도 6과 같이 개방 상태에 있던 센서홀(66a)은 도 5와 같이 다시 스태플(63)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되며, 이때부터 스태플검출센서(54)는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스태플검출센서(54)가 오프(OFF) 상태로 다시 전환되면, 일정시간 경과후 제어부(55)의 제어에 의해 구동을 멈추었던 구동부(53)는 다시 구동하게 되고, 동시에 동작하고 있던 경고음발생기(56)와 경고등(57)은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구동부(53)가 다시 구동을 하면, 에어 타카 블록(52)은 상기 구동부(53)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고, 이와 동시에 에어 타카(60)는 제품다이(51)에 안착된 제품(1)으로 스태플(63)을 다시 한 개씩 발사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에어 타카 장치(50)의 동작은 작업자가 제어부(55)를 조작하여 구동부(53)의 동작을 수동으로 멈출 때까지 상기의 동작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타카 장치는, 탄창유니트(66)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을 스태플검출센서(54)가 자동 검출하여 제어부(55)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5)는 스태플검출센서(54)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53)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카운터(counter)를 사용하던 종래의 장치에서 발생하던 불량제품 생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로 스태플(63)을 보충하는 작업시, 상기 에어 타카(60)의 구동 종료 및 스태플(63) 보충 완료 후 재 구동이 모두 자동으로 진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타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에어 타카가 설치되는 종래의 에어 타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타커 장치의 도면,
도 4는 도 3의 에어 타커 장치에 설치되는 에어 타커의 도면,
도 5와 도 6은 에어 타커의 탄창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에어 타카 장치 52 - 에어 타카 블록
53 - 구동부 54 - 스태플검출센서
55 - 제어부 56 - 경고음발생기
57 - 경고등 60 - 에어 타카
63 - 스태플 66 - 탄창유니트
66a - 센서홀

Claims (4)

  1.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내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에어 타카 블록(52)에 구비된 스태플검출센서(54)와;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3)와;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53)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제어부(55);
    를 포함하는 에어 타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5)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는 경고음발생기(56) 및 경고등(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타카 블록(52)에는 다수개의 에어 타카(60)가 구비되고;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는 다수개의 상기 에어 타카(60) 중 어느 한 개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내에 존재하는 스태플(63)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개 에어 타카(60)의 탄창유니트(66)에는 상기 스태플검출센서(54)가 스태플(63)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홀(66a)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 장치.
KR2020090004239U 2009-04-10 2009-04-10 에어 타카 장치 KR201000102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239U KR20100010271U (ko) 2009-04-10 2009-04-10 에어 타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239U KR20100010271U (ko) 2009-04-10 2009-04-10 에어 타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71U true KR20100010271U (ko) 2010-10-20

Family

ID=4420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239U KR20100010271U (ko) 2009-04-10 2009-04-10 에어 타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2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97A (ko) * 2014-08-22 2016-03-03 권귀숙 타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97A (ko) * 2014-08-22 2016-03-03 권귀숙 타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3531B1 (en) Driving tool for driving fastening means into a workpiece
JP6802934B2 (ja) ドライバマシン
ES2471455T3 (es) Método y sistema para fabricar un artículo utilizando herramientas de mano portátiles
US10272553B2 (en) Driving tool
JP6690710B2 (ja) 打込機
CN110997242A (zh) 打入机
CN110545960B (zh) 电动装订装置
US10442065B2 (en) Stud miss indicator for fastener driving tool
US2498503A (en) Nail driving apparatus
KR20100010271U (ko) 에어 타카 장치
JP2010012580A (ja) 釘打機およびその釘射出方法
JP2013233609A (ja) 打ち込み工具
JP4481229B2 (ja) 固着具打込装置
JPH01115579A (ja) 打込機
CA2810976C (en) Hand-held 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hand-held work apparatus
CN104647139B (zh) 监测容纳在机床刀具中机加工刀具破损的监测装置和方法
KR101861762B1 (ko) 충전식 타카장치
JP4434848B2 (ja) 打込力切換え可能な固着具打込装置
WO2021220703A1 (ja) 作業機
JP2008114356A (ja) エアードライバーの釘保有状態の検出方法
KR101952751B1 (ko) 격발 제한기능이 구비된 충전식 타카장치
JP2018199188A (ja) 有頭部品の供給組立装置
JP2017170530A (ja) 打込機
KR20210084134A (ko) 안전성이 향상된 타카
JP2021160007A (ja) 打込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