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07A - 원료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원료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07A
KR20100010207A KR1020080071093A KR20080071093A KR20100010207A KR 20100010207 A KR20100010207 A KR 20100010207A KR 1020080071093 A KR1020080071093 A KR 1020080071093A KR 20080071093 A KR20080071093 A KR 20080071093A KR 20100010207 A KR20100010207 A KR 20100010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unit
drying
duct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자
Original Assignee
이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자 filed Critical 이명자
Priority to KR102008007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207A/ko
Publication of KR2010001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10); 상기 원료저장호퍼(10)로부터 낙하된 원료를 축 회전되는 스크류컨베이어(21)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선, 후단부에 각각 원료투입구(20a) 및 원료배출구(20b)가 마련된 원료압축이송부(20); 상기 원료압축이송부(2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를 넘겨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30); 및 상기 건조부(30)를 통해 건조된 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압축이송부(20)와 건조부(30) 사이에 압축된 원료를 분산시켜주기 위한 분산부(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원료압축이송부를 거치는 동안 압축된 원료를 건조부로 넘어가기 전 단계에서 낱알 상태로 분산시켜 건조부로 넘겨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건조가 신속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원료건조장치, 원료압축이송부, 분산부, 회전축, 날개

Description

원료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of materials}
본 발명은 원료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압축이송부를 거치는 동안 압축된 원료를 건조부로 넘어가기 전 단계에서 낱알 상태로 분산시켜 건조부로 넘겨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건조가 신속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원료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건조장치라 함은 젖은 것을 탈수한 후 온풍(溫風)으로 건조하는 장치를 말하며, 가스를 열원(熱源)으로 한 업무용도 있으나 가정용으로는 전기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공업적인 건조장치는 형태, 크기, 부착성, 열민감성(熱敏感性) 등 대상재료의 성질과 상태가 매우 다양하므로 건조기도 또한 성질ㅇ 상태에 맞게 많은 종류가 개발ㅇ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통기(通氣)건조기는 철망이나 다공판(多孔板) 위의 입자, 또는 소형재료(小形材料)의 퇴적층 속을 상하로 관통하여 열풍을 강제로 통기시키는 형식을 말한다.
회전건조기는 안쪽에 재료를 끌어 올리는 날개가 많이 달리고 완만하게 경사 진 긴 회전원통 안에 재료와 열풍이 향류(向流) 또는 병류(竝流)로 공급되어, 재료는 끌어올려져 날개판 위에서 커튼 모양으로 낙하하면서 열풍과의 접촉을 되풀이하는 동시에 원통의 경사진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여 건조하는 형식으로서, 주로 가루 모양이나 조각 모양의 재료에 적합하다.
기류건조기는 수직관 안을 10∼30㎧의 고속으로 흐르는 열가스 속에 분말재료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순식간에 분산부유(分散浮游)시켜 공기로 보내는 사이에 급속도로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분쇄건조기는 미립자 모양의 재료를 함유한 액체방울을 열풍 속으로 분무분산(噴霧分散)시켜서 단숨에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진공건조기는 압력을 줄임으로써 재료가 지닌 액체의 끓는점을 낮추어 저온유지를 하여 액체를 휘산(揮散)시키는 장치이다.
동결건조기는 재료를 동결(凍結)시키고 진공 속에서 어는점 이하의 온도로서 수분을 승화건조(昇華乾燥)시켜 다공질(多孔質)의 건조제품을 얻는 장치이다.
터널건조기는 터널형 건조실의 한 쪽 끝에서 연속, 반연속적으로 재료를 대차(臺車)에 싣거나 천정을 지나는 레일에 매달아 보내어 다른 한쪽 끝에서 건조제품을 꺼내는 방식이다. 재료와 효율성 있게 접촉하도록 열풍순환이 이루어지고, 성형품, 낱장으로 된 재료, 테실 등의 건조에 사용되며, 특히 재료가 밴드 위에 실려 이동하는 형식의 것을 밴드건조기라 한다.
적외선건조기는 도포막(塗布膜), 인쇄잉크, 도료(塗料) 등의 얇은 막의 건조, 인화(印劃)에 이용되는 것으로 원(遠)적외선 방사가열로 건조하는 형식이다.
이 밖에 외주벽(外周壁)에 가열용 재킷이 있는 홈형[溝型(구형)], 원통형 용기 안에 입분체(粒粉體)재료를 넣고 회전날개로 재료층을 뒤섞으면서 주벽으로부터의 전도가열(傳導加熱)로 건조시키는 교반(攪拌)건조기와, 안쪽에서 수증기로 가열되는 회전원통의 외표면에 페이스트 모양의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부착시켜서 전도가열로 건조시키고, 건조물은 연속적으로 칼끝으로 떼어내는 드럼건조기 및 마이크로파(고주파)에 의한 유전가열(誘電加熱)의 원리를 응용한 마이크로파 건조기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대응되는 종래 기술의 원료건조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10)와, 이 원료저장호퍼(10)로부터 낙하된 원료를 축 회전되는 스크류컨베이어(21)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선, 후단부에 각각 원료투입구(20a) 및 원료배출구(20b)가 마련된 원료압축이송부(20)와, 이 원료압축이송부(2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를 넘겨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30) 및 이 건조부(30)를 통해 건조된 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원료건조장치는 원료저장호퍼(10)의 원료를 원료압축이송부(20)를 통해 건조부(30)로 이송시킨 후 건조부(30)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수집부(40)에서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원료건조장치는 원료압축이송부를 거치는 동안 압축된 원료가 그대로 건조부로 넘어가서 압축된 상태, 즉 원료가 서로 엉켜 붙어 덩어리 진 상태로 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원료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원료압축이송부를 거치는 동안 압축된 원료를 건조부로 넘어가기 전 단계에서 낱알 상태로 분산시켜 건조부로 넘겨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건조가 신속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원료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료건조장치는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 상기 원료저장호퍼로부터 낙하된 원료를 축 회전되는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선, 후단부에 각각 원료투입구 및 원료배출구가 마련된 원료압축이송부; 상기 원료압축이송부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를 넘겨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를 통해 건조된 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압축이송부와 건조부 사이에 압축된 원료를 분산시켜주기 위한 분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원료압축이송부의 원료배출구와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의 건조부로 연장되 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고 낙하하는 압축된 원료를 타격하여 분산시키는 분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기는, 상기 덕트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고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양단부를 덮어씌우되 이 회전축의 양단부가 다시 외부를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감싸 축 회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의 양단부로 노출된 회전축과 이 지지브래킷 사이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회전되는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사각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기 날개는 덕트의 내측면에 밀접되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을 이루고 복수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원료건조장치는 원료압축이송부를 거치는 동안 압축된 원료를 건조부로 넘어가기 전 단계에서 낱알 상태로 분산시켜 건조부로 넘겨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건조가 신속하고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건조장치는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10)와, 이 원료저장호퍼(10)로부터 낙하된 원료를 축 회전되는 스크류컨베이어(21)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선, 후단부에 각각 원료투입구(20a) 및 원료배출구(20b)가 마련된 원료압축이송부(20)와, 이 원료압축이송부(2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를 넘겨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30)와, 이 건조부(30)를 통해 건조된 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40) 및 상기 원료압축이송부(20)와 건조부(30) 사이에 압축된 원료를 분산시켜주기 위한 분산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분산부(50)는 원료압축이송부(20)의 원료배출구(20b)와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의 건조부(30)로 연장되는 덕트(52) 및 이 덕트(52) 내에 배치되고 낙하하는 압축된 원료를 타격하여 분산시키는 분산기(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52)는 사각관체 형상으로 되되, 일측 벽면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분산기(54)를 덕트(52) 내에 설치한 후 열려 있는 일측면에 별도의 벽체를 용접 등으로 접착하여 덕트(52) 본체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산기(54)는 덕트(52)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고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는 회전축(54a)과, 상기 덕트(52)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54a)의 양단부를 덮어씌우되 이 회전축(54a)의 양단부가 다시 외부를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감싸 축 회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54b)과, 이 지지브래킷(54b)의 양단부로 노출된 회전축(54a)과 이 지지브래킷(54b) 사이에 장착되는 베어링(54c) 및 상기 회전축(54c)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회전되는 날개(5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산기(54)의 날개(54d)는 사각관체 형상의 덕트(52) 내측면에 밀접되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54d)는 회전축(54a)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을 이루고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54a)은 일단부에 스프로켓(56)을 마련하여 스크류컨베이어(21)의 스프로켓(21a)과 체인(58)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료건조장치는 원료저장호퍼(10)의 원료가 원료투입구(20a)를 통해 원료압축이송부(20)로 낙하 투입되고 스크류컨베이어(21)에 의해 스크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원료가 계속해서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며 원료배출구(20b)에 도달할 쯤에는 압축된 원료가 소정의 덩어리 상태가 된다.
이렇게 덩어리 상태로 압축된 원료는 원료배출구(20b)에서 다시 하방의 건조부(20)로 낙하하여 건조부(20)로 전달되는데, 이때, 원료배출구(20b)를 통해 낙하되는 압축된 원료는 분산부(50)의 덕트(52)를 통해 낙하되는 동안 축 회전되는 분산기(54)의 날개(54d)에 의해 가격되면서 미립자의 알갱이로 분산된 후 건조부(30)로 낙하되어 건조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조부(30)에서 건조가 완료된 원료는 최종적으로 수집부(40)에서 수집이 이루어지게 되어 본 발명의 원료건조장치에 의한 원료의 건조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료건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건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건조장치 중 분산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건조장치 중 분산부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건조장치 중 분산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료저장호퍼 20 : 원료압축이송부
20a : 원료투입구 20b : 원료배출구
21 : 스크류컨베이어 21a : 스프로켓
30 : 건조부 40 : 수집부
50 : 분산부 52 : 덕트
54 : 분산기 54a : 회전축
54b : 지지브래킷 54c : 베어링
54d : 날개 56 : 스프로켓
58 : 체인

Claims (5)

  1.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10);
    상기 원료저장호퍼(10)로부터 낙하된 원료를 축 회전되는 스크류컨베이어(21)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선, 후단부에 각각 원료투입구(20a) 및 원료배출구(20b)가 마련된 원료압축이송부(20);
    상기 원료압축이송부(20)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를 넘겨받아 건조시키는 건조부(30); 및
    상기 건조부(30)를 통해 건조된 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료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압축이송부(20)와 건조부(30) 사이에 압축된 원료를 분산시켜주기 위한 분산부(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50)는,
    상기 원료압축이송부(20)의 원료배출구(20b)와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하방의 건조부(30)로 연장되는 덕트(52); 및
    상기 덕트(52) 내에 배치되고 낙하하는 압축된 원료를 타격하여 분산시키는 분산기(5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기(54)는,
    상기 덕트(52)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고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되는 회전축(54a);
    상기 덕트(52)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54a)의 양단부를 덮어씌우되 이 회전축(54a)의 양단부가 다시 외부를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감싸 축 회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54b);
    상기 지지브래킷(54b)의 양단부로 노출된 회전축(54a)과 이 지지브래킷(54b) 사이에 장착되는 베어링(54c); 및
    상기 회전축(54c)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회전되는 날개(54d);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52)는 사각관체 형상으로 되고, 상기 날개(54d)는 덕트(52)의 내측면에 밀접되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54d)는 회전축(54a)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을 이루고 복수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건조장치.
KR1020080071093A 2008-07-22 2008-07-22 원료건조장치 KR20100010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93A KR20100010207A (ko) 2008-07-22 2008-07-22 원료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93A KR20100010207A (ko) 2008-07-22 2008-07-22 원료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07A true KR20100010207A (ko) 2010-02-01

Family

ID=4208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093A KR20100010207A (ko) 2008-07-22 2008-07-22 원료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2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564B1 (ko) * 2014-06-17 2015-03-02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
WO2015194855A1 (ko) * 2014-06-17 2015-12-2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의 고른 건조를 위한 분산 및 평탄화 장치
CN108955202A (zh) * 2018-06-01 2018-12-07 苏州盛迪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颜料的烘干装置及烘干方法
CN115808070A (zh) * 2022-12-29 2023-03-17 联合优发生物质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高效生物质颗粒干燥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564B1 (ko) * 2014-06-17 2015-03-02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
WO2015194855A1 (ko) * 2014-06-17 2015-12-2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의 고른 건조를 위한 분산 및 평탄화 장치
CN106459769A (zh) * 2014-06-17 2017-02-22 韩国技术有限公司 利用再热蒸汽的煤炭干燥装置中的用于使移送煤炭均匀干燥的分散及整平装置
AU2015278419B2 (en) * 2014-06-17 2017-11-30 Hankook Technology Inc. Spread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ly drying transferred coal in coal drying apparatus using reheat steam
CN108955202A (zh) * 2018-06-01 2018-12-07 苏州盛迪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颜料的烘干装置及烘干方法
CN115808070A (zh) * 2022-12-29 2023-03-17 联合优发生物质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高效生物质颗粒干燥机
CN115808070B (zh) * 2022-12-29 2023-10-03 联合优发生物质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高效生物质颗粒干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2265B (zh) 平桨式干燥机及平桨式干燥方法
KR20100010207A (ko) 원료건조장치
CN105258480B (zh) 一种高效连续真空微波干燥机
CN108020061A (zh) 一种节能型香菇粉碎干燥装置
CN107062846A (zh) 一种种子烘干装置
KR102662221B1 (ko) 다중-건조 챔버가 있는 회전식 건조기
KR101541039B1 (ko) 스크류 이송식 열풍건조기
CN110537572A (zh) 一种食品加工干燥处理装置
CN102767940A (zh) 带式干燥机
CN210180080U (zh) 一种高效红薯片烘干机
RU752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зерна
CN102466398A (zh) 带有热风循环系统的单级带式干燥机
CN104400932B (zh) Pet瓶片或薄膜的烘干装置
CN209558780U (zh) 一种适用于硅藻土的带式干燥机
CN113267059A (zh) 煤粉分隔轮清理方法
CN203203861U (zh) 一种用微波烘干铁矿石原矿的装置
CN102466397A (zh) 带有热风循环系统的多级带式干燥机
CN201403466Y (zh) 粮食干燥装置
CN107348359B (zh) 一种大米的加工方法
CN207006796U (zh) 一种过滤网烘干机
CN214371603U (zh) 一种具有研磨功能的干燥设备
CN206399132U (zh) 一种水热法合成钴镍纳米粉体的干燥装置
CN210382455U (zh) 一种双重处理粮食加工干燥装置
CN219713885U (zh) 高效滚筒刮板干燥机
CN219028098U (zh) 一种干燥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