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152A - 구조물용 빔 - Google Patents

구조물용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152A
KR20100010152A KR1020080071014A KR20080071014A KR20100010152A KR 20100010152 A KR20100010152 A KR 20100010152A KR 1020080071014 A KR1020080071014 A KR 1020080071014A KR 20080071014 A KR20080071014 A KR 20080071014A KR 20100010152 A KR20100010152 A KR 2010001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upper flange
flange
plate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914B1 (ko
Inventor
도병호
강호순
Original Assignee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구조물용 빔이 개시된다. 구조물용 빔은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보다 짧게 형성된다. 구조물용 빔은 상기 웹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웹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끝단 플래이트; 및 상기 끝단 플래이트의 상기 웹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물용 빔은 종래에 비해 훨씬 경제적으로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접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구조물용 빔

Description

구조물용 빔{BEAM FOR USING IN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용 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사용되어 힘을 받는 용도인 빔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기둥, 보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둥 및 보에는 다양한 구조물용 빔이 사용되고 있다. 구조물용 빔은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 이름이 붙여지며, 다양한 단면 형상의 빔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물용 빔은 단면의 형상이 'H' 혹은 'I' 형상인 빔(이하, 'H빔')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H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H빔은 상하에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이들 플랜지(10) 사이에 웹(20)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H빔의 길이방향 하중(L) 지지능력(정확하게는 굽힘하중)은 단면의 춤(H)의 크기가 커질수록 커지며, 플랜지(10)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커진다. 웹은 굽힘하중 지지능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웹(20)의 두께는 가능한 얇게 형성하며, 춤(H)의 크기를 크게하며, 플랜지(1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으로 굽힘 하중 지지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웹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거나, 웹의 두께에 비해서 춤(H)의 높이가 너무 높아질 경우, 플랜지(10) 사이의 압축력, 즉, 플랜지와 플랜지를 마주보며 압축하는 하중(정확하게는 웹에서 편심된 하중)에는 취약하게 되어 파괴가 일어난다. 따라서, 춤(H)의 높이에 비해 웹의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형상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굽힘하중을 최대로 받을 수 있으면서, 웹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용 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웹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웹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끝단 플래이트; 및 상기 끝단 플래이트의 상기 웹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끝단 플래이트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드용 접합 플레이트는 상기 웹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끝단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중 적 어도 어느 하나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되며, 주름진 상기 웹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래이트; 및 상기 측면 플래이트의 상기 웹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중앙부용 접합 플래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플래이트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 플래이트는 주름진 상기 웹의 마루와 마루에 접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물용 빔은 종래에 비해 훨씬 경제적으로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접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끝단 접합부 및 중간 접합부를 구비하여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용 빔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용 빔(100)은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상부 플랜지(110)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120)과,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120)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하부 플랜지(130)는 종래의 구조용 빔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웹(120)은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30)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웹(120)이 골 및 마루(120a)와 골과 마루를 연결하는 연결부(120b)로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의 구조용 빔(100)은 실제로 동일한 휨 강도을 구비하면서도, 단위 중량이 일반 보에 대비하여 44,7%나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제1 실시예와 같이 형성된 구조용 빔은 최소의 중량으로 최대의 굽힘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도 4와 같이 빔(100)으로 사용되었을 때, 기둥(50)과의 접합(A) 혹은 서브 빔(60)과의 접합하는 부위(B)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용 빔이 설치된 평면도로서,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조용 빔은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상부 플랜지(110)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120)과,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120)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1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하부 플랜지(130)는 종래의 구조용 빔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웹(120)은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30)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웹(120)은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30) 보다 짧게 형성된다. 짧게 형성된 상기 웹(120)의 끝단에는 기둥(50)과 결합을 위한 끝단 결합부(200)가 형성된다.
끝단 결합부(200)는 상기 웹(120)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웹(12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30)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끝단 플래이트(210) 및 상기 끝단 플래이트(210)의 상기 웹(120)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용 접합 플레이트(220)는 상기 웹(120)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끝단 플레이트(210) 또한 상기 웹(120)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끝단 플레이트(210)는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고정되어야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30) 및 웹(120)에 모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220)는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20)의 중심선(CL)과 일치하도록 끝단 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220)는 기둥 접합 플레이트(51)와 볼트(52)에 의해 체결된다.
본 발명의 구조용 빔(100)의 경우 웹(120)이 주름져 있어, 구조용 빔(120)의 끝단에서 웹(120)이 플랜지(110, 130)의 센터에 위치하기가 힘들다(센터에 위치할 경우 경사져 있음) 따라서, 보통의 H빔과 접합을 위해서 기둥(50)에 형성된 기둥 접합 플레이트(51)에 웹(120)이 직접 결합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비록 기둥(50)에 결합되는 접합 플레이트(51)를 편심되게 설치한다 하더라도, 편심된 하중이 기둥(50) 및 구조용 빔(100)에 가해지는 경우, 구조가 매우 취약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220) 및 끝단 플래이트(210)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끝단 플래이트(210) 및 접합 플래이트(220)는 얇은 웹(120)을 보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7은 도 4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이다.
구조용 빔에 서브용 빔(60)이 접합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다른 중간접합부(300)가 필요하다.
중간 접합부(300)는 주름진 상기 웹(120)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3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래이트(310)와, 상기 측면 플래이트(310)의 상기 웹(120)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중앙부용 접합 플래이트(320)를 포함한다.
측면 플래이트(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120)의 골(120c)과 골(120c) 사이에 배치되든지, 웹(120)의 마루(120a)와 마루(120a) 사이에 걸쳐서 고정된다. 즉, 주름진 웹(120)의 마루(120a)와 마루(120a)에 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측면 플래이트(310)는 상부 플랜지(110) 및 하부 플랜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고정되며,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30) 및 웹(120)에 모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웹(120)에만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중앙부용 접합 플래이트(320)는 서브용 빔(60)의 웹 혹은 접합판(61)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얇은 웹에 중앙부용 접합 플래이트(320)가 직접 접할 될 경우, 하중의 집중으로 인해 국부적 좌굴발생이 우려되나, 측면 플래이트(310)를 포함하는 중간 접합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국부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물용 빔은 종래에 비해 훨씬 경제적으로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접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끝단 접합부 및 중간 접합부를 구비하여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H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조용 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2의 빔이 접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용 빔이 설치된 평면도로서, 도 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플랜지
120: 웹
130: 하부 플랜지
210: 끝단 플래이트
220: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
310: 측면 플래이트
320: 중앙부용 접합 플래이트

Claims (8)

  1.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웹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웹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끝단 플래이트; 및
    상기 끝단 플래이트의 상기 웹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용 접합 플래이트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끝단 플래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용 접합 플레이트는 상기 웹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플레이트는, 상기 웹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5. 제 1 항 내지 상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6.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웹;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웹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웹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평행한 단면의 형상이 주름지도록 형성되며,
    주름진 상기 웹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면 플래이트; 및
    상기 측면 플래이트의 상기 웹의 반대면에 고정되는 중앙부용 접합 플래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래이트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래이트는 주름진 상기 웹의 마루와 마루에 접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용 빔.
KR1020080071014A 2008-07-22 2008-07-22 구조물용 빔 KR10102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14A KR101025914B1 (ko) 2008-07-22 2008-07-22 구조물용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14A KR101025914B1 (ko) 2008-07-22 2008-07-22 구조물용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52A true KR20100010152A (ko) 2010-02-01
KR101025914B1 KR101025914B1 (ko) 2011-03-30

Family

ID=4208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014A KR101025914B1 (ko) 2008-07-22 2008-07-22 구조물용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228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포스코 보부재의 접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5326B (zh) * 2011-07-08 2013-08-21 清华大学 一种波浪腹板门式刚架牛腿连接节点
KR101359298B1 (ko) * 2011-08-10 2014-02-10 채일수 웨브에 주름이 형성된 용접빔 기둥과 서까래의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2006A (en) 1974-09-12 1976-03-18 Shuzo Genda Etsuchi ko no tsugite
JP2854910B2 (ja) * 1990-01-29 1999-02-1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JPH07292853A (ja) * 1994-04-27 1995-11-07 Asahi Chem Ind Co Ltd 梁の端部構造及び梁の接合施工法
KR200397805Y1 (ko) 2005-07-18 2005-10-10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철제 아이-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228A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포스코 보부재의 접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914B1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07B1 (ko) 보 단부에 웨브 개구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모듈러 구조 시스템
KR101870269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경량 철골 트러스 부재의 보강 장치
KR101025914B1 (ko) 구조물용 빔
JP6266269B2 (ja) 大梁・小梁接合構造
JP7453084B2 (ja) 梁接合構造、建築物
JP2012057419A (ja) 鉄骨梁接合構造
JP5767538B2 (ja) 鋼材の連結構造、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30078928A (ko) 슬릿형 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보
JP5767782B2 (ja) 橋梁の主桁連結構造
KR102142304B1 (ko) 기둥부재와 와이드보의 접합구조 및, 바닥구조체
JP6274792B2 (ja) 建築物のラーメン架構
KR101149034B1 (ko) 보의 휨응력을 향상시킨 조립식 건축물의 연결부재
KR101154121B1 (ko)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101912376B1 (ko) 판형 트러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교
JP7390993B2 (ja) 梁接合構造、及び建築物
JP7267787B2 (ja) 横架材
KR101165443B1 (ko) 층고저감형 바닥구조
WO2023182318A1 (ja) 接合構造および接合構造の構築方法
JP7433975B2 (ja) 水平ブレース接合構造
KR101347101B1 (ko) 조립식 건축구조물용 용접빔
KR20180068592A (ko) 교량용 거더
KR20070052139A (ko) 이격 보강판들을 구비한 기둥 보강구조
KR200268181Y1 (ko) 도로교량용 강재 박스 거더의 거셋 플레이트부 구조
KR20230102390A (ko) 결합부위가 보강된 장스팬 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