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54A -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54A
KR20100008554A KR1020080069100A KR20080069100A KR20100008554A KR 20100008554 A KR20100008554 A KR 20100008554A KR 1020080069100 A KR1020080069100 A KR 1020080069100A KR 20080069100 A KR20080069100 A KR 20080069100A KR 20100008554 A KR20100008554 A KR 2010000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od
hinge structure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554A/ko
Publication of KR2010000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 E05D13/12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 E05D13/1253Counterbalance devices with springs with canted-coil torsion springs
    • E05D13/1269Spring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후드패널과 차체를 연결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에 있어서, 상측 단부에 걸림쇠가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 하단이 힌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바; 상기 힌지브라켓 및 연결바와 결합된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후드패널과 결합된 힌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정 압력 이상에서 탄성변형하고, 상기 연결바는 걸림쇠에서 회동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는, 보행자와 자동차가 충돌하는 경우에도 보행자의 두부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HOOD HINGE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에 설치되는 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가 차체에 충돌하여 보행자의 두부가 후드의 상측에서 2차적으로 충돌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엔진 및 변속기 등이 탑재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엔진룸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엔진룸의 덮개역할을 하는 후드(본넷)는 엔진룸 내의 엔진 등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엔진소음의 차음 및 흡음기능을 담당한다.
도 1a는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부분을 절단하여 종래의 후드힌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 후드힌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후드힌지(10)의 일측은 전면창유리(1)의 하단부에 위치한 차체(2)의 요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드힌지(10)의 타측은 후드패널(3)과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후드(3)가 개폐가능하도록 힌지핀(11)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 된다.
종래 후드힌지의 구조는 도 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었으며,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후드패널(3)의 일측저부에 핀공을 갖는 힌지암(12)이 부착되고, 상기 힌지암(12)은 힌지핀(11)을 매개로 차체(2)에 결합된 힌지브라켓(13)과 연결되어 후드패널(3)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힌지브라켓(13)은 차체(2)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고, 후드패널(3)에 부착된 힌지암(12)은 후드(3)의 개방시 상기 힌지핀(1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드힌지 구조에서는, 도 3과 같이 보행자와 차체의 충돌이 발생하여 후드힌지(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즉, 도 2b의 화살표와 같이 후드힌지(10)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힌지암(12)과 힌지브라켓(13)의 어셈블리(assembly)가 충돌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해 보행자의 두부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행자와 충돌시 상해치를 감소시켜 보행자의 두부에 치명적인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드패널과 차체를 연결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에 있어서, 상측 단부에 걸림쇠가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 하단이 힌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바; 상기 힌지브라켓 및 연결바와 결합된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후드패널과 결합된 힌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정 압력 이상에서 탄성변형하고, 상기 연결바는 걸림쇠에서 회동이 단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은 도 3 과 같은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머리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부가적인 설치부재가 필요없이 용이하게 설치가능하도록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바는 후드패널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단이 걸림쇠 위로 돌출되는 굴곡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암은 굴곡부(48)가 형성되어 연결바의 과도한 회전과 후드패널의 불필요한 상하 이동 또는 진동 및 이로 인한 소음 방지한다. 또한, 힌지 암이 차체에 충돌시 굴곡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후드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힌지암에 더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굴곡부의 하단에 리브(rib)(49)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드힌지는, 후드패널(3)의 일측끝단 저부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 핀,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결합되는 되도록 끝단에 홀이 형성되고, 중단에 굴곡부(48)이 형성된 힌지암(41)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암(41)의 타측 끝단에는 힌지핀(42)이 끼워지는 힌지핀홀(4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핀(42)과 힌지암(41)의 사이에는, 연결바(44)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바(44)에는 역시 힌지핀(42)이 끼워지는 힌지핀홀(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44)는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판 형상이며 상측에서 충격이 가해질 시 측방향으로 변형 또는 꺽임이 용이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44)는 차체(2)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힌지브라켓(46)의 소정의 위치에서 힌지핀(43)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힌지브라켓(46)의 상측 단부에는 연결바(44)의 회동을 단속하기 위한 걸림쇠가 형성되며, 힌지핀(43)이 끼워지도록 힌지 핀홀(46a)이 몸체의 중간 위치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44)와 힌지브라켓(35) 사이에는 탄성부재인 토션스프링(45)이 결합된다. 즉, 차체(2)에 결합된 힌지브라켓(46)은, 힌지핀(43)을 통해 연결바(44) 및 토션스프링(45)과 결합된다.
상기 토션스피링(45)은 힌지브라켓(46)과 연결바(44)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바(44) 및 힌지브라켓(46)의 소정의 부분에는 각각 토션스프링(45)의 각 일단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44c, 46b)가 형성되어, 토션스프링(45)이 제자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바(44) 또한, 힌지핀(43)이 끼워지는 힌지핀홀(44b)이 형성되고, 힌지브라켓(46)에도 힌지핀(43)이 끼워지는 힌지핀홀(46b)이 형성되어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연결바(44)는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때(도 5a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이므로, 힌지핀(43)과 힌지암(41)의 간섭 및 걸림쇠(47)와 힌지암(41)의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 배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드힌지 구조는, 평상시 후드의 개폐가 간섭받지 않도록 걸림쇠(47)와 힌지암(41)은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힌지브라켓(46) 또한 충돌시 완충작용이 가능하고 후두의 무게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상단이 "ㄷ" 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따른 후드힌지 구조에서, 상기 연결바(44)는 탄성부재의 결합 방 식에 따라 탄성 긴장(탄성 압축 또는 탄성 팽창)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즉, 토션스프링(45)과 결합된 연결바(44)는 토션스프링(45)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쇠(47)에 맞닿아 있는 상태이며, 상측에서 토션스프링(45)의 탄성을 극복하는 압력이 발생시 도 6 에 도시된 바와 회동한다. 이때, 연결바(44) 회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쇠(47)는 소정의 각도에 연결바(44)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암(41)의 과도한 상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부(41)는 굴곡부(4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굴곡부(48)의 하단에는 리브(rib)(49)를 부가형성시켜 후드를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후드힌지(4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정비를 목적한 통상적인 후드패널(3)의 개폐의 경우, 연결바(44)의 회동없이 힌지핀(42)을 중심으로 힌지암(41)만 회전한다.
하지만, 주행중 불가피하게 보행자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두부(頭部)가 후드패널(3)의 상단에 부딪히게 되는 2 차 충돌이 발생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암(41)의 상측에서 토션스프링(45)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힘이 전해지고 힌지핀(43)을 기준으로 힌지암(41)과 연결바(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보행자에게 반작용으로 전해지는 충격량을 일부 흡수하여 상해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후드힌지 구조에 따르면, 보행자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후드힌지에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여, 보행자의 두부측 상해를 최소 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자동차의 엔진룸 후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부분을 절단하여 종래의 후드힌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후드힌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보행자와 자동차의 충돌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 배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의 일실시예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후드힌지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후드힌지가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힌지암 42, 43: 힌지핀
44: 연결바 45: 토션스프링
46: 힌지브라켓 41a, 44a, 44b, 46a: 힌지핀홀
44c, 46b: 걸림부

Claims (5)

  1. 후드패널과 차체를 연결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에 있어서,
    상측 단부에 걸림쇠가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
    하단이 힌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바;
    상기 힌지브라켓 및 연결바와 결합된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후드패널과 결합된 힌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정 압력 이상에서 탄성변형하고, 상기 연결바는 걸림쇠에서 회동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단이 걸림쇠 위로 돌출된 굴곡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은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하단에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KR1020080069100A 2008-07-16 2008-07-16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KR20100008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00A KR20100008554A (ko) 2008-07-16 2008-07-16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00A KR20100008554A (ko) 2008-07-16 2008-07-16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54A true KR20100008554A (ko) 2010-01-26

Family

ID=4181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100A KR20100008554A (ko) 2008-07-16 2008-07-16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5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03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US9701275B2 (en) 2015-03-18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Passive hood hinge for vehicle
CN108166873A (zh) * 2016-12-08 2018-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发动机罩铰链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903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US9481340B2 (en) 2014-11-26 2016-11-01 Hyundai Motor Company Rupturable type hood hinge device
US9701275B2 (en) 2015-03-18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Passive hood hinge for vehicle
CN108166873A (zh) * 2016-12-08 2018-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发动机罩铰链装置
KR20180065456A (ko) * 2016-12-08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CN108166873B (zh) * 2016-12-08 2021-01-2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发动机罩铰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102B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구조
KR100339230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US20020046444A1 (en) Vehicle hood hinge
KR20100008554A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JP2000108842A (ja) 車両用前部構造
KR10159279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JP5466438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構造
CN112360251A (zh) 发动机盖锁体机构及发动机
US7384094B2 (en) Grille overslam bumper integrated with secondary release handle
KR100527115B1 (ko) 자동차의 엔진 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368390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368397B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KR100527116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후드 힌지 충격 흡수구조
KR100376466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50026623A (ko) 자동차용 후드로크의 충격흡수구조
KR10059868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가스리프터 장착구조
KR101340854B1 (ko) 세이프티후크와 세이프티캐처의 장착구조
KR100941094B1 (ko) 자동차의 후드 가스리프터 고정구조
KR100380382B1 (ko) 자동차 후드힌지부의 충격 흡수장치
KR100376469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52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733669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 조립체
KR200273604Y1 (ko) 자동차후드의밀림억제용안전후크구조
KR100345554B1 (ko) 자동차의 충돌시 도어의 실내 유입방지장치
KR20040048075A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