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023U -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023U
KR20100008023U KR2020090001181U KR20090001181U KR20100008023U KR 20100008023 U KR20100008023 U KR 20100008023U KR 2020090001181 U KR2020090001181 U KR 2020090001181U KR 20090001181 U KR20090001181 U KR 20090001181U KR 20100008023 U KR20100008023 U KR 201000080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am
frame
moun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창
Original Assignee
정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창 filed Critical 정규창
Priority to KR2020090001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023U/ko
Publication of KR20100008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0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처리 탱크내의 수면에 발생된 거품을 저가의 비용으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처리 탱크내의 수면에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모터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하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거품분쇄 블레이드가 구비된 거품분쇄판과; 하측이 상기 거품분쇄판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상기 거품분쇄판이 회전되도록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축과; 상기 거품분쇄판이 거품 영역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품분쇄판의 높이를 유지시키는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품, 제거, 수면

Description

거품제거장치{The apparatus for Removing of bubble}
본 고안은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 탱크내의 수면에 발생된 거품을 저가의 비용으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ㆍ폐수나 하수 또는 축산을 포함한 분뇨처리장 등에서 정화 작업이 진행되면 처리 탱크 내에는 상당량의 거품이 발생한다. 이와같이 발생되는 거품은 탱크의 높이를 넘지 않는 이상 정화 작업에 별 영향을 미치지는 안이하나 거품이 탱크의 높이를 넘을 만큼 다량 발생하면 탱크를 넘쳐 흘러내리는 거품에 의해 주변의 작업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오ㆍ폐수나 하수 또는 축산을 포함한 분뇨처리장 등의 처리탱크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처리탱크 내에서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거품 제거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처리 탱크내의 수면에 발생된 거품을 저가의 비용으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 탱크로부터 거품이 넘쳐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거품에 의해 주변의 작업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처리 탱크내의 수면에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모터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하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거품분쇄 블레이드가 구비된 거품분쇄판과; 하측이 상기 거품분쇄판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상기 거품분쇄판이 회전되도록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축과; 상기 거품분쇄판이 거품 영역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품분쇄판의 높이를 유지시키는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에 따르면, 처리 탱크내의 수면에 발생된 거품을 저가의 비용으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 탱크로부터 거품이 넘쳐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거품에 의해 주변의 작 업환경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에 따르면, 처리 탱크의 수면(SㆍW)에 부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프레임에 외력을 가하여 밀게 되면, 처리 탱크내의 다른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관계로 처리 탱크내에 존재하는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와 장착 통체와 회전력 전달축 및 거품분쇄판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외관을 도시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의 하면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품분쇄장치의 일부 구성을 부유통이 구비된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처리탱크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거품분쇄판의 회전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처리 탱크(10)내의 수면(SㆍW)에 발생된 거품(BㆍB)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구동모터(20)와, 거품분쇄판(30)과, 회전력 전달축(40)과,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모터(20)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본체(21)와, 본체(21)에 형성되는 모터축(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체(21)는 모터축(22)이 수직 하방향으 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거품분쇄판(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거품분쇄판(30)의 하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거품분쇄 블레이드(31)가 구비된다.
여기서, 거품분쇄 블레이드(31)가 거품분쇄판(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품을 분쇄하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30) 외곽에 있는 거품을 거품분쇄판(30)쪽으로 흡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거품분쇄판(30)의 반경 방향으로의 끝단부로 갈수록 거품분쇄 블레이드(31)간의 간격을 점차적으로 확장되게 형성할수록 거품분쇄판(30) 외곽에 있는 거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거품분쇄판(30)의 하면쪽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거품이 거품분쇄 블레이드(31) 사이로 유입되도록 모터축(22)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모터(20)를 제어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분쇄판(30)에 거품분쇄 블레이드(31)가 반시계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거품분쇄판(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축(22)을 회전시키면 된다.
회전력 전달축(40)은, 하측이 거품분쇄판(3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측이 구동모터(20)의 모터축(22)에 연결되어 거품분쇄판(30)이 회전되도록 모터축(2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회전력 전달축(40)의 모터축(22)이 수직 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거품 분쇄판(30)을 수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수평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회전력 전달축(40)의 하측, 즉 하단부는 거품분쇄판(30)의 상면에 용접등으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Bolt)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거품분쇄판(30)과 회전력 전달축(40)간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력 전달축(400의 상측, 즉 상단부는 구동모터(20)의 모터축(22)에 키(key) 및 리벳(ribet)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통상적인 고정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22a)(40a)를 이용하여 커프링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의한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50)은, 거품분쇄판(30)이 거품 영역(BㆍB-A)내에 위치되도록 거품분쇄판(30)의 높이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50)은, 프레임(51)과, 부유통(5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유통(52)은 프레임(51)에 설치되며, 프레임(51)이 상기 수면(SㆍW)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30)이 거품 영역(BㆍB-A)에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유통(52)은 프레임(51)의 외곽부(51a)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1)에는 구동모터(20)의 본체(21)가 장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20)를 프레임(51)의 중심부에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으나, 부유통(52)에 의해 프레임(51)이 수면위에 부유된 상태에서 프레임(51)의 자세가 수면에 대해 대략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프레임(51)의 어디에라도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51)이 상기 수면(SㆍW)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30)이 거품 영역(BㆍB-A)에 위치되는 이유는, 부유통(52)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수면(SㆍW)으로부터 발생되는 거품 영역(BㆍB-A)의 대략적인 평균 높이를 감안한 부유통(52)을 채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구동모터(20)의 본체(21)는 별도의 장착수단(60)을 매개로 하여 프레임(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장착수단(60)의 구성으로는, 설치판(61)과, 장착 통체(62)와, 베어링(63)과, 결합 플랜지(65)로 이루어진다.
설치판(61)에는 상하로 관통된 설치공(61a)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 설치판(61)은 프레임(51)에 설치된다. 여기서, 설치판(61)은 바람직하게 프레임(51)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장착 통체(62)는, 회전력 전달축(4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상하단부가 모두 개방되고, 설치판(61)의 설치공(61a)에 삽입되며, 상단부가 구동모터(20)의 본체(21) 하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구동모터(20)의 본체(21)와 장착 통체(62)의 결합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플랜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장착 통체(62)의 상단부 외 주에 제1 플랜지(23)를 형성하고, 이 제1 플랜지(23)에 맞대어 접촉되도록 구동모터(20)의 본체(21) 하단 외주에 제2 플랜지(66)를 형성하며, 이 제1,2 플랜지(23)(66)를 서로 체결 볼트(67)로 결합한다.
베어링(63)은 장착 통체(62)의 내벽면에 상하로 설치되어 회전력 전달축(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결합 플랜지(65)는 장착 통체(62)가 설치판(61)의 설치공(61a)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판(6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장착 통체(63)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수단(64)에 의해 설치판(61)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22)이 회전되도록 구동모터(20)를 구동시키면, 모터축(2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력 전달축(40)이 축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30)은 거품 영역(BㆍB-A)내에서 수면(SㆍW)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고속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거품분쇄판(30)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거품분쇄 블레이드(31)가 거품분쇄판(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품을 분쇄하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30) 외곽에 있는 거품을 거품분쇄판(30)쪽으로 흡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거품제거장치에 의하면, 거품분쇄판(30) 직하방에 위치한 거품은 신속하게 분쇄되어 제거된다. 즉, 처리탱크(10)내에 형성된 거품을 대부분 제거하지 않고 일부만 제거하여도, 처리 탱크에서 거품이 넘쳐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주변 작업환경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거품분쇄판(30) 외곽에 있는 거품 역시 거품분쇄 블레이드(31)의 흡인작용에 의해 거품분쇄판(30)의 하면측으로 흡인되어 분쇄 제거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거품제거장치는 처리 탱크(10)의 수면(SㆍW)에 부유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프레임(51)에 외력을 가하여 밀게 되면, 처리 탱크(10)내의 다른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관계로 처리 탱크(10)내에 존재하는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처리 탱크(10)의 내부 크기에 비해 본 고안의 거품제거장치를 대폭 축소하여 제작하게 되면, 수면에 형성된 거품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품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와 장착 통체와 회전력 전달축 및 거품분쇄판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외관을 도시함과 아울러 거품분쇄판의 하면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품분쇄장치의 일부 구성을 부유통이 구비된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처리탱크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거품분쇄판의 회전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처리 탱크 20 : 구동모터
21 : 본체 22 : 모터축
30 : 거품분쇄판 31 : 거품분쇄 블레이드
40 : 회전력 전달축 50 :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
51 : 프레임 51a : 외곽부
52 : 부유통 60 : 장착수단
61 : 설치판 61a : 설치공
62 : 장착 통체 63 : 베어링
64 : 체결수단 65 : 결합 플랜지
SㆍW : 수면 BㆍB : 거품 BㆍB-A : 거품 영역

Claims (6)

  1. 처리 탱크(10)내의 수면(SㆍW)에 발생된 거품(BㆍB)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형성되는 모터축(22)을 갖는 구동모터(20)와;
    하면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거품분쇄 블레이드(31)가 구비된 거품분쇄판(30)과;
    하측이 상기 거품분쇄판(3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22)에 연결되어 상기 거품분쇄판(30)이 회전되도록 모터축(2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축(40)과;
    상기 거품분쇄판(30)이 거품 영역(BㆍB-A)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거품분쇄판(30)의 높이를 유지시키는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품분쇄판 높이 유지수단(50)은,
    상기 구동모터(20)의 본체(21)가 장착되는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51)이 상기 수면(SㆍW)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거품분쇄판(30)이 상기 거품 영역(BㆍB-A)에 위치되도록 하는 부유통(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유통(52)은 상기 프레임(51)의 외곽부(51a)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프레임(51)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본체(21)는 별도의 장착수단(60)을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5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60)은,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설치공(61a)을 갖는 설치판(61)과;
    상기 회전력 전달축(4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상하단부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설치판(61)의 설치공(61a)에 삽입되며, 상단부가 상기 구동모터(20)의 본체(21) 하부에 결합되는 장착 통체(62)와;
    상기 장착 통체(62)의 내벽면에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력 전달축(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3)과;
    상기 장착 통체(62)가 상기 설치공(61a)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판(6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 통체(63)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수단(64)에 의해 상기 설치판(61)과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제거장치.
KR2020090001181U 2009-02-04 2009-02-04 거품제거장치 KR201000080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181U KR20100008023U (ko) 2009-02-04 2009-02-04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181U KR20100008023U (ko) 2009-02-04 2009-02-04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23U true KR20100008023U (ko) 2010-08-12

Family

ID=4445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181U KR20100008023U (ko) 2009-02-04 2009-02-04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023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67B1 (ko) * 2012-05-29 2013-08-28 (주) 케이오더블유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101385535B1 (ko) * 2012-08-06 2014-04-15 박재환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101436447B1 (ko) * 2011-11-22 2014-09-01 박재환 액비 폭기조 거품제거장치
KR20150124572A (ko) * 2014-04-29 2015-11-06 (주)파인리포먼스 자기발열식 고온산발효조 및 이를 구비한 2상 혐기소화시스템
CN115445478A (zh) * 2022-10-03 2022-12-09 衡阳山泰化工有限公司 一种制作分散乳液的高效率混合水浴一体锅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47B1 (ko) * 2011-11-22 2014-09-01 박재환 액비 폭기조 거품제거장치
KR101301267B1 (ko) * 2012-05-29 2013-08-28 (주) 케이오더블유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101385535B1 (ko) * 2012-08-06 2014-04-15 박재환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20150124572A (ko) * 2014-04-29 2015-11-06 (주)파인리포먼스 자기발열식 고온산발효조 및 이를 구비한 2상 혐기소화시스템
CN115445478A (zh) * 2022-10-03 2022-12-09 衡阳山泰化工有限公司 一种制作分散乳液的高效率混合水浴一体锅
CN115445478B (zh) * 2022-10-03 2023-10-27 衡阳山泰化工有限公司 一种制作分散乳液的混合水浴一体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8023U (ko) 거품제거장치
US8109714B2 (en) Sewage pump
KR101272861B1 (ko)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KR20180024726A (ko) 자기부상식 표면 교반기
US6634626B2 (en) Horizontal surface aerator
KR101440535B1 (ko) 자흡식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067329B1 (ko)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KR20100129642A (ko) 스컴제거장치가 부착된 응집기
KR20090010851U (ko) 오폐수 거품 제거기
JP5137735B2 (ja) 水中攪拌ポンプ
KR200442636Y1 (ko) 포기 장치
CN102145933B (zh) 脉动式吸沫机
CN216296154U (zh) 一种可调节的带消泡功能矿浆搅拌槽
JP4937313B2 (ja) 排水ポンプ
KR100756659B1 (ko)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KR10249960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처리장치
JP2010046564A (ja) 横型水中電動ミキサー
JP2006061780A (ja) 曝気槽と、その曝気槽における消泡方法
JP4522319B2 (ja) スカム除去装置
KR200363036Y1 (ko) 파이프 스컴 제거장치
KR200444623Y1 (ko) 자동 부유물 제거기
KR200438111Y1 (ko) 식품가공기의 회전칼날 유지장치
KR101592545B1 (ko) 스컴제거장치
JP4073662B2 (ja) 汚水処理槽内の攪拌装置
CN211570158U (zh) 高效气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