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329B1 -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329B1
KR101067329B1 KR1020110067645A KR20110067645A KR101067329B1 KR 101067329 B1 KR101067329 B1 KR 101067329B1 KR 1020110067645 A KR1020110067645 A KR 1020110067645A KR 20110067645 A KR20110067645 A KR 20110067645A KR 101067329 B1 KR101067329 B1 KR 10106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peller
bubbles
fixed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오더블유 filed Critical (주) 케이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1006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2Prevention of foa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포제 등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공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와 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후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되는 오폐수 등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수중의 물을 수면으로 비산시켜 거품을 파쇄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양측에 부구(10, 11)를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20)과, 물을 토출하기 위한 수중모터(40)를 포함하는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중모터(40)의 상부로 관통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상의 구조체로 비산(飛散)면(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중모터(40)는 수중의 물이 수면 위로 비산되도록 토출시키는 임펠러(42)를 회전시키고, 육면체형상의 모서리로 뼈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장착되고 각 측면 및 하면에는 수중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32)이 장착된 수중모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구(10, 11)는 상기 임펠러(42)가 수중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으며, 상기 임펠러(42)는, 상기 수중모터(40)에 장착되는 구형의 본체(46)와, 상기 본체(46)의 북반구에서 120도 간격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개의 날개(44)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46) 주변의 물을 직접적으로 수면 위로 비산시켜 수면상의 거품과 충돌시킨 후 낙하되는 물이 2차적으로 거품과 충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SCUM REMOVAL APPARATUS WITH IMPELLER}
본 발명은 소포제 등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발전소나 공장의 오폐수 등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후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되는 오폐수를 수면으로 비산시켜 거품을 파쇄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의 발전설비를 냉각시키기 위해 그 발전소의 위치에 따라 담수 또는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한다. 발전소의 냉각수는 발전설비의 냉각에 사용된 후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되는데, 이러한 냉각수는 다량의 거품을 발생하게 되고, 방류단의 높이가 수면으로부터 높은 경우에는 낙차에 의해 거품 발생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공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에서도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거품은 미관상 좋지 않고, 점차 덩어리를 형성하여 수중으로의 산소공급을 차단하게 되어 심각한 수질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거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거품울타리를 설치하였으나, 이는 거품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고, 근본적으로 거품을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거품을 포집한 후 별도의 장비로 다시 수거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 방법은 별도의 장비를 추가로 구입해야하고, 거품제거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6은 종래의 거품제거기를 도시한 것으로((주)디엠아이씨-www.dmico.kr 참조(2011.07.08.)), 거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와,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거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액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품제거기는 수면(70)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거품(72)과 인접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거품(72)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68)의 위치를 조정하야야 하고, 또한 이를 고정하기 위해 탱크커버(64)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대(62)를 장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거품의 높이가 변동할 경우에는 항상 설치대(62)의 높이를 조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대를 설치할 수 없는 하천이나 바다에 거품이 발생된 경우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품의 높이에 관계없이 수중의 물을 수면 위로 비산시켜 거품을 파쇄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포제 등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하천이나 바다에 부유하여 수중의 물을 임펠러를 통해 공중으로 비산시켜 넓은 면적에 분포된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는, 양측에 부구(10, 11)를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장착되어 물을 토출하기 위한 수중모터(40)를 포함하는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수중모터(40)의 상부로 관통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상의 구조체로 비산(飛散)면(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중모터(40)는, 수중의 물이 수면 위로 비산되도록 토출시키는 임펠러(42)를 회전시키고, 육면체형상의 모서리로 뼈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장착되고 각 측면 및 하면에는 수중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32)이 장착된 수중모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구(10, 11)는 상기 임펠러(42)가 수중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으며, 상기 임펠러(42)는, 상기 수중모터(40)에 장착되는 구형의 본체(46)와, 상기 본체(46)의 북반구에서 120도 간격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개의 날개(44)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46) 주변의 물을 직접적으로 수면 위로 비산시켜 수면상의 거품과 충돌시킨 후 낙하되는 물이 2차적으로 거품과 충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에 따르면, 소포제 등의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 거품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거품제거장치와 같이 원심력을 이용하지 않고, 수중의 물을 비산시켜 거품과 이중으로 충돌되도록 하여 거품층의 두께에 관계없이 거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활한 지역의 거품을 일시에 제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발전소 등에서 발전설비의 냉각수로 사용된 후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되는 오폐수에서 형성되는 거품을 쉽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거품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 거품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 거품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에서 사용되는 임펠러,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 거품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일실시 예에 의한 거품제거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 거품제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 거품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에서 사용되는 임펠러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임펠러방식 거품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바람직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망상의 구조체로 비산면(22)이 형성된 사각판상의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양단 하부에 장착되는 부구(10, 11)와, 상기 부구(10, 11) 사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장착되는 육면체형상의 모서리로 뼈대를 형성하는 수중모터 프레임(30)과, 상기 수중모터 프레임(30)에 장착되는 수중모터(40)와, 상기 수중모터(40)로 회전되는 임펠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에 형성된 비산(飛散)면(22)은, 비산되는 물줄기가 원활이 배출되도록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의 구조체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구(10, 1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중모터(40)에 결합된 임펠러(42)가 적어도 수면(70)의 하단 수중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는다.
상기 수중모터 프레임(30)의 각 측면 및 하면에는, 수중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임펠러(42)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망(32)이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42)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본체(46)와, 상기 본체(46)의 북반구에서 120도 간격으로 각각 돌출된 날개(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임펠러(42)가 회전할 경우에는 수중의 물을 상부로 비산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44)는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물을 상부로 효율적으로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의 작용효과를 상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42)가 수면(70)의 하단 수중에 위치되도록 상기 부구(10, 11)의 개수를 조절하여 고정프레임(20)에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수중모터(40)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하게 되면, 상기 임펠러(42)가 회전하여 수중의 물을 수면 위로 비산시키게 된다.
비산되는 물은 수면상에 위치한 거품(72)과 부딪쳐 거품을 파쇄하게 되고, 수면 위로 비산되어 낙하하는 물방울은 비산면(22) 주변에 위치한 거품(72)과 부딪쳐 거품을 재차 파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당한 두께로 형성된 거품이라도 수중의 물을 상부로 계속하여 비산시켜 충돌시킴으로써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거품제거장치와 같이 원심력을 이용하지 않고, 수중의 물을 상부로 비산시켜 거품과 충돌하여 거품을 파쇄시키기 때문에 거품층의 두께에 관계없이 거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펠러에 의해 수중의 물을 공기중으로 분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면적에 형성된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발전소 등에서 발전설비의 냉각수로 사용된 후 하천이나 바다로 배출되는 오폐수에서 형성되는 거품을 쉽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거품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11: 부구 20: 고정프레임
22: 비산(飛散)면 30: 수정모터 프레임
32: 필터망 40: 수중모터
42: 임펠러 44: 날개
46: 구형본체 60: 모터
62: 설치대 64: 탱크커버
66: 배출구 70: 수면
72: 거품 74: 배출액

Claims (3)

  1. 양측에 부구(10, 11)를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장착되어 물을 토출하기 위한 수중모터(40)를 포함하는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수중모터(40)의 상부로 관통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상의 구조체로 비산(飛散)면(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중모터(40)는, 수중의 물이 수면 위로 비산되도록 토출시키는 임펠러(42)를 회전시키고, 육면체형상의 모서리로 뼈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장착되고 각 측면 및 하면에는 수중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32)이 장착된 수중모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구(10, 11)는 상기 임펠러(42)가 수중에 위치되도록 부력을 갖으며,
    상기 임펠러(42)는, 상기 수중모터(40)에 장착되는 구형의 본체(46)와, 상기 본체(46)의 북반구에서 120도 간격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개의 날개(44)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46) 주변의 물을 직접적으로 수면 위로 비산시켜 수면상의 거품과 충돌시킨 후 낙하되는 물이 2차적으로 거품과 충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67645A 2011-07-08 2011-07-08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KR10106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45A KR101067329B1 (ko) 2011-07-08 2011-07-08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45A KR101067329B1 (ko) 2011-07-08 2011-07-08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329B1 true KR101067329B1 (ko) 2011-09-23

Family

ID=4495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645A KR101067329B1 (ko) 2011-07-08 2011-07-08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3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29B1 (ko) 2011-07-19 2013-07-01 조경수 오폐수의 거품 제거장치
KR101301267B1 (ko) * 2012-05-29 2013-08-28 (주) 케이오더블유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101309170B1 (ko) * 2013-05-20 2013-09-23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조 내의 거품 제거 장치
KR101385535B1 (ko) 2012-08-06 2014-04-15 박재환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101386092B1 (ko) 2012-12-20 2014-04-16 신철근 거품제거장치용 흡입유닛
KR101588812B1 (ko) * 2015-05-13 2016-01-26 장성호 자흡식 미세기포 순환장치
KR101807801B1 (ko) * 2017-01-16 2017-12-13 신두만 거품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90A (ja) * 1992-07-07 1994-02-01 Sanko Pump Seisakusho:Kk 水中曝気兼用噴水ポンプ
JPH07184632A (ja) * 1993-12-28 1995-07-25 Hitachi Ltd 培養槽における消泡装置
JPH0874777A (ja) * 1994-09-07 1996-03-19 Sanko Pump Seisakusho:Kk 水中曝気噴水ポンプ
KR20030004148A (ko) * 2002-09-11 2003-01-14 주식회사 고려산업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90A (ja) * 1992-07-07 1994-02-01 Sanko Pump Seisakusho:Kk 水中曝気兼用噴水ポンプ
JPH07184632A (ja) * 1993-12-28 1995-07-25 Hitachi Ltd 培養槽における消泡装置
JPH0874777A (ja) * 1994-09-07 1996-03-19 Sanko Pump Seisakusho:Kk 水中曝気噴水ポンプ
KR20030004148A (ko) * 2002-09-11 2003-01-14 주식회사 고려산업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29B1 (ko) 2011-07-19 2013-07-01 조경수 오폐수의 거품 제거장치
KR101301267B1 (ko) * 2012-05-29 2013-08-28 (주) 케이오더블유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101385535B1 (ko) 2012-08-06 2014-04-15 박재환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101386092B1 (ko) 2012-12-20 2014-04-16 신철근 거품제거장치용 흡입유닛
KR101309170B1 (ko) * 2013-05-20 2013-09-23 주식회사 에스아이테크 조 내의 거품 제거 장치
KR101588812B1 (ko) * 2015-05-13 2016-01-26 장성호 자흡식 미세기포 순환장치
KR101807801B1 (ko) * 2017-01-16 2017-12-13 신두만 거품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29B1 (ko)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CN201061731Y (zh) 油水分离器
US7971731B2 (en) Density baffle for clarifier tank
JP2011255381A (ja) 浮上油回収装置
KR101272861B1 (ko)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KR20170047479A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KR101301267B1 (ko) 거품 내지 수처리가 용이한 정화장치의 부력체구조
KR20100008023U (ko) 거품제거장치
CN205328658U (zh) 一种改进了除杂功能的气浮机
KR101385535B1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JP2010022964A (ja) 浮上分離装置、整流装置及び整流装置用分割セル
KR20130107988A (ko) 수분제거용 루버
JP2001269692A (ja) エアレーション方法及びエアレーション装置
KR200330487Y1 (ko) 산업 시설 배출수의 거품 제거 장치
KR20130052088A (ko) 거품수집및 파쇄장치
JPH04210201A (ja) 油水分離装置
CN102102083B (zh) 蓝藻浓缩罐
CN108862449A (zh) 一种基于污水处理的气浮装置
CN211595430U (zh) 一种cnc设备的切割装置
JPS6136476B2 (ko)
CN208893799U (zh) 用于粉尘易爆行业的过滤设备
KR101807801B1 (ko) 거품제거장치
CN212673612U (zh) 一种建筑工程材料加工冷却液冷却装置
CN209989084U (zh)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JP2013184128A (ja) 気体溶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