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819U - 접이형 상자 - Google Patents

접이형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819U
KR20100005819U KR2020080015905U KR20080015905U KR20100005819U KR 20100005819 U KR20100005819 U KR 20100005819U KR 2020080015905 U KR2020080015905 U KR 2020080015905U KR 20080015905 U KR20080015905 U KR 20080015905U KR 20100005819 U KR20100005819 U KR 20100005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ver
box
hing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223Y1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골드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골드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골드라인
Priority to KR202008001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2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가공 및 조립 부품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각종 부품과 물품 등을 담아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형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가공 및 조립 부품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각종 부품과 물품 등을 담아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상자에 한 쌍의 커버를 구비하여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편하게 접어서 적은 공간에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고, 보관 중이던 상자는 쉽고 빠르게 펼쳐서 물품의 보관 및 운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형 상자를 제공한다.
상자, 접이형, 물품, 보관, 운반

Description

접이형 상자{Folding type box}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가공 및 조립 부품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각종 부품과 물품 등을 담아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형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편하게 접어서 적은 공간에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 중이던 상자는 쉽고 빠르게 펼쳐서 물품의 보관 및 운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형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비스업종을 포함하는 모든 산업현장에서는 물품의 생산에 필요한 많은 종류의 부품과 생산된 물품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 및 사용하며, 부품이나 물품을 담아서 사용하던 상자는 내용물이 비워지면 별도로 보관하다가 다음에 다시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용도의 상자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기본적인 상자의 형태는 골판지 상자와 유사한 형태의 합성수지 상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골판지와 유사한 형태의 합성수지 상자는 종이재질의 골판지 상자와는 달리 물에 젖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러한 합성수지 상자는 각종 물품을 담아서 사용할 때나 물품이 모두 비워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그 크기와 부피가 동일한 상태이므로, 항상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특히 사용하지 않는 상자를 보관할 때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의 공간이 필요하거나, 종이 상자를 펼쳐서 보관하는 것과 같이 하나하나 펼쳐서 보관해야 하므로 사용과 보관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골판지 형태의 합성수지 상자가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상자로는 합성수지 상자를 쌓는 방향에 따라 높이가 달라지도록 하여 사용중인 상자와 사용하지 않는 상자를 구분하고, 합성수지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적은 공간에 많은 합성수지 상자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합성수지 상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층형 합성수지 상자는 상자를 쌓을 때마다 물품이 담긴상태인지 물품이 담기지 않은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쌓는 방향을 맞춰야 하는 것이므로 적층형 합성수지 상자를 쌓는 작업이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상자의 상부는 항상 개방된 상태이어야 하므로 물품이 담긴 상자의 상부가 커버 없이 항상 오픈된 상태여서 상자에 담긴 물품이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합성수지 상자들은 외부의 내부의 물품을 식별할 수 없는 상태로 구성되므로, 물품이 담긴 상자 내부의 물품이 무엇인지 확인하려면 외부에 부착된 라벨의 확인은 물론 상자 내부를 하나하나 직접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가공 및 조립 부품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각종 부품과 물품 등을 담아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상자에 한 쌍의 커버를 구비하여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편하게 접어서 적은 공간에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고, 보관 중이던 상자는 쉽고 빠르게 펼쳐서 물품의 보관 및 운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형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접이형 상자는 사각틀의 형태로 구성되면서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 양쪽의 사이드 패널, 상부의 커버를 힌지 구조로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경첩에 의해 한 쌍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회전 개폐되는 커버와, 상단은 상부 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베이스 패널에 돌기부와 홈부 간의 끼움 구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패널과,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로 분리 구성되면서 서로는 힌지핀에 의해 절첩가능하며, 상부 패널은 상부 프레임에 그 상단이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패널은 베이스 패널에 그 하단이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패널 및 후면 패 널과, 사각판의 형태로 구성되면서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은 힌지 구조로, 양쪽의 사이드 패널은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로 지지하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전면측 커버와 후면측 커버의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면측 커버와 후면측 커버는 서로 간의 접하는 부분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면서 형합 가능한 요부와 철부로 형성하여, 커버 닫힘시 서로 간의 상대편 요부와 철부가 겹쳐짐과 동시에 록킹돌기와 록킹홀의 끼움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접이형 상자는 산업현장에서 각종 부품과 물품 등을 담아서 보관 및 운반하는 경우 상자에 한 쌍의 커버가 구비되어 있어서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커버의 형성 및 개폐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커버를 개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간편하게 접어서 적은 공간에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를 펼쳐 사용할 때에는 접철이 이루어지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간에 록킹 수단에 의해 잠기게 되어 사용 중 의도치 않게 상자가 접어질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의 보관 및 운반 등에 사용되는 상기 접이형 상자는 전후면 패널(10),(11)과 양쪽의 사이드 패널(12) 및 윗쪽의 커버(13)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4), 상기 상부 프레임(14)에 합성수지 재질의 경첩(15)에 의해 한 쌍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회전 개폐되는 커버(13), 상기 상부 프레임(14)에 힌지핀(21d)에 의해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에는 홈부(18)와 사각홀(33)을 형성하여 베이스 패널(16)에 있는 돌기부(17)와 플랜지 수용홀(34)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패널(12),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로 분리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4)에 상부 패널(19)의 상단이 힌지핀(2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패널(19)의 하측에는 하부 패널(20)이 힌지핀(2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부 패널(20)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16)에 힌지핀(21c)에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 상기 전후면 패널(10),(11)의 하부 패널(20) 하단은 힌지핀(21c)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패널(12) 하단은 돌기부(17)와 홈부(18) 간의 끼움식 구조를 통해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패널(16)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13)와 상부 프레임(14) 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경첩(15)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플레이트 본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핀(15a)과 하부핀(15b)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의 상부 핀(15a)은 커버(13)에 있는 힌지홀(22)에 삽입되고, 하부핀(15b)은 상부 프레임(14)에 있는 힌지홈(2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커버(13)와 상부프레임(14) 간의 회전 결합을 위한 경첩이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커버(13)의 개페 시에 커버(13)가 상부프레임(14)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개폐되므로 사용자가 커버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이점이 있게된다. 또한, 경첩의 재질을 합성수지재로 사용함으로써 무게가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습기 등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후면 패널(10),(11)의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간의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하나의 힌지핀(21b)이 동시에 체결되므로서, 이때의 힌지핀(21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안쪽으로 절첩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은 펴진 상태에서 안정적인 수직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의 내측면에는 서로 간의 접힘 부위에는 패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여러 쌍의 스톱퍼 돌기(26) 및 스톱퍼 홈(27)이 형성되며, 이때의 스톱퍼 돌기(26)와 스톱퍼 홈(27)은 서로 한 쌍씩 위아래로 위치를 바꾸어 가며 엇배열되는 형태, 예를 들면 길이방향을 따라 가면서 한 쌍은 스톱퍼 홈(27)이 상부 패널(19)에, 스톱퍼 돌기(26)가 하부 패널(20)에 형성되고, 그 다음 한 쌍은 스톱퍼 홈(27)이 하부 패널(20)에, 스톱퍼 돌기(26)가 상부 패널(19)에 형성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쌍의 스톱퍼 돌기(26)와 스톱퍼 홈(27)이 위아래에서 패널들을 잡아주게 되므로,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의 펴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이형 상자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커버(13)를 열고 내부에 각종 물품을 담아서 사용하거나 커버(13)를 닫고 보관 및 운반 등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 프레임(14)에 경첩(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15)에 상부핀(15a)과 하부핀(15b)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서, 커버(13)를 열었을 때 커버(13)가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에 평행한 위치까지 완전히 회전하면서 젖혀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커버(13)를 열고 내용물품을 이용한 작업을 할 때 커버(13)에 의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커버(13)의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젖혀서 개폐할 수 있는 전면측 커버(13a)와 후면측 커버(13b)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전면측 커버(13a)와 후면측 커버(13b)는 서로 간의 접하는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면서 형합 가능한 대략 "S"자 모양의 요부(24)와 철부(25)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닫힘시 서로 간의 상대편 요부(24)와 철부(25)가 겹쳐짐과 동시에 록킹돌기(31)와 록킹홀(32)이 서로 끼워지게 되므로서, 커버(13)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측 커버(13a)와 후면측 커버(13b)는 닫는 순서에 관계없이 어느 쪽을 먼저 닫아도 커버를 문제없이 쉽게 닫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측 커버(13a)를 먼저 닫고 그 다음에 후면측 커버(13b)를 닫는 경우, 후면측 커버(13b)의 철부(25)가 전면측 커버(13a)의 요부(14) 위에 얹혀지짐과 동시에 후면측 커버(13b)의 록킹돌기(31)가 전면측 커버(13a)의 록킹홀(32)에 체결된다.
이때의 전면측 커버(13a)의 철부(25)는 후면측 커버(13b)의 요부(24) 밑에 겹쳐진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상자 운반시 등과 같이 상부 프레임(14)상에 커버(13)의 닫힘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14)과 커버(13)에는 체결홀(29)이 형성되고, 이때의 체결홀(29)에 하나의 체결핀(30)이 동시에 체결되므로서, 커버(13)의 닫힘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패널(12)과 전후면 패널(10),(11)에는 각각 라벨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라벨 수납홈(28)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내용물품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품을 바꾸어 담았을 때는 라벨을 쉽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항상 내용물품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펼쳐서 사용한 접이형 상자의 내용물품이 비워짐에 따라 상자를 접어서 보관할 때는 사이드 패널(12)을 상측의 힌지핀(21d)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은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이 상자 내측을 향하도록 절첩하면, 적은 공간에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사이드 패널(12)을 접을 때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120)의 사각홀(33)과 홈부(18)가 베이스 패널(16)의 플랜지 수용홀(34)과 돌기부(17)에서 이탈되도록 사이드 패널(12)을 상자의 내측으로 밀면, 사이드 패널(1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21d)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부 프레임(14)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사이드 패널(12)을 접은 상태에서 전후면 패널(10),(11)을 접을 때는 상부 패널(19)의 하단부와 하부 패널(2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힌지핀(21b) 부분을 상자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전후면 패널(10),(11)의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은 상부 프레임(14)에 결합된 힌지핀(21a)과 베이스 패널(16)에 결합된 힌지핀(21c)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되므로, 그 상부 패널(19)과 하부패널(20)은 수평의 상태로 접철된다.
이렇게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이 완전히 접히면,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은 상부 프레임(14)과 베이스 패널(16) 내로 삽입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절첩되었을 때는 상부 패널(19)의 상측에 사이드 패널(12)이 접혀있는 상태가 되므로, 접이형 상자는 최소한의 공간만 차지하는 상태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도 11).
한편, 상기와 같이 접어서 보관하던 상자는 상부 프레임(14)만 들어올리면 상부 프레임(14)과 베이스 패널(16)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이 펼쳐지면서 스톱퍼 돌기(26)와 스톱퍼 홈(27)이 체결되므로, 사이드 패널(12)을 펼쳐 하단의 사각홀(33)과 홈부(18)를 베이스 패널(16)의 돌기부(17)와 플랜지 수용홀(34)에 결합시키면 매우 간편하게 상자의 조립을 완료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1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접이형 상자는 상부 프레임과 커버는 물론 사이드 패널과 전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선택적으로 투명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투명합성수지로 형성하면 내용물을 외부에서 라벨과 육안으로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커버와 상부 프레임 간의 힌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커버와 상부 프레임 간의 힌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사이드 패널의 하부 패널과 베이스 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사이드 패널의 하부 패널과 베이스 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상부 프레임과 사이드 패널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전후면 패널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간의 힌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커버의 열림/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에서 전후면 패널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펴짐/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의 펴짐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형 상자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패널 11 : 후면 패널
12 : 사이드 패널 13 : 커버
13a : 전면측 커버 13b : 후면측 커버
14 : 상부 프레임 15 : 경첩
15a : 상부핀 15b : 하부핀
16 : 베이스 패널 17 : 돌기부
18 : 홈부 19 : 상부 패널
20 : 하부 패널 21a,21b,21c,21d : 힌지핀
22 : 힌지홀 23 : 힌지홈
24 : 요부 25 : 철부
26 : 스톱퍼 돌기 27 : 스톱퍼 홈
28 : 라벨 수납홈 29 : 체결홀
30 : 체결핀 31 : 록킹돌기
32 : 록킹홀 33 : 사각홀
34 : 플랜지 수용홀

Claims (7)

  1. 물품의 보관 및 운반 등에 사용되는 접이형 상자에 있어서,
    사각틀의 형태로 구성되면서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 양쪽의 사이드 패널(12), 상부의 커버(13)를 힌지 구조로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4);
    상기 상부 프레임(14)에 경첩(15)에 의해 한 쌍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회전 개폐되는 커버(13);
    상단은 상부 프레임(14)에 힌지핀(21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베이스 패널(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패널(12);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로 분리 구성되면서 서로는 힌지핀(21b)에 의해 절첩가능하며, 상부 패널(19)은 상부 프레임(14)에 그 상단이 힌지핀(2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패널(20)은 베이스 패널(16)에 그 하단이 힌지핀(21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13)는 전면측 커버(13a)와 후면측 커버(13b)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측 커버(13a)와 후면측 커버(13b)는 서로 간의 접하는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면서 형합 가능한 요부(24)와 철부(25)로 되어 있어서 커버 닫힘시 서로 간의 상대편 요부(24)와 철부(25)가 겹쳐짐과 동시에 록킹돌기(31)와 록킹홀(32)의 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3)와 상부 프레임(14)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15)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상부와 하부에 상부핀(15a)과 하부핀(15b)을 각각 형성하며, 상부핀(15a)은 커버(13)의 힌지홀(22)에 삽입하고, 하부핀(15b)은 상부 프레임(14)의 힌지홈(23)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12)은 사이드 패널의 하단에 형성된 사각홀(33)과 홈부(18)가 상기 베이스 패널(16)에 형성된 플랜지 수용홀(34)과 돌기부(17)에 각각 끼움 구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 패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10) 및 후면 패널(11)의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에는 상자 펴짐시 서로 걸려지면서 펴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다수의 스톱퍼 돌기(26) 및 스톱퍼 홈(27)이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상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19)과 하부 패널(20)에 있는 스톱퍼 돌기(26)와 스톱퍼 홈(27)은 서로 한 쌍씩 위아래로 위치를 바꾸어 가며 엇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상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패널(10),(11)과 사이드 패널(12)에는 각각 라벨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라벨수납홈(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상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4)과 커버(13)에 형성되는 체결홀(29) 내에 체결되어 커버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체결핀(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상자.
KR2020080015905U 2008-11-28 2008-11-28 접이형 상자 KR200452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05U KR200452223Y1 (ko) 2008-11-28 2008-11-28 접이형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905U KR200452223Y1 (ko) 2008-11-28 2008-11-28 접이형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19U true KR20100005819U (ko) 2010-06-07
KR200452223Y1 KR200452223Y1 (ko) 2011-02-14

Family

ID=4424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905U KR200452223Y1 (ko) 2008-11-28 2008-11-28 접이형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9189A (zh) * 2015-08-10 2015-12-09 浙江正基塑业有限公司 折叠周转箱
CN107738799A (zh) * 2017-11-21 2018-02-27 唐昌金 一种具有气囊可折叠超薄快递箱
KR20180080554A (ko) * 2017-01-04 2018-07-12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57B1 (ko) 2011-12-09 2013-04-04 엔피씨(주)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5678B1 (en) * 2000-04-10 2007-05-08 Switchcore, A.B.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bandwidth in a switch
KR200301412Y1 (ko) 2002-10-18 2003-01-24 주식회사 삼부포리마 절첩식 상자
DE202005013351U1 (de) 2005-08-24 2005-11-10 Fritz Schäfer GmbH Behälter, insbesondere Lager-, Stapel- und Transportbehälter
JP2007091277A (ja) 2005-09-29 2007-04-12 Seiko Epson Corp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4779607B2 (ja) 2005-11-30 2011-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折り畳み式コンテ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9189A (zh) * 2015-08-10 2015-12-09 浙江正基塑业有限公司 折叠周转箱
KR20180080554A (ko) * 2017-01-04 2018-07-12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CN107738799A (zh) * 2017-11-21 2018-02-27 唐昌金 一种具有气囊可折叠超薄快递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223Y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255C (en) Reusable foldable shipping container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US8919596B2 (en) No-spill tackle, tool or utility box
ES2411730T3 (es) Recipiente plegable para transporte y almacenamiento
KR200445540Y1 (ko) 접이식 수납함
KR200452223Y1 (ko) 접이형 상자
KR100845324B1 (ko) 접철식 컨테이너
US20090206002A1 (en) Collapsible product display container
EP3230172A1 (en) A storage and display device and system
KR20110007541U (ko) 접이식 수납함
US20070215513A1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amp; crafts
KR101049637B1 (ko) 멀티 보관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JP6122177B2 (ja) 折り畳み式収納箱
KR101815280B1 (ko) 물품 포장박스
JP2009057078A (ja) 緩衝袋およびその梱包方法
US20190389649A1 (en) Tamper evident shipping box such as for garments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JP4575090B2 (ja) 折り畳み容器
KR200470977Y1 (ko) 포장용 박스
JP6849218B2 (ja) 蓋付き容器
JPH101134A (ja) 折畳み式包装容器
RU156607U1 (ru) Контейнер полимерный вкладываемый (варианты)
KR200453159Y1 (ko) 병 케이스
JP3177035U (ja) 緩衝袋およびその梱包方法
JP3197405U (ja) 緩衝保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