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554A -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554A
KR20180080554A KR1020170001384A KR20170001384A KR20180080554A KR 20180080554 A KR20180080554 A KR 20180080554A KR 1020170001384 A KR1020170001384 A KR 1020170001384A KR 20170001384 A KR20170001384 A KR 20170001384A KR 20180080554 A KR20180080554 A KR 2018008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n
panel
fastening pin
s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195B1 (ko
Inventor
김태운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7000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1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에 관한 것으로서,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은, 판 형태의 바닥패널과,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과, 하단은 상기 바닥패널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바닥패널에 결합 가능하고,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 가능한 측면 패널을 포함하는 절첩식 상자에 적용 가능한 체결핀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을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체결 시 외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밀림방지턱이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에 걸려 밀림과 이탈을 방지될 수 있어, 체결핀과 체결핀이 체결되는 상자 간의 체결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체결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Foldable box and Connecting-pin for foldable box}
본 발명은 체결핀과 체결핀이 체결되는 상자 간의 체결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체결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는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절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 상자'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879호(2000.10.31)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프레임과 바닥판의 전, 후측에 형성되는 장측판과 양측에 형성되는 단측판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부피로 접어지는 합성수지재상자에 관한 것이며, 상측중심핀으로 상부장측판과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고, 중간중심핀으로 상부장측판과 하부장측판을 결합할 수 있으며, 하측중심핀으로 하부장측판과 바닥판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재 상자는 각 부재를 결합하는 중심핀의 외측면이 핀의 형태로 매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자의 잦은 이동 및 사용으로 인하여 중심핀이 체결공으로부터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중심핀이 체결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체결핀과 체결핀이 체결되는 상자 간의 체결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체결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어, 체결핀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은, 판 형태의 바닥패널과,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과, 하단은 상기 바닥패널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바닥패널에 결합 가능하고,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 가능한 측면 패널을 포함하는 절첩식 상자에 적용 가능한 체결핀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을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체결 시 외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체결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체결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에는,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억지 끼움을 위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체결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판 형태의 바닥패널;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하단은 상기 바닥패널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바닥패널에 결합 가능하고,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 가능한 측면 패널;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을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한 체결핀;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핀은,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체결 시 외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 중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가 긴 변에 기립되는 측면패널은 상, 하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체결핀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상기 측면패널끼리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체결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억지 끼움을 위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측면 패널과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측면 패널과 바닥패널을 결합하거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측면패널끼리 결합할 때 체결되는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밀림방지턱이 마련됨으로써, 밀림방지턱이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에 걸려 밀림과 이탈을 방지될 수 있어, 체결핀과 체결핀이 체결되는 상자 간의 체결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체결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체결핀에 마련되는 밀림방지턱이 체결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두 줄 이상 마련됨으로써, 측면 패널과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측면 패널과 바닥패널을 결합하거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측면패널끼리 결합할 때 결합위치에 따라 여러 줄의 밀림방지턱 중 어느 하나의 밀림방지턱에 의해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체결핀이 결합되는 부분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밀림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체결핀을 사용할 필요없이 하나의 체결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두루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밀림방지턱은 체결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됨으로써, 밀림방지턱은 체결핀이 체결되는 체결공 둘레의 외측 전체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체결공 둘레의 부분 부분에 걸림으로써, 체결핀을 더욱 부드럽게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돌기가 마련됨으로써,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어, 체결핀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첩식 상자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바닥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장측면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상부 프레임과 상부 장측면 패널이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도.
도 9는 도 2에서 상부 장측면 패널과 하부 장측면 패널이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상태도.
도 11은 도 2에서 바닥패널과 하부 장측면 패널이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 상태도.
도 13은 도 2의 단측면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2에서 상부 프레임과 단측면 패널이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결합 상태도
도 16은 도 2에서 결합핀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A-A' 단면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서 체결핀이 체결된 부분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0)과 상부 프레임(200)과 측면 패널과 체결핀(500)을 포함한다.
상자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패널(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의 판 형태이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된 상부 연장부(111, 115)가 마련되어 있다.
바닥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어 있는 상부 연장부(111, 115) 중 바닥패널(100)의 길이가 긴 변에 마련된 상부 연장부(111)에는 제1걸림돌기(120)가 마련되어 있다. 제1걸림돌기(120)는 상부 연장부(111)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걸림돌기(120)의 끝부분은 아래로 절곡된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돌기(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걸림돌기(120)는 하기에서 설명할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에 마련된 제2걸림바(355)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어,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어 있는 상부 연장부(111, 115) 중 바닥패널(100)의 길이가 긴 변에 마련된 상부 연장부(111)의 양측 끝에는 체결핀(5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13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제1체결부(130)는 바닥패널(100)의 상면과 상부 연장부(111, 115)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3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각각의 제1체결부(130)에는 제1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패널(100)의 길이가 짧은 변에 마련된 상부 연장부(115)의 양측 끝에는 상부 연장부(115)를 관통하는 제1-1체결공(1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연장부(115)를 관통하는 제1-1체결공(135)과, 제1체결부(130)에 형성된 제1체결공(131)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핀(500)이 체결된다.
상자의 상단부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상부 프레임(200)은 바닥패널(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20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00)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하부 연장부(211, 215)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연장부(211, 215)에는 다수의 제2걸림돌기(221, 222)가 마련되어 있다. 제2걸림돌기(221, 222)는 하부 연장부(211, 215)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연장부(211, 215) 중 상부 프레임(200)의 길이가 긴 변에 마련된 하부 연장부(211)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의 제2걸림돌기(221)가 마련되어 있고, 하부 연장부(211, 215) 중 상부 프레임(200)의 길이가 짧은 변에 마련된 하부 연장부(215)에는 한 개의 제2걸림돌기(22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2걸림돌기(221)는 하기에서 설명할 장측면 패널(300)의 제1걸림바(311)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걸림바(311)에 의해 지지되고, 제2걸림돌기(222)는 하기에서 설명할 단측면 패널(400)의 제3걸림바(4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제3걸림바(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00)의 길이가 짧은 변에 마련된 하부 연장부(215)의 양측 끝에는 하부 연장부(215)를 관통하는 제2체결공(23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2체결공(235)이 형성된 측의 하부 연장부(215) 내측에는 제2체결부(2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체결부(23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각각의 제2체결부(230)에는 제2-1체결공(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체결부(230)의 상단은 길이가 긴 하부 연장부(211)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부 연장부(125)를 관통하는 제2체결공(235)과, 제2체결부(230)에 형성된 제2-1체결공(231)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장측면 패널(300)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핀(500)이 체결된다.
상부 프레임(200)의 길이가 긴 변에 마련된 하부 연장부(211)의 양측 끝에는 하부 연장부(211)를 관통하는 제3체결공(241)이 형성된 제3체결부(24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체결부(240)는 제3체결공(241)이 형성된 보스의 형태이나, 제2체결부(230)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 패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바닥패널(100)로부터 기립되어 바닥패널(100)에 결합 가능하고, 상단은 상부 프레임(200)에 결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패널(10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측면패널은, 바닥패널(100)의 길이가 긴 양변에 기립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과, 바닥패널(100)의 길이가 짧은 양변에 기립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단측면 패널(400)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패널(100)의 길이가 긴 양변에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3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 하의 두 부분(310, 350)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상부 장측면 패널(310)이라 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하부 장측면 패널(300)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상단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상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부로 배치된 일자형의 바 형태로 제1걸림바(311)가 마련되어 있다. 제1걸림바(311)는 상부 프레임(200)의 제2걸림돌기(221)의 외측을 지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상단 양측 끝에는 제4체결부(31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체결부(3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각각의 제4체결부(312)에는 제4체결공(3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4체결부(31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2체결부(2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00)의 제2체결공(235)과 제2체결부(230)의 제2-1체결공(231)과 제4체결부(312)의 제4체결공(313)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체결핀(500)이 체결된 상태는 도 8과 같다.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하단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된 제3걸림돌기(314)가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제3걸림돌기(314)는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하단에는 제1걸림홈(315)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홈(315)은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내측면에 두 개가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제1걸림홈(315)은 세 개의 제3걸림돌기(314)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하단 양측 끝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체결부(316)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체결부(316)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각각의 제5체결부(316)에는 제5체결공(317)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상단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걸림홈(352)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2걸림홈(352)은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내측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제4걸림돌기(351)가 마련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4걸림돌기(351)는 두 개가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제4걸림돌기(351)는 세 개의 제2걸림홈(352)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제4걸림돌기(351)는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제1걸림홈(315)에 각각 삽입되고,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제3걸림돌기(314)는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제2걸림홈(352)에 각각 삽입된다.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 양측 끝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체결부(35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6체결부(353)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각각의 제6체결부(353)에는 제6체결공(3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6체결부(35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5체결부(316)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제5체결부(316)에 형성된 제5체결공(317)과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제6체결부(353)에 형성된 제6체결공(354)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체결핀(500)이 체결된 상태는 도 10과 같다.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하부로 배치된 일자형의 바 형태로 제2걸림바(355)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2걸림바(355)는 바닥패널(100)의 제1걸림돌기(120)에 걸림으로써, 바닥패널(1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 양측 끝에는 제7체결부(356)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7체결부(356)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각각의 제7체결부(356)에는 제7체결공(35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7체결부(356)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1체결부(1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제1-1체결공(135)과 제1체결부(130)의 제1체결공(131)과 제7체결부(356)의 제7체결공(357)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체결핀(500)이 체결된 상태는 도 12와 같다.
단측면 패널(400)의 상단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상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부로 배치된 일자형의 바 형태로 제3걸림바(410)가 마련되어 있다. 제3걸림바(410)는 상부 프레임(200)의 제2걸림돌기(222)의 외측을 지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00)을 지지할 수 있다.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에는 제3걸림홈(43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걸림홈(430)은 두 개로 마련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3걸림홈(43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4걸림돌기(318)와,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5걸림돌기(358)가 각각 삽입된다.
단측면 패널(400)의 상단 양측 끝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체결공(4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8체결공(450)은 단측면 패널(400)의 상단 측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이를 위하여 단측면 패널(400)의 상단 외측면에는 홈(4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8체결공(450)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측벽과 홈(451)의 벽면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8체결공(45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3체결부(240)의 제3체결공(241)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상부 프레임(200)의 제3체결부(240)에 형성된 제3체결공(241)과 단측면 패널(400)에 형성된 제8체결공(450)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체결핀(500)이 체결된 상태는 도 15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첩식 상자의 측면 패널과 상부 프레임(200)을 결합하거나, 측면 패널과 바닥패널(100)을 결합하거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측면패널(310, 350)끼리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한 체결핀(500)을 도 16에 도시하였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체결핀(500)의 일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체결핀(500)의 타단은 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마련되어 측단면이 편평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지도록 마련된 일단이 체결핀(500)이 체결되고자 하는 부분에 먼저 삽입된다. 즉, 체결핀(500)이 삽입되는 방향은 본 명세서의 도 16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핀(500)의 외주면에는 체결핀(500)의 체결 시 외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5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밀림방지턱(510)은, 체결핀(5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부(511a, 513a, 515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는 밀림방지턱(510)의 체결핀(500) 일단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경사부는 도 16 상에서 밀림방지턱(510)의 우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 16 상에서 체결핀(500)이 삽입되는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이므로 경사부는 도 16 상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밀림방지턱(510)은 체결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밀림방지턱(511)과 제2밀림방지턱(513)과 제3밀림방지턱(5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밀림방지턱(511)은 체결핀(500)의 일단측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밀림방지턱(513)은 제1밀림방지턱(51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체결핀(500)의 타단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밀림방지턱(515)은 제2밀림방지턱(513)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체결핀(500)의 타단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밀림방지턱(511)과 제2밀림방지턱(513) 사이의 간격보다 제2밀림방지턱(513)과 제3밀림방지턱(515) 사이의 간격이 더 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밀림방지턱(510)이 체결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제1밀림방지턱(511)과 제2밀림방지턱(513)과 제3밀림방지턱(515)으로 구성됨으로써, 측면 패널과 상부 프레임(200)을 결합하거나, 측면 패널과 바닥패널(100)을 결합하거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측면패널(310, 350)끼리 결합할 때 결합위치에 따라 제1밀림방지턱(511)과 제2밀림방지턱(513)과 제3밀림방지턱(515) 중 어느 하나의 밀림방지턱(510)에 의해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밀림방지턱(510)이 체결핀(5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최대높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0.2mm이고, 이렇게 각 밀림방지턱(510)이 돌출된 높이인 0.2mm만큼 강제끼임구간이 발생하며, 실시예에 따라 밀림방지턱(510)이 돌출된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밀림방지턱(511)과 제2밀림방지턱(513)과 제3밀림방지턱(515)은 체결핀(5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밀림방지턱(515)이 체결핀(5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네 개가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제2밀림방지턱(513)과 제3밀림방지턱(515)도 제3밀림방지턱(515)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체결핀(500)의 외주면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억지 끼움을 위한 돌기(55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고 측단면이 편평한 형태로 된 체결핀(500)의 타단측에는 다수의 돌기(55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55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체결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줄로 배치되어 있고, 돌기(550)의 각 줄은 체결핀(5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550)의 위치는 체결핀(500)이 최외곽에 끼워지는 구간을 설정하여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체결핀(500)의 체결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장측면 패널(310)과 상부 프레임(200) 간에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제4체결부(312)는 상부 프레임(200)의 제2체결부(2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00)의 제2체결공(235)과 제2체결부(230)의 제2-1체결공(231)과 제4체결부(312)의 제4체결공(313)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상부 장측면 패널(310)과 상부 프레임(200)에 체결핀(500)이 체결될 때에는 체결핀(500)의 제2밀림방지턱(513)이 제4체결부(312)에 걸려 체결핀(5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체결핀(500)이 최외곽에 끼워지는 구간인 제2체결부(230)의 내측에 돌기(550)가 배치됨으로써,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500)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장측면 패널(310)과 하부 장측면 패널(300) 간에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장측면 패널(310)의 제5체결부(316)는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제6체결부(353)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체결부(316)에 형성된 제5체결공(317)과 제6체결부(353)에 형성된 제6체결공(354)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상부 장측면 패널(310)과 하부 장측면 패널(300)에 체결핀(500)이 체결될 때에는 체결핀(500)의 제1밀림방지턱(511)이 제6체결부(353)에 걸려 체결핀(5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체결핀(500)이 최외곽에 끼워지는 구간인 제5체결부(316)의 내측에 돌기(550)가 배치됨으로써,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500)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 장측면 패널(300)과 바닥패널(100) 간에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장측면 패널(300)의 제7체결부(356)는 바닥패널(100)의 제1체결부(1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패널(100)의 제1-1체결공(135)과 제1체결부(130)의 제1체결공(131)과 제7체결부(356)의 제7체결공(357)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하부 장측면 패널(300)과 바닥패널(100)에 체결핀(500)이 체결될 때에는 체결핀(500)의 제2밀림방지턱(513)이 제7체결부(356)에 걸려 체결핀(5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체결핀(500)이 최외곽에 끼워지는 구간인 제1체결부(130)의 내측에 돌기(550)가 배치됨으로써,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500)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측면 패널(400)과 상부 프레임(200) 간에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에 형성된 제8체결공(450)과 상부 프레임(200)의 제3체결부(240)가 인접하게 배치되며, 체결핀(50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체결부(240)에 형성된 제3체결공(241)과 단측면 패널(400)에 형성된 제8체결공(450)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단측면 패널(400)과 상부 프레임(200)에 체결핀(500)이 체결될 때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핀(500)의 제3밀림방지턱(515)이 홈(451)의 벽면에 걸려 체결핀(5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8체결공(450)의 지름은 4.7mm이고, 체결핀(500)의 지름은 4.6mm이며, 제3밀림방지턱(515)이 돌출된 높이는 0.2mm로서, 제3밀림방지턱(515)이 돌출된 높이인 0.2mm만큼 강제끼임구간이 발생한다.
또한, 체결핀(500)이 최외곽에 끼워지는 구간인 상부프레임의 제3체결부(240)의 내측에 돌기(550)가 배치됨으로써,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500)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5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측면 패널과 상부 프레임(200)을 결합하거나, 측면 패널과 바닥패널(100)을 결합하거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측면패널(310, 350)끼리 결합할 때 체결되는 체결핀(500)의 외주면에는 밀림방지턱(510)이 마련됨으로써, 밀림방지턱(510)이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부분에 걸려 밀림과 이탈을 방지될 수 있어, 체결핀(500)과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상자 간의 체결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체결핀(500)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체결핀(500)에 마련되는 밀림방지턱(510)이 체결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두 줄 이상 마련됨으로써, 측면 패널과 상부 프레임(200)을 결합하거나, 측면 패널과 바닥패널(100)을 결합하거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측면패널(310, 350)끼리 결합할 때 결합위치에 따라 여러 줄의 밀림방지턱(510) 중 어느 하나의 밀림방지턱(510)에 의해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체결핀(500)이 결합되는 부분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밀림방지턱(510)이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체결핀(500)을 사용할 필요없이 하나의 체결핀(500)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두루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밀림방지턱(510)은 체결핀(5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됨으로써, 밀림방지턱(510)은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체결공(450) 둘레의 외측 전체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공(450) 둘레의 부분 부분에 걸림으로써, 체결핀(500)을 더욱 부드럽게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체결핀(500)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돌기(550)가 마련됨으로써, 억지 끼움의 형태로 체결핀(500)의 이탈을 2차로 방지할 수 있어, 체결핀(500)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닥패널 130 : 제1체결부
200 : 상부 프레임 230 : 제2체결부
240 : 제3체결부 300 : 장측면 패널
310 : 상부 장측면 패널 350 : 하부 장측면 패널
312 : 제4체결부 316 : 제5체결부
353 : 제6체결부 356 : 제7체결부
400 : 단측면 패널 500 : 체결핀
510 : 밀림방지턱 550 : 돌기

Claims (10)

  1. 판 형태의 바닥패널과,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과,
    하단은 상기 바닥패널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바닥패널에 결합 가능하고,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 가능한 측면 패널을 포함하는 절첩식 상자에 적용 가능한 체결핀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을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체결 시 외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체결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체결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에는,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억지 끼움을 위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체결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7. 판 형태의 바닥패널;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하단은 상기 바닥패널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바닥패널에 결합 가능하고,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 가능한 측면 패널;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상기 측면 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을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한 체결핀;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핀은,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체결 시 외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 중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가 긴 변에 기립되는 측면패널은 상, 하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체결핀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상기 측면패널끼리 결합할 때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체결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줄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부분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구간에 억지 끼움을 위한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1020170001384A 2017-01-04 2017-01-04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KR10192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84A KR101921195B1 (ko) 2017-01-04 2017-01-04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384A KR101921195B1 (ko) 2017-01-04 2017-01-04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554A true KR20180080554A (ko) 2018-07-12
KR101921195B1 KR101921195B1 (ko) 2018-11-22

Family

ID=629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384A KR101921195B1 (ko) 2017-01-04 2017-01-04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1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119A (ja) * 1998-01-31 1999-08-10 Adachi Raito Kogyosho Kk ヒンジ構造
KR20100005819U (ko) *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이형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119A (ja) * 1998-01-31 1999-08-10 Adachi Raito Kogyosho Kk ヒンジ構造
KR20100005819U (ko) * 2008-11-28 2010-06-07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이형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195B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294B2 (en) Structure of expandable corrugated storage shelf system
US20200305596A1 (en)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US8672150B2 (en) Modular shelving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CA2617867A1 (en) Connecting corner for screens
KR200445747Y1 (ko) 마감재 체결구조
US20160285407A1 (en) Carrier Structure for Solar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Carrier Structure
KR101866260B1 (ko) 건축용 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9606321B2 (en) Enclosure assemblies having cable clamping inserts and cable clamping inserts for such enclosures
KR101921195B1 (ko) 절첩식 상자와 절첩식 상자의 체결핀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US20080056817A1 (en) Corner connector for rectangular duct work
JP2018140815A (ja) 容器
US20120036686A1 (en) Device to create a space divider or spatial delimitation
US20070281057A1 (en) Container for Pizzas
KR101417479B1 (ko) 조립식 책상 구조체
JP2016199296A (ja) 折畳み容器
KR20100054069A (ko) 휴대용 독서칸막이
CN105266412A (zh) 可调节架搁板和使用方法
KR102329322B1 (ko) 원터치 파티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커넥터 어셈블리
AU2008213743B2 (en) Core tray with end caps
KR102276961B1 (ko) 종이액자용 템플릿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종이액자
JP3707968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12101481A (ja) ボードセット
KR101718910B1 (ko) 조립식 선반용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