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010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010A
KR20100005010A KR1020097018846A KR20097018846A KR20100005010A KR 20100005010 A KR20100005010 A KR 20100005010A KR 1020097018846 A KR1020097018846 A KR 1020097018846A KR 20097018846 A KR20097018846 A KR 20097018846A KR 20100005010 A KR20100005010 A KR 2010000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tablet
edg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667B1 (ko
Inventor
도모히로 다키자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8Ancillary device support associated with a video display scr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대한 배면(背面)을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닫쳐진 닫힌 상태에서의 양호한 조작성이나 안정성을, 휴대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실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하우징(111)의 뒷 가장자리(111b)와 평행한 회동 축을 형성하는 제 1 축(130)을 회동 축으로 하여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프릭션을 따라서 화살표 A-A 방향으로 가능하게 회동하는 회동 부재(140)의 윗 가장자리(140a)의 중앙부와,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화살표 A-A 방향으로 개폐가능한 동시에 화살표 B-B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121)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121b)의 중앙부가, 제 1 축(130)에 대하여 수직인 동시에, 제 2 하우징(121)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45°경사진 제 2 축(150)에 의해, 화살표 B-B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였다.
제 1 축, 회동 부재, 제 2 축,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전자 기기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으로 대표되는 휴대성이 뛰어난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이러한 전자 기기는 휴대에 편리하도록, 문자 키나 숫자 키 등으로 한 조작 키가 상면에 배열된 본체 유닛과, 표시 화면을 갖는 본체 유닛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화상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본체 유닛 상면에 배열된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표시 화면을 통해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 기기로의 지시 입력 등을, 키 입력에 의하지 않고, 표시 화면에 손가락이나 전용 펜을 접촉 혹은 근접시켜서 그 위치를 인식시킴으로써 행하는 사용 형태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 등을 내장한 전자 기기도 개발되어 상품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면 처리 능력이 한정된 손바닥 사이즈의 휴대 정보 단말(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나,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이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를 태블릿 PC로 약기함) 등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태블릿 PC의 중에는, 상면에 표시 화면을 갖고 전체가 1개의 판형으로 형성된 소위 퓨어 태블릿 PC의 것 외, 본체 유닛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화상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지시 입력 등을 손가락이나 전용 펜으로 행하는 사용 형태에 편리한, 표시 화면이 상향하는 화상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화상 표시 유닛의 개폐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유닛의 표리(表裏) 회전도 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은 연결부를 사용하여 화상 표시 유닛과 본체 유닛을 연결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도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여기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에는, 일반적으로, 표시 화면이 상향하는 화상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의 태블릿 모드에 있을 때의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그 표시 화면의 옆에 각종 버튼이 배치되거나, 그 표시 화면 상에 각종 버튼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면을 스크롤하는 버튼이나, 일반적인 키보드에서의 Ctrl 키와 Alt 키와 Del 키를 동시에 눌렀을 때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는 버튼이나, 표시 화면에 표시된 화상 전체의 방향을 전환하는 버튼이나, 오퍼레이터가 소망하는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버튼이나, 일반적인 키보드에서의 Enter 키에 상당하는 버튼 등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는 표시 정보량의 증대나 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표시 화면의 대형화를 요망하는 한편으로, 휴대성을 위해 장치 외형의 소형화도 요망되고 있다. 즉, 장치 외형은 표시 화면의 면적보다 작게는 할 수 없지만, 장치 외형을 표시 화면의 가능한 한 끝까지 작게 하여, 표시 화면의 주변 부분의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하는 의미에서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의 옆에 버튼이 배치되어 있으면, 그 버튼이 배치되는 공간 분만큼 표시 화면의 면적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시 화면 상에 버튼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으면, 표시 화면을 장치 외형의 가능한 한 끝까지 넓히는 것이 가능하지만, 표시 화면 상에 버튼의 화상을 표시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버튼의 화상을 제외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표시 화면의 옆에 버튼이 배치되거나, 표시 화면 상에 버튼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으면, 화상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에 대하여 열린 상태의 노트 PC 모드로 있을 시에 버튼을 손가락이나 전용 펜으로 조작할 때에, 화상 표시 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유지하는 힌지를 회동축으로 한 큰 회전 모멘트가 작용할 우려가 있고, 의도하지 않게 화상 표시 유닛이 회동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한 전자 기기로서, 본체 유닛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화상 표시 유닛을 구비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에 있어서, 그 본체 유닛의 상면에 배치된 키보드의 왼쪽 옆에 버튼 및 지문 센서가 배치되어, 표시 화면이 상향하는 화상 표시 유닛이 닫힌 상태의 태블릿 모드에 있을 시에, 그 버튼 및 지문 센서가 노출하는 태블릿 PC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이의 특허 문헌 3에 제안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에 의하면, 태블릿 모드로 있을 시에, 본체 유닛 상면의 키보드 왼쪽 옆에 배치된 버튼이나 지문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유닛에 배치되는 표시 화면의 옆에 버튼을 배치하거나, 표시 화면 상에 버튼의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된다. 그 때문에, 표시 화면을 장치 외형의 가능한 한 끝까지 넓히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표시 화면 상에 버튼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 영역의 감소도 회피된다. 또한, 화상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에 대하여 열린 상태의 노트 PC 모드로 있을 시에, 손가락이나 전용 펜으로 조작할 때에 의도하지 않게 화상 표시 유닛이 회동해 버리는 것도 회피된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3-330590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4-53927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의장등록 제1279770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3에 제안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는 태블릿 모드에 있을 시에, 본체 유닛 상면의 키보드 왼쪽 옆이 노출하고, 그 키보드 왼쪽 옆에 버튼이나 지문 센서가 배치된 것이기 때문에, 그 버튼이나 지문 센서를 배치하는 공간 분만큼 본체 유닛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휴대성에 뒤떨어지는 것이 되어버린다. 또한, 본체 유닛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본체 유닛 상면에서의 키보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가로 폭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에는, 키보드의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 제안된 컨버터블 타입의 태블릿 PC는 태블릿 모드에 있을 시에, 화상 표시 유닛이 본체 유닛에 대하여 오른쪽 옆으로 돌출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돌출한 부분에 암을 싣거나 하여 하중이 걸렸을 때 등에, 화상 표시 유닛을 회동가능하도록 유지하는 힌지를 회동축으로 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할 우려가 있는 등, 상태가 불안정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상술의 본체 유닛 상에, 화상 표시 유닛을, 표시 화면을 위로하여 닫친 경우 등, 제 1 하우징 상에, 제 2 하우징의 전면에 대한 배면을 위로하여 닫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 휴대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이나 안정성을 실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제 1 하우징과, 그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뒷 가장자리에 배치된, 그 뒷 가장자리와 평행한 회동 축을 형성하는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을 회동 축으로 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가능하게 회동하는 회동 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 중앙부와, 상기 회동 부재의 윗 가장자리 중앙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제 1 축에 대하여 수직인 동시에, 상기 제 2 하우징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上方)이 전방(前方)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前面)을 상기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1 닫힌 상태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에 대한 배면(背面)을 상기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그 제 1 하우징 상면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을 노출한 상태로 닫히는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제 1 하우징의 뒷 가장자리와 평행한 회동 축을 형성하는 제 1 축을 회동 축으로 하여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프릭션(friction)을 따라서 가능하게 회동하는 회동 부재의 윗 가장자리 중앙부와,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 중앙부가, 제 1 축에 대하여 수직인 동시에, 제 2 하우징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다. 그 때문에, 제 2 하우징의 전면에 대한 배면을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2 닫힌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상면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이 노출한다. 이 제 2 닫힌 상태에서 노출하는, 제 1 하우징 상면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은, 일반적으로, 그 상면의 좌우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보다도 공간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그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각종 버튼이나 지문 센서 등을, 휴대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 2 닫힌 상태에서의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제 2 닫힌 상태에서, 제 2 하우징이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옆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제 2 하우징의 전면에 암을 싣거나 하여 하중이 걸렸을 때 등에 상기 제 2 축을 회동축으로 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할 가능성이 지극히 낮고, 안정성에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제 2 닫힌 상태에서의, 제 1 하우징의 노출하는 부분의 두께가, 제 2 하우징이 겹치지 않는 분만큼 얇아지기 때문에, 제 2 닫힌 상태에서 파지했을 때의 홀드성에 뛰어나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자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작자가 배치된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상태여도, 상기 제 2 닫힌 상태여도 그 조작자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작성에 뛰어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은 공간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조작자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 중 상기 조작자가 배치된 전자 기기는, 그 조작자가 푸쉬 버튼이어도 좋고, 혹은 그 조작자가 슬라이드 버튼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지문을 식별해서 유저 인증을 행하는 지문 센서가 배치된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러한 지문 센서가 배치된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상태여도, 상기 제 2 닫힌 상태여도 그 지문 센서에서 유저 인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작성에 뛰어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이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의 조작 키가 배열된 키보드가 배치된 것이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전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배치된 것이다」라고 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닫힌 상태에서 노출하는, 제 1 하우징 상면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은,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배치된 키보드와 그 앞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영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영역은 키보드와 왼쪽 가장자리나 오른쪽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영역보다도 공간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다. 따라서, 그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각종 버튼이나 지문 센서 등을 배치하면, 그것들을 배치하기 위해서 제 1 하우징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키보드가 배치되는 영역의 가로 폭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성이나 키보드의 조작성을 희생으로 하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키보드가 배치된 제 1 하우징에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나 전자 회로가 탑재된 회로 기판이나 정보를 기억해 두는 하드디스크 등이 내장되어 있고, 이 제 1 하우징 상면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각종 버튼이나 지문 센서 등을 배치하면,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표시 화면의 옆에 각종 버튼이나 지문 센서 등이 배치된 종래의 전자 기기나, 표시 화면 상에 각종 버튼의 화상이 표시된 종래의 전자 기기보다도, 단선 등에 의한 고장 리스크가 경감한다. 또한,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표시 화면의 옆에 각종 버튼이나 지문 센서 등을 배치하거나, 표시 화면 상에 각종 버튼의 화상을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 화면을 제 2 하우징의 가능한 한 끝까지 넓힐 수 있는 동시에, 표시 화면 상에 각종 버튼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 영역의 감소도 회피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 중 상기 표시 화면이 배치된 전자 기기는, 그 표시 화면이 펜의 접촉 혹은 근접을 검출하는 펜 입력 기능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표시 화면의 옆에 각종 버튼이나 지문 센서 등을 배치하거나, 표시 화면 상에 각종 버튼의 화상을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펜으로 조작할 때에 의도하지 않고서 제 2 하우징이 회동해 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이 제 1 하우징 전단면이, 이 제 1 하우징 상면 및 저면 쌍방의 앞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미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프릭션을 따라서 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제 2 하우징의 자세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적당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와, 상기 회동 부재의 윗 가장자리의 쌍방이, 상기 제 2 축에 대하여 수직한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아래 가장자리와 상기 윗 가장자리의 사이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하우징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45° 경사진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축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뒷 가장자리 양단에 각각 배치된, 상기 회동 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한 쌍의 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를 양단에 갖는 것이다」
라고 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의 전면에 대한 배면을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닫쳐진 닫힌 상태에서의 양호한 조작성이나 안정성을, 휴대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실현한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태블릿 PC의 화상 표시 유닛 전면을 본체 유닛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1 닫힌 상태를 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태블릿 PC를 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태블릿 PC를 측면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태블릿 PC의 화상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에 대하여 열린 상태를 측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태블릿 PC를 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4, 도 5에 도시하는 태블릿 PC의 화상 표시 유닛을 본체 유닛에 대하여 회동시킨 회동 상태를 측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7은 도 1 ~ 도 6에 도시하는 태블릿 PC의 화상 표시 유닛의 전면에 대한 배면을 본체 유닛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2 닫힌 상태를 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태블릿 PC를 측면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태블릿 PC를 유저가 파지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가,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나 전자 회로가 탑재된 회로 기판이나 정보를 기억해 두는 하드디스크 등을 내장하는 동시에 상면에 복수의 조작 키가 배열되어서 키보드로서의 역할도 이루는 본체 유닛과, 본체 유닛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전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배치된 화상 표시 유닛을 구비하고, 그 표시 화면에 손가락이나 전용 펜을 접촉 혹은 근접시켜서 그 위치를 인식시킴으로써 지시를 입력하는 형식의, 소위 컨버터 블 타입의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이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를 태블릿 PC로 약기(略記) 함)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태블릿 PC(100)의 화상 표시 유닛(120) 전면을 본체 유닛(110)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1 닫힌 상태를 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를 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를 측면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의 화상 표시 유닛(120)을 본체 유닛(110)에 대하여 열려진 열린 상태를 측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를 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 도 5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의 화상 표시 유닛(120)을 본체 유닛(110)에 대하여 회동시킨 회동 상태를 측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 도 6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O)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와 동일한 처리 능력을 갖고, 내부에는 하드디스크 장치나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 도 6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는 제 1 하우징(111)을 갖는 본체 유닛(110)과,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화살표 A-A 방향으로 개폐가능한 동시에 화살표 B-B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121)을 갖는 화상 표시 유닛(1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1)은 이 제 1 하우징(111)의 전단면(111d)이, 이 제 1 하우징의 상면(111a) 및 저면(111e) 쌍방의 앞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 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 1 하우징(111)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하고, 이 제 2 하우징(121)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1 ∼ 도 3에는, 화상 표시 유닛(120)의 제 2 하우징(121)의 전면(121a)을, 본체 유닛(110)의 제 1 하우징(111)의 상면(111a)을 향해서 닫힌 제 1 닫힌 상태에 있는 태블릿 PC(1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에는, 화상 표시 유닛(120)을 본체 유닛(110)에 대하여 열려진 열린 상태에 있는 태블릿 PC(1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화상 표시 유닛(120)을 본체 유닛(110)에 대하여 회동시킨 회동 상태에 있는 태블릿 PC(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태블릿 PC(100)는 제 1 하우징(111)의 뒷 가장자리(111b)에 각각 배치된, 이 뒷 가장자리(111b)와 평행한 회동 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축(130)과, 제 1 축(130)을 회동 축으로 하여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프릭션을 따라서 화살표 A-A 방향으로 가능하게 회동하는 회동 부재(140)와, 제 2 하우징(121)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121b)의 중앙부와, 회동 부재(140)의 윗 가장자리(140a)의 중앙부를 화살표 B-B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축(1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 2 축(150)은 제 1 축(130)에 대하여 수직인 동시에, 제 2 하우징(121)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45° 경사져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21)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121b)와, 회동 부재(140)의 윗 가장자리(140a)의 쌍방이, 제 2 축(150)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다.
이렇게, 아래 가장자리(121b)와 윗 가장자리(140a)의 쌍방이, 제 2 축(150) 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기 때문에, 아래 가장자리(121b)와 윗 가장자리(140a)의 사이의 간격이 최소한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회동 부재(140)가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프릭션을 따라서 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린 상태에서의 제 2 하우징(121)의 자세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회동 부재(140)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축(130)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141)를 양단에 갖는다. 그 때문에, 회동 부재(140)를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의 제 1 축(13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축의 일례에 상당하고, 이 회동 부재(1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동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이 제 2 축(15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축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이 연결부(141)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연결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4 ∼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블릿 PC(100)의 본체 유닛(110)에는, 이 본체 유닛(110)의 제 1 하우징(111)의 상면(111a)에, 복수의 조작 키가 배열된 키보드(112), 트랙볼(113), 좌 클릭 버튼(114), 및 우 클릭 버튼(11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1)의 상면(111a)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의 중앙 부분에,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푸쉬 버튼식의 5개의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푸시 버튼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들 5개의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은, 향해서 우측으로부터 제 1 버튼(1101), 제 2 버튼(1162), 제 3 버튼(1163), 제 4 버튼(1164), ENT 버튼(1165)의 순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제 1 버튼(1161), 제 2 버튼(1162), 제 3 버튼(1163), 및 제 4 버튼(1164)의 각각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로그 온 시에서의 패스워드 입력에 사용하는 버튼이다. 또한, ENT 버튼(1165)은 입력된 패스워드를 확정할 때에 사용하는 버튼이다.
또한, 태블릿 PC(100)를 기동한 후에 제 1 버튼(1161)을 2초 이상 계속해서 누르면, 키보드(112)에서의 Ctrl 키와 Alt 키와 Del 키를 동시에 눌렀을 때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어, 시스템을 강제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태블릿 PC(100)를 기동한 후에 제 2 버튼(1162)을 누를 때마다, 표시 화면(122)에 표시된 화상 전체의 방향이 90° 전환되고, 이 표시 화면(122)을 종횡 쌍방의 방향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버튼(1163) 및 제 4 버튼(1164)은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버튼이며, 태블릿 PC(100)를 기동한 후에, 미리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 제 3 버튼(1163)이나 제 4 버튼(1164)을 누르고, ENT 버튼(1165)을 누르면, 그 할당된 기능이 실행된다. 한편, 이 ENT 버튼(1165)은 키보드(112)에서의 Enter 키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의 오른쪽 끝 부분에, 지문을 식별하여 유저 인증을 행하는 지문 센서(1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문 센서(117)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문 센서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블릿 PC(100)의 화상 표시 유닛(120)에는, 이 화상 표시 유닛(120)의 제 2 하우징(121)의 전면(121a)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12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표시 화면(122)은 본 발명에서 말 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표시 화면(120)은 도시되지 않은 전용 펜이나 손가락의 접촉 혹은 근접을 검출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디지타이저(digitizer)를 구비한, 펜 입력 기능을 갖는 것이다. 한편, 디지타이저로서는, 소위 터치 패널이라 부르는 저항막 방식의 디지타이저도 사용가능하다.
도 7은, 도 1 ∼ 도 6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의 화상 표시 유닛(120)의 전면에 대한 배면을 본체 유닛(110)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2 닫힌 상태를 전면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를 측면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태블릿 PC(100)를 유저가 파지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 ~ 도 9에는, 화상 표시 유닛(120)의 제 2 하우징(121)의 전면(121a)에 대한 배면(121b)을, 본체 유닛(110)의 제 1 하우징(111)의 상면(111a)을 향해서 닫힌 제 2 닫힌 상태에 있는 태블릿 PC(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태블릿 PC(100)는 제 1 하우징(111)의 뒷 가장자리(111b)와 평행한 회동 축을 형성하는 제 1 축(130)을 회동 축으로 하여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프릭션을 따라서 화살표 A-A 방향으로 가능하게 회동하는 회동 부재(140)의 윗 가장자리(140a)의 중앙부와,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화살표 A-A 방향으로 개폐가능한 동시에 화살표 B-B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121)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121b)의 중앙부가, 제 1 축(130)에 대하여 수직인 동시에, 제 2 하우징(121)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45° 경사진 제 2 축(150)에 의해, 화 살표 B-B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그 때문에,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21)의 전면(121a)에 대한 배면(121b)을 제 1 하우징(111)의 상면(111a)을 향해서 닫힌 제 2 닫힌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11)의 상면(111a)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이 노출된다.
이 제 2 닫힌 상태에서 노출하는,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은 키보드(112)와 왼쪽 가장자리나 오른쪽 가장자리의 사이의 영역보다도 공간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에, 제 1 버튼(1161), 제 2 버튼(1162), 제 3 버튼(1163), 제 4 버튼(1164), 및 ENT 버튼(1165)에 의해 구성되는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이나 지문 센서(117)가 배치된 본 실시예의 태블릿 PC(100)에 의하면,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이나 지문 센서(117)를 배치하기 위해 제 1 하우징(111)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키보드(112)가 배치되는 영역의 가로 폭 방향의 길이를 짧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성이나 키보드(112)의 조작성을 희생으로 하는 것이 없다. 또한, 제 2 하우징(121)을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열려진 열린 상태여도, 상기 제 2 닫힌 상태여도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을 조작하거나, 지문 센서(117)로 유저 인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은 공간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키보드(112)가 배치된 제 1 하우징(111)에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 나 전자 회로가 탑재된 회로기판이나 정보를 기억해 두는 하드디스크 등이 내장되어 있고,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111c)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이나 지문 센서(117)가 배치된 본 실시예의 태블릿 PC(100)에 의하면,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표시 화면의 옆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이나 지문 센서가 배치된 종래의 전자 기기나, 표시 화면 상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의 화상이 표시된 종래의 전자 기기보다도, 단선 등에 의한 고장 리스크가 경감한다.
또한, 제 2 하우징(121)에 배치된 표시 화면(122)의 옆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이나 지문 센서를 배치하거나, 표시 화면(122) 상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의 화상을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 화면(122)을 제 2 하우징(121)의 가능한 한 끝까지 넓힐 수 있는 동시에, 표시 화면(122) 상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 영역의 감소도 회피된다. 또한, 제 2 하우징(121)에 배치된 표시 화면(122)의 옆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이나 지문 센서를 배치하거나, 표시 화면(122) 상에 시큐리티/태블릿 버튼의 화상을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하우징(121)을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열려진 열린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펜으로 조작할 때에 의도하지 않고서 제 2 하우징(121)이 회동해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닫힌 상태에서, 제 2 하우징(121)이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옆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제 2 하우징(121)의 전면(121a)에 암을 싣거나 하여 하중이 걸렸을 때 등에 제 2 축(150)을 회동 축으로 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할 가능성이 지극히 낮고, 안정성에 뛰어나다.
또한, 태블릿 PC(100)는 상기 제 2 닫힌 상태에서의 펜 조작 시에 낙하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지만,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태블릿 PC(100)에 의하면, 제 1 하우징(111)의 노출하는 부분의 두께가, 제 2 하우징(121)이 겹치지 않는 부분만큼 얇아지기 때문에, 그 제 2 닫힌 상태에서 파지했을 때의 홀드성에 뛰어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가 태블릿 PC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이나 전자 사전 등으로 한 전자 기기이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축이, 제 2 하우징(121)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45° 경사져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하우징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작자가 푸쉬 버튼식의 시큐리티/태블릿 버튼(116)이나 지문 센서(117)인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작자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슬라이드 버튼 등,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자이면 어떠한 조작자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동 부재가, 제 1 하우징(111)에 대하여 프릭션을 따라서 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인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동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121b)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동 부재의 윗 가장자리(140a)의 쌍방이, 제 2 축(150)에 대하여 수직한 면인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축이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동 부재가,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축(130)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141)를 양단에 갖는 것인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축이나 회동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제 1 하우징과, 그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동시에 회동가능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뒷 가장자리에 배치된, 그 뒷 가장자리와 평행한 회동 축을 형성하는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을 회동 축으로 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가능하게 회동하는 회동 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 중앙부와, 상기 회동 부재의 윗 가장자리 중앙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제 1 축에 대하여 수직인 동시에, 상기 제 2 하우징이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上方)이 전방(前方)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前面)을 상기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닫힌 제 1 닫힌 상태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에 대한 배면(背面)을 상기 제 1 하우징 상면을 향해서, 그 제 1 하우징 상면의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을 노출한 상태로 닫히는 제 2 닫힌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자(操作子)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가, 푸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가, 슬라이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앞 가장자리 측 일부 영역에, 지문을 식별하여 유저 인증을 행하는 지문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그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의 조작 키가 배열된 키보드가 배치된 것이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전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이, 펜의 접촉 혹은 근접을 검출하는 펜 입력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그 제 1 하우징 전단면(前端面)이, 그 제 1 하우징 상면 및 저면 쌍방의 앞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프릭션(friction)을 따라 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의 아래 가장자리와, 상기 회동 부재의 윗 가장자리의 쌍방이, 상기 제 2 축에 대하여 수직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은, 상기 제 2 하우징이 수직으로 연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방이 전방에 쓰러지는 방향으로 45°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뒷 가장자리 양단에 각각 배치된, 상기 회동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한 쌍의 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부를 양단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97018846A 2007-03-27 2007-03-27 전자 기기 KR101112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6430 WO2008117451A1 (ja) 2007-03-27 2007-03-27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10A true KR20100005010A (ko) 2010-01-13
KR101112667B1 KR101112667B1 (ko) 2012-02-16

Family

ID=3978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846A KR101112667B1 (ko) 2007-03-27 2007-03-27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050018B2 (ko)
JP (1) JP4915448B2 (ko)
KR (1) KR101112667B1 (ko)
CN (1) CN101627346B (ko)
DE (1) DE112007003379T5 (ko)
WO (1) WO2008117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7802B2 (ja) * 2009-03-31 2013-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面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US20110127184A1 (en) * 2009-11-30 2011-06-0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hinge mechanism
WO2011091790A2 (de) * 2010-02-01 2011-08-04 Constin Gmbh Tragbare kommunikationsvorrichtung
US20120044011A1 (en) * 2010-08-18 2012-02-23 Nokia Corporation Initiating forced shutdown of a device
US8861187B2 (en) * 2011-12-19 2014-10-14 Lenovo (Singapore) Pte. Ltd. Convertible tablet
CN103294122A (zh) * 2012-02-23 2013-09-1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8971026B2 (en) 2012-07-16 2015-03-03 Goog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assembly method
US8995125B2 (en) 2012-08-08 2015-03-31 Goog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assembly method
US9477262B2 (en) 2012-09-10 2016-10-25 Google Inc. Move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clutch mechanism
TWI511650B (zh) * 2013-04-18 2015-12-01 Wistron Corp 可樞轉之可攜式電子裝置
WO2015042847A1 (en) * 2013-09-27 2015-04-02 Intel Corporation Control buttons for notebooks and convertible devices
CN105528032A (zh) * 2015-12-19 2016-04-27 镇江市智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脑显示器
US9740240B1 (en) 2016-03-21 2017-08-22 Google Inc. Base with rotating mount that increases friction of rotation when portable computing device is placed onto mount
US10082828B2 (en) * 2016-08-16 2018-09-25 Rakuten Kobo, Inc. Device with a mid-frame structure and reverse draft
CN109799878B (zh) * 2019-02-20 2022-07-05 苏州三星电子电脑有限公司 新型笔记本电脑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9770A (ja) 1988-04-28 1989-11-10 Nkk Corp 金属板の連続めっき装置
US5724224A (en) * 1996-10-21 1998-03-03 Dell Usa, L.P. Integrated palm rest and battery pack having first and second palm rest surfaces defining a pair of adjacent arcuate surfaces in a portable computer system
DE19700875A1 (de) 1997-01-04 1998-07-09 Roland Dr Ing Timmel Tragbare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US5959833A (en) * 1997-06-27 1999-09-2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reverse draft on front side edge portion of display housing
ATE222010T1 (de) * 1998-05-19 2002-08-15 Infineon Technologies Ag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von biometrischen merkmalen, insbesondere fingerminutien
JP2001090304A (ja) 1999-09-22 2001-04-03 Kooei Sangyo Kk 手摺のジョイント用ブラケット
WO2002047018A2 (en) * 2000-12-05 2002-06-13 Validity, Inc. Swiped aperture capacitive fingerprint sensing systems and methods
TW495130U (en) * 2001-02-09 2002-07-11 Acer Inc Flat display device and the rotatory structure thereof
US6771494B2 (en) * 2001-12-17 2004-08-03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Portable computer usable in laptop and tablet configurations
JP3951222B2 (ja) 2002-03-08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53927A (ja) * 2002-07-19 2004-02-19 Toshiba Corp 電子機器
JP3665631B2 (ja) * 2002-08-30 2005-06-2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04240478A (ja) * 2003-02-03 2004-08-26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4121865B2 (ja) * 2003-02-05 2008-07-2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502983B1 (ko) * 2003-04-02 2005-07-25 주식회사 텔레이트 데스크탑 컴퓨터용 케이스
KR100520960B1 (ko) * 2003-05-15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힌지조립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2004348650A (ja) * 2003-05-26 2004-12-09 Toshiba Corp 電子機器
CN2638401Y (zh) * 2003-06-27 2004-09-01 北京金远见电脑技术有限公司 显示屏翻转/回旋结构
JP4685338B2 (ja) * 2003-09-19 2011-05-1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2005100042A (ja) * 2003-09-24 2005-04-14 Toshiba Corp 電子機器
JP4384467B2 (ja) * 2003-10-06 2009-12-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通信端末機
JP4048435B2 (ja) * 2003-10-23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6980423B2 (en) * 2003-11-18 2005-12-27 Kabushiki Kaisha Toshiba Tablet interlocking mechanism
USD532051S1 (en) * 2004-04-01 2006-11-14 Nintendo Co., Ltd. Hand-held electronic game machine
JP2006005671A (ja) * 2004-06-17 2006-01-05 Sharp Corp 折畳み機器
JP2006019822A (ja) * 2004-06-30 2006-01-19 Casio Comput Co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4290614B2 (ja) * 2004-07-15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付き折畳式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630956B1 (ko) * 2004-08-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JP4490767B2 (ja) * 2004-08-27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の固定構造
US7239505B2 (en) * 2004-10-08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Direct hinge for optimizing conversion
JP4390691B2 (ja) * 2004-11-29 2009-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
US7924553B2 (en) * 2005-03-09 2011-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device locking system
JP4739787B2 (ja) * 2005-03-28 2011-08-0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6331287A (ja) * 2005-05-30 2006-12-07 Toshiba Corp 電子機器
TWM278940U (en) * 2005-06-08 2005-10-21 Quanta Comp Inc Two-way auto-lock tablet PC hinge
US7545621B2 (en) * 2006-07-24 2009-06-09 Yt Acquisition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for a biometric sensor
JP4219946B2 (ja) * 2006-09-06 2009-02-0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14237A1 (en) 2010-01-21
JPWO2008117451A1 (ja) 2010-07-08
JP4915448B2 (ja) 2012-04-11
US8050018B2 (en) 2011-11-01
DE112007003379T5 (de) 2009-12-24
KR101112667B1 (ko) 2012-02-16
WO2008117451A1 (ja) 2008-10-02
US20110211307A1 (en) 2011-09-01
CN101627346A (zh) 2010-01-13
US8218300B2 (en) 2012-07-10
CN101627346B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667B1 (ko) 전자 기기
US81026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witch for inputting key data
US7656661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multiple data input modes
JP4739787B2 (ja) 電子機器
US5941648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ing a foldable keyboard component
TWI251768B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foldable keyboard
US6757157B2 (en) Folding electronic device
US20030206394A1 (en) Multi-mode handheld computer and remote control
EP245617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JP2011061692A (ja) 電子機器
TWI424307B (zh) 具可動式輸入裝置之電子產品
US20060267947A1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foldable and turnable display unit
JP4950964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2268816A (ja) 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100110625A1 (en) Foldable mobile compu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20030197745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keyboard
US8315042B2 (en) Electronic device
JP4983459B2 (ja) 電子機器
JP2003345497A (ja) 電子機器
JP2008158997A (ja)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
KR20000045681A (ko) 엎어놓을 수 있는 키보드를 가지는 휴대용 정보기기
JP2012137869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