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936A -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936A
KR20100004936A KR1020097016133A KR20097016133A KR20100004936A KR 20100004936 A KR20100004936 A KR 20100004936A KR 1020097016133 A KR1020097016133 A KR 1020097016133A KR 20097016133 A KR20097016133 A KR 20097016133A KR 20100004936 A KR20100004936 A KR 2010000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ing
elevator
control device
hois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오코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bstract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권상기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권상기 제어 장치 및 운행 관리 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권상기 제어 장치는 각 권상기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운행 관리 장치는 각 권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운행 관리 장치와 각 권상기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은 전송 수단의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해진다.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권상기 제어 장치에는 전송 수단에 대해 독립된 이상 정지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 정지 회로는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권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각 권상기로의 급전을 동시에 정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ELEVAT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권상기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권상기의 대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을 복수의 권상기 구동으로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각 권상기의 쉬브에는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은 각 권상기의 쉬브 회전에 의해 승강된다. 각 권상기는 1개의 제어반에 의해 제어된다(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 제어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제어 기능을, 권상기의 전동기를 제어를 행하는 전동기 제어계와, 엘리베이터칸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운전 제어계로 분할한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전동기 제어계는 권상기 부근에 설치되고, 운전 제어계는 엘리베이터칸의 조작반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기 제어계와 운전 제어계 사이의 통신은 시리얼 전송(serial transmission)에 의해 행해진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W02004/024609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47679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각 권상기가 1개의 제어반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제어반이 대형화되어 버리며, 특히 제어반을 승강로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 장소가 제한되어 버린다. 또, 각 권상기 중의 어느 하나와 제어반 사이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각 권상기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로프의 속도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칸이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나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1개의 권상기로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권상기가 대형화되게 된다. 또, 복수의 권상기로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각 권상기의 제어계 사이의 통신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각 권상기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로프의 속도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칸이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이 기우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권상기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서로 분리되어, 각 권상기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권상기 제어 장치; 각 권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 분리되어, 각 권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운행 관리 장치; 운행 관리 장치와 각 권상기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을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하는 전송 수단; 및 전송 수단에 대해 독립적으로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권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각 권상기로의 급전(給電)을 동시에 정지하는 이상 정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운행 관리 장치 및 복수의 권상기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이 전송 수단에 의해 행해짐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에 각 권상기로의 급전을 동시에 정지하는 이상 정지 회로가 전송 수단에 대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제어 기능을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권상기 제어 장치로 분리할 수 있어, 제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권상기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에 각 권상기 각각의 구동을 이상 정지 회로에 의해 동시에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권상기의 한 쪽만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이 기우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상 정지 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복수의 권상기)와, 제1 디플렉션 쉬브(deflection sheave; 4) 및 제2 디플렉션 쉬브(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권상기(2)는 제1 권상기 본체(6)와, 제1 권상기 본체(6)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7)를 가지고 있다. 제2 권상기(3)는 제2 권상기 본체(8)와, 제2 권상기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9)를 가지고 있다.
제1 디플렉션 쉬브(4) 및 제1 구동 쉬브(7)에는 제1 메인 로프(12)가 감겨지고, 제2 디플렉션 쉬브(5) 및 제2 구동 쉬브(9)에는 제2 메인 로프(13)가 감겨져 있다. 제1 메인 로프(12) 및 제2 메인 로프(13)에는 공통의 엘리베이터칸(10) 및 공통의 균형추(11)가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10) 및 균형추(11)는 제1 구동 쉬브(7) 및 제2 구동 쉬브(9) 각각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칸(10) 내에는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에는 엘리베이터칸(10)의 행선층을 선택 가능한 복수의 행선층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으로부터는 행선층 버튼의 조작에 의해 행선층의 정보가 출력된다.
각 층의 승강장(15)에는 승강장 조작반(16)이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 조작반(16)에는 상하 각각의 방향을 나타내는 한 쌍의 승강장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조작반(16)으로부터는 승강장 버튼의 조작에 의해 승강장층의 정보가 출력된다.
승강로(1) 내의 소정 위치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0)의 통과 유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 등을 포함하는 승강로 내 기기(1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내 기기(17)로부터는 엘리베이터칸(1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 정보가 출력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운행 관리 장치(18)와, 제1 권상기(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와, 제2 권상기(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운행 관리 장치(18)로 보내진다. 운행 관리 장치(18)는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에 관한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는 제1 권상기(2)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는 제2 권상기(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는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과 운행 관리 장치(18) 사이에는 전송 수단(22)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수단(22)은 제1 권상기 제어 장 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과 운행 관리 장치(18) 사이의 통신을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한다.
전송 수단(22)은 운행 관리 장치(18)에 마련된 관리측 전송 장치(23)와,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에 마련된 제1 권상기측 전송 장치(24)와,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 마련된 제2 권상기측 전송 장치(25)와, 제1 권상기측 전송 장치(24) 및 제2 권상기측 전송 장치(25) 각각과 관리측 전송 장치(23)를 접속하는 시리얼 전송선(26)을 가지고 있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시리얼 전송선(26)을 통하여 운행 관리 장치(18)로 보내지고,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정보는 시리얼 전송선(26)을 통하여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으로 보내진다. 즉, 운행 관리 장치(18)는 전송 수단(22)에 의해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 대해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운행 관리 장치(18)는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관리측 처리부(27)를 가지고 있다. 관리측 처리부(27)에는 엘리베이터칸(1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 속도 패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관리측 처리부(27)는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0)의 목적층을 구하고, 목적층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10)의 속도가 설정 속도 패턴에 따르도록 전압값 및 전류값을 산출한다. 관리측 처리부(27)에 의해 산출된 전압값 및 전류값을 포함하는 정보는 운전 관리 장치(18)로부터 제어 지령으로서 출력된다.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은 전송 수단(22)에 의해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으로 보내진다.
제1 권상기 본체(6)는 제1 구동 쉬브(7)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28)와, 제1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1 브레이크(29)를 가지고 있다. 또, 제1 권상기 본체(6)에는 제1 구동 쉬브(7)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인코더(제1 회전 검출기; 30)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모터(28) 및 제1 브레이크(29) 각각에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로부터의 동력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동력선은 구동용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동력선에는 제1 모터(28) 및 제1 브레이크(29) 각각과 구동용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일괄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1 동력용 스위치(제1 동력용 접점; 31)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용 전원으로부터 제1 모터(28) 및 제1 브레이크(29) 각각으로의 급전은 제1 동력용 스위치(31)를 닫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고, 제1 동력용 스위치(31)를 여는 것으로 정지된다. 제1 모터(28)의 동력선에는 제1 모터(28)로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1 전류 센서(제1 전류 검출기; 3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는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제1 권상기(2)로의 급전을 조정하는 제1 제어측 처리부(34)를 가지고 있다. 제1 제어측 처리부(34)는 제1 인코더(30) 및 제1 전류 센서(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와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비교하면서, 제1 권상기(2)로의 급 전을 조정한다. 제1 권상기(2)의 구동은 제1 제어측 처리부(34)에 의한 급전의 조정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인코더(30) 및 제1 전류 센서(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로부터 그대로 운행 관리 장치(18)로 출력된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로부터의 정보는 전송 수단(22)에 의해 운행 관리 장치(18)로 보내진다.
제2 권상기 본체(8)는 제2 구동 쉬브(9)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35)와, 제2 구동 쉬브(9)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2 브레이크(36)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권상기 본체(8)에는 제2 구동 쉬브(9)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인코더(제2 회전 검출기; 37)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모터(35) 및 제2 브레이크(36) 각각에는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의 동력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동력선은 구동용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동력선에는 제2 모터(35) 및 제2 브레이크(36) 각각과 구동용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일괄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2 동력용 스위치(제2 동력용 접점; 38)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용 전원으로부터 제2 모터(35) 및 제2 브레이크(36) 각각으로의 급전은 제2 동력용 스위치(38)를 닫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고, 제2 동력용 스위치(38)를 여는 것으로 정지된다. 제2 모터(35)의 동력선에는 제2 모터(35)로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제2 전류 센서(제2 전류 검출기; 40)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는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제2 권상기(3)로의 급전을 조정하는 제2 제어측 처리부(41)를 가지고 있다. 제2 제어측 처리부(41)는 제2 인코더(37) 및 제2 전류 센서(4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와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비교하면서, 제2 권상기(3)로의 급전을 조정한다. 제2 권상기(3)의 구동은 제2 제어측 처리부(41)에 의한 급전의 조정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인코더(37) 및 제2 전류 센서(4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 그대로 운행 관리 장치(18)로 출력된다.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로부터의 정보는 전송 수단(22)에 의해 운행 관리 장치(18)로 보내진다.
운행 관리 장치(18)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이 동기하여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는 제1 인코더(30) 및 제1 전류 센서(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권상기(2)가 제어 지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는 제2 인코더(37) 및 제2 전류 센서(4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권상기(3)가 제어 지령에 따라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즉,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은 엘리베이터 운전시에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한다.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는 엘리베이터 이상시에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으로의 급전을 정지하는 이상 정지 회로(42)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 정지 회로(42)는 전송 수단(22)에 대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이상 정지 회로(4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이상 정지 회로(42)는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에 통과된 1개의 회로이다. 이상 정지 회로(42)는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구동용 전원(43)으로부터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으로의 급전을 동시에 정지한다.
이상 정지 회로(42)는 회로용 전원(44)과,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회로용 코일(45, 46)과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검출 스위치(47, 48, 49)를 가지고 있다. 회로용 전원(44), 각 회로용 코일(45, 46) 및 각 검출 스위치(47, 48, 49)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용 코일(45)은 제1 동력용 스위치(31)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회로용 전원(44)으로부터 회로용 코일(45)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제1 동력용 스위치(31)의 닫힘 동작이 행해지고, 회로용 전원(44)으로부터 회로용 코일(45)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제1 동력용 스위치(31)의 열림 동작이 행해진다. 즉, 회로용 코일(45)은 회로용 전원(44)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제1 권상기(2)로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고, 통전의 정지에 의해 제1 권상기(2)로의 급전을 정지시킨다.
회로용 코일(46)은 제2 동력용 스위치(38)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회로용 전원(44)으로부터 회로용 코일(46)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제2 동력용 스위치(38)의 닫힘 동작이 행해지고, 회로용 전원(44)으로부터 회로용 코일(46)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제2 동력용 스위치(38)의 열림 동작이 행해진다. 즉, 회로용 코일(46)은 회로용 전원(44)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제2 권상기(3)로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고, 통전의 정지에 의해 제2 권상기(3)로의 급전을 정지시킨다.
검출 스위치(47)는 운행 관리 장치(18)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47)는 운행 관리 장치(18)가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에 따라 개폐 동작을 행한다. 즉, 검출 스위치(47)는 통상시에 닫혀 있고, 운행 관리 장치(18)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열림 동작을 행한다.
검출 스위치(48)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48)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가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에 따라 개폐 동작을 행한다. 즉, 검출 스위치(48)는 통상시에 닫혀 있고,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열림 동작을 행한다.
검출 스위치(49)는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 마련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49)는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가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에 따라 개폐 동작을 행한다. 즉, 검출 스위치(49)는 통상시에 닫혀 있고,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열림 동작을 행한다.
즉, 각 검출 스위치(47, 48, 49)는 통상시에 모두 닫혀 있고,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이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개별적으로 열림 동작을 행한다.
회로용 코일(45, 46) 각각으로의 통전은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의 모두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있지 않을(정상임을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모든 검출 스위치(47 ~ 49)가 닫히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각 검출 스위치(47, 48, 49) 중 어느 하나의 열림 동작에 의해 회로용 코일(45, 46) 각각으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 의해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각 검출 스위치(47, 48, 49)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동력용 스위치(31) 및 제2 동력용 스위치(38) 각각이 닫힘 상태로 되어,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으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에는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의 제어에 의해,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라서 동기하여 구동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10) 및 균형추(11)가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예를 들어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에 마련된 인버터가 고장나서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 스위치(48)가 열림 동작을 행한다. 이로 인해, 각 회로용 코일(45, 46)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제1 동력용 스위치(31) 및 제2 동력용 스위치(38) 각각이 열림 동작을 행한다. 이로 인해,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으로의 급전이 동시에 정지된다.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으로의 급전이 동시에 정지되면, 제1 모터(28) 및 제2 모터(35)의 구동이 동시에 정지함과 아울러, 제1 브레이크(29) 및 제2 브레이크(36)의 제동 동작이 동시에 개시된다. 이로 인해, 제1 메인 로프(12) 및 제2 메인 로프(13)의 이동도 동시에 정지된다. 엘리베이터칸(10) 및 균형추(11)의 이동은 제1 메인 로프(12) 및 제2 메인 로프(13)의 이동의 정지에 의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사이의 통신이 전송 수단(22)에 의해 행해지며,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에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로의 급전을 동시에 정지하는 이상 정지 회로(42)가 전송 수단(22)에 대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제어 기능을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로 분리할 수 있어, 제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에 제1 권상기(2) 및 제1 권상기(3) 각각의 구동을 이상 정지 회로(42)에 의해 동시에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의 한쪽만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10)이 기우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10)을 매다는 제1 메인 로프(12) 및 제2 메인 로프(13)의 각 장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제1 메인 로프(12) 및 제2 메인 로프(13)의 장기 수명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운행 관리 장치(18)는 전송 수단(22)에 의해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 대해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각각과 운행 관리 장치(18) 사이의 통신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상 정지 회로(42)는 직렬로 접속된 회로용 전원(44), 각 회로용 코일(45, 46) 및 각 검출 스위치(47, 48, 49)를 갖고,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에 각 검출 스위치(47, 48, 4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림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각 회로용 코일(45, 46)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로의 급전이 동시에 정지되기 때문에, 제1 권상기(2) 및 제2 권상기(3) 각각의 구동을 보다 확실하게 동시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10)이 기우는 것의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송 수단(22)은 운행 관리 장치(18)에 마련된 관리측 전송 장치(23)와,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에 마련된 제1 권상기측 전송 장치(24)와,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에 마련된 제2 권상기측 전송 장치(25)와, 관리측 전송 장치(23), 제1 권상기측 전송 장치(24) 및 제2 권상기측 전송 장치(25)를 직렬로 접속하는 시리얼 전송선(26)을 가지고 있다.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는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정보가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를 차례로 전송되도록 전송 수단(22)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운행 관리 장치(18)와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사이의 통신, 및 제1 권상 기 제어 장치(19)와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사이의 통신은 전송 수단(22)에 의해 행해진다.
운행 관리 장치(18)의 관리측 처리부(27)는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0)의 목적층을 구하고, 목적층의 정보를 제어 지령으로서 출력한다.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제어 지령은 전송 수단(22)에 의해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로 보내진다.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에는 엘리베이터칸(1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 속도 패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1 제어측 처리부(34)는 목적층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10)의 속도가 설정 속도 패턴에 따르도록 전압값 및 전류값을 제어 정보로서 산출한다. 또, 제1 제어측 처리부(34)는 제1 인코더(30) 및 제1 전류 센서(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와 산출한 제어 정보를 비교하면서, 제1 권상기(2)로의 급전을 조정한다. 제1 권상기(2)의 구동은 제1 제어측 처리부(34)에 의한 급전의 조정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인코더(30) 및 제1 전류 센서(33)로부터의 정보, 및 제2 인코더(37) 및 제2 전류 센서(40)로부터의 정보는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와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사이를 전송 수단(22)에 의해 보내진다.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의 제2 제어측 처리부(41)는 제1 인코더(30), 제1 전류 센서(33), 제2 인코더(37)및 제2 전류 센서(4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권상기(3)의 구동이 제1 권상기(2)의 구동에 동기하도록, 제2 권상기(3) 로의 급전을 조정한다. 제2 권상기(3)의 구동은 제2 제어측 처리부(41)에 의한 급전의 조정에 의해 제1 권상기(2)의 구동과 동기하여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同樣)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운행 관리 장치(18)로부터의 정보가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를 차례로 전송되도록,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가 전송 수단(22)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측 전송 장치(23)에 있어서, 송수신용의 시리얼 전송 드라이버를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마다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서, 시리얼 전송 드라이버의 수를 줄일 수 있다.따라서, 권상기 제어 장치의 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관리측 전송 장치(23)에 있어서 시리얼 전송 드라이버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과 운행 관리 장치(18) 사이의 통신도 전송 수단(22)의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칸 조작반(14), 각 승강장 조작반(16) 및 승강로 내 기기(17) 각각과 운행 관리 장치(18) 사이의 배선 수를 줄일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운행 관리 장치(18)는 운행 관리 장치(18), 제1 권상기 제어 장치(19) 및 제2 권상기 제어 장치(20) 중,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한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이상 검출 정보)를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어 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정지된 후, 운행 관리 장치(18)의 기록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이상 개소(箇所)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두개의 권상기(2, 3)의 구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 및 균형추(11)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권상기 구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0) 및 균형추(11)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이 기우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공통의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권상기 구동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서로 분리되어, 각 상기 권상기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권상기 제어 장치,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 분리되어,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제어 지령을 출력하는 운행 관리 장치,
    상기 운행 관리 장치와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을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각 상기 권상기로의 급전(給電)을 동시에 정지하는 이상 정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행 관리 장치는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운행 관리 장치로부터의 정보가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에 차례로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 수단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 정지 회로는 회로용 전원과, 상기 회로용 전원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각 상기 권상기로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통전의 정지에 의해 각 상기 권상기로의 급전을 정지시키는 회로용 코일과, 상기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 각각이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개별적으로 열림 동작을 행하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를 갖고,
    상기 회로용 전원, 상기 회로용 코일 및 각 상기 검출 스위치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회로용 코일로의 통전은 각 상기 검출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림 동작에 의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칸내 조작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하는 승강로 내에 마련된 승강로 내 기기 각각과, 상기 운행 관리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시리얼 전송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행 관리 장치는, 상기 운행 관리 장치 및 각 상기 권상기 제어 장치 중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한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20097016133A 2007-03-23 2007-03-23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20100004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6010 WO2008117368A1 (ja) 2007-03-23 2007-03-23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36A true KR20100004936A (ko) 2010-01-13

Family

ID=3978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133A KR20100004936A (ko) 2007-03-23 2007-03-23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0792A4 (ko)
JP (1) JPWO2008117368A1 (ko)
KR (1) KR20100004936A (ko)
CN (1) CN101636341A (ko)
WO (1) WO20081173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7987A (zh) * 2010-09-15 2011-02-09 中铁四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临时加固暗挖砂层掌子面的施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4716A1 (en) * 2018-09-28 2022-01-27 Inventio Ag Control system assembly for mrl-elevator
CN109052085B (zh) * 2018-10-31 2024-04-05 通力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和一种电梯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473A (ja) * 1984-08-15 1986-03-1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デ−タ伝送装置
JP3556709B2 (ja) * 1994-09-12 2004-08-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サーボモータの同期運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49885A (ja) * 1994-11-25 1996-06-07 Toyo Kanetsu Kk モータ制御装置
JP3669761B2 (ja) * 1996-03-07 2005-07-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転装置
JPH11299291A (ja) * 1998-04-16 1999-10-29 Sanyo Denki Co Ltd 多軸モータ制御装置
JP2002305889A (ja) * 2001-04-04 2002-10-18 Meidensha Corp 同期制御装置
EP1486451A4 (en) * 2002-03-15 2010-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ING WINCH AND LIFTING DEVICE
JP4288236B2 (ja) 2002-09-11 2009-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047679A (ja) 2003-07-29 2005-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580749B2 (ja) * 2004-12-20 2010-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1044081B (zh) * 2005-08-25 2011-01-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7987A (zh) * 2010-09-15 2011-02-09 中铁四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临时加固暗挖砂层掌子面的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6341A (zh) 2010-01-27
EP2130792A4 (en) 2013-10-23
WO2008117368A1 (ja) 2008-10-02
JPWO2008117368A1 (ja) 2010-07-08
EP2130792A1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79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289832B1 (e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9948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4130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EP1864935B1 (en) Elevator apparatus
US10189676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rescue run in an elevator system by selecting rescue functions to utilize to perform the rescue run and a method of performing same
KR100874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233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8341309B (zh) 电梯系统
CN107795169A (zh) 一种垂直升降车库系统及其平层控制方法
JP2012188176A (ja) エレベータ制動装置
KR20100004936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EP1921038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EP2287102B1 (en) Elevator device
JP200525527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1302125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WO2023193931A1 (en) A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KR20060086423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85570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200609651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