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72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72A
KR20100004272A KR1020080064360A KR20080064360A KR20100004272A KR 20100004272 A KR20100004272 A KR 20100004272A KR 1020080064360 A KR1020080064360 A KR 1020080064360A KR 20080064360 A KR20080064360 A KR 20080064360A KR 20100004272 A KR20100004272 A KR 2010000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food waste
discharge fa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만
Original Assignee
김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만 filed Critical 김두만
Priority to KR102008006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272A/ko
Publication of KR2010000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에서도 동시에 건조공기를 토출하는 입체 건조방식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시간을 대폭 단축시킨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챔버 내로 유입하는 제1토출팬과, 제1토출팬에 의해 챔버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제1토출팬과 다른 방향에서 챔버 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히터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에서도 동시에 건조공기를 토출하는 입체 건조방식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시간을 대폭 단축시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에 의해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일컫는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전국적인 생활 쓰레기의 32%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크고 방대하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량이 크고 소각 처리에 곤란한 것은 물론 매립시에는 매립지의 사용 연수를 급격히 줄어들게 하고 다량의 침출수를 발생시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는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 보관하는 중에 수분으로 인한 부패 및 악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열풍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 는 처리장치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에 약 70 내지 80%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5분의 1 가량으로 줄일 수 있고 장시간에 걸쳐 부패 및 악취문제를 억제할 수 있으며 가축사료나 퇴비로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W)를 수용하는 챔버(11c)를 갖는 케이싱(11)과, 발열하는 히터(12),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11c) 내로 토출하는 토출팬(13)으로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히터(12)가 발열하고 있는 상태에서 토출팬(13)이 공기를 흡입하여 챔버(11c) 내에 토출하게 되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히터(12)와 접촉하여 고온의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면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W) 처리장치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W)를 제한된 공간의 챔버(11c)에 담고 팬(13)과 히터(12)를 이용해 열풍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W)로부터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도면을 참조하면 챔버(11c)의 흡입구(11a) 측에 설치된 토출팬(13)에 의해 외부로부터 케이싱(1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덕트(14) 내에 설치된 히터(12)를 거쳐 챔버(11c) 내부로 토출되면서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증발된 수분과 함께 공기배출구(1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W)의 상측에서만 공기를 토출하는 관계로 음식물 쓰레기(W)의 하측은 공기가 원활히 접촉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되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건조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지 못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에서도 공기를 토출하여 건조시간츨 단축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로 유입하는 제1토출팬과; 상기 제1토출팬에 의해 챔버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제1토출팬과 다른 방향에서 상기 챔버 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토출팬은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에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2토출팬은 음식물 쓰레기의 하측에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토출팬은 상기 챔버 내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순환시켜 토 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의 벽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순환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토출팬은 상기 순환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챔버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토출팬은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고, 챔버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정상 또는 정상 부근에 토출공이 형성된 원추형 가이드를 갖는 바스켓 받침판과, 저면이 상기 원추형 가이드에 대응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위로 놓여지며, 저면의 중앙부는 상기 바스켓 받침판의 토출공에서 토출된 공기가 투과되지 않고 퍼지도록 폐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 중앙부 이후부터 벽면까지 공기 투과구가 형성되어 토출된 공기를 투과시키는 망형의 바스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뿐만 아니라 그동안 건조공기의 접촉이 어려웠던 하측에서도 동시에 공기를 접촉시키기 때문에 건조속도가 대폭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에서 가열된 상태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순환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하측을 건조시키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하측의 건조를 위해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 및 바스켓 받침판에 의해 챔버 하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퍼지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접촉면적을 넓히므로 건조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중공을 갖는 관형의 히터에 의해 챔버에 흡입되는 공기는 물론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도 가열하기 때문에 향상된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형의 히터 내부에 오존분해를 위한 이산화방간을 구비하기 때문에 별도의 히터 없이 이산화망간에 응결되는 수분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분으로 인한 이산화망간의 작용불량이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빈번한 교체 및 별도의 건조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 내부에 열촉매를 구비하여 탈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후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내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및 바스켓 받침판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챔버(111)를 갖는 케이싱(110)과, 히터(120)와 제1토출팬(131), 배출팬(141)과 배출관(145), 제2토출팬(151)과 순환관(155), 바스켓(160)과 바스켓 받침판(170), 오존발생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에서뿐 아니라 하측에서도 공기를 동시에 토출하는 입체 건조방식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케이싱(110, 내부 케이싱을 가리키며 외부 케이싱(210)의 경우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은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 수용하는 챔버(111)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110)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과도하게 많은 오수가 흘러나오는 경우에 이를 신속히 처리하거나, 챔버(111) 내부를 물청소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배수를 위한 시설(미도시 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배수시설은 싱크대의 배수구와 직접 연결되어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해야 하는 타입으로의 변경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에는 오존발생기(180)의 분사노즐(181)을 챔버(111) 내로 빼내기 위한 삽입공(112)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공기 흡입을 위해 개구된 흡입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10)의 흡입구(113)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을 허용하면서 히터(120)를 받쳐주기 위한 망 형태의 히터 받침판(11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 이싱(110)의 상부에는 히터(120) 및 제1토출팬(131)을 안전하게 덮어주는 보호 커버(135)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호 커버(135)는 중앙에 흡입공(135A)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135A)은 챔버(111)에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제1토출팬(1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3)의 샤프트를 인입시키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보호 커버(135)는 히터(120)의 공기 유입공(125A) 및 공기 유출공(125B), 전열선 단자(123A,123B)가 인출 가능한 통공(135B,135C,135D,135E)들을 갖는다.
상기 히터(120)는 상기 제1토출팬(131)에 의해 챔버(111)로 최초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과 함께 챔버(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부에 경유토록 하여 다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히터(120)는 상기 제1토출팬(131)을 중심으로 말려져서 관통공(120B)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1토출팬(131)과 함께 챔버(111)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토출팬(131)을 중심으로 링 형태로 말려진 히터(120)는 관통공(120B)를 통해 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넓은 표면적으로 공기를 접촉하여 가열한다.
또한 상기 히터(120)는 배출되는 공기의 재가열을 위한 공기유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120A)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중공(120A)의 단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125A) 및 공기 유출공(125B)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 유입공(125A)은 상기 배출관(145)에 의해 챔버(111)와 연결되어 챔버(1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내부 중공(120A)으로 유입하고, 공기 유출공(125B)은 내부 중공(120A)을 경유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공(125A) 및 공기 유출공(125B)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호수(147,149)가 구비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챔버(1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을 지나면서 고온의 열을 받아 잔존하던 악취가 제거된다. 또한 200 내지 400℃의 온도 조성이 가능한 상기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에는 고온에 의해 활성화되어 산화작용 하는 열촉매(미도시 됨)를 구비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에 대한 탈취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열촉매로는 백금을 활성물질로 하면서 Ni-Cr을 담체물성으로 하거나, 백금을 활성물질로 하면서 SiO2-Al203을 담체물성으로 하거나, 백금을 활성물질로 하면서 Γ-Al203을 담체물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열촉매 중 하나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히터(12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었다. 상기 히터(120)는 내부가 중공(120A)으로 형성된 관형이며, 세라믹 재질로 구비된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벽체에 넓게 분포되어 설치된 전열선(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열선(123)의 단자(123A,123B)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해 발열 온도가 조절된다. 전술된 것처럼 상기 히터(120)의 몸체(131)가 세라믹 재질로 구비되면 전원이 인가되다가 중단된 상태에서도 잔열효과에 의해 높은 온도의 발열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효과가 높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라믹 재질은 높은 온도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기 때문에 챔버(11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팬(131)은 케이싱(11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113) 인 근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구(113)를 통해 챔버(111)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토출팬(131)은 링 형태로 말려져 형성된 히터(120)에 대하여 그 내측 중앙부의 관통공(120B) 혹은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토출팬(131)은 프로펠러 팬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만일 상기 케이싱(110)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경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시로코 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팬(131)의 설치위치는 반드시 케이싱(110)의 상부로만 제한되지 않고 흡입구(113)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상기 배출관(145)은 연결호수(147)와 함께 상기 챔버(111)의 벽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15)와 히터(120)의 공기 유입공(125A)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배출팬(141)은 상기 배출관(145)에 연결 설치된다. 이때 배출팬(141)을 감싸면서 흡입 및 토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배출팬(141)용 팬 케이스(1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챔버(11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을 향해 토출함으로써 공기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55)은 상기 챔버(111)의 벽면에 형성된 공기 순환구(117)와 챔버(111)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119)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토출팬(151)은 순환관(155)에 연결 설치되어 챔버(111) 내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공기 순환구(117)를 통해 흡입 및 토출한다. 이때 제2토출팬(151)을 감싸면서 흡입 및 토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제2토출팬(151)용 팬 케이스(15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공기 순환수단을 이루는 제2토출팬(151) 및 순환관(155)에 의 해 상기 챔버(111) 내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되는 대신 순환하여 다시 챔버(111)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119)에서 토출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하측에 접촉되어 추가적인 건조작용을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지금까지 공기 접촉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하측에서도 순환된 공기가 활발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또한, 챔버(111)에 유입된 공기를 순환시켜 재활용하면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이미 가열된 높은 온도의 공기를 활용할 수 있다.
만일 음식물 쓰레기 하측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마련하기 위해 챔버(111)에 유입된 공기를 재활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직접 흡입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2토출팬(151)을 챔버(111) 하부의 공기 토출구(119) 근처에 설치하고, 순환관(155)을 제거하면 된다. 하지만 이 경우 상온의 외부 공기를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시켜야 하기 때문에 건조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으며 더운 공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히터를 구비해야 한다.
상기 바스켓(160)과 바스켓 받침판(170)은 상기 공기 순환수단에 의해 챔버(111) 하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음식물 쓰레기에 원활하게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바스켓 받침판(170)은 바스켓(160)을 받친 상태에서 챔버(111)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119)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베이스(17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정상 또는 정상 부근에 토출공(173A)이 형성된 원추형 가이드(173)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바스켓(160)은 저면(161)이 상기 원추형 가이드(173)에 대응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173) 위로 놓여진다. 또 한, 상기 바스켓(160) 저면(161) 중앙부는 상기 토출공(173A)에서 토출된 공기가 투과되지 않고 퍼지도록 폐쇄면(161A)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 중앙부로부터 벽면까지는 방사상의 공기 투과구(161B)가 형성된다. 이로써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챔버(111) 저면의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바스켓 받침판(170)의 원추형 가이드(173)에 의해 모아진 상태에서 토출공(173A)을 통해 토출된다. 이후 토출된 공기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바스켓(160)의 저면(161) 하측면에 접촉하여 폐쇄면(161A)을 따라 넓게 퍼진 상태에서 공기 투과구(161B)를 투과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된다. 이처럼 챔버(111) 내의 일부 공기가 순환되어 챔버(111)의 저면으로부터 토출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하측에서도 공기가 접촉하여 추가적인 건조작용을 하면서 건조 속도는 비약적으로 빨라진다.
상기 오존발생기(180)는 챔버(111)) 내에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사노즐(181)이 삽입공(112)을 통하여 챔버(111) 내에 인입된다. 이로써 상기 챔버(111) 내에 오존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111)에 투입된 오존은 배출 공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 공기에 남아있는 잔여 악취를 이차적으로 제거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180)의 설치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오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미도시 됨)이 구비된다. 이같은 이산화망간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동글동글 뭉쳐진 과립형태로 상기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에 구비된다. 이처럼 이산화망간이 상기 히터(120) 내부 중공(120A)에 구비되면 오존의 분해를 촉진하면서도 히터(120)의 높은 온도 분위기에 의해 이산화망간 표면에 응결되는 수분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망간에 응결되는 수분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빈번한 교체 및 건조작업 등의 번거로움이 없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별도의 이산화망간을 구비해도 그 표면에 응결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히터나 수분제거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망간이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에 별도로 구비되는 대신, 히터(120)의 몸체(121) 자체에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히터(120)의 몸체(121)를 성형하기 위한 주요 재질에 분말 형태의 이산화망간을 간단히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120)의 몸체(121)를 성형하고 이를 초벌구이 한다. 이때 상기 이산화망간이 차지하는 중량비는 히터(120)의 전체 몸체(121) 대비 10% 이상으로 하되, 10 내지 35% 정도면 적절하다. 이같이 히터(120)의 몸체(121)가 자체적으로 이산화망간 성분을 함유토록 하면 별도의 이산화망간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인체에 해로운 오존이 외부 유출되지 않도록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의 히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동작 및 작용을 도 8 및 첨부된 다른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토출팬(131)이 작동하여 회전하고, 히터(120)가 작동하여 발열하기 시작한다.
이로써 먼저, 제1토출팬(131)에 의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케이싱(110)의 흡입구(113)를 통해 챔버(111) 내부로 공급된다(1). 이때 챔버(111)에 공급되는 공기는 링 형태로 말려진 히터(120) 중앙의 관통공(120B)을 통과하면서 히터(120) 표면에 접촉하여 가열된다.
이후, 상기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챔버(111) 내로 유입되어 음식물 쓰레기(W)의 상측으로부터 접촉하면서 음식물 쓰레기(W)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한다(2).
한편, 상기 챔버(111)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제2토출팬(151)에 의해 흡입되면서 챔버(111) 벽면의 순환구(117)에 연결된 순환관(155)을 따라 이동한다(3A,4A).
이후 이동하는 공기는 챔버(111) 저면의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챔버(111)의 하측에서 힘차게 토출되면서 음식물 쓰레기(W)의 하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수분을 증발시킨다(5A).
이 과정에서 챔버(111) 저면의 공기 토출구(119)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바스켓 받침판(170)의 원추형 가이드(173)에 의해 모아진 상태에서 토출공(173A)을 통해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바스켓(160)의 저면(161) 하측에 접촉하여 폐쇄면(161A)을 따라 넓게 퍼진 상태에서 공기 투과구(161B)를 투과하여 음식물 쓰레기(W)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처럼 일부 공기가 순환되어 챔버(111)의 저면으로부터 토출되어 음식물 쓰레기(W)의 하측에서도 접촉하게 되면 건조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진다.
한편, 세라믹 재질인 히터(120)의 몸체(121)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음식물 쓰레기(W)의 악취를 일부 제거해준다.
또한, 오존발생기(150)가 작동하여 상기 챔버(111) 내에 오존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상기 챔버(111)에 발생된 다량의 오존이 음식물 쓰레기(W)로부터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해준다.
이후 상기 챔버(111)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W)를 건조시킨 공기가 잔여 악취를 포함한 상태로 오존과 함께 배출팬(141)에 의해 흡입되면서 배출관(145)을 따라 이동한다(4B).
이후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을 지나면서 200 내지 400℃에 달하는 고온의 분위기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잔여 악취성분이 상당부분 제거된다(5B).
동시에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에 구비된 열촉매가 고온에서 활성화되어 산화작용을 하면서 악취성분을 더욱 분해 제거한다. 이로써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잔여 악취는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또한, 공기와 함께 이동하던 오존은 상기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에서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을 만나면서 강제로 분해된다. 이로써 인체에 유해한 오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산화망간의 표면에 응결되는 수분은 높은 온도로 가열된 히터(120)의 내부 중공(120A)에서 신속하게 증발하여 제거되므로 수분으로 인한 이산화망간의 작용불량이 없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빈번한 교체 및 별도의 건조작업이 불필요하다.
이후, 공기는 잔존하던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히터(120) 외부로 배출된 다(6B).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히터(120)를 사용하여 챔버(111)로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를 모두 가열하도록 한 독특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W)에 대한 신속한 건조는 물론 탈취효과 모두를 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분해사시도.
도 5는 후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내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및 바스켓 받침판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공기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싱(내부 케이싱) 111 : 챔버
120 : 히터 131 : 제1토출팬
141 : 배출팬 145 : 배출관
151 : 제2토출팬 155 : 순환관
160 : 바스켓 170 : 바스켓 받침판

Claims (6)

  1.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로 유입하는 제1토출팬과;
    상기 제1토출팬에 의해 챔버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제1토출팬과 다른 방향에서 상기 챔버 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팬은 음식물 쓰레기의 상측에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2토출팬은 음식물 쓰레기의 하측에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팬은 상기 챔버 내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순환시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벽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순환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토출팬은 상기 순환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챔버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팬은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고, 챔버의 하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정상 또는 정상 부근에 토출공이 형성된 원추형 가이드를 갖는 바스켓 받침판과,
    저면이 상기 원추형 가이드에 대응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위로 놓여지며, 저면의 중앙부는 상기 바스켓 받침판의 토출공에서 토출된 공기가 투과되지 않고 퍼지도록 폐쇄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 중앙부 이후부터 벽면까지 공기 투과구가 형성되어 토출된 공기를 투과시키는 망형의 바스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80064360A 2008-07-03 2008-07-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4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60A KR20100004272A (ko) 2008-07-03 2008-07-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60A KR20100004272A (ko) 2008-07-03 2008-07-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72A true KR20100004272A (ko) 2010-01-13

Family

ID=4181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60A KR20100004272A (ko) 2008-07-03 2008-07-0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2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846A (en) * 2017-04-24 2018-10-31 Manik Ventures Lt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23012583A1 (en) * 2021-08-02 2023-02-09 DE' LONGHI APPLIANCES S.r.l. - Divisione Commerciale ARIETE Column drying device for organic was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846A (en) * 2017-04-24 2018-10-31 Manik Ventures Ltd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23012583A1 (en) * 2021-08-02 2023-02-09 DE' LONGHI APPLIANCES S.r.l. - Divisione Commerciale ARIETE Column drying device for organic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968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JP3954864B2 (ja) 除湿発酵式有機廃棄物処理機
KR2010000427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15441B1 (ko) 관형의 히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066673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2009009971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JPH09239015A (ja) ロッカー等の脱臭装置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463865B1 (ko)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JPH0814750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3225530A (ja) 脱臭装置
KR101029459B1 (ko) 이동식 간이 화장실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인분 처리 장치
KR20090006493U (ko) 가정용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20034908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장치
KR1006171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8020080A (ja) 乾燥処理方法と装置
JP2010042342A (ja) 排ガスを含む排蒸気の処理装置と処理方法および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0862234B1 (ko) 탈취장치가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JP2010264432A (ja) 臭気不排出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1077636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