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244B1 -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244B1
KR101896244B1 KR1020180038649A KR20180038649A KR101896244B1 KR 101896244 B1 KR101896244 B1 KR 101896244B1 KR 1020180038649 A KR1020180038649 A KR 1020180038649A KR 20180038649 A KR20180038649 A KR 20180038649A KR 101896244 B1 KR101896244 B1 KR 10189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tank
exhaust gas
deodorizing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에코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에코텍
Priority to KR102018003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로부터 악취와 수분을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통체 형상의 조본체, 상기 조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터부 및 상기 조본체 내벽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처리기로부터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여 수분을 건조시키고, 악취 성분을 연소시키는 고온탈취조; 상기 고온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탈취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다중탈취조 및 상기 다중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탈취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균과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습식탈취조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Deodorizing apparatus for food waste treatment}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발효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처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수분과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쓰레기에는 포장지를 포함하는 비닐이나 종이류를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것과, 먹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가 있으며, 이러한 생활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최근에는 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고, 그 일 예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되고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고, 배출되는 음식물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기술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술은 대부분이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공급하면서 교반 및 가열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처리 기술들은 대부분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일체 또는 일측에 구비되며,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물과 공기로 분리시킨 후 공기(냄새)는 탈취하여 배출하고, 응축된 물은 깨끗한 물로 배출하되, 제습 및 탈취부 몸체에 수증기를 물과 공기로 분리시키는 제습부와, 제습된 공기(냄새)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부가 구비된 제습 및 탈취부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구비되는 제습 및 탈취장치에 있어서, 제습부는, 일단은 음식물쓰레기처리기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습부몸체의 상단에 연결되는 배출관; 제습부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열전소자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는 냉각관과 타측에 구비되는 방열관; 제습부몸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응축수를 배출하는 U트랩관; 및 U트랩관의 일측에는 탈취부로 공기(냄새)를 이송시키는 연결관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구비되는 제습 및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다음, 특허문헌 2는 플라스틱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로 보관시키고, 음식물 투입저장조 각각의 3개소의 투입저장조 뚜껑을 전원스위치를 이용해 구동시키며, 쓰레기 사용가능, 불가능 램프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케노피가 설치되며, 인체 감응형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각각의 음식물 투입저장조 안 상부에는 레이져빔장치가 결합부재를 통해 음식물 투입저장조 안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플라스틱 용기가 설치되며, 전면부에 쓰레기 반출도어가 설치되고, 파이프라인을 통해 송풍기로 음압을 항시 걸리게 하는 음식물 투입저장조장치와, 음식물 투입저장조장치와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어 수동으로 발 페달이 있어 밟으면 폐 포장재 투입구 뚜껑이 열려 탈취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폐포장재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고 상부에는 워엄기어가 설치되고 워엄기어 끝에는 플레이트판이 설치되며, 자동수전이 설치되고, 폐 포장재 저장조 하부에 밑망(mesh)이 형성되고 측면에 측면망(mesh)으로 형성되며, 폐 포장재 저장조 맨 위 상부에 케노피가 설치되고, 케노피 바로 밑에 인체 감응형 조명장치가 설치되며, 폐 포장재 저장조 하단에 침출수 저장수조가 설치되고, 침출수 저장수조 일측에 드레인 발브가 설치되는 폐 포장재 저장조장치와, 폐 포장재 저장조장치와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며 폐 포장재 저장조장치의 탈취 송풍기 및 수중순환펌프가 작동되면, 탈취기몸체의 내측하부 일측면에 부착형성되어, 수중순환펌프에서 노즐까지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액상의 촉매를 노즐까지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중순환펌프와, 수중순환펌프의 힘으로 이송된 액상촉매를 분사시키는 노즐과, 탈취기몸체의 내측하부 일측면에 부착형성되어, 액상촉매의 양을 눈금으로 표시하는 액량계와, 충진물 상단에 위치되어 충진물이 노후되거나 노즐이 막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충진물 점검구와, 탈취기몸체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형상의 기둥 일측면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대기상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악취를 체취하는 대기오염 샘플 점검구와, 노즐 하단인 탈취기몸체 중단에 위치하여, 분사된 액상촉매의 비표면적을 크게하여 각각의 오염된 공기속의 악취를 제거하는 충진물과, 대기오염 샘플점검구와 노즐 사이에 위치하는 데미스터와, 액상촉매의 수위를 측량하는 수위계와, 충진물의 하부 중앙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일부분은 액상촉매에 잠기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충진물을 통과하면서 액상촉매와 결합한 악취를 공급받고, 순환통로로 이루어진 악취제거용 탈취기장치가 구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특허문헌 3은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분 감량시킴과 동시에 1차 분쇄시키고 큰 입자의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내며, 미립자의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는 1차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자동 항균 및 탈취 유닛에 있어서, 1차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내에 패스너 수단을 매개로 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장착부를 구비하는 장착 홀더; 장착 홀더의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항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고형체; 1차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내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 및 장착부 내의 고형체에 전위차를 가하도록 음이온 발생기의 전극선이 연결되고 장착부와 인접한 장착홀더의 대응부분에 제공되는 단자 접속부를 포함하며,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단자 접속부를 통해 고형체에 전위차가 가해질 시 고형체로부터 항균 및 탈취 기능이 발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자동항균 및 탈취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탈취 장치들 중 가정용의 경우 좁은 싱크대 주변에 설치가 어렵고, 설치 후 사용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음에 따라 주택 내에 설치를 꺼리고 있고, 대부분이 수거하여 공동으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동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의 경우 악취를 제거한다 하더라도 악취 제거 효율이 떨어져 처리시설에 대하여 혐오감을 갖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334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5803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31728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발효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처리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가열 및 귀사문석으로 흡착하여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하여, 수분과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로부터 악취와 수분을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통체 형상의 조본체, 상기 조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터부 및 상기 조본체 내벽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처리기로부터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여 수분을 건조시키고, 악취 성분을 연소시키는 고온탈취조; 상기 고온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탈취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다중탈취조 및 상기 다중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탈취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균과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습식탈취조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120 내지 150℃의 열을 발생하는 할로겐 히터 및 상기 할로겐 히터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할로겐 히터를 보호하며 상기 할로겐 히터와의 사이에 배출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석영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유도판은 외측단에서 내측단까지 상기 고온탈취조의 선단에서 후단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유도판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배기유도홀을 포함하는 제1 배기유도판 및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2 배기유도홀을 포함하는 제2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기유도판 및 제2 배기유도판은 상기 고온탈취조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기유도홀 및 제2 배기유도홀의 위치가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탈취조는 상기 고온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귀사문석 및 일측에 설치된 히터를 포함하여,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귀사문석조; 상기 귀사문석조와 교번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굴껍질 및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귀사문석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패각조 및 상기 귀사문석조 또는 패각조 중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참숯 및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귀사문석조 또는 패각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참숯조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탈취조는 상기 귀사문석조, 패각조 및 참숯조가 하나의 통체 내부에 횡으로 격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중탈취조는 배출가스의 흐름이 각 격실의 하부로부터 상부 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각 격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유로유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탈취조는 각 결실에 설치된 히터의 온도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설정되되, 각 격실의 온도의 차이는 10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상기 할로겐 히터는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유도판은 내측단이 상기 석영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유도판 및 내측단이 상기 석영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기유도판 및 제2 배기유도판은 고온탈취조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기유도판 및 제2 배기유도판은 형성된 유로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발효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처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수분과 악취를 열과 흡착반응으로 제거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귀사문석의 항균 항곰팡이 및 탈취 작용에 의해 보다 청정하게 배출가스를 처리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균이나 곰팡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가스가 최종단에 설치된 습식탈취조를 통과하면서 남아 있는 악취 성분이나 유해성분이 미립 분사되는 물에 포함된 항균 및 탈취 성분에 의해 다시 처리됨에 의해 보다 청정한 배출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고온탈취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A-A' 및 B-B'를 절단하여 제1 및 제2 배기유도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다중탈취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고온탈취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고온탈취조를 다른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 및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고온탈취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A-A' 및 B-B'를 절단하여 제1 및 제2 배기유도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다중탈취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악취 성분이나 유해 성분을 제거하여 배출가스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용 탈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로부터 악취와 수분을 제거하는 탈취장치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고온탈취조(20), 다중탈취조(21) 및 습식탈취조(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음식물처리기(1)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먼저 음식물처리기(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음식물처리기(1)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시켜 처리하는 장치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음식물처리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 형상의 처리조(10)의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기(11)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내부 저면에는 가열히터(12)를 설치하여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가하고,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처리조(10)의 상부 일측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게 뚜껑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는 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구(미도시)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배기구(13)에는 배출가스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배기팬(14)이 설치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음식물처리기(1)의 배기팬(14)의 출구에 연결되어 배출가스 중 악취 성분 및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고온탈취조(20)는 음식물처리기(1)의 후단에 연결되어 음식물처리기(1)로부터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여 수분을 건조시키고 악취 성분을 연소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처리기(1)의 배기팬(14)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고, 조본체(200), 히터부(201) 및 배기유도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본체(200)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통체 형상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본체(200)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식성이 낮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식성이 낮은 소재들을 적용할 수 있다.
히터부(201)는 조본체(20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것으로, 할로겐 히터(2010) 및 석영관(2011)을 포함할 수 있다.
할로겐 히터(2010)는 원형 기둥형상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조본체(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로겐 히터(2010)는 가열시간이 짧아 순간적으로 조본체(200)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이 다른 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할로겐 히터(2010)는 할로겐 전구를 발열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발열 및 냉각 속도가 빠름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구동과 동시에 작동되어도 바로 가열이 이루어져 배출가스의 악취 제거 효율 및 수분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할로겐 히터(2010)는 열효율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구비된 것이나, 다른 히터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할로겐 히터(2010)는 120 내지 150℃의 열을 발생하여 고온탈취조(20)의 내부 온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배출가스 중의 악취성분 연소 및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고온탈취조(20)에서 150℃ 이상으로 가열하면 수분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므로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120 내지 150℃가 바람직하다.
한편, 할로겐 히터(20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반응이 빠르고 수명이 길지만 충격에 의해 램프가 깨지기 쉬기 때문에 석영관(2011)이 구비될 수 있다.
석영관(2011)은 할로겐 히터(20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할로겐 히터(2010)를 보호하며, 할로겐 히터(2010)와의 사이에 배출가스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석영관(2011)은 원형 기둥 형상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석영관(2011)은 다수개의 통기홀(미도시)을 포함하고 할로겐 히터(2010)와 석영관(2011) 사이에 배출가스 유로를 형성하여, 조본체(200)로 유입된 배출가스가 통기홀(미도시)을 통과하여 할로겐 히터(2010)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할로겐 히터(2010)에 배출가스가 인접하게 되어 악취성분 및 수분 제거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배기유도판(202)은 다수개가 조본체(200)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본체(200) 내벽에 외측단이 고정되고, 외측단에서 내측단까지 고온탈취조(20)의 선단에서 후단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판(202)의 내측단은 히터부(201)의 석영관(201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배기유도판(202)의 내측단과 석영관(2011) 사이에 배출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선단측에서 배출가스가 유입되어 후단측으로 배출가스가 배출되는데 배기유도판(20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출가스가 이동되면서 히터부(201)측으로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유도판(202)의 내측단과 석영관(2011)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배출가스가 유도되고 석영관(2011)에 형성된 통기홀(미도시)로 유도되어 히터부(201)에 의한 배출가스 가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판(202)은 제1 배기유도판(2020) 및 제2 배기유도판(20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유도판(2020)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배기유도홀(20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기유도판(2021)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2 배기유도홀(2021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배기유도홀(2020a)의 위치와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유도판(2020) 및 제2 배기유도판(2021)은 고온탈취조(20)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기유도홀(2020a) 및 제2 배기유도홀(2021a)의 위치가 엇갈리게 형성되어, 고온탈취조(20)로 유입되는 배출가스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흐를 때, 제1 및 제2 배기유도판(2021)으로 흐름이 유도되면서, 제1 배기유도판(2020)의 제1 배기유도홀(2020a)로 유입된 배출가스가 제2 배기유도판(2021)에서 바로 후단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잔류되어 정체시간이 형성됨으로써, 히터부(201)로부터 배출가스의 가열 효율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수분 및 악취 성분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중탈취조(21)는 고온탈취조(20)의 후단에 연결되어, 고온탈취조(2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중탈취조(21)는 귀사문석조(210',211"), 패각조(211',211") 및 참숯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중탈취조(21)는 고온탈취조(20)와 연결되어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홀(213) 및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배출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귀사문석조(210',210")는 고온탈취조(2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귀사문석조(210',210")는 내부에 채워져 있는 귀사문석 및 일측에 설치된 히터(2100',2100")를 포함하여,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재제거할 수 있다.
귀사문석은 옥의 하나로, 귀사문석을 가공하고 남는 부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귀사문석은 탁월한 항균 효과가 있고, 곰팡이 억제력이 있으며,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음이온 다량 방사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귀사문석이 귀사문석조(210',210") 내부에 채워져 있어 이를 배출가스가 통과하면서 귀사문석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귀사문석조(210',210")는 배출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귀사문석 입자들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히터(2100',2100")는 배출가스를 가열하여 유해성분 및 악취성분 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고온탈취조(20)와 같이 할로겐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패각조(211',211")는 귀사문석조(210',210")와 교번되게 설치되어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패각조(211',211")는 내부에 채워지는 굴껍질 및 일측에 설치된 히터(2110',2110")를 포함하여,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굴껍질은 비표면적과 공극이 커서 흡착력이 우수하여 배출가스의 악취 성분이나 수분을 흡수하여 배출가스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굴껍질은 가공하지 않은 상태로 이용하거나 입도 1 내지 10mm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능한 배출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숯조(212)는 귀사문석조(210',210") 또는 패각조 중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귀사문석조(210',210") 또는 패각조(211',211")로부터 배출되는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참숯조(212)는 내부에 채워져 있는 참숯 및 일측에 설치된 히터(2120)를 포함하여,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재 제거할 수 있다.
참숯은 2000℃가 넘는 고온에서 참나무를 일주일 가량 구워 만든 것으로, 탈취와 습기 제거효과가 있고, 탄소성분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은 살균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참숯은 나무 형태의 참숯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입도 10 내지 50mm의 입자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중탈취조(21)는 귀사문석조(210',210"), 패각조(211',211") 및 참숯조(212)가 하나의 통체 내부에서 횡으로 각각 격실로 형성되어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중탈취조(21)는 귀사문석조(210',210"), 패각조(211',211")는 교번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교번된 귀사문석조(210',210") 및 패각조(211',211")를 도 5과 같이 제1 귀사문석조(210'), 제2 귀사문석조(210"), 제1 패각조(211') 및 제2 패각조(211")로 구별하여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귀사문석조(210'), 제1 패각조(211'), 제2 귀사문석조(210"), 제2 패각조(211"), 참숯조(212) 순으로 선단에서 후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탈취조(21)는 각 격실인 귀사문석조(210',210"), 패각조(211',211") 및 참숯조(212)에 배출가스가 통과하면서 악취 성분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유로유도판(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격실 내부에 다수개의 유로유도판(215)이 형성되어, 통과되는 배출가스의 흐름이 하부로부터 상부 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출가스가 통과되는 경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악취 제거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다중탈취조(21)는 각 격실에 설치된 히터(2100',2110',2100",2110",212)의 온도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로 점차 낮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선단측에 위치한 격실의 히터가 가장 높은 온도로 설정되고, 후단측에 위치한 격실의 히터가 가장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로 설명하면, 제1 귀사문석조(210'), 제1 패각조(211'), 제2 귀사문석조(210"), 제2 패각조(211") 및 참숯조(212) 순으로 온도가 점차 낮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 격실의 온도의 차이는 10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로, 제1 귀사문석조(210')의 온도가 120℃이면, 제1 패각조(211')의 온도는 110℃, 제2 귀사문석조(210")의 온도는 100℃, 제2 패각조(211")의 온도는 90℃, 참숯조(212)는 80℃일 수 있다.
상기는 도 5를 참조하여 예시로 설명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귀사문석조(210',210") 및 패각조(211',211")는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교번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정되는 히터(2100',2110',2100",2110",212)의 온도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습식탈취조(22)는 다중탈취조(21)의 후단에 연결되어, 다중탈취조(21)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균과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습식탈취조(22)는 통체로 이루어진 몸체(220) 및 몸체(220)의 상부에 항균 및 탈취 성분이 포함된 물을 미립자로 분사하는 분사노즐(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가스에 남아있는 균과 악취 성분을 물미립자가 흡수한 상태로 바닥에 가라앉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습식탈취조(22)는 먼저 고온탈취조(20) 및 다중탈취조(21)를 통과하여 건조되고 탈취된 배출가스에 수분을 공급하여 배출가스 중에 남아 있는 악취 성분을 흡착하기 위한 것으로, 항균 탈취 성분을 혼합한 물을 미세하게 분해하여 배출가스에 공급하면 물의 미립자가 배출가스 중의 악취 성분을 흡착한 상태로 낙하하여 몸체(220)의 바닥에 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인 물은 몸체(220)의 바닥에 저장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정화수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습식탈취조(22)를 포함하고 있어 다중탈취조(21)로부터 배출되는 80℃ 정도의 배출가스를 냉각시켜 대기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배출시킬 수 있어, 최종 배출되는 배출가스에는 악취 성분은 물론 유해성분이 제거되고, 온도는 대기온도와 동일하여 탈취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환경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고온탈취조(20)는 다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의 고온탈취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온탈취조를 다른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고온탈취조(20), 다중탈취조(21') 및 습식탈취조(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온탈취조(2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고온탈취조(2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온탈취조(20')는 조본체(200), 히터부(201) 및 배기유도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본체(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히터부(201)는 할로겐 히터(2010) 및 석영관(2011)을 포함할 수 있고, 할로겐 히터(2010)가 다수개로 구비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히터부(2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할로겐 히터(2010)는 다수개가 구비되고 서로 연결되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배출가스에 열을 공급하는데 있어 열전달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회전에 의해 배출가스의 유입 및 배출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배기유도판(202')은 다수개가 조본체(200)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판(202')의 내측단은 히터부(201)의 석영관(201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배기유도판(202')의 내측단과 석영관(2011) 사이에 배출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선단측에서 배출가스가 유입되어 후단측으로 배출가스가 배출되는데 배기유도판(202')의 내측단과 석영관(2011)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배출가스가 유도되고 석영관(2011)에 형성된 통기홀(미도시)로 유도되어 히터부(201)에 의한 배출가스 가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판(202')은 제1 배기유도판(2020') 및 제2 배기유도판(20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기유도판(2020') 및 제2 배기유도판(2021')은 내측단이 석영관(201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기유도판(2020') 및 제2 배기유도판(2021')은 고온탈취조(20')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되며, 석영관(2011)과의 형성된 유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배기유도판(2020')과 석영관(2011)과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크기가 제2 배기유도판(2021')과 석영관(2011)과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번되는 제1 배기유도판(2020') 및 제2 배기유도판(2021')과 석영관(2011)과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유로의 크기가 작고 커짐을 반복하여 배출가스가 흐르면서 느려지는 구간이 형성되어 히터부(201)로부터 배출가스의 가열 효율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수분 및 악취 성분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첨가한 후 가열 및 교반하여 발효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음식물처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수분과 악취를 열과 흡착반응으로 제거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귀사문석의 항균 항곰팡이 및 탈취 작용에 의해 보다 청정하게 배출가스를 처리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균이나 곰팡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가스가 최종단에 설치된 습식탈취조를 통과하면서 남아 있는 악취 성분이나 유해성분이 미립 분사되는 물에 포함된 항균 및 탈취 성분에 의해 다시 처리됨에 의해 보다 청정한 배출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음식물처리기
10: 처리조
11: 교반기
12: 가열히터
13: 배기구
14: 배기팬
20, 20': 고온탈취조
200: 조본체
201: 히터부
2010: 할로겐 히터
2011: 석영관
202, 202': 배기유도판
2020, 2020': 제1 배기유도판
2020a: 제1 배기유도홀
2021, 2021': 제2 배기유도판
2021a: 제2 배기유도홀
21: 다중탈취조
210', 210": 제1 및 제2 귀사문석조(귀사문석조)
211', 211": 제1 및 제2 패각조(패각조)
212: 참숯조
2100',2110',2100",2110",212: 히터
213: 유도홀
214: 배출홀
215: 유로유도판
22: 습식탈취조
220: 몸체
221: 분사노즐

Claims (8)

  1.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및 건조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로부터 악취와 수분을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통체 형상의 조본체, 상기 조본체 내부에 설치된 히터부 및 상기 조본체 내벽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처리기로부터 유입되는 배출가스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여 수분을 건조시키고, 악취 성분을 연소시키는 고온탈취조;
    상기 고온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탈취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다중탈취조 및
    상기 다중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탈취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균과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습식탈취조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탈취조는,
    상기 고온탈취조의 후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귀사문석 및 일측에 설치된 히터를 포함하여,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귀사문석조;
    상기 귀사문석조와 교번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굴껍질 및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귀사문석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패각조 및
    상기 귀사문석조 또는 패각조 중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채워지는 참숯 및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귀사문석조 또는 패각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잔류하는 악취 성분을 재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참숯조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탈취조는 상기 귀사문석조, 패각조 및 참숯조가 하나의 통체 내부에 횡으로 격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120 내지 150℃의 열을 발생하는 할로겐 히터 및
    상기 할로겐 히터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할로겐 히터를 보호하며 상기 할로겐 히터와의 사이에 배출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석영관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판은,
    외측단에서 내측단까지 상기 고온탈취조의 선단에서 후단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판은,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배기유도홀을 포함하는 제1 배기유도판 및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제2 배기유도홀을 포함하는 제2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기유도판 및 제2 배기유도판은 상기 고온탈취조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기유도홀 및 제2 배기유도홀의 위치가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히터는,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유도판은,
    내측단이 상기 석영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배기유도판 및
    내측단이 상기 석영관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기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기유도판 및 제2 배기유도판은 고온탈취조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기유도판 및 제2 배기유도판은 형성된 유로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탈취조는,
    배출가스의 흐름이 각 격실의 하부로부터 상부 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각 격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유로유도판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탈취조는,
    각 결실에 설치된 히터의 온도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설정되되, 각 격실의 온도의 차이는 10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0180038649A 2018-04-03 2018-04-03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189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49A KR101896244B1 (ko) 2018-04-03 2018-04-03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49A KR101896244B1 (ko) 2018-04-03 2018-04-03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244B1 true KR101896244B1 (ko) 2018-09-07

Family

ID=6359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649A KR101896244B1 (ko) 2018-04-03 2018-04-03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2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71Y1 (ko) * 1999-11-27 2000-04-15 주식회사성우정기 발효배기가스 탈취장치
JP2006294337A (ja) * 2005-04-07 2006-10-26 Toshiba Ceramics Co Ltd 遠赤外線ヒーター
KR20090032451A (ko) * 2007-09-28 2009-04-01 이윤원 탈취성능과 건조성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993347B1 (ko) 2008-05-21 2010-11-09 김윤옥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구비되는 제습 및 탈취장치
KR101158036B1 (ko) 2011-07-13 2012-07-04 이미옥 음식물 쓰레기 악취제거탈취장치
KR20140131728A (ko) 2013-05-06 2014-11-14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자동 항균 및 탈취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71Y1 (ko) * 1999-11-27 2000-04-15 주식회사성우정기 발효배기가스 탈취장치
JP2006294337A (ja) * 2005-04-07 2006-10-26 Toshiba Ceramics Co Ltd 遠赤外線ヒーター
KR20090032451A (ko) * 2007-09-28 2009-04-01 이윤원 탈취성능과 건조성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993347B1 (ko) 2008-05-21 2010-11-09 김윤옥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구비되는 제습 및 탈취장치
KR101158036B1 (ko) 2011-07-13 2012-07-04 이미옥 음식물 쓰레기 악취제거탈취장치
KR20140131728A (ko) 2013-05-06 2014-11-14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자동 항균 및 탈취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8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61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의 처리방법
KR101290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004032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5275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170006518A (ko) 탈취 성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6673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02828U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10108585A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JP2001019970A (ja) 炭化装置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100443748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의 냄새탈취장치
CN217526991U (zh) 一种垃圾处理用除臭装置
KR2010000427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5133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KR1008568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바스켓 조립체
KR100862234B1 (ko) 탈취장치가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476981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냄새제거장치
KR1017106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냄새제거장치
KR200333503Y1 (ko) 악취 제거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