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58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586B1
KR102527586B1 KR1020220108098A KR20220108098A KR102527586B1 KR 102527586 B1 KR102527586 B1 KR 102527586B1 KR 1020220108098 A KR1020220108098 A KR 1020220108098A KR 20220108098 A KR20220108098 A KR 20220108098A KR 102527586 B1 KR102527586 B1 KR 10252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processing unit
processing
reservo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원
Original Assignee
이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원 filed Critical 이남원
Priority to KR102022010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586B1/ko
Priority to PCT/KR2023/007222 priority patent/WO20240489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9Suction means, e.g. for forcing a bag inside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부산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분리됨으로써,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할 때,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폐가능하도록 메인 커버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탈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상기 처리부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저장통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 결합부에는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한 부산물이 저장되는 저장통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a disposer for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부산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분리됨으로써,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할 때,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그 자체가 공해물질로서, 대기나 토양은 물론 지하수를 크게 오염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불쾌한 악취를 발생함은 물론 각종 해충의 번식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환경적 피해를 야기하며, 정부의 관련 부서에서는 이에 대한 처리문제로 어려움을 갖는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기존에 출시되었던 많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들은 주로 음식물 쓰레기 건조 후 분쇄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양을 축소시키는 작용만 하였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소음 등을 해결하지 못하므로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202895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착탈교반부(20)와, 착탈교반부(2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부(10)의 내측을 통과시킨 후 착탈교반부(20)로 재공급하는 공기순환부(40)와, 공기순환부(40)에 연결되며 공급받은 공기에 있는 습기를 제거한 후 가열하여 공기순환부(40)로 공급하는 공기조화부(50) 및 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착탈교반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2028957호에 기재된 기술은 완전 밀폐형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순환구조를 제공하여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제습과 발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의 생장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는 착탈교반부(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에는 내부에 수용된 처리된 부산물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므로 악취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진행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8957호(2019.10.04.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 및 건조 방식으로 처리하는 처리부와 처리된 부산물이 수용되는 저장통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부산물의 배출시 저장통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외부로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의 상부에 투명한 내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부에 창이 형성되는 메인 커버가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처리부의 상부에 습기 및 악취를 흡입하는 탈취공을 형성하여 내측 커버의 하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완료된 후, 부산물을 저장통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되는 흡입 파이프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흡입과정에 흡입 파이프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처리부의 바닥에 있는 부산물까지 흡입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로 회전시켜 지지함으로써, 처리기에 설치된 교반기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가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로부터 부산물을 흡입하여 상기 처리부의 측부에 구비되는 저장통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기 처리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커버와, 상기 처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탈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처리부의 측부에 상기 저장통이 착탈되는 저장통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처리부와 연통되는 상기 저장통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부에 수용된 부산물을 상기 저장통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입팬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처리부의 내측으로 순환시키는 회수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수관의 단부가 연결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에는 역지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처리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 몸체와, 상기 처리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교반기와, 상기 처리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열선과,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흡입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 파이프의 단부에는 상기 저장통과 연통되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처리 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자석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 고정 자석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1 자석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 몸체의 개방된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의 내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처리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탈취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단부가 상기 탈취공의 외측과 연결되어 상기 처리 몸체의 내부로부터 악취 및 습기를 처리하는 탈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커버의 일측에는 창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커버의 일측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창으로 삽입되는 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 및 건조 방식으로 처리하는 처리부와 처리된 부산물이 수용되는 저장통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부산물의 배출시 저장통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외부로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의 상부에 투명한 내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부에 창이 형성되는 메인 커버가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처리부의 상부에 습기 및 악취를 흡입하는 탈취공을 형성하여 내측 커버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의 상부에 투명한 내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부에 창이 형성되는 메인 커버가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처리부의 상부에 습기 및 악취를 흡입하는 탈취공을 형성하여 내측 커버의 하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메인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측면부를 개방한 상태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처리부의 흡입 파이프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3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회수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메인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고, (b)는 내측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200)와 상기 처리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탈취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메인 커버(110)가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 커버(110)를 개방하여 상기 처리부(200)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미생물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탈취부(300)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높은 효율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습기까지 배출하고 건조시키도록 함으로써, 처리 후 발생한 부산물의 부피 및 무게를 줄여주어 용이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발생되는 부산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통(4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처리부(20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저장통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통(400)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통 결합부(130)의 일측에는 흡입팬(134)이 설치되는데, 상기 흡입팬(134)은 상기 처리부(200)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저장통(40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즉, 상기 저장통 결합부(130)에는 상기 저장통(140)에 형성되는 배출구(430)와 연통되도록 관통공(136)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36)의 외측에 상기 흡입팬(134)이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400)의 일측에는 상기 처리부(200)의 처리 몸체(210)의 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흡입공(215)과 연통되도록 흡입구(420)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흡입팬(134)이 상기 저장통(14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저장통(14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처리 몸체(210)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생성된 부산물을 같이 흡입함으로써, 상기 처리부(200)의 처리 몸체(210)로부터 저장통(400)의 내부로 부산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통(400)에 형성되는 배출구(430)의 내측에는 필터부재(440)가 더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134)에 의해 상기 배출구(430)로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처리부(200)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된 부산물을 걸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통 결합부(13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흡입팬(134)의 일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그릴(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의 외측에는 상기 저장통(400)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처리부(200)의 내측, 즉, 상기 처리 몸체(210)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회수관(1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200)를 구성하는 처리 몸체(2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수관(135)의 단부가 연결되는 유입공(2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공(216)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역지변(137)이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때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고무부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고무부재가 유입공(216)에 밀착되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134)에 의해 상기 처리 몸체(210)에 수용된 공기 및 부산물이 상기 저장통(400)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부재(450)에 의해 부산물은 상기 저장통(400)의 내부에 남겨둔 상태로 공기만이 상기 회수관(135)을 통하여 상기 처리 몸체(210)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의 누출이나 유입이 없이 부산물만을 저장통(400)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부산물을 버릴 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부산물을 상기 저장통(400)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시켜 쓰레기통 등으로 버릴 수 있어 부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통(400)의 하부에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감지 자석(405)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통 결합부(13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감지 자석(405)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자석 센서(132)가 구비되어 저장통(400)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통(400)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뚜껑(410)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410)의 상부에는 제1손잡이(41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커버(110)의 하면에는 상기 제1손잡이(412)가 삽입되는 수용홈(116)이 형성되어 메인 커버(1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통(40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통(400)의 전체 또는 측부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부산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저장통(400)을 비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200)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 몸체(210)와 상기 상기 처리 몸체(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교반기(미도시)와 상기 처리 몸체(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열선(미도시)과 상기 교반기(미도시)를 회전시키는 모터(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미도시)의 일측 단부는 상기 처리 몸체(210)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교반기(미도시)의 단부에는 종동 스프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모터(214)에는 구동 스프라켓이 설치되는데, 상기 종동 스프라켓과 구동 스프라켓은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214)의 동력에 의해 교반기(미도시)가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교반기(미도시)에 의해 처리 몸체(21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안정적으로 교반되고, 상기 열선에 의해 미생물이 활동하기 좋은 온도를 유지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신속하게 분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선은 상기 처리 몸체(21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분해될 경우, 온도를 높여 부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부산물의 부피를 줄여주게 된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처리부(200)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어 기판(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며, 처리되는 상황은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각 기능들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처리 몸체(210)의 내부 일측에는 흡입 파이프(220)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입 파이프(220)의 단부에는 L자 형태로 절곡되는 회전축(222)이 형성되어 상기 처리 몸체(210)의 일측에 상기 저장통(40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흡입공(215)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파이프(220)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파이프(224)가 설치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24)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 파이프(220)의 단부 내주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24)의 단부 일측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자석(225)이 설치되는데, 상기 처리 몸체(210) 내부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 자석(2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고정 자석(219)이 설치되어 처리 몸체(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산물을 흡입함으로써, 교반기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 몸체(210) 내부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24)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218)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18)에는 제1 고정 자석(225)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1 자석 센서(217)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 파이프(2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처리부(200)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어 기판(부호 미도시)에서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224)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슬라이딩 파이프(224)가 지지부재(218)에 지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교반기(미도시)가 작동하도록 하여 흡입 파이프(220) 또는 슬라이딩 파이프(224)가 교반기(미도시)와 맞물리게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 몸체(210)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커버(110)를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처리 몸체(2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내측 커버(140)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저장통(400)을 분리하기 위하여 메인 커버(110)를 개방하더라도 처리 몸체(210)의 상부가 견고하게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커버(110)의 일측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창(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 커버(14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창부(146)가 형성되어 상기 창(112)에 삽입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창(112) 및 창부(146)를 통하여 처리부(200)의 내부를 볼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커버(110)의 하면에는 습도 센서(114)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 커버(140)에는 상기 습도 센서(114) 쪽으로 내부 공기가 접할 수 있도록 통공(143)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143)에는 고무로 형성되는 패킹부재(144)가 구비되어 통공(143)의 외측과 상기 메인 커버(110)의 하면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처리 몸체(210) 내부의 습기 및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 커버(140)의 가장자리에는 패킹(부호 미도시)이 구비되어 처리 몸체(210)와의 밀폐력을 높여주며, 상면에는 제2손잡이(142)가 형성되어 상기 처리 몸체(210)의 개방된 상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 센서(114)를 통하여 감지한 내부의 습도 정보를 통하여 상기 처리부(210) 내부에 수용된 부산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 기판에서 부산물의 배출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 기판은 습도 정보를 통하여 탈취부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전기사용량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처리 몸체(210) 내부에 수용된 부산물의 양이 적정량보다 많을 경우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처리 몸체(210)의 상부 일측에는 탈취공(211)이 형성되는데, 상기 탈취공(211)에는 거름막(미도시)이 부착되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때, 내부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저장통(400)의 측부에 위하도록 탈취부(3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탈취부(30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탈취공(211)과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에 발생하는 악취와 습기를 상기 탈취부(300)에서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커버(140)는 상기 탈취공(211)과 인접한 부분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탈취공(211)으로 내부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창부(146)에 외부의 찬공기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취부(300)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UV필터(310)와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배출 필터(320)와 상기 처리 몸체(210)에 수용된 악취 및 수분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배출팬(3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UV필터(310)는 상기 탈취공(211)과 파이프 등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UV필터(310)는 자외선을 방출하고, 특유의 파장에 의해 오존을 생성하게 되어, 오존에 의한 오존산화,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 및 OH 라디칼 반응을 통하여 악취를 산화 분해한다.
이때, 상기 배출 필터(32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챔버로 이루어지는데, 각 챔버에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열부, 다수의 촉매가 각각 구비되어 UV필터(310)에서 형성된 오존 등과 미처 제거하지 못한 악취 및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배출팬(330)을 통하여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340)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UV필터(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UV커버(118)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UV커버(118)을 개방하여 UV필터(310) 내부에 수용된 UV램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부산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분리됨으로써, 처리된 부산물을 배출할 때,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메인 커버
120 : 디스플레이 130 : 저장통 결합부
140 : 내측 커버 200 : 처리부
210 : 처리 몸체 220 : 흡입 파이프
300 : 탈취부 310 : UV필터
320 : 배출필터 330 : 배출팬
400 : 저장통 410 : 뚜껑
420 : 흡입구 430 : 배출구
440 : 필터부재

Claims (9)

  1.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부가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기 처리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 커버와, 상기 처리부의 측부에 구비되는 저장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처리 몸체와, 상기 처리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처리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흡입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 파이프의 단부에는 상기 저장통과 연통되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 파이프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부로부터 부산물을 흡입하여 상기 처리부의 측부에 구비되는 저장통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처리부의 측부에 상기 저장통이 착탈되는 저장통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처리부와 연통되는 상기 저장통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부에 수용된 부산물을 상기 저장통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처리부의 내측으로 순환시키는 회수관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회수관의 단부가 연결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에는 역지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 몸체의 외측에 열선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몸체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단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 자석에 대응되는 제2 고정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 고정 자석의 근접을 감지하는 제1 자석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몸체의 개방된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의 내측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처리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탈취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단부가 상기 탈취공의 외측과 연결되어 상기 처리 몸체의 내부로부터 악취 및 습기를 처리하는 탈취부가 상기 처리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의 일측에는 창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커버의 일측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창으로 삽입되는 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220108098A 2022-08-29 2022-08-2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52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098A KR102527586B1 (ko) 2022-08-29 2022-08-2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CT/KR2023/007222 WO2024048913A1 (ko) 2022-08-29 2023-05-25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098A KR102527586B1 (ko) 2022-08-29 2022-08-2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586B1 true KR102527586B1 (ko) 2023-05-02

Family

ID=8638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098A KR102527586B1 (ko) 2022-08-29 2022-08-2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7586B1 (ko)
WO (1) WO20240489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13A1 (ko) * 2022-08-29 2024-03-07 이남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818A (ko) * 2008-11-01 2010-05-11 김기옥 음식물쓰레기 옥외 배출 및 수거 장치
KR20150021196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윌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28957B1 (ko) 2016-11-01 2019-10-11 (주)에코크린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979A (ko) * 2005-07-29 2005-08-30 주식회사 세양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공기순환구조
KR101422997B1 (ko) * 2013-04-10 2014-08-13 김은주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CN206980907U (zh) * 2014-06-27 2018-02-09 艾默生电气公司 用于食物垃圾处理、存储和处置系统的监测和诊断系统
KR20200128950A (ko) * 2019-05-07 2020-11-17 변재욱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527586B1 (ko) * 2022-08-29 2023-05-02 이남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818A (ko) * 2008-11-01 2010-05-11 김기옥 음식물쓰레기 옥외 배출 및 수거 장치
KR20150021196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 윌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28957B1 (ko) 2016-11-01 2019-10-11 (주)에코크린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913A1 (ko) * 2022-08-29 2024-03-07 이남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13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5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861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의 처리방법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20180002399A (ko) 탈취수단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기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230151590A (ko) 건조통 착탈과 악취제거 및 트윈건조 기능의 빌트-인형 음식물 처리기
KR20170002828U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40134462A (ko) 음식물 처리기
KR10069152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80130833A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2009003039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616838B1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03453A (ko) 음식물 감량장치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5235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537371B1 (ko) 열 효율성을 향상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JP2003088826A (ja) 廃棄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