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199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199B1
KR100617199B1 KR1020040080067A KR20040080067A KR100617199B1 KR 100617199 B1 KR100617199 B1 KR 100617199B1 KR 1020040080067 A KR1020040080067 A KR 1020040080067A KR 20040080067 A KR20040080067 A KR 20040080067A KR 100617199 B1 KR100617199 B1 KR 10061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dor gas
exhaust duct
food waste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162A (ko
Inventor
곽태희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1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부 구조를 개선하여, 냄새가스의 탈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반을 수납하고, 그 내부에 상기 잔반을 고루 섞어주는 교반기가 설치된 처리조; 처리조에서 생성된 냄새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냄새가스를 가열하는 탈취히터; 상기 배기덕트 내에 설치되는 백금 촉매부와, 적어도 1열 이상의 작은 구슬의 입자가 적층되어 구슬 사이의 공극으로 냄새가스가 통과 되어 물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지되 상기 구슬에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공극부(空隙部)와 상기 공극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로 수세정부(水洗淨部)로 이루어지는 탈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백금 촉매부, 수세정부, 공극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food garbage disposer}
도 1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배기덕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 탈취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정부의 구슬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로 물공급부에 물분사 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처리조
40: 배기덕트 41: 탈취히터
42: 백금 촉매부 100: 수세정부
110: 공극부 111: 구슬
110a: 공극 120: 물공급부
121: 펌프 122: 물공급관
123: 물분사 노즐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가스를 탈취하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잔밥 및 잔반을 처리하는 기기로서, 근해에 들어서면서 쓰레기 매립지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반입을 중지시키고 있는 실정임에 따라 그 수요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발맞추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조하는 업체 또한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추세에 있다.
음식물 쓰레기(이하 " 잔반" 이라 함)는 건조방식, 발효방식, 발효소멸방식, 건조발효방식과 같이 다양한 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건조방식은 단순히 수집된 잔반에 열풍이나 히터를 통해 열을 가함으로써 잔반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이며, 발효방식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잔반을 발효시켜 처리하는 방식이고, 발효소멸방식은 미생물 및 기타 배합제를 이용하여 잔반을 95% 이상 발효, 소멸시키는 방식이며, 건조발효방식은 수분 증발 과정에서 약간의 발효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증발된 잔반의 가루화상태를 촉진시키는 방식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건조방식을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본체(10) 내부에 외조(11)가 설치되고, 상기 외조 내부에 잔반을 수납하도록 처리조(12)가 설치된다.
상기 처리조(12) 내부의 하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교반기(13)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의 하측에는 교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장치(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2)의 상부에는 히터장치(15)가 설치되어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히터장치(15)의 상부에는 송풍팬(16)이 설치되어 잔반에 열기를 송풍시킨다.
상기 외조(11)의 일측에는 가열된 가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팬(20)이 설치되며, 상기 외조(11)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30)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외조(11)의 내측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용기(30)로 안내하는응축수 유동관(3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 내에는 처리조(12)에서 토출된 냄새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덕트(40) 상에는 냄새가스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일차적으로 탈취시키기 위한 탈취히터(41)가 설치되고, 상기 탈취히터(41)의 후방측에는 고온으로 가열된 냄새가스를 백금 촉매를 이용하여 탈취시키도록 냄새가스가 유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백금 촉매부(42)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응축수 유동관(31)과 배기덕트(40) 사이에는 냄새가스 유동관(43)이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에서 발생된 냄새가스를 배기덕트(40)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 처리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처리조(12)에 잔반을 넣은 다음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모터장치(14)를 통해 교반기(13)에 전달되고, 상기 교반기(13)가 회전됨에 따라 처리조(12)에 수용된 잔반은 교반되어 고루 섞이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히터장치(15)에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송풍팬(16)에 의해 잔반에 열풍이 공급되어 잔반에 포함된 수분이나 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송풍팬(16)이 회동됨에 따라 열풍은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잔반을 건조시킨다.
이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외조(11)의 내측면에서 응축팬(20)에 의해 응축수로 전환된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외조(11)의 하부에 고여 상기 응축수 유동관(31)을 통해 응축수 저장용기(30)로 저장된 후, 응축수 저장용기(30)와 연결된 배수호수(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냄새가스는 냄새가스 유동관(43)을 통해 배기덕트(40)로 유동된 후, 탈취히터(41)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후, 고온으로 가열된 냄새가스는 백금 촉매부(42)의 백금 촉매 성분에 의해 탈취되어 청정된 공기 상태로 변한 후, 배기덕트의 출구(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냄새가스를 탈취시키는 백금 촉매부(42)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구(42a,42b)가 개방된 상태로 다수개의 탈취관(42c)이 적층되어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냄새가스가 상기 백금 촉매부(42)의 탈취관(42c)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고 접촉되는 면적이 적어서 백금 촉매 성분과 충분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여 탈취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부 구조를 개선하여, 냄새가스의 탈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잔반을 수납하고, 그 내부에 상기 잔반을 고루 섞어주는 교반기가 설치된 처리조; 처리조에서 생성된 냄새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냄새가스를 가열하는 탈취히터; 상기 배기덕트 내에 설치되는 백금 촉매부와, 적어도 1열 이상의 작은 구슬의 입자가 적층되어 구슬 사이의 공극으로 냄새가스가 통과 되어 물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지되 상기 구슬에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공극부(空隙部)와 상기 공극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로 수세정부(水洗淨部)로 이루어지는 탈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배기가스를 통과하는 냄새가스는 백금 촉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탈취됨과 동시에 물과 반응하여 탈취가 이루어짐으로 탈취 성능에 탁월한 효과를 지닌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크게 처리조(12)와, 배기덕트(40), 탈취히터(41) 그리고, 탈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조(12)는 본체(10)의 외조(11) 내에 설치되고, 잔반을 수납하여 처리하는 곳으로서, 그 내부에는 잔반을 고루 섞어주는 교반기(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2)의 상부에는 히터장치(15)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장치(15)의 상부에는 송풍팬(1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조(11)의 일측에는 응축팬(20)이 설치되며, 상기 외조(11)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40)는 상기 처리조(12)에 수납된 잔반을 통해 발생된 냄새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냄새가스는 냄새가스 유동관(43)을 통해 배기덕트(40)로 안내된다.
상기 탈취히터(41)는 상기 배기덕트(4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덕트 상으로 유입되는 냄새가스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1차적으로 탈취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취부는 상기 배기덕트(40) 상에 설치되고, 백금 촉매부(42)와 수세정부(100)로 이루어져 처리조(12)로부터 상기 배기덕트(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냄새가스의 탈취를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백금 촉매부(42)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재차 피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세정부(100)는 냄새가스가 통과 되어 물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지는 공극부(110)(空隙部)와, 상기 공극부(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극부(110)는 적어도 1열 이상의 입자가 적은 구슬(111)로 좌우확장되어 적층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각 구슬(111) 사이에는 냄새가스가 통과되도록 공극(11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극부(110)가 다수개의 구슬(111)이 적층된 구조로 된 것을 제시하였으나, 상기 냄새가스가 통과되도록 공극(110a)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배기덕트(40)의 일정공간을 채우고 냄새가스가 통과되는 공극(110a)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는 구형의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120)는 상기 물을 펌핑하는 펌프(121)와, 상기 펌핑된 물을 공극부(110)로 안내하는 물공급관(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펌프(121)는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30)에 저장된 물을 펌핑시키거나 별도의 급수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펌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관(122)은 일단은 상기 펌프(1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부(1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121)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공극부(110)로 안내하는 역할과 상기 공극부(110) 측으로 물을 흘려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40)와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30) 사이에는 공극부(110)를 통과해 냄새가스를 탈취시킨 물이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물유동관(13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30)와는 별도의 챔버를 두어 챔버에 고인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슬(111)의 둘레면에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개의 오목부(112)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각 구슬(111)에 형성된 오목부(112)에 상기 공극부(110)로 흐르는 물이 소정시간 고이게 되고, 냄새가스가 상기 공극부(110)를 통과하는 동안 고인 물과 접촉됨에 따라 물에 대해 냄새가스가 접촉되는 기액접촉면적(氣液接觸面 積)이 증가된다. 이로써, 냄새가스와 물과 반응하는 시간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20)에는 상기 공극부(110)로 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물분사 노즐(123)이 설치된 것이 제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극부(110)의 각 구슬(111)에 상기 물을 분사시키게 되면, 상기 구슬(111)에 물이 부딪힘으로 인해 물 비산(飛散) 현상이 일어나는 바, 상기 공극부(110)의 구슬(111)에는 물이 맺히게 되고, 그 주위에는 분무 현상이 일어나 냄새가스와 물과의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기액적촉면적이 보다 확대된다.
또한, 상기 수세정부(100)의 후류측에는 냄새가스의 강제 배출을 위한 배기팬(200)이 설치된다.
이는, 상기 배기덕트(40)를 통과하는 냄새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탈취부(100)를 통과하는 냄새가스는 유로 저항을 받아 천천히 유동하면서 탈취되는 것이 탈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구성이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배기팬(200)을 가동시켜 상기 냄새가스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운전에 안정화를 이루게 할수도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세정부(100)가 상기 백금 촉매부의 후방측에 설치된 것이 제시됐지만, 상기 배기덕트(40)의 설치 구조에 따라 상기 수세정 부(100)가 탈취히터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도 이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처리조(12)에 잔반을 넣은 다음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모터장치의 구동력은 교반기(13)에 전달되고, 상기 교반기(13)가 회전됨에 따라 처리조(12)에 수용된 잔반은 골고루 섞이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히터장치(15)에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송풍팬(16)에 의해 잔반에 열풍이 공급되어 잔반에 포함된 수분이나 가스가 잔반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송풍팬(16)이 회동됨에 따라 열풍은 잔반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수증기는 외조(11)의 내측면에서 응축팬(20)에 의해 응축되어 응축수로 이 때,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유동관(31)을 통해 응축수 저장용기(30)로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30)에 저장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용기(30)와 연견된 배수호수(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히터에 의해 응축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냄새가스는 냄새가스 유동관(43)을 통해 배기덕트(40)로 유동된다.
상기 배기덕트(40)로 유동된 냄새가스는 탈취히터(41)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1차적인 탈취가 이루어진 후, 백금 촉매부(42) 측으로 유동된다.
이후, 고온으로 가열된 냄새가스는 탈취부(42)의 백금 촉매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백금 촉매 성분에 의해 2차 적으로 탈취된 상태로 수세정부(100) 측으로 유동된다.
이 때, 물공급부(120)의 펌프(121)를 가동시켜 응축수 저장용기(30)에 저장된 물을 펌핑시킨다.
이 때, 상기 펌핑된 물은 상기 물공급관(122)을 통해 수세정부(100)의 공극부(110)에 공급된다.
상기 공극부(110)에 공급되어 흐르는 물의 일부는 각 구슬(111)에 형성된 오목부(112)에 고이고 일부는 구슬(111)의 표면을 타고 흐르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수세정부(100) 측으로 유동된 냄새가스는 상기 공극부(110)에 형성된 공극(110a)을 통과하면서 각 구슬(111)의 표면으로 흐르는 물과 구슬(111)의 오목부(112)에 고인 물과 반응하여 3차적으로 탈취가 이루어진다.
이 때, 각 구슬의 표면으로 흐르는 물과 공극부(110)의 각 구슬(111)에 형성된 오목부(112)에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적은 양의 물로 많은 영역에 소정시간 동안 물이 있게 되어, 물에 대해 냄새가스가 접촉되는 기액접촉면적이 증가하여 탈취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탈취부(100)를 통해 탈취되어 청정된 상태의 공기는 배기덕트(40)의 출구(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40) 상에 설치된 배기팬(200)은 일시적으로 가동시켜 냄새가스가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탈취부를 통과하는 냄새가스는 백금 촉매 성분과 접촉되는 시간 및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탈취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냄새가스의 탈취를 위해 탈취히터와, 백금 촉매부 및 수세정부가 구비됨에 따라 탈취 성능이 탁월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공극부의 각 구슬에 형성된 오목부에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물에 대해 냄새가스가 접촉되는 기액접촉면적이 증가하여 탈취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잔반을 수납하고, 그 내부에 상기 잔반을 고루 섞어주는 교반기가 설치된 처리조;
    처리조에서 생성된 냄새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냄새가스를 가열하는 탈취히터;
    상기 배기덕트 내에 설치되는 백금 촉매부와, 적어도 1열 이상의 작은 구슬의 입자가 적층되어 구슬 사이의 공극으로 냄새가스가 통과 되어 물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지되 상기 구슬에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공극부(空隙部)와 상기 공극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로 수세정부(水洗淨部)로 이루어지는 탈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공극부의 상부로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공극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는 공극부로 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물분사 노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정부의 후류측에는 냄새가스의 강제 배기를 위한 배기팬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040080067A 2004-10-07 2004-10-0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1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67A KR100617199B1 (ko) 2004-10-07 2004-10-0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67A KR100617199B1 (ko) 2004-10-07 2004-10-0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62A KR20060031162A (ko) 2006-04-12
KR100617199B1 true KR100617199B1 (ko) 2006-08-31

Family

ID=3714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067A KR100617199B1 (ko) 2004-10-07 2004-10-07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10103A1 (it) * 2022-05-16 2023-11-16 Nest Srl Macchina per il trattamento di una massa organica e/o biodegradabile e metodo associ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62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8352B1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предме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зон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озона из него
JP5430348B2 (ja) 洗濯乾燥機
KR20140147503A (ko) 음식물 처리기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171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7098033A (ja) 洗濯機
US8991218B2 (en) Washing machine with ozone generator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01729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6408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8004714B (zh) 洗衣干衣机的控制方法
KR20060110243A (ko) 탈취기능을 갖는 쿠킹오븐
KR2010000427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3993481U (zh) 一种清洗机
KR2009009971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994969B2 (ja) 生ごみ処理機
JP2007117901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8020080A (ja) 乾燥処理方法と装置
CN108004735B (zh) 干衣机
KR2006003118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389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115627U (ja) 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H11253916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