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717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717A
KR20090099717A KR1020080024869A KR20080024869A KR20090099717A KR 20090099717 A KR20090099717 A KR 20090099717A KR 1020080024869 A KR1020080024869 A KR 1020080024869A KR 20080024869 A KR20080024869 A KR 20080024869A KR 20090099717 A KR20090099717 A KR 2009009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food waste
air
chamber
heat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만
Original Assignee
김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만 filed Critical 김두만
Priority to KR102008002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717A/ko
Publication of KR2009009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히터만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하기 전과 후의 공기를 가열토록 한 독특한 히팅구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신속한 건조효과 및 탈취효과를 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토출팬과, 토출팬에 의해 챔버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챔버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되 배출되는 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히터를 경유하는 가열구간을 갖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처리장치, 오존, 이산화망간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히터만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접촉하기 전과 후의 공기를 가열토록 한 독특한 히팅구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신속한 건조효과 및 탈취효과를 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에 의해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일컫는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전국적인 생활 쓰레기의 32%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크고 방대하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량이 크고 소각 처리에 곤란한 것은 물론 매립시에는 매립지의 사용 연수를 급격히 줄어들게 하고 다량의 침출수를 발생시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는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 보관하는 중에 수분으로 인한 부패 및 악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열풍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 는 처리장치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에 약 70 내지 80%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5분의 1 가량으로 줄일 수 있고 장시간에 걸쳐 부패 및 악취문제를 억제할 수 있으며 가축사료나 퇴비로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히팅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W)를 수용하는 챔버(11c)를 갖는 케이싱(11)과, 발열하는 히터(12),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11c) 내로 토출하는 토출팬(13)으로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히터(12)가 발열하고 있는 상태에서 토출팬(13)이 공기를 흡입하여 챔버(11c) 내에 토출하게 되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히터(12)와 접촉하여 고온의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면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W) 처리장치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W)를 제한된 공간의 챔버(11c)에 담고 팬(13)과 히터(12)를 이용해 열풍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W)로부터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도면을 참조하면 챔버(11c)의 흡입구(11a) 측에 설치된 토출팬(13)에 의해 외부로부터 케이싱(1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덕트(14) 내에 설치된 히터(12)를 거쳐 챔버(11c) 내부로 토출되면서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증발된 수분과 함께 공기배출구(1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한 공기가 곧바로 챔버(11c) 외부로 배출되면서 음식물 쓰레기(W)의 악취가 실내에 유입되었다. 따라서 이같은 악취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챔버(11c) 외부에 별도의 탈취장치를 설치해야 하였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히터(12)는 설치공간이 비좁은 덕트(14) 또는 공기흡입관 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공기와 접촉 가능한 표면적을 넓게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챔버(11c) 내에 임시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W)를 완전히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독특한 히팅구조에 의해 하나의 히터만으로도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신속한 건조효과 및 탈취효과를 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토출팬과; 상기 토출팬에 의해 챔버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되,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히터를 경유하는 가열구간을 갖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는 상기 토출팬에 의해 흐르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열되도록 관통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는 중앙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를 갖고,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은 상기 히터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접촉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한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원관형의 몸체를 갖고, 상기 배출 관의 가열구간은 상기 히터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하도록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는 세라믹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전열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 내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은 석영과 이산화망간의 혼합물을 재료로 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 내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가열구간 내에서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 내에는 공기를 탈취하는 충진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물은 히터 열에 의해 활성화되어 산화작용을 하는 열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토출팬과; 중앙에는 상기 토출팬에 의해 흐르는 공기가 관통하면서 가열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의 몸체를 갖는 히터와;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되,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한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접촉된 가열구간을 갖는 배출관과; 상기 챔버 내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가열구간 내에 구비되어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과; 상기 가열구간 내에 구비되어 히터 열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산화작용을 하여 공기를 탈취하는 열촉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나의 히터만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접촉하기 전과 후의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신속한 건조효과 및 탈취효과를 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적이 넓은 원판형 또는 원관형의 세라믹 히터를 사용하여 제한된 공간에서도 뛰어난 발열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보다 신속히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 재질의 잔열효과를 이용하여 히터에 전원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면서도 지속적인 발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력을 절반가량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에 더해 오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를 분해 제거하기 때문에 악취의 염려 없이 쾌적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관의 가열구간이 석영과 이산화망간의 혼합물을 재료로 하여 성형된 경우 별도의 이산화망간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인체에 해로운 오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히터 없이 이산화망간에 응결되는 수분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분으로 인한 이산화망간의 작용불량이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빈번한 교체 및 별도의 건조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에 더해 히터 열에 의해 활성화되어 공기를 탈취하는 열촉매를 구비하여 탈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챔버(111)를 갖는 케이싱(110)과, 토출팬(120)과, 히터(130)와, 배출관(140)과 오존발생기(150) 및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 공기가 배출시에도 다시 히터(130)를 경유토록 한 독특한 구성에 의해 하나의 히터(130)만으로 음식물 쓰레기(W)에 대한 건조효과 및 탈취효과를 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토출팬(120)과 히터(130)와 챔버(111)를 직렬로 배치시켜 상기 토출팬(120)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어 흐르는 공기가 챔버(111)에 유입되기 전 히터(130) 인근을 지나면서 가열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에 더해 챔버(111)에 연결된 공기 배출관(140)이 히터(130)를 경유하도록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W)를 건조시킨 후 악취를 수반하는 배출 공기가 다시 한번 히터(130) 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였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 수용하는 챔버(111)를 구비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내부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챔버(111) 하부에 배수시설이 된 챔버 베이스(113) 및 배수관(115)을 구비한다. 상기 챔버 베이스(113)의 배수시설이나 배수관(115)은 평상시에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오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닌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거의 모두 증발되어 공기와 함께 배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다만,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과도하게 많은 오수가 흘러나오는 경우에 이를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서나, 챔버 내부를 물청소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싱크대의 배수구와 직접 연결되어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해야 하는 타입으로의 변경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3)에서 배수시설이나 배수관(115)을 구비한 구성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챔 버 베이스(113)에는 오존발생기(150)의 설치를 위한 공간과 오존발생기(150)의 분사노즐(151)을 챔버(111) 내로 빼내기 위한 삽입공(113a)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팬(120)은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면서 챔버(111)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팬(120)은 상기 히터(120)와 함께 챔버(111)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팬(120)의 설치위치는 상기 히터(130)에 대해 그 중앙부의 관통홀(130a)이나 그 중앙의 인근 상부 또는 하부면 적당하다. 또한, 상기 토출팬(120)은 프로펠러 팬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만일 상기 케이싱(110)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가 형성되는 경우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시로코 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상기 토출팬(120)에 의해 흐르는 공기를 챔버(111)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중앙에 공기 관통홀(130a)을 갖는 원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토출팬(120)과 함께 상기 챔버(111)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같은 형태의 히터(130)는 전통적인 종래의 히터들과는 달리 넓은 표면적(발열면적)을 확보할 수 크기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여 풍부한 발열에 의해 공기를 신속히 가열할 수 있으며, 챔버(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관통홀(130a)로 관통시키면서 가열하게 된다. 도 4에는 상기 히터(1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었다. 즉, 상기 히터(130)는 중앙에 관통홀(130a)을 갖는 납작한 원판형의 형태를 가지며 세라믹 재질로 구비된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 내부 전체에 넓게 분포되어 설치된 전열선(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열선(133)의 단자(133a)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가 설치되어 발열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전술된 것처럼 상기 히터(130)의 몸체(131)가 세라믹 재질로 구비되면 잔열효과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높은 온도의 발열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효과가 높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라믹 재질은 높은 온도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기 때문에 챔버(11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40)은 챔버(111)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이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에 더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관(140)은 챔버(111)의 연결공(111a)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받는 챔버 연결구간(141)과, 이후 배출되는 공기를 히터(130) 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히터(130)와 면접촉하고 있는 가열구간(143)과, 상기 가열구간(143)과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외부 연결구간(145)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상기 가열구간(143)은 히터(1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고열을 견딜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내열성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판형의 히터(130)의 상면이나 하면에 접촉되되 최대한 넓게 접촉될 수 있도록 관통홀(130a)을 중심으로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챔버(11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가열구간(143)을 지날 때 히터(130)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받아 악취가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200 내지 400℃의 온도 조성이 가능한 상기 가열구간(143) 내에 고온에서 활성화되어 산화작용 하는 열촉매를 구비하여 배출 공기 에 대한 탈취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열촉매로는 백금을 활성물질로 하면서 Ni-Cr을 담체물성으로 하거나, 백금을 활성물질로 하면서 SiO2-Al203을 담체물성으로 하거나, 백금을 활성물질로 하면서 Γ-Al203을 담체물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열촉매 중 하나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 연결구간(141)과 외부 연결구간(145)의 경우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 케이싱(110) 내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열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한 관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 연결구간(141)과 외부 연결구간(145)을 형태가 다른 상기 가열구간(143)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용 브래킷(143a,143b)이 구비된다.
상기 오존발생기(150)는 챔버(111) 내에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챔버 베이스(113)에 설치되고 그 분사노즐(151)은 삽입공(113a)을 통하여 챔버(111) 내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챔버(111) 내에 오존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111)에 투입된 오존은 배출관(140)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잔여 악취를 이차적으로 제거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150)의 설치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오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160)이 구비된다. 이같은 이산화망간(160)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동글동글 뭉쳐진 과립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산화망간(160)은 상기 배출관(140)의 가 열구간(143)에 구비되며, 이는 상기 가열구간(143)의 경우 히터(130)에 의해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이산화망간(160) 표면에 응결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산화망간(160)에 응결되는 수분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빈번한 교체 및 건조작업 등의 번거로움이 없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별도의 히터나 수분제거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이산화망간(160)의 사용시 가장 번거로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망간(160)이 상기 배출관(140)의 가열구간(143) 내에 별도로 구비되는 대신, 배출관(140)의 가열구간(143)이 이산화망간을 함유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석영과 이산화망간을 혼합한 반죽을 건조하여 상기 배출관(140)의 가열구간(143) 형태로 성형한 후 이를 초벌구이 한다. 이때 상기 이산화망간이 차지하는 중량비는 전체 대비 10% 이상으로 하되, 10 내지 35% 정도면 적절하다. 이같이 배출관(140)의 가열구간(143)이 자체적으로 이산화망간 성분을 함유토록 하면 별도의 이산화망간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인체에 해로운 오존이 유출되지 않도록 원활하게 분해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토출팬(120)이 작동하여 회전하고, 히터(130)가 작동하여 발열하기 시작한다.
이로써 토출팬(120)에 의해 케이싱(110)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어 챔버(111)에 공급된다. 동시에 상기 챔버(111)에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130)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130a)을 통과하면서 신속히 가열된다.
이후,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챔버(111) 내로 유입되어 음식물 쓰레기(W)와 접촉하면서 음식물 쓰레기(W)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한다. 그러면 음식물 쓰레기(W) 건조된 상태가 되어 5분의 1 정도의 부피로 줄어든다.
이 과정에서 세라믹 재질인 히터(130)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음식물 쓰레기(W)의 악취를 일부 제거해준다. 또한, 오존발생기(150)가 작동하여 상기 챔버(111) 내에 오존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상기 챔버(111)에 발생된 다량의 오존이 음식물 쓰레기(W)로부터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해준다.
이후 상기 챔버(111)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 공기가 잔여 악취를 포함한 상태로 오존과 함께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잔여 악취가 지속적으로 제거된다. 이 때 공기와 오존은 상기 배출관(140)의 가열구간(143)을 지나게 되는데, 상기 가열구간(143)은 상기 히터(130)와 접촉하여 200 내지 400℃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구간(143)에 조성된 고온의 분위기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잔여 악취성분이 상당부분 제거된다.
동시에 상기 가열구간(143)에서는 고온에서 활성화되어 산화작용을 하는 열촉매가 공기로부터 악취성분을 더욱 분해 제거하게 된다. 이로써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잔여 악취는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한편, 공기와 함께 배출관(140)을 따라 이동하는 오존은 상기 가열구간(143)에서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160)을 만나면서 강제로 분해 된다. 이로써 인체에 유해한 오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산화망간(160)의 표면에 응결되는 수분은 높은 온도로 가열된 상기 가열구간(143)에서 신속하게 증발하여 제거되므로 수분으로 인한 이산화망간의 작용불량이 없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빈번한 교체 및 별도의 건조작업이 불필요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히터(130)를 사용하여 챔버(111)로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를 모두 가열하도록 한 독특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W)에 대한 신속한 건조는 물론 탈취효과 모두를 달성하게 된다.
도 5는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히터(130-2)가 원판형에서 원관형으로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히터(130-2)가 원관형의 형태로 구비되면 챔버(111)에 유입되는 공기가 히터(130-2)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더 넓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신속하게 공기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이같이 변형된 형태의 히터(130-2)의 경우에도 몸체(131-2)가 원관형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그 내부에 전열선(133-2)이 넓게 분포되어 설치되는 것과 몸 체(131-2)의 재질이 세라믹으로 구비된 구성에는 변함이 없다.
한편, 변형된 실시예에서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경우 변형전과 대동소이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
도 5는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싱 111 : 챔버
113 : 챔버 베이스 120 : 토출팬
130, 130-2 : 히터 133, 133-2 : 전열선
140 : 배출관 143 : 가열구간
150 : 오존발생기 160 : 이산화망간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토출팬과;
    상기 토출팬에 의해 챔버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되,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히터를 경유하는 가열구간을 갖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토출팬에 의해 흐르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열되도록 관통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중앙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판형의 몸체를 갖고,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은 상기 히터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접촉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한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원관형의 몸체를 갖고,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은 상기 히터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하도록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세라믹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하는 전열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은 석영과 이산화망간의 혼합물을 재료로 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가열구간 내에서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가열구간 내에는 공기를 탈취하는 충진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은 히터 열에 의해 활성화되어 산화작용을 하는 열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케이싱과;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토출팬과;
    중앙에는 상기 토출팬에 의해 흐르는 공기가 관통하면서 가열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의 몸체를 갖는 히터와;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되,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한 곡률진 형태의 사각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접촉된 가열구간을 갖는 배출관과;
    상기 챔버 내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가열구간 내에 구비되어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오존분해촉매인 이산화망간과;
    상기 가열구간 내에 구비되어 히터 열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산화작용을 하여 공기를 탈취하는 열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80024869A 2008-03-18 2008-03-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99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69A KR20090099717A (ko) 2008-03-18 2008-03-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869A KR20090099717A (ko) 2008-03-18 2008-03-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717A true KR20090099717A (ko) 2009-09-23

Family

ID=4135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69A KR20090099717A (ko) 2008-03-18 2008-03-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55B1 (ko) * 2009-10-08 2011-07-29 (주)유이온 음식물 처리기 하이브리드 살균 탈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55B1 (ko) * 2009-10-08 2011-07-29 (주)유이온 음식물 처리기 하이브리드 살균 탈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65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방법 및 그 장치
JP4680743B2 (ja) 有害ガス処理装置
KR2009009971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1002899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제거장치
KR10066673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63866B1 (ko)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KR100915441B1 (ko) 관형의 히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427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36850B1 (ko) 슬러지 처리 장치
KR20090103397A (ko) 오존분해 배출관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JP3240844B2 (ja) 厨芥処理装置
KR20034908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작동시 발생되는 악취와 응축수를제거하는 장치
KR102463865B1 (ko)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KR1006171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WO2014148807A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KR20130084783A (ko) 쓰레기 자동 집하설비용 악취 제거장치
JP3377724B2 (ja) 発酵装置に用いる熱交換器
KR1006408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7431387U (zh) 净化装置及应用有该净化装置的净化系统和垃圾处理器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JP2008020080A (ja) 乾燥処理方法と装置
JP2002102825A (ja) 厨芥処理装置
KR20120073377A (ko) 플라즈마 공기정화기를 구비하는 음식 또는 축산폐기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