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850B1 - 슬러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850B1
KR101236850B1 KR1020110021545A KR20110021545A KR101236850B1 KR 101236850 B1 KR101236850 B1 KR 101236850B1 KR 1020110021545 A KR1020110021545 A KR 1020110021545A KR 20110021545 A KR20110021545 A KR 20110021545A KR 101236850 B1 KR101236850 B1 KR 10123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gas
dryer
sludge dry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335A (ko
Inventor
이을섭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슬러지 처리 장치를 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는,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기, 슬러지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건조 슬러지를 저장하는 저장 사일로, 그리고 저장 사일로로부터 건조 슬러지가 배출될 때 발생하는 비산 먼지를 포집하는 배출팬을 포함하며, 비산 먼지는 슬러지 건조기로 투입된다.

Description

슬러지 처리 장치{APPARATUS OF TREAT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폐수 처리 과정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슬러지 형태의 고함수 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폐기물은 수질 및 토양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슬러지 형태의 폐기물은 복수의 슬러지 건조기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한 다음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슬러지 건조기에서 생성된 증기는 악취가 나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증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슬러지 건조기 내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설정한다.
한편,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인 건조기의 증기를 빼내어 처리하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를 증기의 운반 기체로서 건조기 내에 유입하며, 증기를 포함하는 운반 기체를 건조기로부터 빼내는 수단으로 송풍기를 사용한다. 송풍기에 의하여 건조기 내의 기체가 빠져 나옴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건조기 내로 유입된다. 이때, 복수의 건조기로부터 나온 복수의 배출관이 하나로 합쳐져서 배출 기체의 처리 장치와 연결되는데, 송풍기는 통상 합쳐진 후의 배출관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에 설치된 유량 조절 밸브와 송풍기의 동력을 제어하여 슬러지 건조기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개개의 슬러지 건조기의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한편, 슬러지 건조기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저장 사일로(silo)에 저장되었다가 차에 실려 다른 곳으로 운반되어 처리되는데, 슬러지를 차에 싣는 과정에서 먼지가 비산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집진 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집진 설비는 비산 먼지를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할 뿐 아니라 악취 제거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슬러지 건조기 내의 압력을 정밀하고 간단하게 제어함으로써 악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는,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기, 상기 슬러지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건조 슬러지를 저장하는 저장 사일로, 그리고 상기 저장 사일로로부터 상기 건조 슬러지가 배출될 때 발생하는 비산 먼지를 포집하는 배출팬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팬은 상기 비산 먼지를 제1 운반 기체에 실어 보내고, 상기 제1 운반 기체는 외부에서 유입된 제2 운반 기체와 함께 상기 슬러지 건조기로 유입된다.
삭제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운반 기체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 내부의 혼합 기체를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기체는 상기 제1 운반 기체와 상기 제2 운반 기체 중 하나이거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운반 기체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혼합 기체는 상기 비산 먼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그리고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건조기 내부의 기체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세정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연료 가스와 함께 연소하는 보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는 연소된 고온의 기체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증기를 저장하는 증기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연소 기체를 사용하여 대기에서 유입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예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예열기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보일러에 공급되어 상기 연료 가스와 함께 연소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드럼에 저장된 증기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에 유입되며,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에서 나온 증기를 응축하여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고, 그리고 상기 응축수 저장고의 응축수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산 먼지를 슬러지 건조기에 재투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슬러지 건조기에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만을 조절하여 슬러지 건조기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악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에서 물의 순환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3은 저장 사일로 및 배출팬의 개략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에서 물의 순환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며, 도 3은 저장 사일로 및 배출팬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는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기(10), 저장 사일로(silo)(20), 배출팬(30), 유량 조절 밸브(40), 제어부(50), 세정탑(60), 송풍기(70), 보일러(80), 공기 예열기(90), 굴뚝(100) 등을 포함한다.
슬러지 건조기(10)는 슬러지를 가열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슬러지를 건조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슬러지 건조기(10)는 용기(11)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기(15)를 포함한다.
가열기(15)는 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중공축(16)과 이에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17)를 포함한다. 중공축(16)과 돌기(17)는 속이 비어 있고 빈 속에는 뜨거운 기체, 예를 들면 140℃ ~ 150℃ 이상의 뜨거운 증기가 흐른다. 슬러지가 중공축(16) 및 돌기(17)와 접촉하면 슬러지의 수분이 증발되어 증기가 되고 이에 따라 슬러지가 건조된다. 여기에서 돌기(17)는 예를 들면 삼각뿔 형태의 디스크로서 슬러지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중공축(16)과 돌기(17)는 더욱 많은 슬러지와 접촉하기 위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용기(11)의 상부에는 기체 유입구(12)와 기체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유입구(12)로는 외부에서 운반 기체(carrier gas)가 유입되며, 기체 배출구(13)로는 운반 기체와 증기 및 먼지의 혼합물이 배출된다. 슬러지 배출구(14)로는 건조된 슬러지가 배출된다. 용기(11)에는 또한 건조 전의 슬러지를 유입하는 슬러지 유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11) 내에는 내부의 기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2)가 설치되어 있다. 슬러지 건조기(10)의 수효는 복수개일 수도 있다.
저장 사일로(20)는 슬러지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건조 슬러지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도 3을 참고하면, 건조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구(22)와 배출되는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저장된 건조 슬러지는 배출구(24)를 통과하여 차량(26)에 실려 다른 곳으로 옮겨져 매립되거나 태워지거나 재활용될 수 있다.
슬러지 건조기(10)와 저장 사일로(20) 사이에는 건조 슬러지를 이송하는 각종 컨베이어가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건조기 배출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 수평 냉각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 수직 이동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 등이 있다.
배출팬(30)은 저장 사일로(20)의 배출구(24) 중간에 연결된 배관(32)과 연결되어 있으며, 건조 슬러지를 배출구(24)를 통하여 차량(26)에 실을 때 발생하는 비산 먼지를 배관(32)을 통하여 포집한다. 이때 비산 먼지는 운반 기체인 공기에 실려 포집된다.
유량 조절 밸브(4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문으로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유량 조절 밸브(40)는 제어부(50)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제어부(50)는 슬러지 건조기(10) 내에 설치된 압력계(52)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슬러지 건조기(10)의 내부 압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유량 조절 밸브(4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유량 조절 밸브(40)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배출팬(3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합쳐져서 운반 기체의 역할을 한다.
비산 먼지를 포함한 운반 기체는 슬러지 건조기(10)의 기체 유입구(12)를 통과하여 슬러지 건조기(10) 내부로 유입되며, 슬러지 건조기(10) 내부의 증기를 실어 밖으로 배출한다. 이때 슬러지 건조기(10) 내부에 들어간 비산 먼지는 대부분 슬러지와 합쳐져서 가열 및 제거되지만 일부는 운반 기체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슬러지 건조기(10)가 복수인 경우, 유량 조절 밸브(40)와 압력계(52)는 각각의 슬러지 건조기(10)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세정탑(60)은 슬러지 건조기(10)의 기체 배출구(13)와 연결된 배관(62)을 통하여 유입되는 혼합 기체, 즉 운반 기체와 증기의 혼합 기체에 남아 있는 소량의 먼지를 물을 뿌려 제거한다. 그러나 혼합 기체의 악취 성분이 세정탑(60)에서 제거되지는 않는다. 분사된 후 먼지를 포함하는 물은 세정탑(60)을 빠져 나와 하수 또는 오수 처리장으로 향할 수 있다.
송풍기(70)는 세정탑(60)에서 배출된 혼합 기체가 흐르는 배관(72)에 설치되어 세정탑(60)의 혼합 기체를 보일러(80)로 뽑아 내는 역할을 한다. 세정탑(60)의 압력이 감소하면 배관(62) 및 슬러지 건조기(10)의 기체가 세정탑(60)을 향하게 되므로, 송풍기(70)의 역할은 결국 슬러지 건조기(10)의 기체를 배출시키는 것임과 동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장치의 기체 흐름을 결정하는 것이다.
슬러지 건조기(10)가 복수인 경우에도 송풍기(70)와 세정탑(60)은 하나씩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정탑(60)에 연결된 배관(62)이 각 슬러지 건조기(10)로 갈라져서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예열기(90)는 대기로부터 공기를 끌어와 가열한 뒤 보일러(80)에 공급한다.
보일러(80)는 슬러지 건조기(10)에 공급되는 필요한 증기를 생성하는 곳으로서 천연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물을 끓여 증기로 바꾼다. 이때 송풍기(70)에 의하여 유입된 악취나는 혼합 기체가 보일러(80)의 연료 가스와 함께 연소되며, 혼합 기체의 악취 성분은 이 연소 과정에서 분해되어 제거된다. 또한 공기 예열기(90)로부터 유입된 가열 공기도 이들과 함께 혼합되어 연소되는데 이는 높은 온도의 가열 공기가 연료 가스 절감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보일러(80)에서 배출된 고온의 연소 기체는 배관(82)을 따라 이동하여 공기 예열기(90)에 유입되어 대기로부터 끌어온 공기를 가열하는 데 사용된다. 배관(82)은 공기 예열기(90) 내에서 구불구불하게 휘어져 있는데, 이는 배관(82)과 유입 공기의 접촉 면적을 넓혀 효과적으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보일러(80)는 물이 끓어서 발생한 증기를 모으는 증기 드럼(84)을 포함하며, 같이 딸려온 물방울은 증기 드럼(84)에서 제거된다. 증기 드럼(84)에 모인 증기는 슬러지 건조기(10)의 중공축(16) 안으로 유입되어 슬러지를 가열하면서 온도가 낮아진다. 중공축(16)에서 배출된 낮은 온도의 증기는 다시 물이 되어 응축수 저장고(86)에 저장되었다가 급수 펌프(88)에 의하여 다시 보일러(80)로 공급된다.
굴뚝(100)은 보일러(80)에서 나와 공기 예열기(90)를 통과한 연소 기체를 대기로 내보낸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슬러지 처리 장치에서는 슬러지가 슬러지 건조기(10)에서 건조되어 저장 사일로(20)에 저장된 후 차량(26)에 실려 다른 곳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처리해야 할 오염물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슬러지를 건조할 때 발생하는 악취나는 증기이고 다른 하나는 건조 슬러지를 저장 사일로(20)에서 차량(26)에 실을 때 발생하는 비산 먼지이다. 비산 먼지는 슬러지 건조기(10)에 다시 투입하여 대부분 제거하고,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는 슬러지 건조기(10)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다른 먼지와 함께 세정탑(60)에서 제거한다. 악취 증기는 보일러(80)에서 연료 가스와 함께 연소하여 악취 성분을 분해한다.
증기와 비산 먼지를 해당하는 처리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운반 기체가 필요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를 운반 기체로 사용한다. 공기의 공급원은 두 곳인데 그 중 하나는 배출팬(30)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로서, 외부의 공기는 유량 조절 밸브(40)를 통과하여 들어온다.
증기와 비산 먼지를 실은 운반 기체를 해당 처리 장소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70)가 사용된다. 즉, 송풍기(70)에 의하여 슬러지 건조기(10)에서 세정탑(60)을 거쳐 보일러(80)로 향하는 운반 기체의 흐름이 유지된다.
한편, 슬러지 건조기(10) 내의 악취 증기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슬러지 건조기(10) 내부의 기체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체 압력은 슬러지 건조기(10)에서 발생한 증기의 양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증기의 양이 변화하는 것은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의 양이 슬러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러지 건조기(10) 내부의 기체 압력을 계속해서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슬러지 건조기(10) 내부에 압력계(52)를 설치한다.
슬러지 건조기(10) 내부의 기체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슬러지 건조기(10)로 유입되는 운반 기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슬러지 건조기(10)에서 배출되는 혼합 기체, 즉 운반 기체와 증기가 합해진 양을 조절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슬러지 건조기(10)에서 배출되는 혼합 기체의 양, 즉 송풍기(70)로 뽑아내는 혼합 기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슬러지 건조기(10)로 유입되는 운반 기체의 양만을 조절한다. 송풍기(70)로 뽑아내는 혼합 기체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슬러지 건조기(10) 이후의 처리 과정, 즉 세정탑(60)과 보일러(8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처리되는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슬러지 건조기(10)로 유입되는 운반 기체의 공급원이 두 곳, 즉 배출팬(30)과 외부 공기이므로 두 곳으로부터 오는 공기량을 모두 조절하거나 둘 중 한 곳만을 택하여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팬(30)의 경우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뿐 아니라 비산 먼지를 포집하는 역할을 병행하고 있으므로 공기 공급량을 줄이거나 늘리면 포집되는 비산 먼지의 양도 변하게 되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공기 공급량을 줄이는 경우 저장 사일로(20)의 배출구(24)에서 발생하는 비산 먼지를 제대로 포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팬(30)이 공급하는 공기량은 비산 먼지를 최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양으로 유지하고, 유량 조절 밸브(40)를 사용하여 외부 공기량만을 조절한다.
한편, 슬러지 건조기(10)가 복수인 경우 압력계(52)와 유량 조절 밸브(40)는 각 슬러지 건조기(10)마다 하나씩 구비되지만, 배출팬(30)과 송풍기(70)는 전체적으로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팬(30)이나 송풍기(70)가 공급 또는 배출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하면 모든 슬러지 건조기(10)에 그 영향이 미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슬러지 건조기(10) 중 어느 하나만 유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슬러지 건조기(10)의 유량 조절 밸브(40)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시스템에서 악취 성분 및 분산 먼지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요약해서 설명한다.
슬러지 건조기(10)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저장 사일로(20)에 저장되었다가 차량(26)에 실려 다른 곳으로 옮겨진다. 건조 슬러지를 저장 사일로(20)에서 차량(26)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비산 먼지가 발생하고, 이 비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배출팬(30)에 의하여 슬러지 건조기(10)의 기체 유입구(12)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유량 조절 밸브(40)를 통과하여 슬러지 건조기(10)의 기체 유입구(12)로 공급된다.
슬러지 건조기(10)에서는 슬러지가 가열되면서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악취 성분을 함유한 증기로 변환되어 운반 기체에 실린다. 유입된 비산 먼지는 슬러지와 함께 가열 처리되면서 대부분 제거되지만 일부 제거되지 않은 비산 먼지는 슬러지 건조기(10) 내에서 새로 발생한 먼지와 함께 운반 기체에 실린다. 결국 슬러지 건조기(10)를 빠져 나오는 운반 기체에는 증기와 소량의 먼지가 포함된 상태가 된다. 슬러지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기체에 포함된 먼지는 세정탑(60)에서 제거되고 증기는 보일러(80)에서 연소된다. 증기에 함유된 악취 성분은 연소 시 분해되어 제거된다.
보일러(80)에서 연소된 연소 기체는 공기 예열기(90)로 들어가 대기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데 사용된 후 굴뚝(100)으로 배출된다. 공기 예열기(90)에서 데워진 가열 공기는 보일러(80)로 들어가 세정탑(60)에서 배출된 기체와 함께 연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산 먼지를 슬러지 건조기에 재투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슬러지 건조기에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만을 조절하여 슬러지 건조기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악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슬러지 건조기
11: 슬러지 건조기의 용기
12: 슬러지 건조기의 기체 유입구
13: 슬러지 건조기의 기체 배출구
14: 슬러지 건조기의 슬러지 배출구
15: 슬러지 건조기의 가열기
16: 슬러지 건조기의 중공축
17: 슬러지 건조기의 돌기
20: 저장 사일로
22: 저장 사일로의 유입구
24: 저장 사일로의 배출구
26: 차량
30: 배출팬
32, 62, 72, 82: 배관
40: 유량 조절 밸브
50: 제어부
52: 압력계
60: 세정탑
70: 송풍기
80: 보일러
84: 증기 드럼
86: 응축수 저장고
88: 급수 펌프
90: 공기 예열기
100: 굴뚝

Claims (12)

  1.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기;
    상기 슬러지 건조기로부터 배출된 건조 슬러지를 저장하는 저장 사일로 및
    상기 저장 사일로로부터 상기 건조 슬러지가 배출될 때 발생하는 비산 먼지를 포집하는 배출팬;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팬은 상기 비산 먼지를 제1 운반 기체에 실어 보내고,
    상기 제1 운반 기체는 외부에서 유입된 제2 운반 기체와 함께 상기 슬러지 건조기로 유입되는 슬러지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반 기체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건조기 내부의 혼합 기체를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기체는 상기 제1 운반 기체와 상기 제2 운반 기체 중 하나이거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운반 기체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혼합 기체는 상기 비산 먼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건조기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그리고
    상기 압력계로부터 측정된 압력에 따라 상기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건조기 내부의 기체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되는 슬러지 처리 장치.
  8.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세정탑을 더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탑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연료 가스와 함께 연소하는 보일러를 더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상기 보일러에서 연소된 고온의 기체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증기를 저장하는 증기 드럼을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된 연소된 고온의 기체를 사용하여 대기에서 유입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예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예열기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보일러에 공급되어 상기 연료 가스와 함께 연소되는
    슬러지 처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드럼에 저장된 증기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에 유입되며,
    상기 슬러지 처리 장치는,
    상기 슬러지 건조기에서 나온 증기를 응축하여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고, 그리고
    상기 응축수 저장고의 응축수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하는 급수 펌프를 더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
KR1020110021545A 2011-03-10 2011-03-10 슬러지 처리 장치 KR10123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45A KR101236850B1 (ko) 2011-03-10 2011-03-10 슬러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45A KR101236850B1 (ko) 2011-03-10 2011-03-10 슬러지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35A KR20120103335A (ko) 2012-09-19
KR101236850B1 true KR101236850B1 (ko) 2013-02-25

Family

ID=4711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545A KR101236850B1 (ko) 2011-03-10 2011-03-10 슬러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78B1 (ko) * 2013-02-08 2013-07-10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슬러지 처리 장치
KR101997197B1 (ko) * 2019-03-18 2019-07-08 주식회사 동양보일러 자원화 시설용 컴팩트 타입 고농도 악취 제거 시스템
CN112647561A (zh) * 2020-10-30 2021-04-13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污泥干化载气冷凝水的循环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254A (ja) 1997-03-10 1998-09-25 Showa Sekizai Kogyosho:Kk クラッシャランの乾燥方法
KR100685385B1 (ko) 2005-10-26 2007-02-22 이보엠텍 주식회사 하, 폐수 슬러지의 자원 재활용 장치
KR100781793B1 (ko) * 2007-02-08 2007-12-04 (주)대성그린테크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제거 장치
KR100965932B1 (ko) 2010-04-27 2010-06-24 오난희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건조 및 악취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254A (ja) 1997-03-10 1998-09-25 Showa Sekizai Kogyosho:Kk クラッシャランの乾燥方法
KR100685385B1 (ko) 2005-10-26 2007-02-22 이보엠텍 주식회사 하, 폐수 슬러지의 자원 재활용 장치
KR100781793B1 (ko) * 2007-02-08 2007-12-04 (주)대성그린테크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제거 장치
KR100965932B1 (ko) 2010-04-27 2010-06-24 오난희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건조 및 악취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35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61B1 (ko) 순환증기 재가열 슬러지 건조시스템
DK2519797T3 (en) Process and plant for drying sludge-like materials, especially slud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ith thermal energy production
JP5135369B2 (ja) 汚泥乾燥方法
JP5048573B2 (ja)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KR2004374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80302B1 (ko) 하수슬러지 건조처리시스템
KR20180013335A (ko) 리사이클링 건조장치
JP7157862B1 (ja) 循環蒸気再加熱スラッジ乾燥システム
KR20130097402A (ko) 습윤한 물질의 건조기
NL8020118A (nl) Werkwijze voor het onttrekken van warmte aan mest, rioolslik en ander nat afval door verbranding.
KR101236850B1 (ko) 슬러지 처리 장치
TW201431798A (zh) 處理污泥之器具及方法
KR101154826B1 (ko)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KR101733234B1 (ko) 건조효율이 개선된 폐열을 활용한 음식물 건조장치
JP3908251B2 (ja) 過熱蒸気循環型乾燥システム
RU2521525C2 (ru) Горелка,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сушки измельч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нием такой горелки
FI12077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sellu- ja/tai paperitehtaassa muodostuvien lietteiden määrän vähentämiseksi
KR10163081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W202144640A (zh) 拉幅設備
RU26741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осадка сточных вод предприятий аграрно-промышленного комплекса
KR101934764B1 (ko) 슬러지 고속 건조 장치
HU1847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spare drying particularly heat-sensitive materials furthermore materials generating toxic and/or stinking gases
JPH0363303A (ja) アスファルト舗装廃材再生装置
CN104710094A (zh) 印染污泥干燥方法及其设备
JP5425958B2 (ja)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