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104A -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104A
KR20100004104A KR1020097020669A KR20097020669A KR20100004104A KR 20100004104 A KR20100004104 A KR 20100004104A KR 1020097020669 A KR1020097020669 A KR 1020097020669A KR 20097020669 A KR20097020669 A KR 20097020669A KR 20100004104 A KR20100004104 A KR 20100004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device
control device
access
transm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227B1 (ko
Inventor
카르스텐 힐데브란트
알렉산더 이오페
후세인 바이도운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0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특히 차량용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액세스 측의 전자 제어 장치,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 및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식별 장치 간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측의 전자 제어 장치와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와 연관된 안테나를 포함한다.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및/또는 차량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이한 지점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가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내에서 복수의 상이한 부분 영역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식별 장치가 상기 액세스 영역 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식별 장치가 위치해 있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AN EASY-TO-USE ACCESS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액세스 측의 전자 제어 장치,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 및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식별 장치 간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해, 액세스 측의 전자 제어 장치와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와 연관된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사용하기 쉬운(easy-to-use)"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각각의 식별 장치의 베어러(bearer)로서의 각각의 사람이, 각각의 액세스 제어 장치를 통과할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된다. 이것은 선택된 집단의 사람들만이 액세스할 수 있는 고정식 액세스 제어 장치(stationary access control device) 및 특히 자동차와 같은 차량, 선박 또는 자건거에 적용되는 이동식 액세스 제어 장치의 두 가지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는 각각의 차량의 절도에 대항하는 각각의 액세스 제어 장치가 고려된다.
각각의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특히 차량용의 소위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 및/또는 키리스 스타팅 시스템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은, 차량과 관련 있으면서 일반적으로 영구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는 액세스 측의 제어 장치로서의 전자 제어 유닛, 및 각각의 인증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식별 장치는 그 자체가, 차량의 록킹 및/또는 스타팅 시스템의 영역 내에 있는 제어 장치와 데이터 교환, 양호하게는 양방향 데이터 교환을 하는 차량 키의 일부로 될 수 있다. 각각의 식별 장치는 특히 칩 카드 등과 일체화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송수신기로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송수신기는 그 자체의 에너지 공급 장치를 갖지 않으며, 식별 장치가 제어 장치에 접근할 때 무선 방식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인증 응답 신호의 전송을 위한 추가의 프로세스에서 자동으로 특정된다.
현재의 널리 사용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서는, 서로 명백하게 상이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세 개의 안테나가,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식별 장치의 위치 측정(localization)을 위해 제공된다. 서로 상이한 자기장은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안테나의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얻어진다. 차량의 내부에서 식별 장치의 위치 측정 및/또는 사람의 차량 문으로의 접근 인식을 위해, 자기장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자기장 형상이 차량의 윤곽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각자의 위치들에 있는 서로 다른 안테나의 RSSI 값들 간의 관계의 계산에 의해 지원받는다. "RSSI"는 "수신 신호 세기 표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약자이고 무선 통신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인디케이 터(indicator)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특히 식별 장치의 더욱 이상적인 위치 측정이 가능한, 상기 향상된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및/또는 차량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이한 포인트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가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내에서 복수의 상이한 부분 영역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식별 장치가 상기 액세스 영역 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식별 장치가 위치해 있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차량의 내부 공간과 같은,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내의 각각의 부분 영역에서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의 위치 측정도, 상기 구성을 가진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또는 상기 차량의 내부의 상이한 부분 영역은, 예를 들어 특히, 특정한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내에 배치된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발생된 설정 가능한 자기장을 통해, 그리고 상기 자기장의 관계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상이한 안테나 쌍들 간의 관계에 기초할 수 있고, 그리고 RSSI 값 등에 기초한 각각의 안테나와 식별 장치 간의 간격(spacing)에 기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자기장 관계의 맵(map)이 적어도 이러한 하나의 파라미터 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의 적합한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는 식별 장치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해서 발생된다.
이 구성에서, 식별 장치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측의 제어 장치로부터 요구된 응답 신호이다.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한 평가 수단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특히, 상이한 안테나 쌍들 중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가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평가 수단에 의해 서로 비교되는 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질적인 실시예는, 상기 식별 장치와 상기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간격이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판정되고, 상기 식별 장치와 상기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간격이 상기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서로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장치와 각각의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간격은 RSSI 값들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장치의 적어도 수평 위치는 평가 수단에 의해 판정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식별 장치가 설정 가능한 수평 면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의 추가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정의된 상이한 부분 영역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화되고, 상기 식별 장치의 각각의 판정된 위치가 각각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필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이한 부분 영역에 대응하는 필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재생된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의 윤곽 내에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은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열린 문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온보드 차량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량 윤곽이 그 차량 윤곽의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 장치의 각각의 판정된 수평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된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의 윤곽 내의 영역에,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투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 위치 외에 상기 식별 장치의 수직 위치 또는 높이도 또한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서, 그러므로 예를 들어 각각의 차량의 바닥(floor)으로부터의 식별 장치의 수직 간격이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의 적절한 실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 장치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상기 제어 장치 또는 그 평가 수단에 의해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위치 외에 상기 식별 장치의 수직 위치도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내어진다.
이 구성에서, 식별 장치의 수직 위치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 및 숫자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이 차량에 제공되고 이에 따른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이 차량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한 실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장치가 상기 차량의 내부 공간의 설정 가능한 부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만, 엔진 스타트(engine start)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 장치가, 운전자의 좌석을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내부 공간의 설정 가능한 부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발견된 경우에만, 엔진 스타트가 허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차량에 적합한 키리스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고, 이 시스템은 식별 장치의 위치 측정의 특징을 가진다.
차량 내부에 배치된 상이한 안테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계산은 이러한 추가의 위치 측정 기능을 위해 이상적인 방식으로 활용된다. 차량 내부의 상이한 부분 영역은 예를 들어 자기장의 상대적인 관계를 통해 특정한 파라미터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상이한 안테나 쌍들 관계에 기초하거나, RSSI 값 등에 기초한 특정한 안테나와 식별 장치 간의 간격에 기초할 수 있다. 자기장 관계의 맵(map)은 전술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온보드 차량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정상적으로 재생되고 열린 문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차량 윤곽도 또한 식별 장치의 판정된 또는 추정된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식별 장치의 계산된 수평 위치는 이 윤곽 내의 영역에 투영될 수 있다. 수평 위치 외에, 식별 장치의 추정된 또는 판정된 높이도 또한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문자-숫자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식별 장치의 각각의 위치에 대한 3차원 이미지화가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3차원 이미지로 하면, 식별 장치가 위치한 곳에 따라, 엔진 스타트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 스타트는 예를 들어 식별 장치가 정의된 위치에 위치할 때만 허용된다. 그러므로 엔진 스타트는 특히 식별 장치가 운전자의 좌석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허용될 수 있고, 반면에 식별 장치가 임의의 다른 부분 영역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금지된다.

Claims (17)

  1. 액세스 측의 전자 제어 장치,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 및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식별 장치 간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액세스 측의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사용자 측의 식별 장치와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에 적합한, 사용하기 쉬운(easy-to-use)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및/또는 차량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이한 지점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 내에서 복수의 상이한 부분 영역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장치가 상기 액세스 영역 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식별 장치가 위치해 있는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는 상기 식별 장치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해서 발생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에 의해 전송된 신호는 상기 액세스 측의 제어 장치로부터 요구된 응답 신호인,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는, 상기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서로 비교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상기 평가 수단이 서로 다른 안테나 쌍 중 두 개의 송수신 안테나의 수신 신호를 서로 비교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와 상기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간격이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판정되고,
    상기 식별 장치와 상기 상이한 송수신 안테나 간의 간격이 상기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영역을 판정하기 위해 서로 비교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와 각각의 송수신 안테나 간의 간격은 RSSI 값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의 적어도 수평 위치는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정의된 상기 상이한 부분 영역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화되고, 상기 식별 장치의 각각의 판정된 위치는 각각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필드에 표시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부분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필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재생된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의 윤곽 내에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의 각각의 판정된 수평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재생된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의 윤곽 내의 영역에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투영될 수 있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 외에 상기 식별 장치의 수직 위치도 또한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판정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 외에 상기 식별 장치의 수직 위치도 또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의 수직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 및 숫자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상기 제어 장치 및/또는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3차원 이미지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되는 액세스 영역은 차량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식별 장치가 상기 차량의 내부 공간의 설정 가능한 부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만, 엔진 스타트(engine start)가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가, 운전자의 좌석을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내부 공간의 설정 가능한 부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만, 엔진 스타트가 허용되는,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장치.
KR1020097020669A 2007-04-30 2008-02-05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KR101161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08781.2 2007-04-30
EP07008781A EP1988513B1 (de) 2007-04-30 2007-04-30 Komfort- und Zugangskontrollsystem
PCT/EP2008/000888 WO2008131813A1 (en) 2007-04-30 2008-02-05 An easy-to-use access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04A true KR20100004104A (ko) 2010-01-12
KR101161227B1 KR101161227B1 (ko) 2012-07-02

Family

ID=3806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669A KR101161227B1 (ko) 2007-04-30 2008-02-05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88513B1 (ko)
KR (1) KR101161227B1 (ko)
CN (1) CN101669149B (ko)
AT (1) ATE492009T1 (ko)
DE (1) DE502007005949D1 (ko)
WO (1) WO2008131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2616B (zh) * 2010-06-29 2014-05-14 马瑞利汽车电子(广州)有限公司 用于智能进入和智能启动的方法和系统
CN102044101B (zh) * 2010-11-30 2012-07-25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无线门禁系统的智能卡定位方法
JP5978582B2 (ja) * 2011-09-28 2016-08-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検知装置、異常検知方法および異常検知プログラム
EP2629269B1 (de) * 2012-02-16 2017-04-12 Delphi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r kontrolle des zugangs zu einem fahrzeug oder des starts eines fahrzeuges
US10735895B2 (en) * 2015-10-16 2020-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rtable device detection
US10015639B2 (en) 2016-03-22 2018-07-03 Livio, Inc. Vehicle seating zone assignment conflict resolution
US9775100B1 (en) 2016-03-22 2017-09-26 Livio, Inc. Passenger zone detection with signal strength data aided by physical signal barri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8323C1 (de) 1997-09-02 1999-02-04 Siemens Ag Verfahren zum und Kraftfahrzeug mit einer Einrichtung zum Lokalisieren eines einen Transponder enthaltenden Freigabebauteils
DE19941351A1 (de) 1999-08-31 2001-03-01 Mannesmann Vdo Ag Positionserkennung für Funkschlüssel
JP2001325634A (ja) * 2000-05-12 2001-11-22 Nec Corp 位置確認システム及び方法
DE10032936A1 (de) 2000-07-06 2002-02-07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Zugangsberechtigung und/oder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für ein Kraftfahrzeug
JP3913652B2 (ja) * 2002-09-26 2007-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121345B2 (ja) * 2002-09-27 2008-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DE10317658B4 (de) 2003-04-17 2005-08-11 Robert Bosch Gmbh Positionsanzeige und/oder Energieeinsparung bei Berechtigungssystemen
JP2005076369A (ja) * 2003-09-02 2005-03-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遠隔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7099050A (ja) * 2005-10-03 2007-04-19 Yamaha Motor Co Ltd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を備えた鞍乗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92009T1 (de) 2011-01-15
EP1988513B1 (de) 2010-12-15
CN101669149B (zh) 2012-12-12
CN101669149A (zh) 2010-03-10
DE502007005949D1 (de) 2011-01-27
WO2008131813A1 (en) 2008-11-06
KR101161227B1 (ko) 2012-07-02
EP1988513A1 (de)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227B1 (ko) 사용하기 쉬운 액세스 제어 시스템
KR101947909B1 (ko) 이동 통신 장치의 권한을 검사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US102937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ccess to a vehicle
US975149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4944469B2 (ja) 自動車の始動及び乗車の認証を行う方法
US8872620B2 (en) Wireless key system and key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US10235823B1 (en) Passive entry system of a vehicle having relay attack prevention
CN107776535A (zh) 用于自动控制用户在车辆处的进入授权和/或发动机起动授权的系统
CN105074504A (zh) 用于确定智能手机位置的系统以及方法
LU93261B1 (en) Seat Belt Status Monitoring System
US20190130682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CN109155087B (zh) 运载工具防盗系统
US20170249635A1 (en) Transaction authorization system for vehicle
CN102656829A (zh) 用于检测通信干涉的设备和方法
US20160308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alling entitled authentication methods for a vehicle
CN106940922B (zh) 用于针对交通工具检测所携带的物体的系统和方法
CN103121436A (zh) 一种汽车导航监控系统
CN108780942A (zh) 用于控制机动车辆的电子单元以及通过移动终端监控机动车辆功能的方法
JP2021099321A (ja) 携帯キー要素の位置検出を較正する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JP5736693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WO20190950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lay attack prevention incorporating vector check
JP6163927B2 (ja) 紛失防止装置
JP201620829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22083288A (ja) 携帯端末位置推定方法、携帯端末位置推定装置及び携帯端末位置推定システム
JP6306385B2 (ja) 車載警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