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524A - 용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용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524A
KR20100003524A KR1020080063459A KR20080063459A KR20100003524A KR 20100003524 A KR20100003524 A KR 20100003524A KR 1020080063459 A KR1020080063459 A KR 1020080063459A KR 20080063459 A KR20080063459 A KR 20080063459A KR 20100003524 A KR20100003524 A KR 2010000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edge
foo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은
Original Assignee
이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은 filed Critical 이재은
Priority to KR102008006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524A/ko
Publication of KR2010000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05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음식물 수용부를 구비한 몸체의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유연성 재질의 용기; 및 유연성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결합돌기가 상기 용기의 결합홈에 강제 압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수용부가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용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용기, 그릇, 밀폐, 보관, 전자 레인지, 결합돌기, 결합홈, 실리콘

Description

용기 어셈블리{Vessel assembly}
본 발명은 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성을 가지고 전자레인지나 오븐 등에 적용가능하며 냉장고나 냉동고 등에 음식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을 넣고 전자 레인지나 오븐에서 익힐 수 있는 용기는 그 재질이 전기절연성 재질이나 내열성 재질로 제한된다.
또한, 전자 레인지나 오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중에서 특히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용기는 더 제한될 수밖에 없다. 가령, 머핀을 조리한 다음에는 용기를 반복하여 휘게 함으로써 조리된 머핀이 용기에서 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용기 자체가 유연성을 구비해야 한다.
더욱이, 밀폐 보관할 필요가 있는 음식물의 경우는 조리한 후 밀폐 보관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용기로 옮겨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성을 가지고 전자레인지나 오븐에 적용가능하며 음식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용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한꺼번에 조리할 수 있고, 서로 분리하여 밀폐 보관할 수 있는 용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음식물 수용부를 구비한 몸체의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유연성 재질의 용기; 및 유연성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결합돌기가 상기 용기의 결합홈에 강제 압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수용부가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용기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중심에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 게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게이트의 배출공에 끼워지는 플러그가 상기 배출 게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의 단면과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은 매칭되며, 상기 결합홈의 입구의 크기는 상기 돌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몸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는 일 치하며, 상기 커버 몸체의 가압부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넘도록 탭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이면 가장자리에는 완만하게 만곡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몸체의 가장자리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용 탭이 설치되며, 상기 파지용 탭은 일단이 상기 몸체에 부착되도록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와 커버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몸체의 내측 하단부는 상기 용기의 몸체의 음식물 수납부의 내측으로 들어오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서로 구획된 복수의 음식물 수용부를 구비한 단일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식물 수용부를 모두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한 유연성 재질의 용기; 및 유연성 재질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음식물 수용부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 커버가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강제 압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수용부가 서로 분리되어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음식물 수납부 사이에 상기 용기 몸체의 표면에 분 리 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 바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몸체의 이면에 그루우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유연성 재질의 용기를 적용함으로써 조리된 음식물을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음식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한꺼번에 조리할 수 있고, 서로 분리하여 밀폐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 어셈블리는 용기(200)와 용기(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100)로 이루어진다.
용기(200)는 단일의 몸체(210)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음식물 수용부(240)가 형성된다. 음식물 수용부(240)의 가장자리에는 음식물 수용부(240)를 둘러싸서 연통하도록 몸체(210)의 표면에 연속되는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210)의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었지만,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를 참조하면, 몸체(210)의 표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 홈(230)에 대응하여 몸체(210)의 이면 가장자리에는 다소 두껍게 만곡을 이루는 지지부(212)가 형성된다. 지지부(2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122)와 협동하여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30)에 강제로 끼워지게 한다.
바람직하게, 용기(200)는 유연성 재질, 가령 실리콘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유연성의 정도는, 가령 사용자가 용기(200)의 양측으로 손으로 움켜쥐고 비틀면 이에 따라 용기(200)가 비틀릴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의 경우 경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만곡된 원추형상의 단일 몸체(110)와 몸체(11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부(122)의 이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20)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꼭대기 중심에서 가장자리에 이르는 부분이 가장자리를 따라 돌면서 반복적으로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커버(110)는, 상기한 용기(200)와 마찬가지로, 유연성 재질, 가령 실리콘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결합돌기(120)의 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용기(200)의 결합홈(230)의 단면에 대응하며, 결합홈(230)에 강제로 끼워진다.
또한, 몸체(110)의 중심, 즉 꼭대기에는 내부에 배출공(132, 133)이 형성된 배출 게이트(130)가 돌출되고, 이 배출 게이트(130)는 플러그(150)에 의해 막히거나 열린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배출 게이트(130) 내부에는 수직 배출공(132)과 수직 배출공(133)이 연이어 형성되는데, 이들 배출공(132, 133) 사이에는 경계턱(131)이 형성된다. 플러그(150)는 배출공(132)과 배출공(133)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부(152)와 끼움부(153)로 구성되어 결합하며, 바람직하게 배출공(132)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지부(152)도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들이 테이퍼 형상의 자기 정합으로 신뢰성 있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150)는 지지부(152)가 연결부(154)에 의해 배출 게이트(130)에 일체로 부착되어 플러그(150)가 배출 게이트(1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실시예와 같은 플러그(150) 이외에 다른 구조의 플러그를 적용할 수 있다. 가령,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게이트(130)의 외측면을 따라 그루우브(156)를 형성하고, 여기에 지지부(152)에 연결된 링 형상의 고리(155)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플러그(150) 자체를 별도로 사출 성형하고 배출 게이트(13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00)의 몸체(110)의 가장자리에는 대략 편평한 형상의 가압부(122)가 형성되고, 그 이면에 결합돌기(12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구조에 의하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122)와 용기 몸체(210)의 이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부(212)를 각각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30)이 더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122)의 일부를 용기 몸체(210)의 가장자리를 넘도록 연장하여 탭(tab; 12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커버(100)를 용기(200)로부터 분리할 때 이 탭(124)을 잡고 벗겨낼 수 있다. 또한, 용기(200)와 커버(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들어 옮길 때에도 이 탭(124)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100)의 몸체(110)의 내측 하단부(111)가 용기 몸체(210)의 음식물 수납부(240)의 내측으로 들어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음식물 수납부(240)에 수납된 음식이 조리 중 넘쳐서 용기 몸체(110)의 표면에 잔류하여 지저분하게 보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음식물 수납부(240)에는 내열 유리나 내열 도자기 재질의 보조 용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가령 음식물 수납부(240)의 가장자리에 턱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내열 유리나 내열 도자기 재질의 보조용기의 상단 가장자리가 턱에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국물이 있는 요리나 찜과 같이 양념이 진한 요리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용기 어셈블리의 사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기(200)의 각 음식물 수납부(240)에 각기 다른 음식물을 적정량 넣은 다음, 커버(100)의 몸체(110)의 결합돌기(120)를 용기(200)의 결합홈(230)에 대응하도록 정렬하여 놓은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커버 몸체(110)의 가압부(122)와 용기 몸체(210)의 지지부(212)를 엄지와 검지로 눌러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30)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홈(230)의 입구는 결합돌기(120)의 단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지만, 용기(200)의 몸체(210)와 결합돌기(120)가 각각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제 압입에 의해 결합홈(230)의 입구가 벌어지면서 압입된다.
이와 같이 커버(100)가 용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리할 음식물의 종류 에 따라 배출 게이트(130)에 플러그(150)를 끼우거나 또는 끼우지 않고 전자 레인지나 오븐에 넣어 조리한다.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전자 레인지나 오븐에서 꺼내어 커버(100)의 몸체(110)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압부(122)를 손으로 잡아 일으켜 커버(100)를 용기(20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머핀 등과 같이 조리된 음식물이 용기(200) 몸체(210)의 음식물 수납부(240)의 내벽에 붙는 종류일 경우에는, 몸체(210)의 양측을 손으로 파지하고 힘을 가하여 비틀면 유연성 재질의 몸체(210)가 비틀리면서 음식물이 음식물 수납부(240) 내벽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국물이 있는 요리나 찜과 같이 양념이 진한 요리를 할 때에는 미리 음식물 수납부(240)에 내열 유리나 내열 도자기 재질의 보조용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요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하고 남은 경우, 냉장고나 냉동고에 밀폐 보관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다시 커버(100)를 결합하고 플러그(150)로 배출 게이트(150)를 막아 밀폐 보관할 수 있으며, 음식물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각용기(300)는 단일의 몸체(310)에 하나의 음식물 수납부(340)를 가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홈(330)이 형성되고 바닥의 중심에는 회사로고나 마크 등이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동심상으로 4분할된 돌출 바(35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뜨거운 공기가 아래로 순환하여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 예에 따르면, 커버(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용 탭(170)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파지용 탭(170)은 일단만, 여기서는 하단만 몸체(110)에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겨 커버(100)를 용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200)는 단일의 몸체(210)를 이루며, 2개의 음식물 수용부(240, 242)가 형성되도록 수용벽(250, 260)이 분리 형성되며, 몸체(210)의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또한, 각 음식물 수용부(240, 242)를 구획하도록 음식물 수용부(240, 242) 사이에서 몸체(210)의 표면에 분리 바(222)가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분리 바(222)는 결합홈(230)의 내측에 한정되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200)에 다수의 음식물 수용부(240, 242)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한꺼번에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100)는 단일 몸체(110)를 이루되 음식물 수용부(240, 242)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구획되는 2개의 부분 커버(113, 114)로 이루어진다. 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압부(1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가압부(122)의 이 면에 상기의 일 실시예와 같이 결합돌기(120)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가압부(122)의 대향하는 양측에서 탭(124)이 연장된다.
각 부분 커버(113, 114)는, 가령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점, 즉 꼭대기에는 내부에 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갖는 배출 게이트(134, 136)가 돌출되고, 이 배출 게이트(134, 136)는 각각 플러그에 의해 막히거나 열린다.
각 부분 커버(113, 114) 사이에는 용기 몸체(210)의 분리 바(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 바(222)와 결합하는 바형상의 그루우브(112)가 형성된다.
사용방법은 상기의 일 실시예와 대부분 유사하다. 즉, 용기(200)의 각 음식물 수납부(240, 242)에 각기 다른 음식물을 적정량 넣은 다음, 커버(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돌기(120)를 용기(200)의 결합홈(230)에 대응하도록 정렬하여 놓은 상태에서, 커버(100)의 몸체(110)의 가압부(122)를 가압하여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30)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20)가 결합홈(230)에 강제로 끼워져 커버(100)와 용기(200)가 결합하며, 이때 커버(100)의 그루우브(112)는 용기(200)의 분리 바(222)와 결합하여 분리된 음식물 수납부(240, 242) 사이에서 음식물이나 국물이 서로 넘나들지 않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음식물 수납부 중, 국물이 있는 요리나 찜과 같이 양념이 진한 요리를 할 음식물 수납부에는 내열 유리나 내열 도자기 재질의 보조용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요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용기(200)의 몸체(210) 표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100)의 가장자리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 나, 이와 반대로 용기(200)의 몸체(210) 표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100)의 가장자리 단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들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커버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음식물 수용부를 구비한 몸체의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유연성 재질의 용기; 및
    유연성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결합돌기가 상기 용기의 결합홈에 강제 압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수용부가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중심에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 게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게이트의 배출공에 끼워지는 플러그가 상기 배출 게이트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단면과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은 매칭되며, 상기 결합홈의 입구의 크기는 상기 돌기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는 일치하며, 상기 커버 몸체의 가압부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넘도록 탭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이면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만곡된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의 가장자리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용 탭이 설치되며, 상기 파지용 탭은 일단이 상기 몸체에 부착되도록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커버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몸체의 내측 하단부는 상기 용기의 몸체의 음식물 수납부의 내측으로 들어오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9. 서로 구획된 복수의 음식물 수용부를 구비한 단일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식물 수용부를 모두 감싸도록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한 유연성 재질의 용기; 및
    유연성 재질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음식물 수용부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 커버가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강제 압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수용부가 서로 분리되어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부분 커버의 중심에는 내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 게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게이트의 배출공에 끼워지는 플러그가 상기 배출 게이트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식물 수납부 사이에 상기 용기 몸체의 표면에 분리 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 바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몸체의 이면에 그루우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어셈블리.
KR1020080063459A 2008-07-01 2008-07-01 용기 어셈블리 KR20100003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59A KR20100003524A (ko) 2008-07-01 2008-07-01 용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59A KR20100003524A (ko) 2008-07-01 2008-07-01 용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24A true KR20100003524A (ko) 2010-01-11

Family

ID=418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459A KR20100003524A (ko) 2008-07-01 2008-07-01 용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5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3731B1 (en) Food container for use in microwave cooking
US20120037618A1 (en) Flexible kitchen container
KR20130001973U (ko) 이중 단열용기
KR20170002761U (ko)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KR20100003524A (ko) 용기 어셈블리
KR20150017408A (ko) 가열 조리용기
KR101805145B1 (ko)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CN206612598U (zh) 一种双层电饭锅
CN209996065U (zh) 烤箱
KR102035640B1 (ko) 전자 레인지용 조리기구
KR20150137777A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KR19990042019U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200170876Y1 (ko) 주전자의 밑판 구조
CN111434286A (zh) 组合式锅具
KR0123484Y1 (ko) 복합 조리기
CN220089205U (zh) 一种多功能压力电饭煲
CN217365432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2213448U (zh) 柔性连盖电热壶
KR101450123B1 (ko) 중탕기로 사용되는 조리용 냄비
CN218528491U (zh) 一种电热器具的排气结构
KR200473542Y1 (ko) 증기 배출이 가능한 용기
JP3144711U (ja)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KR200264122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478379Y1 (ko)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