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601A -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 Google Patents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601A
KR20100002601A KR1020080062551A KR20080062551A KR20100002601A KR 20100002601 A KR20100002601 A KR 20100002601A KR 1020080062551 A KR1020080062551 A KR 1020080062551A KR 20080062551 A KR20080062551 A KR 20080062551A KR 20100002601 A KR20100002601 A KR 2010000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seawater
culture
cultur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473B1 (ko
Inventor
전철호
조국일
Original Assignee
전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호 filed Critical 전철호
Priority to KR102008006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4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4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annelids, e.g. lugworms or Eun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110)와, 오목하며 저면에 통공(123)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통공(123)에 설치되는 배수수단(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110)에 적치되는 복수의 배양 용기(120)와, 상기 배양 용기(120)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수단(130)은 상기 통공(123)에 삽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21)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경면에 암나사부(131a)가 형성된 제1 관체(131)와, 상기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부(135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어 제1 관체(131)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관체(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해수 공급 과정에서 사육토(129)의 상부에 오목한 홈이 생기거나 먹이와 사육토(129)가 혼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배수시 사육토(129)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 과정에서 해수가 사육토(129) 내로 침투하여 갯지렁이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줄 염려가 없고 실제 조수와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며, 해수 높이를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배수시 제2 관체(135)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갯지렁이, 배양, 장치

Description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Equipment and Container For Cultivating Lugworm}
본 발명은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에 관한 것으로, 대량 양식이 가능하고, 조수 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수시 사육토가 유실될 염려가 없으며, 해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배수시 부품의 손실 염려가 없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갯지렁이는 바닷속 갯벌 속에 사는 환형동물로서, 밤에 수중을 유영하면서 먹이 섭취를 하다가 낮에는 갯벌 속에 굴을 파고들어가 은신하면서 갯벌 속의 산소를 공급받아 생활한다. 갯지렁이는 해수에 의하여 신선한 해조 및 유기물이 공급될 수 있는 시기에 갯벌 표면으로 나와 해수에 의하여 운반된 파래 등의 해조류와 패류의 알 및 유기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갯지렁이는 오래전부터 일본, 미국, 유럽은 물론 우리나라에서 낚시 미끼로 애용되어 왔다. 또한, 갯지렁이는 갯벌 속의 유기물을 섭취하고 무기물질로 분해시킴으로써 갯벌 환경을 개선하는 유익한 수생 생물로 각광받아, 지방자치 단체 등에서는 갯벌 환경 보호를 위하여 갯지렁이를 대량으로 방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갯지렁이 양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양식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갯지렁이 양식장치에 구비되는 사육 상자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며, 도 4는 갯지렁이의 사육 상태를 도시한 사육 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갯지렁이 양식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육조(10)와, 사육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사육상자(20) 및 사육상자(20)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육조(10)는 사육시설 내에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구획부재(11)를 이용하여 다수 개가 구획되어 있다. 상기 사육조(1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입수구(12)와 배수구(13)가 마련됨으로써 갯지렁이의 생육에 필요한 해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육상자(20)는 갯지렁이가 사육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육상자(20)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내장된 사육토(22)와, 상기 본체(21)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구멍(23)과, 상기 배수구멍(23)을 가리는 투과성 차단부재(24)와, 상기 사육토(22)의 상부에 공급되는 갯지렁이 사료(25)로 구성된다. 본체(21)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멍(23)은 사육상자(20)로 공급되는 해수를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한 것이며, 배수시 사육토(22)가 상기 배수구멍(23)을 통하여 사육상자(20)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멍(23)을 차단하는 형태로 투과성 차단부재(24)가 본체(21)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해수공급수단(30)은 상기 사육조(10)의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그 좌측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된 사육상자(20)의 상부에 직하식으로 해수를 균일하게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공급수단(30)은 내부에 해수가 소정 수압으로 채워지는 관로(31)로 구성된다. 상기 관로 상에는 해수가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구멍(32a, 32b)이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갯지렁이 양식장치는 노즐 구멍(32a, 32b)을 통하여 해수가 공급되므로 공급되는 해수에 의하여 사육토(22)의 상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 시에 사육토(22)를 지나 흘러 배수구멍(23)으로 배수되므로 배수에 의하여 사육토(22) 내에 형성된 굴이 파괴되는 것과 같이 갯지렁이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주게 되며, 차단부재(24)를 설치하여 사육토(22)의 유실을 방지하나 배수 시 사육토(22)가 유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며, 차단부재(24)가 설치되므로 배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장시간으로 되며, 해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해수가 공급되어 사육토(22)의 상부로 유지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에 따르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는 지지체와, 오목하며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 는 배수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에 적치되는 복수의 배양 용기와, 상기 배양 용기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에 나사 체결되어 제1 관체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관체는 상부에 지름이 확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공급수단은 상기 배양 용기의 적치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해수공급관과, 일단은 상기 해수공급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배양 용기에 위치하는 해수공급튜브와, 상기 배양 용기에 위치하는 쪽의 해수공급튜브 말단에 구비되는 다공성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완충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과,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하여 상기 세로프레임에 연결되며 가로로 구비되는 한 층 이상의 지지프레임과, 각 층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양 용기는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적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갯지렁이 배양 용기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저면에 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공에 구비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부가 형 성되며 상기 제1 관체에 나사 체결되어 제1 관체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관체는 상부에 지름이 확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관체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에 의하면, 해수 공급 과정에서 공급되는 해수로 인하여 배양 용기(120)에 구비된 사육토(129)의 상부에 오목한 홈이 생기거나 사육토 상부로 공급된 사료가 사육토(129)와 혼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1 관체(131)와 제2 관체(135)를 구비하고 제1 관체(131)의 끝단과 사육토(129)의 상부를 맞춤으로써 배수시 사육토(129)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수가 사육토(129)의 상부에서 제1 관체(131)로 흘러 배수되므로 배수 과정에서 해수가 사육토(129) 내로 침투하여 갯지렁이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줄 염려가 없으며 실제 조수와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며, 제2 관체(135)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여 해수 높이를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제2 관체(135)의 하부로 관통공이나 관통구(136)를 형성함으로써 제2 관체(135)를 제1 관체(13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배수를 하는 것이 가능하여 배수가 용이해지며 제2 관체(135)를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갯지렁이 배양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갯지렁이 배양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0 및 도 11은 배양 용기에 구비되는 제2 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는 지지체(110)와, 상기 지지체(110)에 적치되는 복수의 배양 용기(120)와, 상기 배양 용기(120)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양 용기(120)에 공급되어 있는 해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세로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113)과, 상기 세로프레임(113)에 연결되며 지면에서 이격하여 가로로 설치되는 한 층 이상의 지지프레임(115, 117)으로 이루어지며, 세로프레임(113)의 하단에는 베이스프레임(111)이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프레임(111)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지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111)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세로프레임(113)의 하단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113)과 지지프레임(115, 117)은 쌍으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쌍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15, 117)은 판형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지지체(110)는 금속이나 합성 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1층의 지지프레임을 제1 지지프레임(115)이라 하고, 2층의 지지프레임을 제2 지지프레임(117)이라고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양 용기(120)는 지지프레임(115, 117)의 상부로 적치된다. 상기 지지체(110)의 일측으로 해수공급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해수공급수단(140)은 배양 용기(120)의 적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수공급관(141)과, 일단이 상기 해수공급관(141)에 연결된 복수의 해수공급튜브(143)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공급튜브(143)의 타단은 배양 용기(12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해수공급튜브(143)는 배양 용기(120)의 적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해수공급관(141)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공급관(141)은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해수공급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해수공급튜브(143)는 비닐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 용기(120) 내에 위치하는 쪽으로 상기 해수공급튜브(143)의 말단에는 도 5,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완충기구(145)를 구비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기구(145)는 해수공급튜브(143)의 말단에 탄성체(147)로 설치된다. 도 9와 같이 탄성체(147)로 설치된 완충기구(145)를 구비하는 경우, 해수공급튜브(143)를 통하여 공급되는 해수는 완충기구(145)의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공급되므로 해수 공급에 의하여 사육토(129)의 상부에 오목한 홈 등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상기 공기공급수단(150)은 배양 용기(120)의 적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공급관(151)과, 일단이 상기 공기공급관(151)에 연결되며 타단은 배양 용기(120)에 위치하는 복수의 공기공급튜브(1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양 용기(120)에 위치하는 쪽으로 다공체인 공급기(153)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공급관(151)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된다.
상기 배양 용기(12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서 저면에 통공(123)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통공(123)에 구비되는 배수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수단(130)은 통공(123)에 삽입되는 제1 관체(131)와, 상기 제1 관체(13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관체(135)를 가진다. 상기 제1 관체(131)는 중공 파이프로서, 통공(123)에 삽입되어 상부는 오목한 본체(121)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오목한 본체(121)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관체(131)의 높이에 이르도록 사육토(129)를 본체(121)에 투입한다. 제1 관체(131)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사육토(129)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나, 배수시 해수와 함께 제1 관체(131)를 통하여 외부로 유실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체(131)는 내경면으로 암나사부(131a)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관체(131)를 통공(123)에 삽입한 후, 상기 제1 관체(131) 외경면과 통공(123) 사이에 접착제를 투입하여 고정하거나,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관체(135)는 중공 파이 프로서 외경면에 상기 암나사부(131a)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35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관체(131)는 상부에 지름이 증가한 확장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관체(135)는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1 관체(131)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121) 내로 사육토(129)를 투입하고 해수를 공급하면 해수의 높이는 제2 관체(135)의 상단 끝면보다 높을 수 없으며, 따라서 제2 관체(135)의 돌출 높이에 의하여 해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 관체(131)와 제2 관체(135)에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2 관체(135)를 제1 관체(131)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 관체(131)는 상부에 확장부(133)를 구비함으로써, 제1 관체(131)의 상부에서 제1 관체(131)와 제2 관체(135)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21)의 통공(123)에 제1 관체(131)를 삽입하고, 상기 제1 관체(131)에 제2 관체(135)를 결합시킨 후, 상기 본체(121)에 사육토(129)를 상기 제1 관체(131)의 돌출 높이만큼 투입하고, 해수를 공급함으로써 사육토(129)의 높이와 해수(125)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관체(135)의 하부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나 관통구(13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 관체(135)의 하부에 관통공이나 관통구(13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관체(135)를 제1 관체(13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부로 관통공이나 관통구(136)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수(125)를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수가 용이하고 제2 관체(135)를 분실할 염려가 없게 된다.
배수를 위하여 제2 관체(135)를 제1 관체(131)로부터 분리하거나, 관통공이나 관통구(136)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이나 관통구(136)를 노출시키면, 해수는 도 8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체(131)의 내측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수 과정에서 사육토(129)의 내부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갯지렁이가 형성한 굴 등이 배수 과정에서 붕괴될 염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에 구비되는 지지체는 한 층 이상의 지지프레임(115, 117)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층의 지지프레임(115, 117)의 상부로 배양 용기(120)가 적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지지프레임(115)에 적치되는 배양 상자(120)로부터 배수되는 해수는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며, 제2 지지프레임(117)에 적치되는 배양 상자(120)로부터 배수되는 해수는 제1 지지프레임(115)에 적치된 배양 상자(120)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117)에 적치되는 배양 상자(120)의 제1 관체(131) 하부에 굴곡된 엘보우(137)를 삽입하고, 상기 엘보우(137)의 타단에 연결관체(139)를 삽입하여 지면으로 배수를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2 지지프레임(117)에 적치되는 배양 상자(120)를 제1 지지프레임(115)에 적치된 배양 상자(120)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서 미설명 부호 127은 배양 상자(120)에 공급되는 갯지렁이 사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갯지렁이 사육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갯지렁이 사육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갯지렁이 사육조에 구비되는 사육용기를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갯지렁이 사육조에 구비된느 사육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갯지렁이 배양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체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갯지렁이 배양 장치에 구비되는 배양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배양 용기에 구비되는 제2 관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배양 장치 110 : 지지체
111 : 베이스 프레임 112 : 연결 프레임
115 : 제1 지지프레임 117 : 제2 지지프레임
120 : 배양 용기 121 : 본체
130 : 배수수단 131 : 제1 관체
135 : 제2 관체 140 : 해수공급수단
141 : 해수공급관 143 : 해수공급튜브
145 : 완충기구 150 : 공기공급수단

Claims (7)

  1. 지지체(110)와, 오목하며 저면에 통공(123)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통공(123)에 설치되는 배수수단(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110)에 적치되는 복수의 배양 용기(120)와, 상기 배양 용기(120)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수단(130)은 상기 통공(123)에 삽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21)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경면에 암나사부(131a)가 형성된 제1 관체(131)와, 상기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부(135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어 제1 관체(131)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관체(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체(131)는 상부에 지름이 확장된 확장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수단(140)은 상기 배양 용기(120)의 적치 방향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해수공급관(141)과, 일단은 상기 해수공급관(141)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배양 용기(120)에 위치하는 해수공급튜브(143)와, 상기 배양 용기(120)에 위치하는 쪽의 해수공급튜브(143) 말단에 구비되는 다공성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완충기구(1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10)는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113)과,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하여 상기 세로프레임(113)에 연결되며 가로로 구비되는 한 층 이상의 지지프레임과, 각 층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양 용기(120)는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적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
  5. 오목하게 형성되며 저면에 통공(123)이 형성된 본체(121)와, 상기 통공(123)에 구비되는 배수수단(13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수단(130)은 상기 통공(123)에 삽입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121) 내측으로 돌출되며 내경면에 암나사부(131a)가 형성된 제1 관체(131)와, 상기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경면에 수나사부(135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131)에 나사 체결되어 제1 관체(131)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관체(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용기(12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체(131)는 상부에 지름이 확장된 확장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용기(12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135)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나 관통구(1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배양 장치(100).
KR1020080062551A 2008-06-30 2008-06-30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KR10101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551A KR101010473B1 (ko) 2008-06-30 2008-06-30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551A KR101010473B1 (ko) 2008-06-30 2008-06-30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01A true KR20100002601A (ko) 2010-01-07
KR101010473B1 KR101010473B1 (ko) 2011-02-14

Family

ID=4181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551A KR101010473B1 (ko) 2008-06-30 2008-06-30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884B1 (ko) * 2011-11-29 2013-11-25 조국일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CN112568156A (zh) * 2020-12-04 2021-03-30 余昶迪 一种红线虫养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953B1 (ko) 2011-11-29 2013-12-24 조국일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
KR102412943B1 (ko) 2020-03-06 2022-06-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배양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7183A (en) 1976-07-30 1978-02-16 Toukoma Kk Process for multiplying earthworm
JPS5946567B2 (ja) 1977-07-20 1984-11-13 旭化成株式会社 ミミズの養殖方法
KR20010009963A (ko) * 1999-07-14 2001-02-05 이영근 연속식 지렁이 사육상
KR100440470B1 (ko) * 2002-07-30 2004-07-14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411254Y1 (ko) 2005-12-29 2006-03-10 최황영 갯지렁이 양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884B1 (ko) * 2011-11-29 2013-11-25 조국일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CN112568156A (zh) * 2020-12-04 2021-03-30 余昶迪 一种红线虫养殖装置
CN112568156B (zh) * 2020-12-04 2022-09-09 余昶迪 一种红线虫养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473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119B1 (ko) 저서어종 양식이 가능한 가두리 장치
CN109963463B (zh) 水处理或海洋动物养殖的浮动装置
KR102220048B1 (ko) 다층 생장 장치
KR100981486B1 (ko) 갯지렁이 양식 방법
WO2013095021A1 (en)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system with tourism purpose
CN109068618B (zh) 用于鱼类养殖的装置和方法
KR101010473B1 (ko)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KR102502935B1 (ko)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CN110999842A (zh) 一种渔业养殖用的养殖补给架
EP057458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marine organisms
KR20130035528A (ko) 가두리 양식장치
JP2007014231A (ja) 魚貝類の飼育装置
CN208394898U (zh) 淡水养殖水域典型化学污染物吸附多功能水生生态浮床
KR101587853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KR101191780B1 (ko) 홍갯지렁이 양식 방법 및 그 장치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JPH06327375A (ja) 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40009956A (ko) 부침식 가두리를 위한 동적 부력 시스템
KR101270650B1 (ko)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KR101412043B1 (ko)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육수조용 이중 배수장치
CN104488793B (zh) 一种鱼类单体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JP2011078375A (ja) 浮上槽
KR101412045B1 (ko)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CN209376473U (zh) 一种青蟹育苗或培育的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