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884B1 -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884B1
KR101332884B1 KR1020110125606A KR20110125606A KR101332884B1 KR 101332884 B1 KR101332884 B1 KR 101332884B1 KR 1020110125606 A KR1020110125606 A KR 1020110125606A KR 20110125606 A KR20110125606 A KR 20110125606A KR 101332884 B1 KR101332884 B1 KR 10133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ank
caterpillar
tub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567A (ko
Inventor
조국일
Original Assignee
조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국일 filed Critical 조국일
Priority to KR102011012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8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와 갯지렁이가 수용된 복수의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110)와, 제1 관(121)과 제2 관(125)에 의하여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어 제1 관(121)을 통하여 배출되고 제2 관(125)을 통하여 회수되는 해수와 열교환을 하도록 작동되는 열교환부(123)와, 일측은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부(123)에 연결된 제1 관(121)과, 일측은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부(123)에 연결된 제2 관(125)으로 이루어지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2중의 수조 구조로 구비되고, 외측 수조(110)에 열교환부(123)를 연결 설치하여 수조(110) 내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조(110) 내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서의 산란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각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의 산란시기를 조절하여 갯지렁이 유생의 채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A Control Apparatus Of Lugwarm Spawning}
본 발명은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갯지렁이의 산란을 제어하여, 선별적으로 산란하게 함으로써 유생 채취율을 높이고, 유생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채취할 수 있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남해안 연안은 도서와 내안이 발달한 간석지에 넓은 천연 자원을 갖고 있으며, 저질에 굴을 뚫어 해수를 순환하게 하고 유기성분을 변화시켜 간석지의 저질 정화기능뿐만 아니라 낚시미끼로 애용되고 있는 갯지렁이에 대한 대량 종묘생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갯지렁이에 대한 대량종묘생산 기술이 개발될 경우, 간석지 오염이 심한 남해안 저층 바닥을 이용한 양식이 가능하며, 어민들의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소득원을 창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러한 갯지렁이 양식 기술의 개발 요구에 따라 국가와 민간에서 갯지렁이의 양식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인공 양식에서 산란용 수조에는 약20㎝ 깊이의 모래층과, 해수의 수위가 모래층 위로 약10㎝ 높이가 되도록 해수를 수용한 산란수조에 암수 갯지렁이를 넣고 산란을 유도하여 유생을 생산한다. 이때,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의 해수온도는 15∼25℃ 범위, 바람직하게는 18∼23℃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여 산란을 유도한다. 갯지렁이 유생의 크기는 200㎛ 이상으로 약 300㎛이다.
지금까지의 양식에 있어서, 갯지렁이의 산란을 유도하고 유생을 채집하기 위한 수조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수조, 대형 상자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체로 모래 등 저서 환경을 조성하고 해수 공급과 배출을 하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었으며, 산발적으로 산란되어 수정되므로 유생을 정확하게 관찰하여 채집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갯지렁이 유생 중 일부는 모래층 상부의 해수에 머무르나 일부는 모래층 속으로 잠입하므로 유생을 채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8432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갯지렁이의 산란 시기를 제어하여 유생의 채집율을 높이고, 해수에 떠있는 유생은 물론 모래층에 잠입한 유생도 용이하게 배출하여 채집할 수 있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래와 갯지렁이가 수용된 복수의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와, 제1 관과 제2 관에 의하여 상기 수조에 연결되어 제1 관을 통하여 배출되고 제2 관을 통하여 회수되는 해수와 열교환을 하도록 작동되는 열교환부와, 일측은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부에 연결된 제1 관과, 일측은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부에 연결된 제2 관으로 이루어지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수조의 수용부는 격벽으로 분할되어 서로 격리된 복수의 수용부로 형성되어 격리된 각 수용부에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가 각각 수용되며; 상기 제1 관은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관은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1 관을 통하여 열교환부로 유동된 해수는 제2 관을 통하여 수조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열교환부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고 낮추도록 작동되며, 상기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3 관과 제4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열교환부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작동하는 제1 열교환부와, 해수의 온도를 낮추도록 작동하는 제2 열교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관과 제4 관은 제1 열교환부에 연결되고, 제1 관과 제2 관은 제2 열교환부에 연결되며; 제3 관을 통하여 제1 열교환부로 유동한 해수는 제4 관을 통하여 수조로 회수되며, 상기 제2 관과 제4 관에는 각 수용부로 유동하는 해수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는 모래와 해수가 갯지렁이 모충과 함께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모충수조와, 상기 모충수조에 설치되는 제1 배출관과, 상기 모충수조에 설치되는 제2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배출관은 모충수조 수용부 내에 눕혀서 설치되며 일부가 모충수조의 외부로 돌출된 내부2관과, 상기 내부2관의 모충수조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연결되어 수용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2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2관의 모충수조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부2관은 절곡된 구조로서 상기 내부2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2관을 회전시켜 제2 배출관을 통하여 모충수조 수용부에 수용된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배출관은 일부가 모충수조 외부로 돌출되며 일부는 모충수조 수용부 내에 세워져서 구비되는 중공의 배출부와, 모충수조의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배출부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부의 단부는 배출부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모충수조는 바닥면에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2관은 경사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중의 수조 구조로 구비되고, 외측 수조(110)에 열교환부(123)를 연결 설치하여 수조(110) 내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조(110) 내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서의 산란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각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의 산란시기를 조절하여 갯지렁이 유생의 채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는 제1 배출관과 제2 배출관을 구비하여 모충수조에서 부화한 유생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제1 배출관을 통하여 모래층 위의 해수에 포함된 유생을 배출하고, 제2 배출관을 통하여 모래층에 포함된 유생을 해수와 함께 배출하여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경사부를 구비하여 모충수조를 기울이지 않고 모래층에 포함된 유생을 배출할 있으며, 제2 배출관을 절곡된 구조이면서 회전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별도의 캡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도 단순 회전에 의해서 용이하게 모래층에 포함된 유생을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의 변형예로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에 구비되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에 구비되는 제2 배출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서 내부2관과 외부2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B-B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에 구비되는 제1 배출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0는 도 9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의 변형예로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에 구비되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에 구비되는 제2 배출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서 내부2관과 외부2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B-B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에 구비되는 제1 배출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0는 도 9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가 복수로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어 수조(1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순환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부(120)는 열교환부(123)와, 일단은 열교환부(123)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조(110)에 연결된 제1 관(121)과, 일단은 열교환부(123)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조(110)에 연결된 제2 관(1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관(121) 또는 제2 관(125)에는 해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펌프(129)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129)는 열교환부(123)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관(121)을 통하여 수조(110)로부터 배출된 해수는 열교환부(123)를 통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2 관(125)을 통하여 다시 수조(110)로 복귀한다. 상기 제2 관(125)에는 분사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 관(125)은 분사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가 수조(110)의 해수에 잠기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수조(110)의 해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가 잠기는 높이까지 공급된다. 상기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는 약2㎜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모래가 약20㎝높이로 채워 모래층을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부(123)는 수조(110) 내의 해수 온도가 15℃ 이하가 되도록 제어되어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 수용된 갯지렁이 모충의 산란을 억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시에 산발적으로 갯지렁이 모충이 산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조(110)에 수용된 복수의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 중 산란시키기 위한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만 수조(110)로부터 꺼내어 별도로 산란에 적합한 온도(예를 들면 16℃∼32℃범위)로 유지시켜 산란되도록 하여 유생을 채집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123)는 냉장고나 에어컨 시스템의 냉각 사이클로 작동하는 냉각 시스템과 또는 가열 시스템과 같은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10)에 격벽(111)을 설치하여 수조(110)에 형성된 수용부를 서로 격리된 복수의 수용부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는 각 수용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조(110)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111)은 상부로부터 수조(11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관(121)과 제2 관(125)은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도 1에는 1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제1 관(121)과 제2 관(125)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 수용부와 도 2에 도시한 제1 관(121) 및 제3 관(122)과 같이, 제1 관(121)과 제2 관(125)을 분지된 구조로 형성하고 제1 관(121)과 제2 관(125)의 분지된 부분에 밸브를 설치하여 각 수용부로 순환시키는 해수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관(125)에는 각 수용부로 유동하는 해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개폐 밸브(125a)가 설치된다. 격벽(111)을 구비하고 제2 관(125)에 밸브(125a)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격리된 수용부에 구비된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의 해수 온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조는 각 수용부의 해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각 수용부의 해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수단은 각 수용부의 하부에 관통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관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수용부로 해수를 보충하거나 교체하기 위한 유입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각 수용부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입수단은 개폐밸브가 구비된 관으로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123)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고 낮추도록 작동되며, 상기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123)를 연결하는 제3 관(122)과 제4관(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123)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작동하는 제1 열교환부(123a)와, 해수의 온도를 낮추도록 작동하는 제2 열교환부(12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관(122)과 제4 관(126)은 제1 열교환부(123a)에 연결되고, 제1 관(121)과 제2 관(125)은 제2 열교환부(123b)에 연결된다. 상기 제3 관(122)을 통하여 제1 열교환부(123a)로 유동한 해수는 제4 관(126)을 통하여 수조(110)로 회수되며, 상기 제2 관(125)과 제4 관(126)에는 각 수용부로 유동하는 해수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밸브(125a, 126a)가 구비된다.
도 2에는 제1 관(121)과 제3 관(122)이 분지된 구조로 되어 각 수용부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관(125)과 제4 관(126)도 분지된 구조로 각 수용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지된 부분에 밸브를 설치하여 각 수용부의 해수 순환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관(121), 제2 관(125), 제3 관(122) 및 제4 관(126)을 각각 복수의 관으로 형성하여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123)를 병렬로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도면부호 A, B, C, D는 격벽(111)에 의하여 분할된 수용부를 도시한 것이다.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격벽(111)로 격리된 각 수용부로 제2 관(125)을 통하여 제2 열교환부(123b)에서 냉각된 해수를 공급하여 순환시켜, 해수의 온도를 갯지렁이가 산란하기에 적합한 온도보다 낮게 유지하면, 각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 수용된 갯지렁이의 산란이 억제된다. 이때, 제2 열교환부(123b)에 연결된 제4 관(126)의 밸브(126a)는 모두 닫힘 상태로 하고, 제4 관(126)에 설치된 펌프(129)의 작동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유지하여 산란을 억제하는 중에, 수용부(D)에 수용된 해수는 수용부(D)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수단을 열어 외부로 배출시키고,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 수용된 해수도 일부를 배출 한 후, 수용부(D)로 공급되는 제2 관(125)의 밸브를 닫고, 수용부(D)의 해수를 일부 배출하여 산란에 적합한 해수 수위로 유지한 후, 제1 열교환부(123a)를 작동시키는 한편, 제4 관(126)에 설치된 밸브(126a) 중 수용부(D)로 연결된 밸브를 열어 해수를 순환시키면 수용부(D)의 온도만 산란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D)에 수용된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에서만 산란이 이루어진다. 산란이 이루어진 수용부(D)에 수용된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로부터 유생을 채집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의 수조(110)에 수용되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는 모래와 해수가 갯지렁이 모충과 함께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되며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모충수조(131)와, 상기 모충수조(131)에 설치되는 제1 배출관(137)과, 상기 모충수조(131)에 설치되는 제2 배출관(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충수조(131)는 합성수지, 금속,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충수조(131)의 하부에는 모충수조(131)를 상부로 이격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모충수조(131)의 하부에 모충수조(131)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배출관(135)은 모충수조(131) 수용부 내에 눕혀서 설치되며 일부가 모충수조(131)의 외부로 돌출된 내부2관(1351)과, 상기 내부2관(1351)의 모충수조(131)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연결되어 수용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2관(135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2관(1351)의 모충수조(131)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통공(1353)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353)의 크기는 유생은 배출되고 모래층의 모래는 배출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모충수조(131)의 모래층을 크기가 약2㎜ 이상인 모래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통공(1353)의 크기는 2㎜보다는 작고 300㎛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2관(1359)은 대략 'ㄱ'자로 절곡된 구조로서 상기 내부2관(13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2관(1359)을 회전시켜 제2 배출관(135)을 통하여 모충수조(131) 수용부에 수용된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2관(1359)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한 위치에서는 외부2관(1359)의 외측 단부가 모충수조(131)에 수용된 해수의 수면보다 높게 되어 제2 배출관(135)을 통하여 해수가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외부2관(1359)이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시키면 내부2관(1351)의 통공(1353)을 통하여 내부2관(1351)으로 유입된 해수는 상기 외부2관(1359)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충수조(131)의 바닥부에 경사부(139)를 구비하도록 하고, 내부2관(1351)을 경사부(139)의 가장 낮은 부분인 저부에 눕혀서 설치하는 경우 상기 외부2관(1359)이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시키면 모충수조(131)를 기울이거나 하지 않더라도 모충수조(131) 수용부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내부2관(1351)의 눕혀진 방향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의 경사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2관(1351)이 경사부(139)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2관(1351)의 모충수조(13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외부2관(1359)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턱부를 가지는 연결부재(1352)가 결합되며, 상기 외부2관(1359)은 단부로부터 이격되며 지름이 증가하여 연결부재(1352)의 턱부에 걸리는 제2 걸림턱(1354)을 구비하며, 제2 걸림턱(1354)으로부터 내부2관(1351)을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의 외경과 연결부재(1352)의 내경 사이에는 제2 오링(1358)이 구비되어, 외부2관(1359)이 내부2관(13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352)는 내부2관(1351)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름이 감소하는 턱부를 가지며, 내부2관(1351)의 단부에 연결부재(1352)의 턱부에 걸리도록 지름이 증가하는 걸림턱부(1356)를 구비하도록 하여 내부2관(1351)이 연결부재(135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2관(1351)의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수용부에 수용되는 모래층의 모래는 배출되지 않으며, 유생은 배출되는 크기의 망공이 형성된 망체(1355)로 씌우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357은 내부2관(1351)에 망체(1355)를 묶어 고정하는 매듭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매듭(1357)은 수용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내부2관(1351)을 망체(1355)로 씌우는 경우 상기 통공(1353)은 모래층을 이루는 모래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도 4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출관(137)은 일부가 모충수조(131) 하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일부는 모충수조(131) 수용부 내에 세워져서 구비되는 중공의 배출부(1371)와, 모충수조(131)의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배출부(1371)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1373)로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373)는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턱부(1375)와, 턱부(1375)로부터 연장되어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배출부(1371) 부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377)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377)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제1 오링(137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1371)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내경면에 나사부(1378)를 형성하고, 삽입부(1377)의 단부에 배출부(1371)의 나사부(1378)에 치합하는 나사부(1376)를 형성하여 캡부(1373)가 배출부(1371)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에 구비되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충수조(131)에 모래가 일부 채워지며 갯지렁이 모충이 수용된 본 발명에 따르는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를 꺼내어 해수 수위를 조절한 후(모래층 상부로부터 약8㎝∼20㎝ 범위) 산란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여 산란을 유도한다. 이때, 모래층의 높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출관(137)의 배출부(1371) 상단과 같도록 한다. 산란되어 수정된 유생은 모래층 상부의 해수에 퍼져 있기도 하고 일부는 모래층(E)으로 잡입한다.
먼저 해수에 퍼져 있는 유생을 채집하기 위하여, 제1 배출관(137)의 캡부(1373)를 배출부(1371)로부터 분리하면, 해수에 퍼져 있는 유생은 해수와 함께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해수를 60∼70㎛의 눈금 크기를 가지는 망(도시하지 않음)으로 걸려 해수에 포함된 유생을 채취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제2 배출관(135)에서 외부2관(1359)을 회전시켜 외부2관(1359)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면, 모래층에 잡입한 유생은 모래층(E)에 포함된 해수와 함께 망체(1355)의 눈금과 통공(1353)을 통하여 내부2관(1351)으로 들어오고 외부2관(1359)을 통하여 해수와 함께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해수를 60∼70㎛의 눈금 크기를 가지는 망(도시하지 않음)으로 걸려 해수에 포함된 유생을 채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충수조(131)의 바닥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경사부(139)를 형성하고, 내부2관(1351)을 경사부(139)의 저면에 눕혀진 상태로 위치시킴으로써 모충수조(131)를 기울이거나 하지 않고도 모래층에 함유된 유생을 해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해수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되지 않았으나, 급기관을 통하여 수조(110)나 모충수조(131)에 수용된 해수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110: 수조
120: 순환부 130: 모충산란수조

Claims (8)

  1. 모래와 갯지렁이가 수용된 복수의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수조(110)와, 제1 관(121)과 제2 관(125)에 의하여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어 제1 관(121)을 통하여 배출되고 제2 관(125)을 통하여 회수되는 해수와 열교환을 하도록 작동되는 열교환부(123)와, 일측은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부(123)에 연결된 제1 관(121)과, 일측은 상기 수조(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부(123)에 연결된 제2 관(1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10)의 수용부는 격벽(111)으로 분할되어 서로 격리된 복수의 수용부로 형성되어 격리된 각 수용부에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가 각각 수용되며; 상기 제1 관(121)은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12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관(125)은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12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1 관(121)을 통하여 열교환부(123)로 유동된 해수는 제2 관(125)을 통하여 수조(110)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23)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고 낮추도록 작동되며, 상기 각 수용부와 열교환부(123)를 연결하는 제3 관(122)과 제4관(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23)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작동하는 제1 열교환부(123a)와, 해수의 온도를 낮추도록 작동하는 제2 열교환부(12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관(122)과 제4 관(126)은 제1 열교환부(123a)에 연결되고, 제1 관(121)과 제2 관(125)은 제2 열교환부(123b)에 연결되며; 제3 관(122)을 통하여 제1 열교환부(123a)로 유동한 해수는 제4 관(126)을 통하여 수조(110)로 회수되며, 상기 제2 관(125)과 제4 관(126)에는 각 수용부로 유동하는 해수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밸브(125a, 126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130)는 모래와 해수가 갯지렁이 모충과 함께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된 모충수조(131)와, 상기 모충수조(131)에 설치되는 제1 배출관(137)과, 상기 모충수조(131)에 설치되는 제2 배출관(13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배출관(135)은 모충수조(131) 수용부 내에 눕혀서 설치되며 일부가 모충수조(131)의 외부로 돌출된 내부2관(1351)과, 상기 내부2관(1351)의 모충수조(131)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연결되어 수용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2관(135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2관(1351)의 모충수조(131) 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통공(13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2관(1359)은 절곡된 구조로서 상기 내부2관(13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2관(1359)을 회전시켜 제2 배출관(135)을 통하여 모충수조(131) 수용부에 수용된 해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관(137)은 일부가 모충수조(131) 외부로 돌출되며 일부는 모충수조(131) 수용부 내에 세워져서 구비되는 중공의 배출부(1371)와, 모충수조(131)의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배출부(1371)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13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부(1373)의 단부는 배출부(1371)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8.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충수조(131)는 바닥면에 경사부(139)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2관(1351)은 경사부(139)의 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100).
KR1020110125606A 2011-11-29 2011-11-29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KR10133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06A KR101332884B1 (ko) 2011-11-29 2011-11-29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06A KR101332884B1 (ko) 2011-11-29 2011-11-29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67A KR20130059567A (ko) 2013-06-07
KR101332884B1 true KR101332884B1 (ko) 2013-11-25

Family

ID=4885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06A KR101332884B1 (ko) 2011-11-29 2011-11-29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0175B1 (en) * 2017-12-22 2019-07-04 Protix Bv Climate control system for insect farm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62A (ko) * 1998-09-07 2000-04-06 정몽규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
KR20030050048A (ko) * 2001-12-18 2003-06-25 최황영 갯지렁이의 양식방법
KR100596378B1 (ko) 2005-01-20 2006-07-04 이종태 갯지렁이용 저온 저장고
KR20100002601A (ko) * 2008-06-30 2010-01-07 전철호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62A (ko) * 1998-09-07 2000-04-06 정몽규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
KR20030050048A (ko) * 2001-12-18 2003-06-25 최황영 갯지렁이의 양식방법
KR100596378B1 (ko) 2005-01-20 2006-07-04 이종태 갯지렁이용 저온 저장고
KR20100002601A (ko) * 2008-06-30 2010-01-07 전철호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67A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075B1 (ko) 식물재배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US20150181821A1 (en) Prefabricated vertical aquaponic system
KR101211393B1 (ko) 해삼양식 사육기
JP2014176339A (ja) 高効率一貫環境制御陸上養殖システム
KR20200100691A (ko) 양어장 및 작동 방법
KR20150101301A (ko) 하이브리드 해양 시스템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CN108713516A (zh) 一种暂养保护装置以及底播移植马蹄螺的方法
JP3957721B2 (ja) 魚類の養殖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101332884B1 (ko) 갯지렁이 산란 관리 장치
CN105613397A (zh) 一种水产养殖系统
CN204579555U (zh) 一种用于珊瑚增殖的控温控流和水净化装置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CN104335930B (zh) 一种微流水循环式网格培育黄鳝苗种的方法
CN108729406A (zh) 一种消落带生态修复装置及修复消落带生态的方法
KR101642777B1 (ko) 해상 가두리 중간 육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KR101270650B1 (ko)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KR101344953B1 (ko) 갯지렁이 산란용 수조
JP2010136662A (ja) 浮体ビオトープ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101423295B1 (ko) 일체형 급·배수관을 갖는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생산용 도넛형 수조
JP2012239400A (ja) 二枚貝の養殖方法及び装置
KR101402648B1 (ko)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 생산용 도넛형 수조
KR20210016809A (ko) 육상용 해삼 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