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048B1 - 다층 생장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생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048B1
KR102220048B1 KR1020180145330A KR20180145330A KR102220048B1 KR 102220048 B1 KR102220048 B1 KR 102220048B1 KR 1020180145330 A KR1020180145330 A KR 1020180145330A KR 20180145330 A KR20180145330 A KR 20180145330A KR 102220048 B1 KR102220048 B1 KR 10222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ing
filter
water
grow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950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18014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0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생물과 수중 생물을 동시 식생하기 위한 다층 생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생물이 생장하도록 하부구간에 제 1 바닥부재가 구비되는 제 1 생장부와, 상기 제 1 생장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어항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생장부와, 상기 제 2 생장부로부터 오염수를 공급받고 이를 정화하여 정화수로 조성한 후 상기 제 1 생장부로 공급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화수의 일정 분량은 상기 제 1 바닥부재로 공급되고 나머지 분량은 상기 제 2 생장부로 낙하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정화수가 제 1 생장부와 제 2 생장부에 구비된 모든 동식물의 생장에 활용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정화수가 제 2 생장부의 내측에서 오염되어 오염수로 조성되더라도, 이는 상술한 필터부의 정화기능에 의해 정화된 후 다시 제 1 바닥부재와 제 2 생장부로 공급되고 이러한 물 순환 과정은 지속 반복되므로, 이러한 물 순환 구조를 통해 상기 다층 생장 장치에 공급하여야 할 물의 양과 물 공급 횟수가 최소화되고 물 교체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다층 생장 장치{Device equipped multilayer-structure for growing living things}
본 발명은 다층 생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 식물들과 수중 생물들을 동시에 생장시키되, 육상 식물의 생장시키는데 사용한 물을 수중 생물의 생장에도 활용할 수 있는 다층 생장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에는 주의 환기, 인테리어 등의 목적을 위해 실내에서 각종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생장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각종 수중 생물, 어류, 거북이 등과 같은 수중 포유류들을 생장시키기 위한 어항 등도 기호품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장 장치 및 어항 등은 대상으로 하는 생물이 다르다는 점에서 양 장치간 차이점이 존재하나, 수분 공급과 생장환경 조성을 위해서 상당한 양의 물 공급을 요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어항의 경우 어류의 배설물 등으로 인해 자주 물을 교체하거나 정화시켜야 하는바, 이로 인해 그 물 소모량 및 관리상의 어려움이 상당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371호(2002.05.23)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0399(2005.03.30)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제 1 생장부에 육상 식물을 식생시키고, 상기 제 1 생장부의 하부에 어항 구조체인 제 2 생장부를 구비시키되, 제 1 생장부에 공급된 물이 제 2 생장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육상 생물들과 수중 생물의 동시 생육에 활용되는 물 사용량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다층 생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는, 내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획형성판과, 상기 구획형성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동식물이 생장하는 수중 구간과, 상기 구획형성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수중 구간으로부터의 오염수가 낙하되는 배수 구간을 포함하며, 어항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생장부와, 상기 제 2 생장부의 상부에 상호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각종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내측 하부에 제 1 바닥부재가 구비되는 제 1 생장부와, 상기 제 1 생장부의 제1 바닥부재와 제 2 생장부의 상부면에 관통삽입되는 제 1 전달부재와, 상부면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제 1 개구가 절개 형성된 중공 구조체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1필터와, 상기 제 1 필터 상부에 올려지며, 상부면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제 2 개구가 절개 형성된 중공 구조체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제 1필터 및 제 2필터를 통해서 정화수로 조성하고 상기 정화수를 상기 제 1 생장부의 제1 바닥부재로 공급하는 필터부와, 상기 배수 구간의 오염수를 상기 제 2필터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생장부는, 수중 토양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형성판의 상부면에 테두리 구조로 구비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는, 각종 생물이 생장하도록 하부구간에 제 1 바닥부재가 구비되는 제 1 생장부와, 상기 제 1 생장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어항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생장부와, 상기 제 2 생장부로부터 오염수를 공급받고 이를 정화하여 정화수로 조성한 후 상기 제 1 생장부로 공급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화수의 일정 분량은 상기 제 1 바닥부재로 공급되고 나머지 분량은 상기 제 2 생장부로 낙하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정화수가 제 1 생장부와 제 2 생장부에 구비된 모든 동식물의 생장에 활용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정화수가 제 2 생장부의 내측에서 오염되어 오염수로 조성되더라도, 이는 상술한 필터부의 정화기능에 의해 정화된 후 다시 제 1 바닥부재와 제 2 생장부로 공급되고 이러한 물 순환 과정은 지속 반복되므로, 이러한 물 순환 구조를 통해 상기 다층 생장 장치에 공급하여야 할 물의 양과 물 공급 횟수가 최소화되고 물 교체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획형성판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에 도시된 필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1000)를 이루는 각 구성들간의 전체적인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는 제 1 생장부(100), 제 2 생장부(200), 펌프부(300), 필터부(400), 부레부(500) 및 생장 보조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생장부(100)의 경우, 그 내측 하부에는 일종의 지층 및 배수로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바닥부재(110)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식물이 식생되는 토양 및 이러한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는 배수로가 제공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생장부(100)와 상기 제 1 생장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생장부(200)는 내부 중공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구조 형성을 통해, 상기 제 1 생장부(100)에는 각종 육상 식물들이 생장하고, 상기 제 2 생장부(200)에는 일종의 어항과 같이 어류, 수중 포유류, 수생 식물 등이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생장부(100)는 상부면이 개구되며, 이러한 개구 구간을 통해 각종 구성들이 인입 및 인출되고 그 내부를 청소하는 등 필요한 유지 보수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생장부(200)는 일측 벽면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개폐 구조를 통해 각종 구성들이 인입 및 인출되고 그 내부를 청소하는 등 필요한 유지 보수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생장부(100)에 공급된 물은 소정 분량 이상이 중력에 의해 제 2 생장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3에는 제 1 생장부(100)의 하부면과 제 2 생장부(200)의 상부면에 제 1 전달부재(P1)가 관통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제 1 전달부재(P1)를 통해 물 전달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된 물은 제 1 생장부(100)와 제 2 생장부(200) 중 어느 하나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닌 양 구성 전체에 분배되므로, 이를 통해 각 구성에 물을 따로 주입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술한 물 전달 구조를 통해 육상 식물 재배를 위해 사용된 물은 자동적으로 어류 등을 생장시키기 위한 용수로 활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육상 식물과 어류 등을 동시 생장시키는데 필요한 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상기 제 1 전달부재(P1)는 호스, 파이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부(300)는 상기 제 2 생장부(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제 2 생장부(200)의 하부로부터 낙하된 오염수(D)를 제 1 생장부(100)의 내측에 구비된 필터부(400)로 이송하는 양수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는 제 2 전달부재(P2)가 상기 펌프부(300)와 상기 제 1 생장부(100)를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필터부(400)에 오염수(D)가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오염수(D)는 제 2 생장부(200) 내에서 어류의 용변 등으로 인해 오염된 물이다.
덧붙여, 상술한 제 1 전달부재(P1)와 같이, 상기 제 2 전달부재(P2) 또한 호스, 파이프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과정들을 거쳐 오염수(D)를 공급받은 필터부(400)는 상기 오염수(D)를 정화하여 정화수(F)로 조성한 후, 상기 정화수(F)를 제 1 생장부(100)의 내측 하부로 토출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F)는 제 1 생장부(100)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제 1 전달부재(P1) 방향을 향해 유동하게 되어, 제 2 생장부(200)의 상부면에 낙하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생장부(100)에는 그 바닥면에만 상기 정화수(F)가 유동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제 1 생장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습도 구배는 높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게 되는 형태를 띄게 된다.
그리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F)를 이루는 일정 수분은 상술한 습도 구배를 따라 증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상승하게 되어, 그 상부에 구비된 제 1 바닥부재(110)를 통과하여 각종 식물들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정화수(F)를 이루는 수분은 소정 분량만큼 소분되어 제 1 생장부(100)의 상부에 구비된 식물과 제 2 생장부(2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생장부(200)로 공급된 물은 어류 등의 용변으로 인해 오염된 후 상기 펌프부(300)와 상기 제 2 전달부재(P2)를 매개로 하여 다시 필터부(400)에 전달되며, 이러한 물 순환 과정은 반복 수행된다.
이러한 물 순환 구조를 통해, 별도의 물 공급 과정이 최소화될 수 있어 수도세 지출, 물 공급 과정으로 인한 사용자의 수고 등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에 수용된 물은 증발 등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 부분 소진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 3 전달부재(P3)를 통해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적절한 시기에 보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생장부(200)의 내부에는 일종의 부레 구조체인 부레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부레부(500)는 상기 제 3 전달부재(P3)와 연통되는 부레바디(510)와, 상기 부레바디(510)와 연결되고 수면위에 구비되는 부력부재(5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레의 추가를 통해, 물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 낮아져 상기 부력부재(520)가 하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부력부재(520)와 연결된 상기 부레바디(510)의 특정 구간이 개방되고, 이러한 개방 구간을 통해 상기 제 3 전달부재(P3)로부터 공급된 물이 제 2 생장부(200)의 내부로 자동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생장부(100)와 제 2 생장부(200)는 상호간 자유로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생장부(200)의 상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와 폭을 지닌 결합돌부(20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생장부(100)의 바닥면 면적은 상기 결합돌부(208)의 내측 면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생장부(100)의 하부 테두리 구간은 상기 결합돌부(208)와 면접촉함으로써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생장부(100)는 상기 결합돌부(208)의 내측으로 자유로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사항을 통해 제 1 생장부(100)와 제 2 생장부(2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 생장부(100) 또는 제 2 생장부(20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 전체를 새 것으로 구비할 필요 없이, 파손된 구성만 교체하면 전체 보수가 완료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유지 보수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결합 및 분리 용이성을 통해, 식물을 옮겨심거나 특정 구성만을 청소하고자 할 시,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 전체를 이송할 필요 없이 대상으로 하는 구성만 분리 이송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유지 보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상술한 결합 및 분리 구조를 통해, 사용자로서는 상기 제 1 생장부(100)를 배제하고 제 2 생장부(200)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400)는 제 2 생장부(2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400)와 상기 제 2 생장부(200)의 내측은 상호간 파이프, 호스 등 각종 용수 전달 수단(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부(400)로부터 유출되는 정화수가 제 2 생장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1000)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을 마쳤으며, 이하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의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생장부(100)는 제 1 바닥부재(110)와 제 1 관입구간(1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생장부(100)의 내측 상부에는 제 1 프레임(101)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며, 이러한 제 1 프레임(101)에는 후술할 생장 보조부(600)의 각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바닥부재(110)의 경우 제 1 생장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종 육상 식물들이 식생될 수 있는 토양 및 배수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바닥부재(110)의 최상부에는 흙, 각종 대체 토양과 같이 토양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토양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닥부재(110)의 최하부에는 큰 자갈 등과 같이 상기 정화수(F)가 유동할 공간이 마련되도록 소정 크기 이상을 갖는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제 1 배수유도부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배수유도부재(113)의 상부에는 황토알과 같이 소정의 물 흡수율을 구비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양수 유도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소재 특성을 통해 제 1 토양부재(111)로의 수분 전달이 더욱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제 1 배수유도부재(113)와 상술한 제 1 바닥부재(110)의 다른 구성들 사이에는 망 구조로 형성되는 바닥 망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배수유도부재(113)에 비해 소정 크기 이하의 입자 구조를 갖는 제 1 바닥부재(110)의 다른 구성들은 상기 망 구조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망 구조의 차폐 기능에 의해 제 1 배수유도부재(113)를 이루는 입자들 사이에 조성되는 배수 공간에는 타 물질들이 요입되지 않게 되므로, 이를 통해 이물질 요입으로 인한 배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관입구간(120)은 제 1 생장부(100)의 벽면에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 전술한 제 2 전달부재(P2)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생장부(200)는 제 1 바닥부재(110)와, 제 2 관입구간(2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 2 관입구간(220)의 경우, 제 2 생장부(200)의 벽면에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입구간(120)과 연통되며 내측에 제 2 전달부재(P2)가 구비된다.
즉, 제 2 전달부재(P2)는 일단이 전술한 펌프부(300)와 연통되고, 그 길이축이 상기 제 1 관입구간(120)과 상기 제 2 관입구간(220)을 통과하여 필터부(400)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2 전달부재(P2)는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이를 통해 줄의 꼬임이 방지되고 공간 사용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는 제 2 생장부(200)의 내측 상부에는 제 2 프레임(201)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때 상기 제 2 프레임(201)에는 전술한 부레부(50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생장부(200)의 일측 벽면에는 내측과 외측을 연통 및 차폐하도록 제 1 도어부재(206)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부재(206)가 닫힌 경우 제 2 생장부(200)의 내측은 밀폐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부재(206)가 개방된 경우 그 개방 구간을 통해 제 2 생장부(200)의 내측은 외부와 연통되며, 이를 통해 각종 구성들이 제 2 생장부(20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내부 청소 등 필요한 유지 보수 활동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1에는 상기 제 1 도어부재(206)가 여닫이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미닫이 구조, 스윙도어 구조 등 제 2 생장부(200)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도어부재(206)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생장부(200)는 내측에 상하로 구획을 형성하는 구획형성판(204)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획형성판(204)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생장부(200)의 내측은 수중 구간(202)과, 상기 수중 구간(202)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 구간(203)으로 나뉜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중 구간(202)은 각종 수중 생물들이 생장하는 공간이며, 상기 배수 구간(203)은 상기 수중 구간(202)으로부터의 오염수(D) 및 이물질들이 배출되는 공간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형성판(204)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배출공(20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획형성판(204)은 일종의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다공 구조를 통해 수중 구간(202)의 내측에 존재하는 오염수(D) 및 각종 이물질들이 배수 구간(203)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닥부재(210)의 경우 상술한 수중 구간(202)의 하부인 구획형성판(204)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각종 수중 생물들이 식생되고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각종 수중 토양 성분 및 소정의 입자크기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바닥부재(210)는 제 2 토양부재(211)와 제 2 배수유도부재(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배수유도부재(212)의 경우, 구획형성판(204)의 상부에 구비되고, 앞서 설명한 제 1 배수유도부재(113)와 같이, 배수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큰 자갈처럼 소정 크기 이상을 갖는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양부재(211)의 경우, 상기 제 2 배수유도부재(212)의 상부에 구비되고, 수중 생물들이 식생될 수 있도록 각종 수중 토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도 2에는 경계부재(204-2)가 구획형성판(204)의 상부면에 테두리 구조로 구비되고, 제 2 토양부재(211)는 상술한 테두리 구조의 내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구획형성판(204)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에는 도 2에 도시된 구획형성판(204)의 구조가 도시된 반면, 도 3의 (b)에는 2개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경계부재(204-2) 구조가 구비된 구획형성판(204)이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기호, 어항 구조의 크기, 사육하는 어류의 종, 어류의 개수, 수중 식물의 종과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제 2 토양부재(211)와 경계부재(204-2) 간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부(300)는 상기 배수 구간(203)의 하부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생장부(200)에는 상기 배수 구간(203)의 하부에 형성되는 펌프 수용구간(205)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상기 펌프부(300)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생장부(200)는 상기 펌프 수용구간(205)을 개폐하는 제 2 도어부재(207)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 2 도어부재(207)의 개폐 기능을 통해 상기 펌프부(300)를 교체하는 등 각종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부(300)에는 밸브와 같이 별도의 유량 제어 내지 단속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수단을 제어하여 펌프부(300)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 내의 물 순환을 정지시킨 후 부속의 교체, 청소 등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부(4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부(4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상기 필터부(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400)는 제 1 하우징(410)과, 제 2 하우징(420)과, 필터 부재(430)와, 필터망 부재(440)를 포함한다.
제 1 하우징(410)의 경우, 상부면이 개구된 중공구조체이고, 일측면에 제 1 개구(411)가 절개 형성되며, 그 상부에 오염수(D)가 토출되는 제 2 전달부재(P2)의 말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하우징(420)의 경우 상부면이 개구된 중공구조체이고, 일측면에 제 2 개구(421)가 절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 부재(430)는 제 1 필터(431)와 제 2 필터(432)를 포함하며, 이는 각기 필터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망 부재(440)는 제 1 필터망(441)과 제 2 필터망(442)을 포함하며, 이는 각기 망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하우징(41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필터(43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필터(431)의 상부에 제 2 하우징(4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필터(431)와 제 2 하우징(420) 사이에 제 1 필터망(44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망(441)이 제 2 하우징(420)에 대해 일종의 지지기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제 2 하우징(420)이 제 1 필터(431)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432)의 내측에는 제 2 필터(43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필터(432)의 상부에 제 2 필터망(442)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필터부(400)의 구성을 통해, 제 2 전달부재(P2)로부터 토출된 오염수(D)는 제 2 필터망(442)에 의해 걸러져 그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후 제 2 필터(432)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제 2 개구(421)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오염수(D)는 제 1 필터망(441)과 제 2 필터(432)에 의해 재차 필터링되어 그 내부의 오염 인자들이 대부분 제거됨으로써 정화수(F)로 조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F)는 제 1 개구(411)를 통해 토출되어 제 1 생장부(100)의 바닥 구간에 공급되며, 이를 통해 제 1 바닥부재(110)의 상부에 구비된 식물과 제 2 생장부(200)에 상기 정화수(F)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432)가 제 2 하우징(420)의 바닥면을 완전히 메꾸는 구조로 구비된다면, 이 경우 제 2 하우징(420)으로 유입되는 오염수(D)는 제 2 필터(432)의 상부면에만 집중된다.
그리하여, 오염수(D)에 혼화된 이물질은 제 2 필터(432)의 상부면에만 적층되므로, 결국 제 2 필터(432)는 그 상부에 대응되는 면적만이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필터(432)는 제 2 개구(421)와 대향하는 제 2 하우징(420)의 벽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하우징(4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하우징(420)의 내측에는 단면적이 제 2 하우징(420)의 내측 벽면과 제 2 필터(432)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공간에 대응되고, 높이가 제 2 하우징(420)의 높이에 대응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 2 하우징(420)에 유입되는 오염수(D)는 상기 이격공간의 바닥면에서부터 상기 제 2 하우징(420)의 높이를 따라 채워지게 되며, 이를 통해 제 2 필터(432)는 하부에서 상부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 2 필터(432)의 전체적인 면적이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필터 가용 면적의 극대화를 통해 필터의 사용 기간이 극대화됨으로써 필터 교체 비용이 감소하고 필터 교체로 인한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덧붙여, 상기 제 2 개구(421)는 상기 제 1 필터(431)보다 소정 높이 이상 높은 곳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높이 차에 대응되는 만큼 낙수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낙수차에 대응되는 만큼, 물과 제 1 필터(431)간의 충돌로 인한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기포가 물 속에 용해됨으로써 물 속에는 산소가 용해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기포 생성 원리를 통해 상기 다층 생장 장치(1000)에 별도의 산소 공급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비 및 유지 비용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생장 보조부(600)는 제 1 광 보급부재(610)와, 제 2 광 보급부재(620)와, 송풍부재(63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광 보급부재(610)는 제 1 생장부(10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앞서 전술한 제 1 프레임(1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광 보급부재(610)는 식물들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빛을 제공하도록, 전등 LED 등과 같이 각종 광 조사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광 보급부재(620)는 상기 제 2 생장부(20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생장부(200)의 내측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광 보급부재(620)는 각종 수중 식물 및 수중 생물들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빛을 제공하도록, 전등, LED 등과 같이 각종 광 조사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층 생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생장 장치
100 : 제 1 생장부
101 : 제 1 프레임
110 : 제 1 바닥부재
111 : 제 1 토양부재
112 : 양수 유도부재
113 : 제 1 배수유도부재
114 : 바닥 망부재
120 : 제 1 관입구간
200 : 제 2 생장부
201 : 제 2 프레임
202 : 수중 구간
203 : 배수 구간
204 : 구획형성판
204-1 : 배출공
204-2 : 경계부재
205 : 펌프 수용구간
206 : 제 1 도어부재
207 : 제 2 도어부재
208 : 결합돌부
210 : 제 2 바닥부재
211 : 제 2 토양부재
212 : 제 2 배수유도부재
220 : 제 2 관입구간
300 : 펌프부
400 : 필터부
410 : 제 1 하우징
411 : 제 1 개구
420 : 제 2 하우징
421 : 제 2 개구
430 : 필터 부재
431 : 제 1 필터
432 : 제 2 필터
440 : 필터망 부재
441 : 제 1 필터망
442 : 제 2 필터망
500 : 부레부
510 : 부레바디
520 : 부력부재
600 : 생장 보조부
610 : 제 1 광 보급부재
620 : 제 2 광 보급부재
630 : 송풍부재
P1 : 제 1 전달부재
P2 : 제 2 전달부재
P3 : 제 3 전달부재
D : 오염수
F : 정화수

Claims (4)

  1. 내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구획형성판과, 상기 구획형성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동식물이 생장하는 수중 구간과, 상기 구획형성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수중 구간으로부터의 오염수가 낙하되는 배수 구간을 포함하며, 어항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생장부;
    상기 제 2 생장부의 상부에 상호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각종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내측 하부에 제 1 바닥부재가 구비되는 제 1 생장부;
    상기 제 1 생장부의 제1 바닥부재와 제 2 생장부의 상부면에 관통삽입되는 제 1 전달부재;
    상부면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제 1 개구가 절개 형성된 중공 구조체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1필터와, 상기 제 1 필터 상부에 올려지며, 상부면이 개구되고 일측면에 제 2 개구가 절개 형성된 중공 구조체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제 1필터 및 제 2필터를 통해서 정화수로 조성하고 상기 정화수를 상기 제 1 생장부의 제1 바닥부재로 공급하는 필터부;
    상기 배수 구간의 오염수를 상기 제 2필터 상부로 공급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생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생장부는,
    수중 토양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형성판의 상부면에 테두리 구조로 구비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생장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80145330A 2018-11-22 2018-11-22 다층 생장 장치 KR10222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30A KR102220048B1 (ko) 2018-11-22 2018-11-22 다층 생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30A KR102220048B1 (ko) 2018-11-22 2018-11-22 다층 생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50A KR20200059950A (ko) 2020-05-29
KR102220048B1 true KR102220048B1 (ko) 2021-02-24

Family

ID=7091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30A KR102220048B1 (ko) 2018-11-22 2018-11-22 다층 생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89B1 (ko) * 2020-12-07 2024-01-11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물고기마을 휴대용 수족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족관 생물 관리 시스템
KR102601250B1 (ko) * 2020-12-16 2023-11-13 채인원 수조용 정화장치
KR102608753B1 (ko) * 2020-12-31 2023-11-30 서정우 수중 로봇 청소기
CN112841018A (zh) * 2021-01-08 2021-05-2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屋顶鱼菜共生系统
KR102618638B1 (ko) * 2021-02-19 2023-12-27 재단법인 제주한의약연구원 약물발굴을 위한 소형 어류 사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627737B1 (ko) * 2021-03-08 2024-01-23 최태천 양식장 정화장치
KR102544552B1 (ko) * 2022-05-18 2023-06-2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수산물 품질관리를 위한 사육수 역류방지용 양식장
KR102542583B1 (ko) *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KR102544281B1 (ko) * 2023-01-09 2023-06-14 한민수 다층구조의 양식 빌딩 구축을 위한 연결 커플링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203Y1 (ko) * 2001-04-24 2001-10-12 정승호 복합 수족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077U (ko) * 1994-06-30 1996-01-17 자동차의 핸들일체형 자동 변속장치
KR200277371Y1 (ko) 2002-03-07 2002-06-01 박상호 복합 수족관
KR20050030399A (ko) 2003-09-26 2005-03-30 정주석 어류의 관찰이 용이한 다단식 수족관
KR101923530B1 (ko) * 2017-05-10 2018-11-2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아쿠아포닉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203Y1 (ko) * 2001-04-24 2001-10-12 정승호 복합 수족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50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048B1 (ko) 다층 생장 장치
CN102438444B (zh) 具有建于基架上的水缸的室内养鱼场
KR101211393B1 (ko) 해삼양식 사육기
KR101923530B1 (ko) 아쿠아포닉스시스템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101330704B1 (ko)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순환식 양식 시스템
TWI669055B (zh) Aquaculture equipment
NO20150884A1 (no) Lukket tank for oppdrett av fisk
KR101330705B1 (ko)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아파트형 공장식 양식빌딩
KR20180126590A (ko)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JP3215559U (ja) 養殖水槽
JP6087031B2 (ja) 多層式アパート型立体水槽
JP6216725B2 (ja) 浮上槽及び仔稚魚管理方法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JP7089315B1 (ja) 並列式循環瀘過養殖装置
JP7170253B2 (ja) 貝類の養殖装置
KR20100002601A (ko)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KR101572987B1 (ko) 다단 양식장
JP4290609B2 (ja) 陸上養殖装置
TWM580868U (zh) Breeding container
KR102612636B1 (ko)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RU2718752C1 (ru) Инкуб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инкубации икры и получения мальков лососевых видов рыб
KR101483612B1 (ko) 수경재배 시스템이 장착된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JP6892962B1 (ja) 活魚輸送装置
CN217446272U (zh) 一种养殖装置及其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