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737B1 - 양식장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737B1
KR102627737B1 KR1020210029839A KR20210029839A KR102627737B1 KR 102627737 B1 KR102627737 B1 KR 102627737B1 KR 1020210029839 A KR1020210029839 A KR 1020210029839A KR 20210029839 A KR20210029839 A KR 20210029839A KR 102627737 B1 KR102627737 B1 KR 10262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opening
main body
coll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931A (ko
Inventor
최태천
Original Assignee
최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천 filed Critical 최태천
Priority to KR102021002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양식수를 정화하는 양식장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자가 큰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입자가 작은 슬러지와 양식수는 필터를 거쳐 수조 본체로 순환시켜서 양식수의 낭비를 줄이면서 슬러지를 제거하여 정화하고, 특히 슬러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양식장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는 양식수가 담기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고, 양식수의 슬러지가 집중되는 집중홈; 상기 집중홈에 구비되어서, 일정 크기 이상의 슬러지가 걸러지는 거름망; 상기 거름망에서 걸리진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 상기 거름망을 통과한 슬러지가 함유된 양식수를 상기 수조 본체를 순환공급하는 환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식장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quality water of farm pond}
본 발명은 양식장의 슬러지를 제거하여 양식수를 정화하는 양식장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자가 큰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입자가 작은 슬러지와 양식수는 필터를 거쳐 수조 본체로 순환시켜서 양식수의 낭비를 줄이면서 슬러지를 제거하여 화정하고, 특히 슬러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양식장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륙에서 이루어지는 양식업은 수조 본체에 가둬둔 양식수를 통해 대상 어종을 밀실 육성시킨다. 먹이 공급, 개체의 배설 및 폐사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양식수의 수질이 악화되기 쉽고, 그로인해 집단 폐사, 성장 저하의 문제들이 발생되므로 양식업의 성공 여부는 치어에서 성어에 이르기까지의 수질 관리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나아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해진 사육 공간 내에 가능한 개체를 밀집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로써 수질악화의 원인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인공적인 양식 시설은 자체 여과력이 매우 낮으므로 별도의 여과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여과 시설은 고형 오물과 용존성 유기물을 제거하며, pH 조정, 암모니아와 아질산 등 독성화합물의 저감처리, 용존산소의 증대 등의 다양한 수처리를 통해 양식수를 정화한다.
일반적으로 수조 본체에 담긴 양식수는 본체의 중심을 축으로 선회하도록 하여서, 수조 본체의 양식수는 정체하지 않고 항시 흐름이 존재하는 자연에 가까운 생태 환경이 되도록 한다.
수조 본체에서 양식수가 선회하면서 어종의 배설물이나 각질 등의 슬러지는 수조 본체의 바닥에 침전되면서 서시히 중심으로 이동하여 모이게 된다.
수조 본체의 중심에 모인 슬러지는 작업자가 도구를 이용해 직접 수거하여 제거하거나, 수조 본체의 바닥 중심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슬러지가 모이면 배출구를 개방하여 슬러지가 양식수와 함께 배출되돌 제거되도록 한다.
작업자가 직접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식은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배출구를 개방하여 슬러지를 배출하여 제거하는 방식은 상당한 양의 치어와 양식수가 함께 배출되어서 치어의 폐사를 높이고, 양식수의 낭비를 초래하고, 배출된 양식수와 슬러지를 필터링하여 양식수를 여과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선회하는 양식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수조 본체 바닥으로 침전된 후에 바닥 중심에 위치한 배출구 위로 이동하여 수집되는 것이 상당히 더디게 진행되어서 슬러지 제거효율이 떨어지고, 양식되는 어종에 의해 수집된 슬러지가 쉽게 분산되어서 제거효율이 더 떨어진다.
참고로, 양식장의 정화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17440호 "양식장의 슬러지 수거처리 장치", 등록특허 제10-0468008호 "슬러지 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1733953호 "슬러지 흡입용 배수관체"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슬러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양식수의 낭비를 줄이고, 양식수와 슬러지의 혼합물에서 양식수를 보다 신속하게 여과분리하여 수조 본체에 순환공급하고, 수조 본체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보다 신속하며 분산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정화효율을 극대화하고, 그에 따라 치어의 폐사율을 줄인 양식장 정화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는
양식수가 담기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고, 양식수의 슬러지가 집중되는 집중홈;
상기 집중홈에 구비되어서, 일정 크기 이상의 슬러지가 걸러지는 거름망;
상기 거름망에서 걸리진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
상기 거름망을 통과한 슬러지가 함유된 양식수를 상기 수조 본체를 순환공급하는 환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에는 양식수의 선회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슬러지가 유입되고, 상기 집중홈과 연결되는 수집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홈에는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는 입자가 큰 슬러지는 일정양이 모이면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고, 입자가 작은 슬러지는 수시로 양식수와 배출 후에 여과 필터를 통해 제거하고 양식수는 수조 본체로 순환공급하여서, 버려지는 양식수의 낭비를 줄이고, 슬러지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수조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는 수집홈으로 수집되어서 양식되는 어종에 의한 부유와 분산이 억제되어서 집중홈으로 집중된 후에 배출 및 제거되는 제품으로서, 양식수의 정화 효율이 탁월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본체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일례에 따른 개폐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개폐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개폐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정화장치는 수조 본체(10)(이하 본체(10)라 함.)와, 상기 본체(10)의 바닥(11)에 구비되는 수집홈(20)과, 수집홈(20)과 연결되는 집중홈(30)과, 집중홈(30)에 구비되는 거름망(40)과, 거름망(40)에 연결되는 배수관(50)과, 집중홈(30)에 연결되는 환수관(60)과, 수집홈(2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양식장에 사용되는 수조를 말하는 것으로,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모서리 부분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에 물(즉, 양식수)을 공급 및 배수하기 위한 공급관 및 배수관, 그리고 배수되는 양식수를 여과처리한 후에 다시 공급하는 환수관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에 담긴 양식수는 선회한다. 본체(10)의 가장자리에서 벽면방향(원주방향)으로 양식수나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되는 힘으로 본체(10) 내의 양식수가 선회하게 된다.
선회하는 양식수는 회전 중심인 본체(10)의 가운데에서 유속이 가장 느리며, 본체(10)의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유속이 빠르다. 그래서 양식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선회하면서 본체(10)의 중심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본체(10)의 바닥(11)을 중심이 가장 낮도록 경사지게 만들면 침수성 슬러지가 바닥(11) 중심에 더 잘 모이게 할 수 있다.
슬리지는 본체(10) 바닥(11)에 침전되지만, 양식되는 어종이 슬러지가 침전된 위를 지나가면서 부유되고, 부유된 슬러지는 그 주변을 지나가는 어종에 의해 주변으로 이동되는 상황이 반복되어서, 슬러지가 본체(10) 바닥(11)에 침전되어 바닥(11) 중심의 집중홈(30)까지 이동된 후에 배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그 시간만큼 양식수는 오염되어 어종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의 바닥(11)에 중심의 집중홈(30)에서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 즉, 양식수의 선회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집홈(20)을 형성한다.
상기 수집홈(20)의 본체(10)의 바닥(11)에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여러개 형성된다.
양식수가 선회하면서 본체(10)의 바닥(11)이 침전된 슬러지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수집홈(20)에 자연스럽게 인입되어 쌓인다.
수집홈(20)에 쌓인 슬러지는 그 위를 지나가는 어종의 영향과 양식수의 선회 흐름에 영향을 덜 받아서 부유하지 않게 된다.
수집홈(20)에 쌓인 슬러지는 본체(10)의 바닥(11) 중심에 위치한 집중홈(30)으로의 이동이 느려져서 외부로의 배출이 지연된다.
이에 본 발명은 수집홈(2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여서, 배수펌프(80)의 구동시에 수집홈(20)에 쌓인 슬러지가 강제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수집홈(20)과 집중홈(30)의 개구부를 막은 상태에서 배수펌프(80)가 구동되면 수집홈(20)과 집중홈(30) 내의 슬러지와 양식수가 배수펌프(80)로 흡입된다. 이때, 수집홈(20)의 개폐부재에는 수집홈(20) 외부의 양식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서 수집홈(20) 내의 슬러지가 원활하게 흡입되어 이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는 수집홈(20)의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수집홈(2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71)이 사용될 수 있다.
평상시에 상기 개폐판(71)은 상기 수집홈(20)의 개구부를 벗어난 바닥(11)에 위치하여 슬러지가 수집홈(2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배수펌프(80)가 구동될 때에는 상기 개폐판(71)이 수집홈(20)의 개구부를 덮어서 수집홈(20) 내의 슬러지가 흡입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71)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수집홈(20)의 상부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72)과, 상기 수집홈(20)의 상부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이동판(7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73)은 전후로 이동하여 고정판(72)과 겹쳐져서 수집홈(20)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두 고정판 사이에 배치되어 수집홈(20)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상기 이동판(73)들은 연동되어 전후로 이동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수집홈(20)에 설치되는 외파이프(74)와, 상기 외파이프(7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파이프(7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파이프(74)의 상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부(741)가 형성되고, 상기 내파이프(75)의 길이방향에도 개방부(751)이 형성되어서, 상기 내파이프(25)가 상기 외파이프(23)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두 개방부(741, 751)가 일치하여 수집홈(20)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두 개방부(741, 751)가 어긋나 개구부를 폐쇄한다.
상기 내파이프(75)에서 개방부(751)의 반대측에는 수집홈(20)의 폐쇄시에 외부의 양식수가 수집홈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752)이 형성된다.
상기 집중홈(30)은 상기 본체(10)의 바닥(11) 중앙부위에 형성되어서, 양식수에 침전된 슬러지가 집중된다.
상기 집중홈(30)의 상부는 덮여 있거나, 개폐부재를 통해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고 배수펌프(80)의 구동시에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40) 상기 집중홈(30)의 내부에 구비되고, 타공망이 형성되어서 양식수는 통과하고, 슬러지 중에서 크가가 큰 것은 표면에 걸리고, 크기가 작은 것은 통과한다.
상기 배수관(50)은 상기 거름망(40)의 하부에 연결되고, 유로의 개폐를 위한 밸브(51)가 설치되고, 필요한 경우 양식수와 슬러지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수펌프(80)가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40) 내부에 걸려있는 부피가 큰 슬러지는 상기 배수관(50)의 밸브(51)가 개방되면 양식수와 함께 배수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환수관(60)은 상기 집중홈(30)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양식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수펌프(80)가 설치되고,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61)가 설치될 수 있고, 흡입된 양식수에서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필터(62)가 설치된다.
상기 거름망(40)을 통과한 부피가 작은 슬러지와 양식수는 상기 환수관(60)에 설치된 배수펌프(80)가 구동되면 환수관(60)으로 유입되고, 흡입된 슬러지는 여과필터(62)에서 걸러지고, 정화된 양식수는 본체(10)에 순환공급된다.
상기 여과필터(62)는 물리적필터로 슬러지를 필터링하여 제거할 수 있고, 생물학적필터로 슬러지와 세균을 분해하고 멸균하여 제거할 수도 있고, 물리적필터와 생물할적필터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양식장 정화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바닥
20 : 수집홈 30 : 집중홈
40 : 거름망 50 : 배수관
60 : 환수관 71 : 개폐판
72 : 고정판 73 : 이동판
74 : 외부파이프 75 : 내부파이프
80 : 배수펌프

Claims (2)

  1. 양식수가 담기는 수조 본체(10);
    상기 수조 본체(10)의 바닥에 형성되고, 양식수의 슬러지가 집중되는 집중홈(30);
    상기 집중홈(30)에 구비되어서, 일정 크기 이상의 슬러지가 걸러지는 거름망(40);
    상기 거름망(40)에서 걸리진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50);
    상기 거름망(40)을 통과한 슬러지가 함유된 양식수를 상기 수조 본체(10)를 순환공급하는 환수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식장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 본체(10)의 바닥에는 양식수의 선회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슬러지가 유입되고, 상기 집중홈(30)과 연결되는 수집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홈(20)에는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수집홈(20)에 설치되는 외파이프(74)와, 상기 외파이프(7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파이프(75)를 포함하고,
    상기 외파이프(74)의 상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부(741)가 형성되고, 상기 내파이프(75)의 길이방향에도 개방부(751)이 형성되어서, 상기 내파이프(75)가 상기 외파이프(74)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두 개방부(741, 751)가 일치하여 수집홈(20)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두 개방부(741, 751)가 어긋나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내파이프(75)에서 개방부(751)의 반대측에는 수집홈(20)의 폐쇄시에 외부의 양식수가 수집홈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7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정화장치.
  2. 삭제
KR1020210029839A 2021-03-08 2021-03-08 양식장 정화장치 KR10262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39A KR102627737B1 (ko) 2021-03-08 2021-03-08 양식장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39A KR102627737B1 (ko) 2021-03-08 2021-03-08 양식장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31A KR20220125931A (ko) 2022-09-15
KR102627737B1 true KR102627737B1 (ko) 2024-01-23

Family

ID=8328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39A KR102627737B1 (ko) 2021-03-08 2021-03-08 양식장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549B1 (ko) * 2023-06-27 2023-12-11 강원특별자치도 육상양식 사육수조의 중앙집중식 버켓형 드레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64B1 (ko) * 2009-07-16 2010-01-18 황인창 수족관
US20120125940A1 (en) * 2009-06-17 2012-05-24 Atlantech Engineering & Associates Incorporated Triple drain apparatus for an aquaculture recirculation system
KR101587772B1 (ko) * 2015-11-03 2016-02-02 엔유씨 주식회사 침전조 분리형 바이오플락 시스템
JP2019180347A (ja) 2018-04-14 2019-10-24 岐阜技巧株式会社 家庭用観賞用水槽の水槽水循環脱塩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450U (ja) * 1992-11-27 1994-06-21 株式会社 ゲシロ 観賞装置
KR102220048B1 (ko) * 2018-11-22 2021-02-24 김성환 다층 생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5940A1 (en) * 2009-06-17 2012-05-24 Atlantech Engineering & Associates Incorporated Triple drain apparatus for an aquaculture recirculation system
KR100936964B1 (ko) * 2009-07-16 2010-01-18 황인창 수족관
KR101587772B1 (ko) * 2015-11-03 2016-02-02 엔유씨 주식회사 침전조 분리형 바이오플락 시스템
JP2019180347A (ja) 2018-04-14 2019-10-24 岐阜技巧株式会社 家庭用観賞用水槽の水槽水循環脱塩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931A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14345Y (zh) 一种对虾养殖净化系统
CN104705238B (zh) 一种水生动物养殖系统
CN108552108A (zh) 一种水产养殖的多级过滤净化水循环系统
CN205018095U (zh) 一种水产养殖业的智能化高效水质净化装置
CN214593646U (zh) 一种水生甲壳类蜕壳及固态残渣收集装置
CN105766781A (zh) 密闭式鱼缸过滤筒
CN208425402U (zh) 一种水循环养殖箱
KR102627737B1 (ko) 양식장 정화장치
CN206547651U (zh) 一种自清洁渠道式水产养殖系统
CN106698667B (zh) 一种提高能效养殖池水处理效率的方法
WO1988009615A1 (en) Fish cultivation tank
CN210642037U (zh) 鱼池过滤器
CN2692998Y (zh) 鲍鱼养殖循环净化水处理系统
CN217377655U (zh) 高位池养殖尾水处理循环系统
TWI751914B (zh) 水產類之養殖裝置及方法
KR20190044715A (ko)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CN209583812U (zh) 一种暂养池粗过滤后的蛋白质分离器的净化处理
CN208708489U (zh) 一种水产养殖装置
KR101074481B1 (ko) 토출박스를 이용한 생태연못 수질 정화 시스템
CN209931253U (zh) 一种循环水养殖用集污排污装置
CN209677125U (zh) 一种水产养殖水污分离及水循环利用系统
JP3045661B2 (ja) 飼育濾過装置
KR20030016324A (ko)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다단식 수로형순환여과식 수산동물 사육장치
CN209914798U (zh) 一种集装箱式集污排污水产养殖系统
CN205443011U (zh) 一种异位去除湖泊底泥中越冬蓝藻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