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36B1 -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 Google Patents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36B1
KR102612636B1 KR1020230102908A KR20230102908A KR102612636B1 KR 102612636 B1 KR102612636 B1 KR 102612636B1 KR 1020230102908 A KR1020230102908 A KR 1020230102908A KR 20230102908 A KR20230102908 A KR 20230102908A KR 102612636 B1 KR102612636 B1 KR 10261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ing
plate
height
area
f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리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리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리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23010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유속을 억제하여 부화란이 부화되는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질의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부화 후 치어를 따로 옮기지 않고도 치어 육성이 가능한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는, 부화조; 유로구획판; 제1 격판; 제2 격판; 탈출방지판; 제1 타공판; 제2 타공판; 제3 타공판; 부화판; 배수관; 및 치어거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구획판은, 일단이 상기 부화조의 상단 높이와 같고, 타단이 상기 부화조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화조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상기 급수영역을 형성하는 제1 유로구획판; 및 일단이 상기 부화조의 바닥에 닿고, 타단이 수직을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화조의 타측에 소정 크기의 상기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제2 유로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구획판은, 상기 제3 타공판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Fish Egg Incubation and Fry Breeding Device}
본 발명은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어나 송어의 부화란을 인공적인 환경에서 대량으로 부화시킨 다음, 치어가 물고기의 형태를 갖출 때까지 육성하는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어나 송어 등의 연어과 어류는 강을 거슬러 올라 산란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이 강을 거슬러 올라 산란을 하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고, 이 때문에 연어과 어류의 경우 부화란을 부화장치를 통해 부화시킨 다음 치어를 직접 육성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879호의 연어과어류용 부화트레이, 부화장치, 부화시스템 및 부화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부화트레이는 직사각 형태의 프레임 하부에 부화망체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부화망체의 하부에는 상기 부화망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부화망체와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 양측 하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용접되어 설치되는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어류 등의 부화란이 트레이에 담겨 부화가 진행되고 나면, 이를 다시 수조 등으로 옮겨 부화된 치어를 육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대량으로 하는 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화된 치어를 수조로 옮길 때 환경이 갑자기 바뀌게 되므로 치어가 스트레스를 받아 폐사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이 때문에 부화란을 부화시켜 치어를 육성함에 있어서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화란을 부화시킨 다음 치어를 육성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09-0091879 A (2009. 08. 31.) KR 10-0902783 B1 (2009. 06. 08.) KR 10-2535426 B1 (2023. 05. 18.) KR 10-2436478 B1 (2022. 08. 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의 유속을 억제하여 부화란이 부화되는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질의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부화 후 치어를 따로 옮기지 않고도 치어 육성이 가능한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모양의 부화조; 상기 부화조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차례대로 급수영역, 부화영역 및 배수영역으로 구획하는 유로구획판; 상기 부화영역과 배수영역을 구획하는 상기 유로구획판 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부화영역에 담기는 물의 높이를 치어 육성을 위한 높이로 조절하는 제1 격판; 상기 제1 격판의 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부화영역에 담기는 물의 높이를 부화란의 부화 높이로 조절하는 제2 격판; 일단이 상기 제1 격판과 상기 제2 격판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면서 타단이 상기 부화영역 쪽으로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부화영역 내의 부화란과 치어가 상기 제1 격판과 상기 제2 격판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영역 쪽으로 이동되어 유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메시망 구조의 탈출방지판; 상기 유로구획판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부화영역의 하부에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급수영역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1차로 분배 및 저류시키는 구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제1 타공판; 상기 제1 타공판의 위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타공판을 통과하여 상승되는 물을 2차로 분배 및 저류시키는 구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제2 타공판; 상기 제2 타공판의 위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2 타공판을 통과하여 상승되는 물을 3차로 분배 및 저류시키는 구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제3 타공판; 상기 제3 타공판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부화란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부화판; 상기 배수영역의 상기 부화조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부화영역을 통과한 물을 상기 부화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하 소정 길이의 배수관; 및 상기 제3 타공판과 상기 부화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면서 부화된 치어가 소정 기간 체류되어 육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체 모양의 치어거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구획판은, 일단이 상기 부화조의 상단 높이와 같고, 타단이 상기 부화조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화조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상기 급수영역을 형성하는 제1 유로구획판; 및 일단이 상기 부화조의 바닥에 닿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화조의 타측에 소정 크기의 상기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제2 유로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구획판은, 상기 제3 타공판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격판이 상기 제2 유로구획판 위에 설치되면 상기 치어거주부재의 설치 높이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격판이 상기 제1 격판 위에 설치되면, 상기 부화판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제1, 2, 3 타공판의 구멍이 인접한 타공판의 구멍과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타공판의 구멍이 상기 제2 타공판의 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타공판의 구멍이 상기 제3 타공판의 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화장치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감소되어 부화란 쪽으로 유입되므로 물의 유속에 의한 불안정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화란이 담긴 부화판과 치어거주부재 쪽으로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균질의 물이 공급되므로 부화란의 부화와 치어의 육성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물의 유속을 억제하여 부화란이 부화되는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균질의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부화 후 치어를 따로 옮기지 않고도 치어 육성이 가능한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조(10), 유로구획판(20), 제1 격판(30), 제2 격판(40), 탈출방지판(50), 제1 타공판(60), 제2 타공판(70), 제3 타공판(80), 부화판(90), 배수관(100) 및 치어거주부재(110)를 포함한다.
부화조(10)는 후술되는 부화판(90)과 치어거주부재(110)가 내부에 설치되어 부화란이 부화된 다음 치어가 소정 기간 육성될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화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사각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배수영역(C))의 바닥에는 소정 지름의 관통공(11)이 형성된 다음, 상기 관통공(11)에 후술되는 배수관(100)이 설치된다.
또한, 부화조(10)의 내부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제1 가이드부(12)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 가이드부(12)를 따라 후술되는 제1 격판(30)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부화조(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부(12)의 상부에는 일단이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는 제2 가이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13)를 통해 후술되는 제2 격판(30)이 부화조(10)의 상부 쪽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되게 된다.
유로구획판(20)은 부화조(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화조(10)의 내부 공간을 급수영역(A), 부화영역(B) 및 배수영역(C)으로 구획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유로구획판(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부화조(10)의 상단 높이와 같고, 타단이 부화조(10)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부화조(10)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급수영역(A)을 형성하는 제1 유로구획판(21)과, 일단이 부화조(10)의 바닥에 닿고, 타단이 수직을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부화조(10)의 타측에 소정 크기의 배수영역(C)을 형성하는 제2 유로구획판(22)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제1, 2 유로구획판(21, 22) 사이에 소정 크기의 부화영역(B)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로구획판(20)의 구성에 따르면, 급수영역(A)을 통해 물이 부화조(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 제1 유로구획판(21)의 하단과 부화조(10)의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물이 급수영역(A)에서 부화영역(B) 쪽으로 흐르게 되고, 이후 제2 유로구획판(22)과 후술되는 제1, 2 격판(30, 40)을 통해 형성되는 높이까지 급수영역(A)과 부화영역(B)의 수위가 상승된 다음, 제1 격판(30) 또는 제2 격판(40)의 상단을 통과하여 넘치는 물이 배수영역(C) 쪽으로 흐르게 되며, 이후 배수영역(C)의 물이 배수관(100)의 상단 높이까지 채워진 다음, 배수관(100)을 통해 부화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제2 유로구획판(22)의 상단 높이는 제3 타공판(80)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제1, 2 유로구획판(21, 22)의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단턱(도면부호 없음)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턱에 의해 제1 타공판(60)의 양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그 결과 제1 타공판(60)이 부화영역(B)의 아래쪽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게 된다.
제1 격판(30)은 부화영역(B)과 배수영역(C)을 구획하는 유로구획판(20)의 제2 유로구획판(22) 위에 탈착 가능하게 수직 설치되어 부화영역(B)에 저류되는 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격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조(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12)에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고, 또한 제1 격판(30)의 하단은 자중에 의해 제2 유로구획판(22)의 상단에 밀착되어 물이 배수영역(C) 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위에서는 제1 격판(30)이 자중에 의해 제2 유로구획판(22)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더해 제2 유로구획판(22)의 상단에는 제1 격판(30)의 하단이 소정 깊이 삽입되는 결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홈의 내부에는 고무 재질의 실링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격판(30)이 제2 유로구획판(22)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단이 실링재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그 결과 틈으로 부화영역(B) 내부의 물이 제1 격판(30)과 제2 유로구획판(22) 사이의 틈을 통해 배수영역(C) 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또한, 제1 격판(30)은 제2 유로구획판(22)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치어거주부재(110)의 설치 높이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치어거주부재(110)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제2 격판(40)이 제거되면 자연스럽게 제1 격판(30)을 통해 치어거주부재(1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맞추어 부화영역(B) 내의 수위가 조절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 격판(30) 위에 적층 설치되는 제2 격판(40)을 제거하여 부화영역(B) 내의 수위를 낮추게 되면, 결과적으로 부화영역(B)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감소되므로 급수영역(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소되고, 이를 이용하여 부화된 치어를 육성할 때에는 제2 격판(40)을 제거하여 부화영역(B) 내의 수위를 낮춰, 소비되는 물의 양을 줄이는 것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제2 격판(40)은 제1 가이드부(12)를 통해 제1 격판(30) 위에 수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격판(30)과 함께 부화영역(B)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격판(40)은 제1 격판(30)과 같이 부화조(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12)에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고, 또한 제2 격판(40)의 자중에 의해 제1 격판(30)의 상단에 밀착되어 부화영역(B) 내부의 물이 배수영역(C) 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격판(40)의 하단은 제1 격판(30)의 상단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2 격판(30, 4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 실링재가 설치되어 기밀이 담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격판(30)의 위에 제2 격판(40)이 설치된 상태의 높이가 부화영역(B)에 설치되는 부화판(90)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되고, 이를 통해 부화판(90)에 수용된 부화란이 물속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부황영역(B) 내부의 수위가 조절되게 된다.
즉, 부화란의 부화시와 부화된 치어의 육성시에 따라 제1, 2 격판(30, 40)이 설치되거나 분리되면서 부화영역(B) 내부의 수위가 부화판(90) 보다 높은 수위가 되도록 조절되거나 또는 치어거주부재(110)에 대응되는 높이가 되도록 조절되게 된다.
탈출방지판(50)은 부화조(10)의 제2 가이드부(13)를 통해 부화조(10)의 상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부화영역(B) 내부의 부화란이나 치어가 제1, 2 격판(30, 40)을 통과하여 배수관(100)을 통해 부화조(10)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탈출방지판(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조(100의 제2 가이드부(13)를 통해 양단이 삽입 안내되어 일단이 제1, 2 격판(30, 4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고, 타단이 부화영역(B) 쪽으로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게 된다.
이때 탈출방지판(50)의 상단 높이가 제2 격판(4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탈출방지판(50)을 넘어 부화란과 치어가 유실되지 않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부화영역(B) 내부의 물이 탈출방지판(50)을 통과하여 제1, 2 격판(30, 40) 쪽으로 흐를 수 있으면서도 부화란과 치어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부화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메시 크기를 가지는 메시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2, 3 타공판(60, 70, 80)은 유로구획판(20)을 통해 형성되는 부화영역(B)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부화란과 치어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와 동시에 부화영역(B) 내부로 균질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2, 3 타공판(60, 70, 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유로구획판(21, 22)을 통해 형성되는 부화영역(B)의 하부에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평으로 차례대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타공판(60)과 제2 타공판(70) 사이와 제2 타공판(70)과 제3 타공판(80)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격유지블록(S)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유지블록(S)을 통해 제1, 2, 3 타공판(60, 70, 80)이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공판을 통과한 물이 타공판 사이의 공간상에 저류되어 유속이 더욱 확실하게 감소되게 된다.
이에 더해 제1 타공판(60)의 구멍 지름(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타공판(70)의 구멍 지름(D2)이 작게 형성되고, 제2 타공판(70)의 구멍 지름(D2)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3 타공판(80)의 지름이 작게 형성되며, 이러한 각 타공판의 구멍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물이 제1, 2, 3 타공판(60, 70, 80)을 통과하여 흐르면서 물의 유속이 감소되게 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분배되어 흐르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를 통해 급수영역(A)으로 유입되는 물이 제1 타공판(60)의 저면 쪽으로 유입되어 1차로 저류된 다음, 제1 타공판(6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위쪽의 제2 타공판(70) 쪽으로 분배되어 흐르게 되고, 제2 타공판(70) 쪽으로 유입된 물은 다시 2차로 저류된 다음 제2 타공판(70)의 구멍을 통과하여 제3 타공판(80) 쪽으로 분배되어 흘러 3차로 저류되게 되며, 이후 재차 제3 타공판(80)의 구멍을 통해 분배된 물이 후술되는 치어거주부재(110) 쪽으로 분배되어 흐르게 되고, 그 결과 공급되는 물이 제1, 2, 3 타공판(60, 70, 80)의 구멍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흐르면서 3차에 걸쳐 저류됨과 동시에 부화영역(B) 전체적으로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균질의 물이 공급되도록 분배되어 흐르게 된다.
위와 같이 치어거주부재(110) 쪽으로 흐르는 물의 유속이 감소되어 공급되게 되면, 치어가 육성되는 과정에서 물속을 유영하는 동안 유속에 의한 저항이 감소되어 치어의 체력 소비와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균질의 물이 부화영역(B) 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되게 되므로 치어의 생존율이 상승되게 된다.
부화판(90)은 제3 타공판(80)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부화란이 수용되어 부화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부화판(90)은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함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함체의 저면은 부화란의 크기보다 작은 메시 크기를 가지는 메시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3 타공판(80)을 통과한 물이 부화판(90)의 저면을 통과하여 위쪽으로 상승되면서 제2 격판(40)을 통해 조절된 높이까지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부화판(90)에 담긴 부화란이 물에 충분히 잠기게 된다.
배수관(100)은 부화조(10)의 관통공(11)에 설치되어 배수영역(C)으로 유입되는 물을 부화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이러한 배수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2 격판(30, 40)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부화영역(B) 내부에 소정 수위의 물이 잔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정 기간 육성된 치어를 꺼내기 위해 치어거주부재(110)를 꺼내고 제1, 2 격판(30, 4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낮아지는 수위로 인해 배수관(100) 쪽으로 육성된 치어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이때 배수관(100)의 상단 높이는 제2 유로구획판(22)의 높이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고, 제2 격판(40)의 높이보다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치어거주부재(110)는 부화판(90)에서 부화된 치어가 소정 기간 머무르면서 난황의 영양분을 소비하여 일반적인 물고기 형태가 될 때까지 육성되도록 하는 강바닥의 자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치어거주부재(110)는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관체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치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의 마름모형 구멍이 형성되는 메시망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소정 지름의 구멍이 복수 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치어거주부재(110)는 폴리에틸렌(PE) 또는 PVC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지름이 20 ~ 40㎜로 형성되면서 1000~2000㎜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부화판(90)이 제2 격판(40)에 의해 형성되는 수위에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3 타공판(80) 위에 2 내지 6단이 되도록 복수 개가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가 사용되는 예에 따라 설명한다.
부화조(10)의 제2 유로구획판(22) 쪽에 제1, 2 격판(30, 4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1, 2 유로구획판(21, 21) 사이에 제1, 2, 3 타공판(60, 70, 8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런 다음, 제2 가이드부(13)를 따라 탈출방지판(50)이 설치되고, 이후 급수영역(A)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부화영역(B) 내부에 물을 채운 다음, 이렇게 채워진 물의 수위가 제2 격판(40)을 통해 흘러넘치게 되면, 부화란이 담긴 부화판(90)을 치어거주부재(110)의 위에 안착시키고, 소정 기간 유지하여 부화란을 부화시키게 되며, 이때 부화판(90)에는 대략 40만개 이상의 부화란이 축적되어 부화될 수 있다.
이렇게 부화란이 부화되도록 유지되는 동안, 급수영역(A)을 통해 저속으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되고, 이를 통해 부화판(90) 쪽에는 균질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 다음, 제2 격판(40)을 통과하여 배수관(100)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부화란이 부화되고 나면, 부화판(90)이 제거되어 치어가 치어거주부재(110) 쪽으로 이동하여 머무르도록 유도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격판(40)이 제거되어 부화영역(B)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제1 격판(30)의 높이로 낮추고, 이를 통해 부화영역(B) 내에 머무르는 물의 체류시간을 감소시켜 새로운 물이 치어거주부재(110) 쪽으로 공급되는 속도(주기)를 단축시킨 상태의 치어 육성 환경이 조성된다.
소정 기간 동안 치어가 육성되어 난황의 영양분이 소비된 물고기의 형상으로 충분히 자라고 나면, 제1 격판(30)과 탈출방지판(50)이 제거되고, 이를 통해 부화영역(B) 내부의 물이 배수영역(C) 쪽으로 배출되면서, 물과 함께 치어가 부화조(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부화란의 부화 및 치어의 육성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화장치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감소되어 부화란 쪽으로 유입되므로 물의 유속에 의한 불안정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화란이 담긴 부화판과 치어거주부재 쪽으로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균질의 물이 공급되므로 부화란의 부화와 치어의 육성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2 격판(30, 40)과 탈출방지판(50)의 일측에는 제1, 2 격판(30, 40)과 탈출방지판(50)의 설치 및 분리가 쉽도록 소정 크기의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부화조 11: 관통공
12: 제1 가이드부 13: 제2 가이드부
20: 유로구획판 21: 제1 유로구획판
22: 제2 유로구획판 30: 제1 격판
40: 제2 격판 50: 탈출방지판
60: 제1 타공판 70: 제2 타공판
80: 제3 타공판 90: 부화판
100: 배수관 110: 치어거주부재
A: 급수영역 B: 부화영역
C: 배수영역 H1: 제1 타공판 구멍의 지름
H2: 제2 타공판 구멍의 지름 H3: 제3 타공판 구멍의 지름
S: 간격유지블록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모양의 부화조(10);
    상기 부화조(10)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차례대로 급수영역(A), 부화영역(B) 및 배수영역(C)으로 구획하는 유로구획판(20);
    상기 부화영역(B)과 배수영역(C)을 구획하는 상기 유로구획판(20) 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부화영역(B)에 담기는 물의 높이를 치어 육성을 위한 높이로 조절하는 제1 격판(30);
    상기 제1 격판(30)의 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부화영역(B)에 담기는 물의 높이를 부화란의 부화 높이로 조절하는 제2 격판(40);
    일단이 상기 제1 격판(30)과 상기 제2 격판(4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되면서 타단이 상기 부화영역(B) 쪽으로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부화영역(B) 내의 부화란과 치어가 상기 제1 격판(30)과 상기 제2 격판(40)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영역(C) 쪽으로 이동되어 유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메시망 구조의 탈출방지판(50);
    상기 유로구획판(20)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부화영역(B)의 하부에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급수영역(A)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1차로 분배 및 저류시키는 구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제1 타공판(60);
    상기 제1 타공판(60)의 위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타공판(60)을 통과하여 상승되는 물을 2차로 분배 및 저류시키는 구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제2 타공판(70);
    상기 제2 타공판(70)의 위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2 타공판(70)을 통과하여 상승되는 물을 3차로 분배 및 저류시키는 구멍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제3 타공판(80);
    상기 제3 타공판(80)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부화란이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부화판(90);
    상기 배수영역(C)의 상기 부화조(10)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부화영역(B)을 통과한 물을 상기 부화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하 소정 길이의 배수관(100); 및
    상기 제3 타공판(80)과 상기 부화판(9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면서 부화된 치어가 소정 기간 체류되어 육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체 모양의 치어거주부재(110);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구획판(20)은,
    일단이 상기 부화조(10)의 상단 높이와 같고, 타단이 상기 부화조(10)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화조(10)의 일측에 소정 크기의 상기 급수영역(A)을 형성하는 제1 유로구획판(21); 및
    일단이 상기 부화조(10)의 바닥에 닿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화조(10)의 타측에 소정 크기의 상기 배수영역(C)을 형성하는 제2 유로구획판(22);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구획판(22)은,
    상기 제3 타공판(80)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격판(30)은,
    상기 제2 유로구획판(22) 위에 설치시 상기 치어거주부재(110)의 설치 높이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격판(40)은,
    상기 제1 격판(30) 위에 설치시 상기 부화판(90)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격판(40)의 하단은,
    상기 제1 격판(30)의 상단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 격판(30, 4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 실링재가 설치되어, 상기 부화영역(B)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영역(C) 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탈출방지판(50)의 상단 높이는,
    상기 제2 격판(40)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관(100)은,
    상기 제1, 2 격판(30, 40)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부화영역(B) 내부에 소정 수위의 물이 잔류되도록 상단 높이가 상기 제2 유로구획판(2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격판(40)의 높이보다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며,
    상기 치어거주부재(110)는,
    지름이 20 ~ 40㎜로 형성되면서 폴리에틸렌(PE) 또는 PVC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를 따라 방사상으로 마름모 모양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타공판(60, 70, 80)의 구멍은,
    인접한 타공판의 구멍과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공판(60)의 구멍은,
    상기 제2 타공판(70)의 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타공판(70)의 구멍은,
    상기 제3 타공판(80)의 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부화란 부화장치.
KR1020230102908A 2023-08-07 2023-08-07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KR10261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908A KR102612636B1 (ko) 2023-08-07 2023-08-07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908A KR102612636B1 (ko) 2023-08-07 2023-08-07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36B1 true KR102612636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908A KR102612636B1 (ko) 2023-08-07 2023-08-07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63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772U (ko) * 1986-07-16 1988-02-02
US6644242B2 (en) * 2001-07-06 2003-11-11 Guppy Co., Ltd. Aquatic animal incubation device
JP3150213U (ja) * 2008-10-31 2009-05-07 北海道 自然浮上型魚卵収容人工孵化育成槽
KR100902783B1 (ko) 2008-12-23 2009-06-12 충청북도(관리기관:충청북도내수면연구소) 어류 수정란 부화기
KR20090091879A (ko) 2008-02-26 2009-08-31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연어과어류용 부화트레이, 부화장치, 부화시스템 및부화방법
JP2011078375A (ja) * 2009-10-09 2011-04-21 Toshiyuki Takatsu 浮上槽
JP2014143938A (ja) * 2013-01-28 2014-08-14 Toshiyuki Takatsu 浮上槽
US20190029232A1 (en) * 2016-02-01 2019-01-31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System for Breeding Zebrafish
KR102436478B1 (ko) 2022-03-29 2022-08-26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수정란 및 부화어 관리방법
KR102535426B1 (ko) 2020-11-16 2023-05-24 대한민국 어류 인공부화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772U (ko) * 1986-07-16 1988-02-02
US6644242B2 (en) * 2001-07-06 2003-11-11 Guppy Co., Ltd. Aquatic animal incubation device
KR20090091879A (ko) 2008-02-26 2009-08-31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연어과어류용 부화트레이, 부화장치, 부화시스템 및부화방법
JP3150213U (ja) * 2008-10-31 2009-05-07 北海道 自然浮上型魚卵収容人工孵化育成槽
KR100902783B1 (ko) 2008-12-23 2009-06-12 충청북도(관리기관:충청북도내수면연구소) 어류 수정란 부화기
JP2011078375A (ja) * 2009-10-09 2011-04-21 Toshiyuki Takatsu 浮上槽
JP2014143938A (ja) * 2013-01-28 2014-08-14 Toshiyuki Takatsu 浮上槽
US20190029232A1 (en) * 2016-02-01 2019-01-31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System for Breeding Zebrafish
KR102535426B1 (ko) 2020-11-16 2023-05-24 대한민국 어류 인공부화장치
KR102436478B1 (ko) 2022-03-29 2022-08-26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수정란 및 부화어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048B1 (ko) 다층 생장 장치
KR101947328B1 (ko) 양식장용 어류의 분리 부성란 보관장치
NO169932B (no) Marint fiskeoppdrettsanlegg
JP3150213U (ja) 自然浮上型魚卵収容人工孵化育成槽
JP4691218B2 (ja) マグロの養殖装置
CN107801670A (zh) 新型网箱式养鱼装置
KR100974956B1 (ko) 축제식 전복 양식장 및 그 전복집
KR102612636B1 (ko)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JP5290241B2 (ja) 養液栽培装置
CN112772522B (zh) 南方地区河蟹池塘生态养殖系统
JP2009165372A (ja) 魚の養殖装置
JP5205542B1 (ja) 浮上槽
JP5076145B2 (ja) 地上に設置されるマグロの養殖池
CN210492218U (zh) 用于小龙虾养殖的水产养殖池
EP16799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eding shellfish
JP5260805B1 (ja) 浮上槽
JP2018093762A (ja) 水耕栽培装置
KR20170066177A (ko) 투명 파이프를 이용한 식물재배겸용 어항장치
KR101412043B1 (ko)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육수조용 이중 배수장치
KR20100002601A (ko)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JP4791608B1 (ja) 仔魚育成材及び浮上槽
JP2019041701A (ja) 貝類の養殖装置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JP2011078375A (ja) 浮上槽
JP7538369B1 (ja) アクアポニック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