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783B1 - 어류 수정란 부화기 - Google Patents

어류 수정란 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783B1
KR100902783B1 KR1020080131977A KR20080131977A KR100902783B1 KR 100902783 B1 KR100902783 B1 KR 100902783B1 KR 1020080131977 A KR1020080131977 A KR 1020080131977A KR 20080131977 A KR20080131977 A KR 20080131977A KR 100902783 B1 KR100902783 B1 KR 100902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support structure
fertilized egg
hatching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묵
이봉규
최경철
김진호
김효진
유장열
Original Assignee
충청북도(관리기관:충청북도내수면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북도(관리기관:충청북도내수면연구소) filed Critical 충청북도(관리기관:충청북도내수면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13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성 어류 수정란을 부착 및 부화시키는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로써,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외곽틀; 및, 상기 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받침구조물;로 이루어진 부화판이, 상기 받침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2개 이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어류 수정란을 바다 속 외부 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수정란 부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수정란 부화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류, 수정란, 부화

Description

어류 수정란 부화기{Incubator For Fertilized Egg Of Fishes}
본 발명은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류 수정란을 수중의 외부 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정란 부화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규격화된 수정란 부화기에 대한 것이다.
어류의 수정란을 인공으로 부화시켜서 치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어류가 산란한 수정란을 모아서 이를 바다 또는 양식장과 같은 물속에서 일정기간 부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어류가 산란한 수정란을 하나로 수집해야 하고, 이렇게 수집된 수정란들을 물속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며, 바다 또는 양식장과 같은 물속에서는 피라미, 붕어 등과 같은 외부생물에 의해 공격을 받지 않도록 수정란을 보호하는 구조물이 필요하다. 동시에, 일정기간이 지난 후 수정란에서 부화된 치어 는 상기 구조물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어류 수정란의 부화를 위하여, 종래에는 수정란을 부화하고자 하는 자마다 서로 다른 자기만의 구조물을 필요할때마다 수시로 만들어서 임시방편적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과일이나 생선 등을 담는 나무상자에 그물망을 덮고, 이것을 대충 끈으로 묶은 구조물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규격화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나무상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속에서 한번 사용하면 나무에 물이 많이 흡수되어 썩어서, 다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물망을 끈으로 대충 묶어서 만든 구조물이기 때문에, 끈이 풀리는 경우 외부 생물로부터 공격을 받기가 쉽고, 상자를 끈으로 묶는 품이 들고 이동시에도 끈이 풀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물망으로 전체가 덮여 있는 경우 부화된 치어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류 수정란을 바다 속 외부 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수정란 부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수정란 부화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로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외곽틀; 및, 상기 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받침구조물;로 이루어진 부화판이 2개 이상 적층된 어류 수정란 부화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로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상부외곽틀과 하부외곽틀; 및, 상기 상부외곽틀과 하부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상부받침구조물과 하부받침구조물;로 이루어진 부화판이 2개 이상 적층되고, 상기 상부받침구조물과 하부받침구조물은 각각 상기 상부외곽틀과 하부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수정란 부화기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이 적층된 부화판 사이의 간격은 부화된 치어가 잘 빠져 나갈 수 있도록 2mm 내지 5mm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어류 수정란을 바다 속 외부 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수정란 부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수정란 부화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는 일정한 규격에 따라 규격화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기본 구조틀로써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속에서 여러번 사용하더라도 썩지 않아 계속해서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을 사이에 둔 외곽틀에 의해 단단하게 그물망을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받침구조물에 의해 2개 이상의 부화기를 적층시키고, 이로써 형성되는 일정한 간격의 공간으로 부화된 치어가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외부생물의 침입은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것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이것의 측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은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에 대한 것이다. 즉, 어류의 수정란을 인공으로 부화시켜서 치어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어류가 산란한 수정란을 하나로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수정란들을 물속으로 이동시키며, 바다 또는 양식장과 같은 물속에서는 피라미, 붕어 등과 같은 외부생물에 의해 공격을 받지 않도록 수정란을 보호하는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어류 수정란 부화기'라 함은 어류가 산란한 수정란을 모아서 이를 바다 또는 양식장과 같은 물속에서 일정기간 부화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어류 수정한 채란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는, 부화판(10)이 2개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고(도 4, 5, 6 참조), 상기 부화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물망(100); 외곽틀(200); 및 받침구조물(30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먼저, 상기 그물망(100)은 수집된 어류 수정란을 담는 것으로, 어류 수정란은 치어가 부화될 때까지 상기 그물망(100) 위에 위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그물망(100)은 점착란인 수정란이 밖으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없도록 하면서 동시에 바다 또는 양식장 내의 물들과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메쉬망 구조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메쉬망의 메쉬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그물망(100)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외곽틀(2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곽틀(200)은 상기 그물망(100)의 가운데 일부 영역을 제외한 외부 테두리 부분에서 상기 그물망(100)을 그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곽틀(200)은 그물망(100)의 바깥쪽 부분에만 형성되어서, 안쪽에는 수정란이 포함되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동시에 외부생물들이 본 발명에 따른 부화기 내부로 쉽게 들어올 수 없도록 하는 구조물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외곽틀(200)은 그 내부에 그물망(100)을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물일 수 있고,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이 그물망(100)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서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을 결합시키는 별도의 수단을 더 포함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 는 그물망(100)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을 결합시키는 별도의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을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며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의 어느 한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어(일명, 똑딱이) 간편하게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곽틀(2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와 같이 나무로 이루어지는 경우 나무에 물이 많이 흡수되어 썩기 때문에 다시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외곽틀(200)을 플라스틱 재질로 하였고,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기가 물속 깊이 가라앉지 않고 수면 아래 살짝 가라앉도록 물보다 약간 비중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10)은 상기 외곽틀(200)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받침구조물(30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받침구조물(300)은 상기 상부외곽틀(210) 윗면에 그리고 상기 하부외곽틀(220) 아래면에 산발적으로 형성된 돌출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받침구조물(300)이 상기 외곽틀(200)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것이 특징인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10)이 다수 적층되는 경우, 상기 받침구조물(300)에 의해 마련되는 빈 공간을 통하여 부화된 치어가 밖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받침구조물(300)은 상부외곽틀(210) 상에 형성된 상부받침구조물(310)과 하부외곽틀(220) 상에 형성된 하부받침구조물(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구조물(30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나 갯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받침구조물(300) 역시 상기 외곽틀(200)에서 처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서 부화판(10)이 적층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10)은 2개 이상이 서로 적층되는 경우, 서로 다른 부화판(10)에 형성된 받침구조물(300)에 의해 서로 지지되어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받침구조물(3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받침구조물(300)이 없는 빈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을 통하여 부화된 치어가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부화판(10)의 하부받침구조물(320)과 제2부화판(10')의 상부받침구조물(310')이 서로 맞닿아서 2개 이상의 부화판들이 적층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받침구조물(320)과 상부받침구조물(310')이 형성되지 않은 외곽틀(200) 영역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빈 공간은 부화된 치어가 밖으로 나올 수 있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부 생물들이 내부로 침입하는 경로가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2개 이상이 적층된 부화판(10) 사이의 간격은 2mm 내지 5mm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mm 보다 작은 경우 부화된 치어가 밖으로 빠져나가기가 용이하기지 않고, 5mm보다 큰 경우에는 외부생물들의 침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서 받침 구조물이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서 받침 구조물이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외곽틀(200)과 여기에 형성된 받침구조물(300)에 의해 어류 수정란을 바다 속 외부 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받침구조물(300)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하여 치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그물망(100)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 및, 상기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상부받침구조물(310)과 하부받침구조물(320);로 이루어진 부화판이 2개 이상 적층되고, 상기 상부받침구조물(310)과 하부받침구조물(320)은 각각 상기 상부외곽틀(210)과 하부외곽틀(220) 상의 일부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외곽틀(210) 상에 형성된 상부받침구조물(310)과 하부외곽틀(220) 상에 형성된 하부받침구조물(320)이 서로 점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서로 다른 2개의 부화판(10, 10')을 적층하는 경우, 제1부화판(10)의 하부받침구조물(320)과 제2부화판(10')의 상부받침구조물(310')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2개의 부화판(10, 10')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흔들림에도 변함없는 더욱 견고한 구조물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받침구조물(310)과 하부받침구조물(320)이 서로 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류 수정란을 바다 속 외부 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수정란의 부화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수정란 부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수정란 부화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어류 수정란 부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화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서 부화판이 적층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서 받침 구조물이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수정란 부화기에서 받침 구조물이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3)

  1.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로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외곽틀; 및, 상기 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받침구조물;로 이루어진 부화판이 2개 이상 적층되고,
    상기 2개 이상이 적층된 부화판 사이의 간격은 2mm 내지 5mm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수정란 부화기.
  2. 어류의 수정란을 물속에서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기로서,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외곽부분 위와 아래에서 서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상부외곽틀과 하부외곽틀; 및, 상기 상부외곽틀과 하부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상부받침구조물과 하부받침구조물;로 이루어진 부화판이 2개 이상 적층되고,
    상기 상부받침구조물과 하부받침구조물은 각각 상기 상부외곽틀과 하부외곽틀 상의 일부 영역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이 적층된 부화판 사이의 간격은 2mm 내지 5mm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수정란 부화기.
  3. 삭제
KR1020080131977A 2008-12-23 2008-12-23 어류 수정란 부화기 KR10090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77A KR100902783B1 (ko) 2008-12-23 2008-12-23 어류 수정란 부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77A KR100902783B1 (ko) 2008-12-23 2008-12-23 어류 수정란 부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783B1 true KR100902783B1 (ko) 2009-06-12

Family

ID=4098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977A KR100902783B1 (ko) 2008-12-23 2008-12-23 어류 수정란 부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7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9171A (zh) * 2017-01-06 2017-05-31 叶忠平 一种用于光倒刺鲃的塑料孵化器及其使用方法
US20210212299A1 (en) * 2020-01-14 2021-07-15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Incubator for Perch Larvae
KR102612636B1 (ko) 2023-08-07 2023-12-12 주식회사 클리스글로벌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5264U (ko) * 1979-08-25 1981-04-0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5264U (ko) * 1979-08-25 1981-04-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9171A (zh) * 2017-01-06 2017-05-31 叶忠平 一种用于光倒刺鲃的塑料孵化器及其使用方法
US20210212299A1 (en) * 2020-01-14 2021-07-15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Incubator for Perch Larvae
KR102612636B1 (ko) 2023-08-07 2023-12-12 주식회사 클리스글로벌 어류의 부화란 부화 및 치어 육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0426T3 (es) Granja para la cría de insectos
BR112017020109B1 (pt) Instalação para criação de inseto
CN105028334B (zh) 一种用于捕食性天敌蠋蝽规模化饲养的养虫笼及饲养方法
KR100902783B1 (ko) 어류 수정란 부화기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0732601B1 (ko)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의 장기 지속 방사용 구조체, 및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KR101046863B1 (ko) 저서생물 양식 장치
CN105660526B (zh) 一种收集眼斑水龟卵的方法
EP1961297A2 (en) Cage for queen bees
KR20170054021A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CN204119997U (zh) 一种曼氏无针乌贼受精卵放流装置
KR200465765Y1 (ko) 뒤영벌 증식 및 여왕벌 계대용 겸용상자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CN212488048U (zh) 一种适合大规模饲养白雪灯蛾高龄幼虫的饲养盒
KR102184937B1 (ko) 상시 개구부를 갖는 개체굴 양성장치
KR100830400B1 (ko) 장수풍뎅이 유충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내사육장치.
US2611337A (en) Fish egg hatching device
KR100756624B1 (ko) 꽃게 유생 사육장치
Tamura Walnut hoarding by the Japanese wood mouse, Apodemus speciosus Temminck
CN202444990U (zh) 一种夜蛾科昆虫饲养箱
CN102405862A (zh) 新型鲍鱼排
JP2002233265A (ja) 幼稚仔放流礁
KR20140003533U (ko) 땅강아지 사육용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JP2017074018A (ja) カキの採苗器
CN212660874U (zh) 一种养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