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590A -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590A
KR20180126590A KR1020187032156A KR20187032156A KR20180126590A KR 20180126590 A KR20180126590 A KR 20180126590A KR 1020187032156 A KR1020187032156 A KR 1020187032156A KR 20187032156 A KR20187032156 A KR 20187032156A KR 20180126590 A KR20180126590 A KR 2018012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basin
net cage
fish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891B1 (ko
Inventor
기어 노달-페덜슨
Original Assignee
기어 노달-페덜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O20160573A external-priority patent/NO20160573A1/no
Priority claimed from NO20170034A external-priority patent/NO20170034A1/no
Application filed by 기어 노달-페덜슨 filed Critical 기어 노달-페덜슨
Publication of KR2018012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물고기 양식용 설비 및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를 형성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Description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본 발명은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물고기 양식은 대규모의 중요한 산업이다. 전통적으로, 양식은 해상 설비에서 실시되며, 여기서 양식 네트 케이지(net cage)는 물이 자유롭게 통과하는 소정의 그물코 크기의 어망을 갖는다.
이들 설비 내의 물고기는 다양한 질병에 걸리며, 최근 연어 라이스(salmon lice)는 연어의 양식과 관련하여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라이스는 네트 케이지 설비의 그물을 통과한다. 네트 케이지 내에 진입하는 병원성 생물(라이스, 조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로부터의 감염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폐쇄식 설비가 개발되었다. 양식은 탱크 내에서 실시되고, 바다로부터 신선한 물이 설비 내에 펌핑되는 상이한 육상 기반의 설비가 개발되었다. 또한, 방수 벽을 갖춘 해상 부유 설비가 또한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수" 벽은 종종 타폴린 소재로 제조되지만, 이들은 또한 상이한 성형 디자인일 수 있다.
이러한 양식 네트 케이지는 노르웨이 특허 NO332341(Ecomerden)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중 벽 시스템, 즉 방수 외벽 및 내부 어망을 갖는 부유식 양식 네트 케이지이다. 이 네트 케이지는 물에 부유되었을 때 정확한 위치결정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네트 케이지로 신선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부유 칼라(collar)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상 기반의 설비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보호하고, 이러한 설비와 관련된 단점을 배제하면서 이 장점을 해상 부유 설비로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 네트 케이지 자체 내의 저수지가 이 저수지에 접하는 폐쇄 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폐쇄 벽 내에서 네트 케이지가 부유하는 점에서 폐쇄형인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네트 케이지 설비 상의 설비는 지붕 구조물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의 목적은 양식 네트 케이지는 설비 내에서 부유하고, 따라서 물이 양식 네트 케이지에 간단히 펌핑될 수 있고, 양식 네트 케이지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출입시키는 것과 같은 해상 설비로부터의 장점을 취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양식 네트 케이지를 분리된 베이슨(basin) 내에 배치하고, 이 베이슨이 외부 저수지와 추가로 연통되는 경우에 달성된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물고기 양식용 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 설비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외부 저수지(C)에 대해 분리된, 그리고 외부 저수지(C)와 유체 연통되는 저수지(B)를 갖는 베이슨 - 여기서 베이슨과 저수지(C) 사이에는 베이슨에 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이 있음 -, 및
- 베이슨 내에서 침수되고 부유되는 저수지(A)를 갖는 하나 이상의 양식 네트 케이지 - 상기 양식 네트 케이지는 불투수성인 벽을 구비하여 배치됨 -.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베이슨 내의 수면과 저수지(C) 내의 수면은 동일한 수위에 있고, 또는 베이슨 내의 수위는, 저수지(C)가 바다/해양인 경우, 저수지(C)의 고조(high tide)와 저조(low tide) 사이의 수위로 설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이 설비는 저수지(A)와 저수지(C) 사이에 베이슨 벽과 네트 케이지 벽의 이중 장벽을 설치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네트 케이지는 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어망과 같은 투수성 벽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양식 네트 케이지는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 케이지가 베이슨 내에서 부유하여 베이슨 내에서 네트 케이지의 정확한 수직 위치를 확립하도록 설치되는 부유 장치,
- 저수지(B)로부터 네트 케이지로 신선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를 갖는 파이프라인, 및
- 파이프라인을 통해 물 및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네트 케이지의 하측 부분의 출구.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라인은 저수지(B) 내의 수면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도록 충분히 유연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네트 케이지는 베이슨의 수위선에 대해 네트 케이지의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베이슨의 바닥에 견고하게 또는 유연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네트 케이지는 베이슨의 수위선에 대한 네트 케이지의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베이슨의 상기 지붕 또는 벽 부분에 견고하게 또는 유연하게 배치된다.
하나이 실시형태에서, 저수지(C)로부터 저수지(B)로 신선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는 라이스와 같은 병원성 생물이 저수지(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는 수면으로부터 15 미터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베이슨은 저수지(C) 근처의 토지층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면들은 동일한 수위에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저수지(C)는 바다이고, 수면의 높이차 및 정수압은 베이슨에 물을 출입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저수지(A)로 들어가는 물 및 저수지(B)로부터 나오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 필터는 조수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베이슨 내의 벽 부분은 더 큰 둘레를 가지므로 이 층에서의 베이슨 내의 물의 체적은 베이슨의 나머지에 비해 더 크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정수 장치가 추가의 저수지(D) 내에 부유하도록 배치되고, 이 네트 케이지로부터의 물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상기 정수 장치에 공급되고, 정수된 물은 정수 장치로부터 저수지(C)에 공급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정수된 물은 정수 장치로부터 파이프라인을 통해 저수지(D)에 공급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정수된 물은 정수 장치로부터 저수지(C)에 직접 공급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베이슨(20)에 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30)은 암석 기초 내의 터널의 형태이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A)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양식 네트 케이지가 베이슨 내의 저수지(B) 내에 부유 상태로 배치되고, 양식 네트 케이지는 비투수성인 벽을 구비하여 배치되고, 베이슨 내의 저수지(B)는 외부 저수지(C)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저수지(C)로부터 베이슨으로의 물의 공급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실시되고, 네트 케이지로부터 저수지(C)로의 물의 유출은 파이프라인을 통해 실시되고, 베이슨의 수면은 저수지(C) 내의 수면과 동일한 수위로 설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저수지(A) 내의 수면은 저수지(B) 내의 수면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수위로 설정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저수지(C)가 바다/해양인 경우, 저수지(B)와 저수지(C) 사이에서 물의 배출은 저수지(C)의 조차(tidal difference)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동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신선한 물은 저수지(B)로부터 저수지(A)로 공급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저수지(B)로부터 저수지(A)로 물을 펌핑하는 경우, 저수지(A) 내로 펌핑되는 대응하는 양의 물은 정수압 차이로 인해 또는 저수지(B) 내로의 대응하는 양의 물을 펌핑하므로 저수지(C)로부터의 물에 의해 대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베이슨 내에 양식 네트 케이지를 가진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 설비는 3 개의 상이한 저수지(A, B, C)를 포함한다. 본 도면은 또한 이들 저수지 사이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을 도시한다.
도 2는 수면의 수위 주위의 영역에서 베이슨의 둘레 및 체적이 증가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슨의 대안적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물(바다)에 접하는 토지층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단순화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위로부터 본 개략적인 도면이며, 여기서 베이슨은 바다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분리된 저수지(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한 설비의 단면도로서, 저수지(B)의 수면과 외부의 저수지(C)의 수면이 동일한 수위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베이슨의 대안적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슨의 연장된 양 단부가 서로 근접해 있고, 주위의 외부 저수지(C)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6은 부유 처리 장치를 갖는 저수지(D)를 포함하는 설비의 대안적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즉 물고기 양식용 설비(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면은 베이슨(20) 내에 배치되는 양식 네트 케이지(12)를 도시하며, 여기서 베이슨(20)은 별개의 유닛이지만 바다, 호수 또는 강과 같은 더 큰 저수지(C) 근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별개의 저수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확립된다. 첫째로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도 1에서 양식 네트 케이지(12)의 적어도 하나의 방수 천(cloth)/벽(14)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A"로 표시되는 별개의 제 1 저수지를 수용한다. 이 천 또는 벽(14)은 물에 대해 불투과성이며, 따라서 제 1 저수지(A) 내의 물 및 수질을 제어한다.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임의의 유형의 부유 방수 양식 네트 케이지일 수 있고,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양식 네트 케이지(12)에는 이것에 베이슨(20) 내에서 정확하고 적합한 수직 위치를 부여하도록, 그리고 이것이 베이슨 내에서 부유하도록, 예를 들면, 부유 칼라(floating collar; 17)와 같은 부력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베이슨(20)의 바닥 또는 지붕 부분에 견고하게 또는 유연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네트 케이지(12)는 지붕으로부터 또는 베이슨(20)의 벽에 대한 고정구를 갖는 구성으로부터 현수될 수 있다. 수위선에 대한 네트 케이지(12)의 수직 위치는 조절될 수 있는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 부유 칼라(17)는 불필요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네트 케이지(12)는 바닥 부분에 견고하게 또는 유연하게 고정되며, 경우에 따라 네트 케이지(12)는 베이슨(20)의 바닥의 프레임워크에 고정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베이슨(20)은 임의의 종류의 구조물일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는 암석 기초 내의 더 큰 건축물이나 터널과 같은 인공 구조물이다. 베이슨(20)은 저수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방수 벽(22)을 갖는다. 베이슨(20) 내의 저수지는 도 1에서 "B"로 표시되며, 제 2 저수지라고도 기술된다. 따라서,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베이슨(20) 내의 저수지(B) 내에서 부유한다.
네트 케이지(12) 및 베이슨(20)의 둘 모두의 벽이 액체에 대해 불투성이라는 점에서 양식 네트 케이지(12) 및 베이슨(20)은 둘 모두 각각 방수 벽(14, 2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벽"(14, 22)은 이러한 문맥에서 바닥 및 벽 부분의 둘 모두이다. 네트 케이지(12)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벽(벽과 바닥 부분) 과 상방을 향해 개방된 부분을 갖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 케이지(12) 내의 제 1 저수지(A)와 외부 저수지(C) 사이에 이중 장벽(이중 벽)(14, 22)이 형성되고, 이것은 설비 내로 병원성 미생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네트 케이지 내의 물고기가 설비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우수한 보호수단을 제공한다. 양식 네트 케이지(12)에 공급되는 모든 신선한 물은 저수지(B) 내의 파이프라인(18)을 통해 수집된다. 저수지(B)는 저수지(C)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이 파이프라인의 입구(30b)는 병원성 생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면(40) 아래에 충분한 깊이에 배치된다. 또한 특수 상황에서 외부 저수지(C)로부터 신선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외부 저수지(C)로부터 저수지(A)로 신선한 물을 위한 유입 파이프(모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직접 배치할 수 있으나, 이것은 덜 바람직한 해결책이며, 특수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현재, 라이스와 같은 기생충은 연어 양식에서 큰 문제가 되며, 약 15 미터를 초과하는 깊이로부터 신선한 물을 수집한다면 라이스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으로 연어 라이스는 10-15 미터 이하의 수심에서 살지 않는다. 입구(18a)에는 또한 물의 여과를 위한 필터가 장착되고, 필터에 대한 올바른 컷-오프(cut-off)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크기를 초과하는 생물이 네트 케이지(1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구(30)의 수직 위치는 저수지(C) 내의 임의의 원하는 적합한 깊이로부터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네트 케이지(12)는 약 30 미터의 수직 연장을 갖는다. 따라서, 베이슨(20)은 또한 약 35 내지 40 미터의 깊이(수위선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슨(20)은 도 1의 C로 표시된 바와 같은 외부 저수지 근처에 배치된다. 이 외부 저수지(C)는 바다, 호수, 또는 강일 수 있다. 베이슨(20)은 이 베이슨(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라인(30)을 통해, 그리고 네트 케이지(12)로부터 저수지(C)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저수지(C)와 유체 연통된다. 파이프라인에는 펌프/밸브/필터(30a)가 장착될 수 있다. 파이프라인(30)을 통해 베이슨(20)에 공급되는 물은 연어 라이스와 같은 병원성 생물이 없는 충분한 깊이로부터 수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이프라인(30)에는 입구에 필터/그리드(30b)가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저수지(B)와 저수지(C) 사이에 형성부 내의 터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유체 연통이 형성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비(10)는 하나 이상의 양식 네트 케이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설비(10)는 다수의 양식 네트 케이지(12)를 포함한다.
양식 네트 케이지의 각각은 다음과 같은 대표값을 갖는다.
용적(저수지(A)) 5000 m3
높이: 30 m
물고기 밀도 (연어); 80 kg/m3, 총 400 톤
네트 케이지 내의 물의 변화: 0.2-0.3 l/kg/min, 총 100 m3/min
성장 속도: 0.22 kg/m3/24시간, 총1100 kg/24시간
사료 인자: 1.15
사료 소비량: 1260 kg/24시간
산소 소비량: 0.25 kg/kg사료, 총 470 kg/24시간
CO2 생산: 0.4 kg/kg사료, 총 740 kg/24시간
물을 신선하게 그리고 운동 상태로 유지하려면 네트 케이지(12) 내의 물의 상당한 순환이 요구된다. 산소 농도가 양호한 물고기 건강을 보장하기에 항상 충분하도록 베이슨(20)과 네트 케이지(12) 사이에서 순환되는 물에 이것이 네트 케이지(12)에 진입하기 전에 산소를 첨가할 수 있다. 산소의 공급은, 예를 들면, 파이프라인(18)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산소의 공급을 위한 수단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음).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제거되는 물은 이것이 저수지(C)로 되돌아가기 전에 정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설비는 추가의 저수지(D)를 포함하며, 이 경우 부유될 수 있는 정수 플랜트(72)가 설치된다. 네트 케이지(12)로부터의 물은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정수 플랜트(72)로 유입되며, 정수된 물은 처리 플랜트(72)로부터 파이프라인(19c)을 통해 저수지(D)로, 다음에 이 저수지(D)로부터 파이프라인(32)를 통해 저수지(C)로 안내된다. 대안적으로, 정수된 물은 정수 플랜트(72)로부터 직접 저수지(C)로 안내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저수지(C)에 대한 물의 입구(30)와 출구(32)는 방화문(fire gate)(팜프리 존(farm-free zone), 즉, 감염성 물질이 희석되거나, 침강되거나, 또는 그 생물학적 활동도가 저하되는 장벽이 형성되도록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 양식 네트 케이지(12)의 경우, 즉 네트 케이지(12) 내의 수면이 주위의 바다와 동일한 수위에 있는 경우, 네트 케이지(12) 내부로 또는 그 외부로 물을 펌핑하기 위해서는 약 20 kW의 펌핑 효과가 필요하다.
육상의, 즉 수면(예를 들면, 바다) 위의 특정 높이에 있는 설비의 경우, 네트 케이지의 최상부까지 물을 펌핑한다면 최소 상승 높이는 30 m이다. 이것은 약 750 kW의 펌프 효과에 대응하며, 이는 16kW*시간/kg 물고기 및 네트 케이지 당 6.6 Gw*시간의 연간 소비량에 해당한다. 이는 상당한 비용을 발생시키고, 지속 불가능하므로 육상 기반의 설비의 상당한 단점이다.
도 1에 도시된 해결책에 있어서, 네트 케이지(12) 내의 저수지(A)의 수면(60)은 베이슨(20) 내의 수면(50)와 동일한 수위로 설정되고, 네트 케이지가 육상에 존재할 수 있는 강성 구조물에 배치되더라도 부유 네트 케이지와 동일한 낮은 펌핑 효과를 달성한다. 따라서, 폐쇄형 부유 해상 설비와 동일한 낮은 에너지 소비량을 갖는 폐쇄형 육상 기반의 설비를 얻을 수 있다.
양식되는 물고기에 의해 분비된 CO2 및 기타 대사산물은 네트 케이지(12) 내에 축적되므로 물을 대체해주어야 한다.
도 1에서, 베이슨(20) 내의 저수지(B)의 수면(50)는 외부 저수지(C)(예를 들면, 바다 내의 수면(40)과 대략 동일한 수위로 설정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낮은 에너지 소비량으로 저수지(B)와 저수지(C) 사이에서 물이 펌핑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의 본질적인 장점이다. 정수압과 조차는 저수지(B)로의 물의 입구에서 펌핑 없이(그러나 여과를 실행하는 상태에서) 저수지(B)와 저수지(C) 사이에서의 유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 2 저수지(B)로부터 제 1 저수지(A) 내로 물을 펌핑함에 따라, 저수지(B)는 항상 물을 비울 것이다. 저수지(A) 내로 이송되는 물의 대응하는 양은, 정수압(파이프라인/터널의 단면적이 충분히 큰 경우)으로 인해, 또는 저수지(B) 내로 물을 펌핑함으로 인해, 제 3 저수지(C)로부터의 물에 의해 대체된다.
저수지(C)가 바다/해양인 경우, 수면(40)은 조석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한다. 수면(40)의 수위의 이러한 변화는 저수지(C)로부터 저수지(B)로 또한 그 반대로 물을 이송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수에 의해 베이슨(20)이 저수지(C)에 연결된 경우, 상당한 자연적 교환이 달성되며, 이러한 자연적 교환은 물의 펌핑을 위해 전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저수지(B)와 저수지(C) 사이의 물의 교환은 암석층(미도시) 내의 전용 채널을 통해, 또는 파이프라인 터널(30)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베이슨(20)과 저수지(C)는 동일한 수위의 수면(40, 50)을 가지므로 어느 경우에도 필요한 펌핑 효과는 작다.
물이 파이프라인(18)을 통해 네트 케이지(12)로 펌핑되는 경우, 네트 케이지(12) 내의 수위(60)는 상승되고, 저수지(B)보다 높은 네트 케이지(12) 내의 수위(60)는 네트 케이지(12)의 밖으로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물을 이송시킨다.
도 2는 수면 위 및 아래에서 베이슨(20)의 일반적인 둘레보다 큰 둘레(50)를 갖는 베이슨(2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따라서 저수지(C)에 대한 조석 변화의 수준에서 베이슨(20) 내의 물의 체적은 더 크다. 이는 베이슨(20) 내의 물의 교환 시에 조석수가 갖는 효과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베이슨(20)을 형성하기 위해 암석층 내의 터널을 사용한다. 이것은 바다(110)와 같은 외부 저수지(C) 내의 섬 또는 곶(100)과 같은 토지층을 도시하는 도 3(위에서 본 수평 단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인공수로(120)가 블래스팅(blasting) 되거나 천공된다. 단부 부분(120a)은 (블래스팅되지 않거나, 다시 기밀화되어) 방수되므로 저수지(B)를 갖는 베이슨(20)은 인공수로(20) 내에 형성된다. 다수의 양식 네트 케이지(12)가 베이슨(20) 내에 부유 상태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한 해결책을 단면도로 도시하며, 여기서 베이슨(20), 네트 케이지(12), 및 베이슨(20) 내의 수면(50)이 외부 수면(40)에 대해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볼 수 있다. 층(100) 내에 형성된 베이슨(20)은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방향 인공수로가 있는 경우, 단부 부분(120a)들은 서로 근접할 수 있다.
베이슨(20) 내에 부유 상태로 배치되는 양식 네트 케이지는 하나의 방수 벽을 갖는다. 여기서 방수 벽(14)이라고 함은 네트 케이지의 형태의 전체(벽 및 바닥 부분)가 물에 대해 불침투성임을 의미한다.
저수지(B)로부터 저수지(A)로의 물의 펌핑은 네트 케이지(12) 내에서 원형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모든 고체 입자가 네트 케이지(12)의 외연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그리고 네트 케이지(12)의 외연부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그리고 저수지(A) 내의 네트 케이지(12)의 바닥의 중앙으로 하강되도록 유도하므로 이 고체 입자는 적합한 세정관에 의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네트 케이지(12)의 바닥의 출구(19)를 분할하면 더 효과적의 정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슬러지 및 사료 잔류물을 물에 용해되기 전에 분리해 내면, 이것이 용해된 후에 슬러지 및 사료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에 비해 현저히 더 적은 양의 물을 정수하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파이프라인(19a)은 네트 케이지(12)로부터 나오는 전체 물의 90-99%를 취한다. 이것은 저수지(D)로, 경우에 따라 저수지(C)로 정수되지 않은 상태로 유동할 수 있다. 유출 라인(19a)으로부터 나오는 물은 고체 물질(사료 잔류물 및 슬러지)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더 간단하게 정수될 수 있다. 네트 케이지(12)에는 사료 잔류물 및 슬러지의 분리를 위한 네트 케이지의 외부로 또한 추가의 파이프라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될 수 있다. 이 파이프라인은 네트 케이지(12)의 바닥에 위치되어, 슬러지 및 사료 잔류물을 흡인하도록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펌프(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물 파이프/펌프는 네트 케이지(12)로부터 나오는 물의 1-10%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이프라인으로부터의 물은 저수지(D) 내의 정수 필터 시스템, 자외선 및/또는 기계적 정수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정수된다.
물 입구(30)를 통한 물은 물의 유속을 지연시키도록 설치된 샤프트를 통해 저수지(B) 내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 케이지(12)로 충분한 물의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다량의 물이 저수지(B) 내로 안내된다. 물의 유속이 파이프/터널(300의 단부를 향해 저하되도록 입구 라인(30)이 저수지(B)의 근처에 있는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직경은 더 커질 수 있다. 저수지(B)의 전체에 걸쳐 물 공급을 분배하여 저수지(B) 내에 더 균일하고/저하된 흐름이 존재하도록 물의 흐름을 분할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파이프라인(30)에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키도록 저수지(B)로의 개구 내에 장벽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네트 케이지 내에서 충분한 물 관통류를 얻기 위해 높은 유속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투수성) 네트 케이지와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에서, 네트 케이지(12)가 가요성인 경우에 이것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의 유속이 제한된다.
지형은 물의 입구(30b) 및 물의 출구(32)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최적의 디자인은 지형의 일측에서 물을 유입(30b)시킬 수 있고, 지형의 타측에서 물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여기서 입구(30b)와 출구(32)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한 크다. 다른 해결책은 저수지(C)로부터 나온 물을 어떤 깊이에서 저수지(B) 내로 수집하는 것일 수 있고, 이것은 병원성 생물을 피하고, 가능한 동일한 물을 2번 사용하지 않도록 출구 위치가 표면보다 높거나 입구보다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정은 유동 조건/유속에 따라 달라지며, 모든 개별 위치에 대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동일한 물을 2번 사용하지 않도록 파이프라인을 통해 입구(30b)와 출구(32)를 서로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거리가 충분히 크면, 파이어브레이크(firebreak)(파밍 프리 존(farming free zone)), 즉 장벽으로서 기능하고, 감염성 물질은 희석되거나, 침강되거나, 또는 그 생물학적 활동도가 저하된다. 양식용 물의 수질은 양식되는 물고기로부터의 폐기물이 제거되는지의 여부에 넓은 정도로 의존한다. 입구(30b)와 출구(32) 사이의 거리가 크면, 이 물질은 저수지(C)(바다, 호수, 강 등) 내에서 희석되고, 따라서 동일 장소에서 더 많은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다.
오늘날, 법규정은 각각의 개별 위치에서 가질 수 있는 생물량(biomass)의 크기 및 상이한 위치들 사이의 거리를 제한한다. 이것은 감염의 위험 및 주변 환경에 대한 환경적으로 위협적인 배출에 기인한다. 가상의 상황에서, 설비(10) 내의 네트 케이지(12) 내에 감염의 문제가 있는 경우, 감염되는 것은 네트 케이지(12) 내에서 양식되는 물고기에 한정된다. 저수지(B)로 물을 되돌려 보낸다면, 설비(10) 내에서 양식되는 모든 물고기는 감염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저수지(B) 내에 여러 개의 저수지(A)(더 많은 네트 케이지(12))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위치에서 오늘날 장소 당 허용되는 생물량의 2 배를 초과하는 더 많은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한다.
저수지(A)로부터 저수지(C)로 물을 배출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고체 물질 및/또는 물을 위한 정수 플랜트에 연결되는 저수지(D)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저수지(B)와 저수지(D) 내의 수면은 저수지(C) 내의 고조와 저조의 도움으로 바다에 의해 변화된다. 저수지(A)를 향하는 물은 저수지(B)로부터 펌핑/토출되어야 하며, 더 높은 수면의 저수지(A) 내로 펌핑함으로써 저수지(A)로부터 저수지(D)로 물을 이송시키고, 그 후 물은 저수지(D)로부터 저수지(C)로 방해받지 않고 유동한다. 저수지(B)로부터 저수지(A)로 펌핑에 의해 저수지(B) 내의 보다 큰 관통류가 촉진된다. 저수지(A)로부터의 물은 저수지(A, B, C 및 D) 내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또한 펌프, 이젝터 시스템, 프로펠러 및/또는 압축기의 도움으로 파이프라인(19)을 통해 외부로 펌핑될 수 있다. 저수지(B)로부터 저수지(A)로의 펌핑 전력만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이 상당히 저감될 수 있다. 다음에, 저수지(A)의 수면이 저수지(B) 및 저수지(D)의 수면보다 높으면 한번만 펌핑하면 된다.
저수지(C)로부터 저수지(B)로의 물은 정수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여과 시스템, 자외선 및/또는 기계적 정수의 도움으로 정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저수지(B)로부터 저수지(A)로의 물은 여과 시스템, 자외선 및/또는 기계적 정수의 도움으로 정수될 수 있다. 저수지(A)로부터 저수지(C)로 물은 정수되지 않은 상태로 또는 여과 시스템, 자외선 및/또는 기계적 정수의 도움으로 정수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저수지(A)로부터의 물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정수되지 않은 상태로 저수지(D)로 이송될 수 있고, 여과 시스템, 자외선 및/또는 기계적 정수의 도움으로 저수지(D) 내에서 또는 저수지(D)에서 정수될 수 있다.
저수지(B)에서 표면 성장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저수지(B) 내의 물, 벽(22) 및 네트 케이지 벽(14)의 외면을 빛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이는 물 위에 광불투성 천을 덮거나 저수지(B) 상의 건조물/터널의 도움으로 가능해진다.
동일한 깊이로부터 물을 수집함으로써 저수지(A) 및 저수지(B) 내의 수온이 저수지의 입구 깊이와 동일해진다. 저수지(C) 내의 물 온도는 깊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70 미터에서의 온도는, 예를 들면, 9 ℃인데 비해 표면에서의 온도는 14 ℃일 수 있다. 사료공급, 성장 및 물고기의 복지와 관련하여 네트 케이지의 전체를 통해 동일한 온도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Claims (23)

  1. 물고기 양식용 설비(10)로서,
    상기 설비(10)는,
    - 외부 저수지(C)와 분리되는, 그리고 상기 외부 저수지(C)와 유체 연통되는 저수지(B)를 갖는 베이슨(basin; 20) ― 상기 베이슨(20)에 물을 출입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슨(20)과 상기 저수지(C) 사이에 파이프라인(30)이 연장되어 있음 ―, 및
    - 저수지(A)를 갖는 하나 이상의 양식 네트 케이지(12)를 포함하고,
    상기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상기 베이슨(20) 내에서 침수되고, 상기 베이슨(20) 내에서 부유하고, 비투수성인 벽(14)을 구비하여 배치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슨(20) 내의 수면(50) 및 상기 저수지(C) 내의 수면(40)은 동일한 수위에 있고, 또는 상기 베이슨(20) 내의 수면(50)은 저수지(C)가 바다/해양인 경우에 상기 저수지(C)의 고조(high tide)와 저조(low tide) 사이의 수위로 설정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10)는 상기 저수지(A)와 상기 저수지(C) 사이에 베이슨 벽(22)과 네트 케이지 벽(14)을 갖는 이중 장벽을 설치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케이지(12)는 또한 상기 벽(14)의 내부에 배치된 어망과 같은 투수성 벽(16)을 포함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 상기 네트 케이지(12)가 상기 베이슨(20) 내에서 부유하도록, 그리고 상기 베이슨(20) 내에서 상기 네트 케이지(12)의 올바른 수직 위치를 확립하도록 설치된 부유 장치(17),
    - 상기 저수지(B)로부터 상기 네트 케이지(12)로 신선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18a)를 갖는 파이프라인(18), 및
    -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물 및 폐기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상기 네트 케이지(12)의 하측 부분에 있는 출구(19)를 포함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19a)은 상기 저수지(B) 내의 수면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도록 충분히 유연한,
    물고기 양식용 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케이지(12)는 상기 베이슨(20)의 바닥에 견고하게 또는 유연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슨(20) 내의 수위선에 대해 상기 네트 케이지(12)의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케이지(12)는 상기 베이슨(20)의 지붕 또는 벽 부분에 견고하게 또는 유연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슨(20) 내의 수위선에 대한 상기 네트 케이지(12)의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C)로부터 상기 저수지(B)로 신선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30b)는 라이스(lice)와 같은 병원성 생물이 저수지(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면(5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는 상기 수면(40)으로부터 15 미터 이상인,
    물고기 양식용 설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슨은 저수지(C)(110) 근처의 토지층(100)에 배치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40, 50, 60)은 동일한 수위에 있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C)는 바다이고, 상기 수면의 높이 차 및 정수압을 사용하여 상기 베이슨(20)에 물을 출입시키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A)로 들어가는 물 및 상기 저수지(B)로부터 나오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정수 필터가 조수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도록 배치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슨(20) 내의 벽 부분(22a)은 더 큰 둘레를 가지므로 이 층에서 상기 베이슨(20) 내의 물의 체적이 상기 베이슨(20)의 나머지에 비해 더 커지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수 플랜트(72)가 추가의 저수지(D) 내에 부유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네트 케이지(12)로부터의 물은 상기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상기 정수 플랜트(72)에 공급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정수된 물은 상기 정수 플랜트(72)로부터 파이프라인(19c)을 통해 상기 저수지(D)에 공급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정수된 물은 상기 정수 플랜트(72)로부터 상기 저수지(C)로 직접 공급되는,
    물고기 양식용 설비.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슨(20)에 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30)은 암석층 내의 터널의 형태인,
    물고기 양식용 설비.
  19.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A)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양식 네트 케이지(12)가 베이슨(20) 내의 저수지(B) 내에 부유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양식 네트 케이지(12)는 비투수성인 벽(14)을 구비하여 배치되고, 상기 베이슨(20) 내의 저수지(B)는 외부 저수지(C)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저수지(C)로부터 상기 베이슨(20)으로의 물의 공급은 파이프라인(30)을 통해 실시되고, 상기 네트 케이지(12)로부터 상기 저수지(C)로의 물의 유출은 파이프라인(19a)을 통해 실시되고, 상기 베이슨(20)의 수면(50)은 상기 저수지(C) 내의 수면(40)과 동일한 수위로 설정되는,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 형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A)의 수면(60)은 상기 저수지(B)의 수면(50)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설정되는,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 형성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C)는 바다/해양이고, 상기 저수지(B)와 상기 저수지(C) 사이의 수위 변화는 상기 저수지(C)의 조차(tidal differences)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동되는,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 형성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신선한 물은 상기 저수지(B)로부터 상기 저수지(A)로 공급되는,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 형성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B)로부터 상기 저수지(A)로 물을 펌핑하는 경우, 상기 저수지(A) 내로 펌핑되는 물의 양에 대응하는 양은 정수압으로 인해 또는 상기 대응하는 양의 물을 상기 저수지(B) 내에 펌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저수지(C)로부터의 물에 의해 대체되는,
    물고기 양식용 저수지 형성 방법.
KR1020187032156A 2016-04-07 2017-04-06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KR102275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60573 2016-04-07
NO20160573A NO20160573A1 (no) 2016-04-07 2016-04-07 Bassenget med lukket flytende oppdrettsmerd
NO20170034A NO20170034A1 (no) 2017-01-09 2017-01-09 Basseng med lukket flytende oppdrettsmerd
NO20170034 2017-01-09
PCT/NO2017/050081 WO2017176125A1 (en) 2016-04-07 2017-04-06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590A true KR20180126590A (ko) 2018-11-27
KR102275891B1 KR102275891B1 (ko) 2021-07-09

Family

ID=5935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156A KR102275891B1 (ko) 2016-04-07 2017-04-06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0729110B2 (ko)
EP (1) EP3439467B1 (ko)
JP (1) JP6882448B2 (ko)
KR (1) KR102275891B1 (ko)
CN (1) CN109068618B (ko)
AU (1) AU2017248080B2 (ko)
CA (1) CA3018540C (ko)
CL (1) CL2018002854A1 (ko)
CY (1) CY1123102T1 (ko)
DK (2) DK3439467T3 (ko)
ES (1) ES2787382T3 (ko)
HR (1) HRP20200740T1 (ko)
LT (1) LT3439467T (ko)
MY (1) MY195142A (ko)
NZ (1) NZ746483A (ko)
PH (1) PH12018502146A1 (ko)
PL (1) PL3439467T3 (ko)
PT (1) PT3439467T (ko)
RU (1) RU2720096C1 (ko)
WO (1) WO2017176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3947B1 (en) 2017-12-20 2019-07-22 Soelvpilen As Fish farm and method for operation
NO344276B1 (no) * 2018-03-06 2019-10-28 Searas As Oppdrettsmerd
NO344591B1 (no) * 2018-03-08 2020-02-03 Norocean As Landbasert oppdrettsanlegg
NO20181637A1 (no) * 2018-12-19 2020-06-22 Gigante Havbruk As System for å minimere energiforbruk og maksimere sedimentering i et lukket oppdrettsanlegg
WO2020227831A1 (en) * 2019-05-13 2020-11-19 JLH Consulting Inc. Combined mixed-cell and raceway aquaculture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and method for growing fish thereby
NO20210255A1 (en) * 2021-02-25 2022-08-26 Andfjord Salmon AS A system for regulating fluid in at least two fluid contain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163U (ko) * 1980-09-11 1982-03-25
KR100596696B1 (ko) * 1998-10-28 2006-10-04 영성산업 주식회사 어린이용 풀장이나 간이 양어장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립형 플라스틱 수조
JP2008503224A (ja) * 2004-06-25 2008-02-07 マックロバート イアン 水産養殖システム
KR20110082324A (ko) * 2010-01-11 2011-07-19 김창운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KR20170123920A (ko) *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동신하이텍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3339A (en) * 1921-05-18 1921-10-11 Orlando F Benton Fish-pond
US3495572A (en) 1967-08-28 1970-02-17 George L Potter Method and installation for raising pompano and other estuarine fish
GB1291991A (en) * 1969-10-21 1972-10-04 Marifarms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culturing shrimp artificially
US4116164A (en) * 1976-05-19 1978-09-2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of fish farming
US4137868A (en) * 1976-09-29 1979-02-06 Pryor Taylor A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seafood in commercially significant quantities on land
GB2200822B (en) * 1987-02-11 1991-01-30 Ragnar Vadseth Farming enclosures
US4972801A (en) 1988-08-15 1990-11-27 Hunt Robert D Pumping system for producing oxygen enriched water useful in the growing of aquatic life
US5007376A (en) 1989-04-18 1991-04-16 Nor'eastern Trawl Systems, Inc. Spar bouy pen system
JPH0655084B2 (ja) * 1989-12-22 1994-07-27 東亜建設工業株式会社 取水装置
JPH03240426A (ja) * 1990-02-19 1991-10-25 Shizuo Okamoto 満潮干潮の落差を利用した海水池の浄化方法
NO911075L (no) 1991-03-19 1992-09-21 Stroemsnes Akvakultur As V Ste Miljoedokkbasert fiskeoppdrettsanlegg.
JP3077069B2 (ja) * 1991-12-27 2000-08-14 恩納村漁業協同組合 海上における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NO175341C (no) 1992-07-20 1994-10-05 Geir L Kjersem Fremgangsmåte ved tilförsel av vann til en lukket merd, utforming av en lukket merd og anvendelse av merden til utövelse av fremgangsmåte
NO331196B1 (no) * 2008-08-08 2011-10-31 Maritime Oppdrett As Merd for plassering i vann
RU81622U1 (ru) * 2008-11-21 2009-03-27 Валерий Валерьевич Зюганов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водных организмов
NO20101803A1 (no) 2010-04-22 2011-10-24 Feeder Internat As Merdkonstruksjon
WO2011133045A1 (en) 2010-04-22 2011-10-27 Feeder International As Fish farm construction and method for water flow in a fish farm construction
NO332341B1 (no) 2010-04-22 2012-09-03 Ecomerden As Merdkonstruksjon
NO333490B1 (no) * 2011-09-28 2013-06-24 Preline Fishfarming System As Oppdrettsanlegg, anvendelse av dette, et moduloppbygget oppholdskammer,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et oppholdskammer og fremgangsmate for tomming av anlegget
NO337333B1 (no) 2014-04-07 2016-03-21 Rs X As Strekkankret merd
CN104542420A (zh) * 2014-12-29 2015-04-29 天津振邦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鱼类养殖装置
NO20150884A1 (no) * 2015-07-07 2016-11-14 Fishglobe As Lukket tank for oppdrett av fisk
US10542732B2 (en) * 2017-03-08 2020-01-28 Koi Acr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and filtration of wa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163U (ko) * 1980-09-11 1982-03-25
KR100596696B1 (ko) * 1998-10-28 2006-10-04 영성산업 주식회사 어린이용 풀장이나 간이 양어장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립형 플라스틱 수조
JP2008503224A (ja) * 2004-06-25 2008-02-07 マックロバート イアン 水産養殖システム
KR20110082324A (ko) * 2010-01-11 2011-07-19 김창운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KR20170123920A (ko) *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동신하이텍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LT3439467T (lt) 2020-06-10
RU2720096C1 (ru) 2020-04-24
WO2017176125A1 (en) 2017-10-12
ES2787382T3 (es) 2020-10-16
AU2017248080A1 (en) 2018-10-11
JP2019513420A (ja) 2019-05-30
AU2017248080B2 (en) 2020-09-10
CA3018540C (en) 2021-04-06
CA3018540A1 (en) 2017-10-12
CN109068618B (zh) 2021-09-24
NZ746483A (en) 2021-12-24
PT3439467T (pt) 2020-05-21
CL2018002854A1 (es) 2019-01-25
HRP20200740T1 (hr) 2020-07-24
PH12018502146A1 (en) 2019-09-23
MY195142A (en) 2023-01-11
US20190110447A1 (en) 2019-04-18
EP3439467B1 (en) 2020-03-04
US10729110B2 (en) 2020-08-04
DK3439467T3 (da) 2020-06-02
EP3439467A1 (en) 2019-02-13
DK180233B1 (en) 2020-08-28
JP6882448B2 (ja) 2021-06-02
CN109068618A (zh) 2018-12-21
CY1123102T1 (el) 2021-10-29
DK201800714A1 (en) 2018-12-03
KR102275891B1 (ko) 2021-07-09
PL3439467T3 (pl)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891B1 (ko)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EP2587915B1 (en) Fish farm construction and method for water flow in a fish farm construction
CN109963463B (zh) 水处理或海洋动物养殖的浮动装置
CN103112996B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方法及装置
CN203152265U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装置
NO332341B1 (no) Merdkonstruksjon
CA3067662A1 (en) Floating, closed, self-supporting fish-farming cage comprising a tubular membrane made of a polymer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low biofouling adhesion, and system of fish-farming cages
WO2019245385A1 (en) An arrangement at floating net cage
KR101544708B1 (ko) 부력기능을 구비한 양식장 프레임을 이용한 해저양식 시스템
JP2006296283A (ja) 魚類の養殖装置並びにその方法
CN109819926A (zh) 船载循环水养殖系统
CA3137153A1 (en) Device for transport and treatment of liquid
EP2773190B1 (en) Device for a land-based aquaculture farm
JP2023109012A (ja) 並列式循環瀘過養殖装置
CN106258924A (zh) 一种冷海水养鱼废水的浒苔增殖处理系统及方法
NO20170034A1 (no) Basseng med lukket flytende oppdrettsmerd
NO20160573A1 (no) Bassenget med lukket flytende oppdrettsmerd
KR20150039061A (ko) Mnh식 다단 양식장
NO344634B1 (en) A displacement bod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of water to an onshore or offshore seafood farm
JP2019170165A (ja) 魚類養殖装置
NO20101803A1 (no) Merdkonstruksjon
JP2005348664A (ja) 陸上養殖装置
HU216977B (hu) Környezetkímélő, zárt terű, úszó medencés halnevelő berendezé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