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324A -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 Google Patents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324A
KR20110082324A KR1020100002248A KR20100002248A KR20110082324A KR 20110082324 A KR20110082324 A KR 20110082324A KR 1020100002248 A KR1020100002248 A KR 1020100002248A KR 20100002248 A KR20100002248 A KR 20100002248A KR 20110082324 A KR20110082324 A KR 2011008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ish tank
tank
water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528B1 (ko
Inventor
김창운
Original Assignee
김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운 filed Critical 김창운
Priority to KR102010000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528B1/ko
Priority to PCT/KR2011/000169 priority patent/WO2011084029A2/ko
Publication of KR2011008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에 관한 것으로,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112)가 형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100);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100)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100)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및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흡입관(510)과, 배출구(112)로 집중된 퇴적 이물질이 흡입관(510)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가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한 흡입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식용을 위한 해양생물의 채집 방식은 크게 자연 포획(수렵)과 인공양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인공양식은 인근 해의 일지점에 망을 쳐서 인위적인 경계를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경계의 범위 내에 해양생물을 가두어 양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양식은 해양생물을 실제 서식환경에서 인공적으로 대량 생장시킬 수 있고, 필요 시 필요한 수만큼의 채집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인공양식은 바다를 낀 어촌에서 널리 실시되는 어업활동이다.
그런데, 인공양식장은 자연과 직접 접하는 바다에 조성되므로, 자연재해 및 각종 재해 발생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이러한 영향은 양식중인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끼쳐 폐사의 원인이 되므로, 해양생물에 대한 인공양식은 쉽지 않은 어업 분야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양식량 공급분야에서 적지않은 비율을 차지하는 인공양식을 손쉽고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해산물의 수렵 및 양식으로 수입원이 한정되는 어촌의 경제 분야를 확장시켜서 지역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와, 어수조의 하단부와 지상로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와,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 또는 지하로에 설치되는 제1필터와, 어수조와 지하로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를 구비한 입수로;
어수조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를 구비한 출수로; 및
배출구와 연통하는 흡입관과, 배출구로 집중된 퇴적 이물질이 흡입관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가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한 흡입장치;
를 포함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수조와; 본수조를 이격되게 감싸도록 지면에 조성되고, 배출구를 통해 본수조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수용하는 배수조와; 배수조와 출수로를 연통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과, 해수의 배수관 이동을 강제하는 배수펌프로 된 배수장치;로 구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와; 어수조의 하단부와 지상로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와;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 또는 지하로에 설치되는 제1필터와; 어수조와 지하로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를; 구비한 입수로: 및
어수조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를; 구비한 출수로:
를 포함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해수의 자연순환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통해 해양생물의 인공양식을 내륙에서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식하는 해양생물을 다양한 자연재해 및 사고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어획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륙에 인공양식장을 둠으로서, 인공양식장의 관리와 채집 및 해양생물에 대한 양식을 위한 필수수단인 선박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공양식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내륙 내 인공양식장 주변을 관광지로 개발해서 해당 어촌의 수입원을 다원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3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는 내륙에 설치되는 어수조(100)와, 어수조(100)로의 해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로(200)와, 어수조(100)에 유입된 해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출수로(300)와, 어수조(100)에 퇴적된 각종 이물질을 강제 흡입해 분리하는 흡입장치(50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어수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정수하는 정수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어수조(100)는 지면을 굴착해서 해수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토사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것으로,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입수로(200)와, 어수조(1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수로(300)의 시공방식과 더불어 공지,공용의 토목공사 방법이 적용된다. 따라서, 어수조(100),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의 시공을 위해 처리되는 토목공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수로(200)는 바다(S)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지상로(210)와, 지상로(210)를 따라 유입된 해수를 어수조(100)로 안내하는 지하로(220)로 구성된다. 이는 어수조(100) 내 해수의 순환을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출수로(300)는 어수조(1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바다(S) 또는 하구(R) 등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출수로(300)를 통해 유출되는 해수는 양식되는 해양생물에 의해 상대적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바다(S) 또는 하구(R)로의 유출 이전에 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정수시스템(400)이 출수로(300)에 설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는 어수조(100)가 내륙에 설치되고, 어수조(100)를 유출입하는 해수의 원활한 순환을 위한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가 지상에 설치된다.
입수로(200)는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어수조(100)로 안내하기 위한 지상로(210)와 지하로(220)로 구성된다. 지상로(210)의 깊이는 만조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깊이로 시공되면 족할 것이나, 인위적으로 조성된 지상로(210)를 관광상품화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와 만조의 구분없이 해수의 유입이 항시 이루어지는 깊이로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상로(210)의 경우 간조와 만조의 구분없는 해수의 유입을 위해서는 비교적 깊은 깊이로 시공될 것이므로, 지상로(210)의 상면을 덮어서 지상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양한 용도의 인공구조물을 건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수로(200)는 도 7(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의 일측에 편중하게 연통해서, 입수로(2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가 어수조(100") 내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도록 된다. 이때, 입수로(20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력은 간조 또는 만조 등의 수위 차에 의한 유압에 준하므로, 어수조(100") 내 소용돌이는 해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회전력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회전력은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소용돌이의 중심으로 결집하는 힘이 된다. 참고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의 제3실시모습을 고려해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조(130)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소용돌이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어수조(100, 100")의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용돌이는 어수조(100, 100")라는 인위적인 공간에 해류를 발생시켜서, 실제 바다(S)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어수조(100, 100")에서도 실제 바다로 인식해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용돌이 형성을 위해 인공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으므로, 양식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른 소용돌이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해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계속해서, 지상로(210)를 따라 유입된 해수는 지하로(220)를 따라 지하로 유입돼 어수조(100)로 입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로(220)는 어수조(100)의 하단부에 연결돼 연통해야 하고, 인위적인 펌프질 없이도 어수조(100)의 입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지하로(220)는 경사로로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지하로(220)는 지상로(210)로 유입된 해수가 어수조(100)에 유입되기 위한 통로이므로, 해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낼 수 있는 제1필터(f1) 및 제2필터(f2)가 내설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필터(f1, f2)는 지하로(22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제2필터(f2)는 어수조(100)에 양식되는 해양생물의 탈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것이다.
어수조(100)는 양식 대상인 해양생물을 수용하도록 내륙에 설치된 수조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어수조(100)의 하단부로 출수되면서 상단부에 연결된 출수로(300)로 유출되므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는 상승하는 형태로 흘러서 어수조(100) 전체에 대한 원활한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의 바닥은 배출구(112)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112)로의 집중을 위한 깔때기 형상을 이룬다. 결국, 어수조(100)에 생성되는 각종 부유물 등의 이물질은 바닥에 퇴적될 시에 배출구(112) 쪽으로 자연히 이동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로(200)는 어수조(100)에 편향하게 연통하므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에는 소용돌이가 형성되는데, 소용돌이의 중심에 배출구(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어수조(100) 내에는 해양생물이 배출구(112)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경계망(150)이 더 형성된다. 경계망(150)은 상기 이물질의 관통은 가능하나 해양생물의 관통은 곤란한 크기의 격자형상을 이룰 수 있다.
출수로(300)는 어수조(100)의 상단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설치 위치(높이)는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의 수위가 출수로(300)의 높이에 이르면 자연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지점이면 족하다. 참고로, 출수로(300)를 통해 유출되는 해수는 정수시스템(400)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해수는 정화되어 자연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수시스템(400)은 어수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걸러내어서, 환경오염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정화수단이다. 정수시스템(400)에서 정화된 해수는 출수로(300)를 따라 하구(R) 또는 바다(S)로 직접 유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어수조(100)와 출수로(300)의 경계에는 제3필터(f3)가 내설된다. 제3필터(f3)는 해양생물의 양식으로 인해 어수조(100)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들을 걸러서, 상기 이물질들이 출수로(300)를 통해 자연계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어수조(100)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출수로(300)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차단한다.
흡입장치(500)는 일단이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흡입관(510)을 포함하는 것으로, 흡입관(5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펌핑수단(미도시함)을 두어서, 배출구(112) 쪽으로 집중되는 어수조(100) 내 이물질을 강제로 흡입해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펌핑수단은 정수시스템(400)에 내설되어서, 흡입관(510)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정수시스템(40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정수시스템(400)과는 분리된 별도의 펌핑수단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다른 처리장소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흡입장치(500)의 구동은 펌핑수단의 흡입력을 낮춰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 기간을 간격으로 강한 흡입력으로 구동시켜서 다량의 이물질이 일시에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1실시모습에 대한 구동모습을 설명한다.
도 2(a)는 간조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적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입수로(200)가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시공되어서 간조시에도 해수가 어수조(100)에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입수로(200)의 바닥 높이를 간조시의 해수 높이보다 높게 할 경우에는, 입수로(200)를 통한 해수의 유입이 차단될 것이다.
한편, 출수로(300)의 바닥 높이는 양식을 위해 어수조(100)가 수용해야 할 해수의 양이 고려된 높이로 시공된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시에도 해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입수로(200)가 시공되면, 간조 또는 만조의 구분없이 어수조(100)로 해수가 유입되므로, 출수로(300)는 어수조(100)로 유입된 해수가 지속해 유출될 수 있는 높이로 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에 유입된 해수 높이는 간조 및 만조에 따라 변할 수밖에 없으나,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 출수로(300)로 인해 어수조(100)의 해수 높이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도 2(b)는 만조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많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라 어수조(100) 내 해수의 수위 또한 다소 증가하고, 그 증가량만큼이 출수로(300)를 통해 곧바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는 본수조(110)의 둘레를 따라 확장된 보조수조(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수조(120)는 본수조(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경계벽(111)을 매개로 구획된 공간으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조시에는 경계벽(111)에 의해 해수가 가두어지면서 본수조(110)에 수용된 해수가 안정된 저수상태로 유지되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만조시에는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유입된 후 출수로(300)로 유출되므로, 본수조(110)에 수용된 해수가 안정된 순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본수조(110)는 경계벽(111)의 높이 범위로 해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본수조(110)에 저수된 해수가 상방으로 유수되는 특성으로 인해서 해수면으로 부유하게 되는 각종 이물질들이 만조시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유입되므로, 관리자는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보조수조(120)에서 상기 이물질에 대한 수거 및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보조수조(120)의 깊이는 본수조(110)의 깊이보다는 얕되 출수로(300)의 깊이보다는 깊도록 시공되어서,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이동된 상기 이물질이 보조수조(120)에 상대적으로 안정하게 퇴적되고, 이를 통해 관리자는 보조수조(120)에 퇴적된 상기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제3필터(f3)는 보조수조(120)와 출수로(300)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3필터(f3)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은 어수조(100')에 배기장치(600)가 내설될 수 있다. 배기장치(600)는 말단에 다수의 배기구가 형성된 배기관(610)과,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해 배기관(610)의 배기구를 통해 어수조(100')로 배기되도록 강제하는 배기펌프(620)를 포함한다.
배기관(610)은 배기펌프(620)가 지속적으로 이송해 제공하는 공기를 기포상태로 배출시켜서 어수조(100')의 해수에 상승하는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상승 기포는 상기 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에 부력을 가해 수면으로 띄워서, 관리자는 수면에 떠오른 이물질을 손쉽게 거둬들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승 기포를 발생시키는 배기관(610)이 본수조(110)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수조(110)에 한정됨 없이 보조수조(120)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승 기포 발생을 위한 공기 공급라인이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공급라인의 일단은 배기펌프(620)에 연통하고, 타단은 지상으로 개방되어서, 배기펌프(620)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되고, 이렇게 흡기된 공기는 배기관(610)으로 전달됨은 당연한 것이므로, 상기 공급라인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이외에도, 배기관(61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자연 공기일 수도 있지만, 해수의 살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혼합기체일 수 있고, 이러한 혼합기체는 별도의 탱크에 보관돼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라인은 지상으로 개방되는 대신에 상기 탱크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어수조(100')의 본수조(110) 내에는 경계망(15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배기관(610)은 경계망(150)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배기관(61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승 기포가 경계망(150)에 의해 간섭돼 원활히 상승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에는 각각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입수도어(230) 및 출수도어(310)는 어수조(100)를 중심으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에서의 역류발생시 이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입수도어(230)는 간조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가 입수로(200)를 따라 역류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출수도어(310)는 만조시 해수가 출수로(300)를 따라 역류해 어수조(100)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230)는 입수로(2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판(231)과, 지지판(23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이동대(232)와, 지지판(231)에 고정되고 입설된 문(2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233)와,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문(234)을 포함한다. 참고로,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는 그 구조가 동일,유사하므로, 출수도어(310)의 구조 설명은 입수도어(230)의 구조 설명으로 대신하되, 출수도어(310)는 출수로(300)에 배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를 '도어'로 통칭한다.
지지판(231)은 입수로(100)의 해수이동 방향으로 길이형성된 레일(231a)을 구비하고, 입수로(200)의 바닥 상면에 고정된다.
이동대(232)는 레일(2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해당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바아 형상의 렉(232a)과 가이드(232b)와 렉(232a) 및 가이드(232b)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저항판(232c, 232c')으로 구성되되, 렉(232a)과 가이드(232b)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결국, 렉(232a)과 가이드(232b)는 전,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2저항판(232c, 232c')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렉(232a)의 기어는 가이드(232b)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2저항판(232c, 232c')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와 직접 맞닿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면서 해수의 유향에 따라 유력을 받을 수 있도록 되고, 그 대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제1,2저항판(232c, 232c')을 지나는 해수의 와류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결국, 제1,2저항판(232c, 232c')은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에 반응해 힘을 받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렉(232a)과 가이드(232b) 또한 레일(231a)의 안내를 받아 일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한다.
고정대(233)는 입설된 문(2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이동대(23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233a)를 형성한다. 참고로, 고정대(233)는 입수로(20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문(234)을 일렬로 배치 고정한다.
문(234)은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피니언형 회전축(234a)의 말단이 이동대(232)의 렉(232a)과 가이드(232b)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에 따라 렉(232a)이 이동할 때, 렉(232a)과 맞물리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이 연동해 회전하므로,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대(233)에 고정된 문(234)은 피니언형 회전축(234a)의 회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문(234)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서, 도 5(a)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유수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5(a)는 입수로(200)를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해수가 흐를 경우, 상기 해수의 유력에 의해 이동대(23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렉(232a)이 문(234)의 피니언형 회전축(234a)과 연동해 문(234)을 회전시켜서 이웃하는 문(234) 간의 간격을 최대로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입수로(200)를 따라 정해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해수가 흐를 경우, 상기 해수의 유력에 의해 이동대(232)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는 렉(232a)이 문(234)의 피니언형 회전축(234a)과 연동해 문(234)을 회전시켜서 이웃하는 문(234) 간의 간격을 최소로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웃하는 문(23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면서,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대(232)의 최대 이동거리는 물리적으로 제한되므로,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력에 무한대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232)가 오른쪽 또는 왼쪽의 최 외곽에 위치할 때 이웃하는 문(234)의 간격은 최소 또는 최대가 될 것이다.
가이드(232b)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에 마찰을 주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되 레일(231a)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므로, 문(234)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대(232)의 균형적인 이동을 보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장의 제3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는 입수로(200)와 직접 연통하는 본수조(110)와, 본수조(110)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본수조(11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일시 저수하는 배수조(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배수조(130)는 본수조(110)의 둘레 전체를 감싸면서도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수조(11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배수조(130) 내에서 들어 올려져 고정된다.
이를 통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시에는 해수가 본수조(110)에만 저수되고, 만조시에는 해수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수조(110)를 넘쳐 배수조(130)로 유입되면서 본수조(110)의 해수를 순환시킨다. 한편, 배수조(130)로 유입된 해수는 배수장치(140)에 의해 출수로(300)로 강제 배수되는데, 이를 위해 배수장치(140)는 일단이 배수조(130)에 연통하고 타단이 출수로(300)에 연통하는 배수관(141)과, 해수의 배수관(141)을 통한 이송을 강제하는 배수펌프(142)로 구성된다.
도 6에서는 본수조(110)의 상단 일측이 타측에 비해 낮게 도시되고 상기 일측에만 제3필터(f3)가 설치된 것으로 하였지만, 본수조(110) 전체가 상기 일측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제3필터(f3) 또한 본수조(110)의 선단면 둘레를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수조(110)의 배출구(112)로 해양생물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망(150')은 본수조(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경계망(150')의 가장자리에는 저항부(151)가 형성되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의 일 구성인 본수조(110)에 편중되게 연통된 입수로(200)의 배출 해수가 경계망(150')에 유력을 가한다. 결국, 경계망(150')은 소용돌이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소용돌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해수의 이물질들이 소용돌이의 중심으로 원활히 집중될 수 있다.
참고로, 경계망(150')은 그 둘레부가 본수조(110)의 내면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면서 경계망(150') 전체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원형 디스크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본수조(110)의 내면 둘레는 원형의 경계망(150')이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하기 위한 원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112)가 형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100);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100)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100)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및
    배출구(112)와 연통하는 흡입관(510)과, 배출구(112)로 집중된 퇴적 이물질이 흡입관(510)으로 강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가하는 펌핑수단을 구비한 흡입장치(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수조(100)는
    입수로(200)와 연통하는 본수조(110); 및
    본수조(1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경계벽(111)으로 구획된 공간이고, 만조시 경계벽(111)을 넘은 본수조(110)의 해수를 수용해서 출수로(300)로 안내하는 보조수조(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3.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고, 내면 둘레가 원형을 이루면서 바닥면에 배출구(112)가 형성된 본수조(110)와; 본수조(110)를 이격되게 감싸도록 지면에 조성되고, 배출구(112)를 통해 본수조(11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수용하는 배수조(130)와; 배수조(130)와 출수로(300)를 연통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141)과, 해수의 배수관(141) 이동을 강제하는 배수펌프(142)로 된 배수장치(140);로 구성된 일정 체적의 어수조(100):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되, 어수조(100)에 편중하게 연통되어서 배출되는 해수의 유력으로 어수조(100) 내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및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에 설치되고,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231a)을 구비한 지지판(231);
    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레일(231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렉(232a)과, 레일(231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렉(232a)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232b)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렉(232a) 및 가이드(232b)의 전,후단을 각각 연결하면서 해수의 유력을 받는 제1,2저항판(232c, 232c')을 구비한 이동대(232);
    지지판(231)에 안착 고정되고, 이동대(232)가 관통하는 관통구(233a)를 형성한 고정대(233); 및
    렉(232a)과 맞물려 연동하고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되어서, 해수가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를 개폐하는 문(234);
    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2)로 해양생물이 근접하지 못하도록 어수조(10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경계망(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망(150)은 내면 둘레가 원형인 어수조(100)에 상응하는 원형을 이루면서 어수조(10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입수로(2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의 유력을 받아 경계망(150)이 회전하도록 하는 저항부(15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KR1020100002248A 2010-01-11 2010-01-11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KR10117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248A KR101170528B1 (ko) 2010-01-11 2010-01-11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PCT/KR2011/000169 WO2011084029A2 (ko) 2010-01-11 2011-01-11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248A KR101170528B1 (ko) 2010-01-11 2010-01-11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324A true KR20110082324A (ko) 2011-07-19
KR101170528B1 KR101170528B1 (ko) 2012-08-01

Family

ID=4430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248A KR101170528B1 (ko) 2010-01-11 2010-01-11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0528B1 (ko)
WO (1) WO201108402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90A (ko) * 2016-04-07 2018-11-27 기어 노달-페덜슨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5310B (zh) * 2015-05-06 2017-02-01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光唇鱼仿生态工厂规模化繁育驯养方法
CN108668988A (zh) * 2018-08-03 2018-10-19 郑成恩 鳗鱼养殖池清洗结构及其工作方法
NO20210804A1 (no) * 2021-06-22 2022-12-23 Diamant Wire Teknikk As Landbasert oppdrettsanlegg
CN116076431B (zh) * 2023-04-06 2023-06-27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高效的鱼池水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06A (ja) * 2001-03-13 2002-09-17 Hitachi Zosen Corp 海水等利用水槽
KR200324700Y1 (ko) * 2003-06-12 2003-08-29 유덕수 활어조
JP3837709B2 (ja) * 2004-10-04 2006-10-25 一郎 鷲山 回遊魚の陸上養殖用水槽
KR200383183Y1 (ko) * 2005-02-01 2005-05-03 김용득 양식장용 사육수조
KR100748017B1 (ko) * 2006-11-01 2007-08-14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90A (ko) * 2016-04-07 2018-11-27 기어 노달-페덜슨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528B1 (ko) 2012-08-01
WO2011084029A2 (ko) 2011-07-14
WO2011084029A3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528B1 (ko)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RU2720096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ыб
JP2007319002A (ja) 藻類処理船および藻類処理システム
CN101360544A (zh) 用于收集和/或排除淤泥的方法和装置
KR20120072728A (ko)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KR100875803B1 (ko) 순환 유수식 양어장
CN104396835A (zh) 一种池塘自动清污养殖网箱
CN106587485B (zh) 一种再生水补给型湖泊水体净化装置及施工方法
CN204317266U (zh) 一种池塘自动清污养殖网箱
CN106400759A (zh) 一种双通道藻类收集装置
KR102224305B1 (ko) 보 상류의 수질 관리 및 오염 대응 시스템
KR101089024B1 (ko)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안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170537B1 (ko)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KR101170535B1 (ko) 부유물 제거의 효율성을 높인 육상의 해양어류 양식구조물
JPH1113039A (ja) 河川の水の貯水装置
KR20090020471A (ko) 파이프라인 관수로 사이펀수조 구조 수족관 장치및 그장치방법
CN210620372U (zh) 改性势能复氧生物转盘
KR101905669B1 (ko) 부유 조류를 포함한 수상 부유물질의 채집장치
CN207022934U (zh) 循环水养殖系统
CN111544925A (zh) 水面浮油清理装置
RU141474U1 (ru) Рыб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забора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CN210369131U (zh) 矿泉水原水引入系统
CN211025251U (zh) 一种带有盖板的二沉池
JPS6124713A (ja) 取水排水装置
CN212308924U (zh) 水面浮油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