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452U - 커넥터클립 - Google Patents

커넥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452U
KR20100002452U KR2020080011455U KR20080011455U KR20100002452U KR 20100002452 U KR20100002452 U KR 20100002452U KR 2020080011455 U KR2020080011455 U KR 2020080011455U KR 20080011455 U KR20080011455 U KR 20080011455U KR 20100002452 U KR20100002452 U KR 20100002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portion
panel
clip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1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452U/ko
Publication of KR20100002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0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with two stabl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커넥터클립(30)은 패널에 결합되기 위한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의 사이에는 신축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가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가 커넥터결합부(40)에 탄성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의 클립공에 커넥터클립(30)의 패널결합부(31)가 고정된 상태에서 커넥터결합부(40)는 유동가능하므로, 커넥터클립(30)의 커넥터결합부(40)와 결합된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패널결합부(31)는 신축부(44)에 의해 커넥터결합부(40)에 탄성지지되므로 차량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커넥터클립(30)과 연결된 커넥터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클립, 탄성변형, 와이어, 장력

Description

커넥터클립{Connector clip}
본 고안은 커넥터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클립에 의해 커넥터가 패널에 고정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등의 패널(1)의 일측에는 클립공(3)이 천공된다. 상기 클립공(3)에 커넥터클립(5)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클립(5)에는 골격을 형성하는 클립몸체(7)의 일단으로 길게 연결목부(9)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목부(9)는 그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상기 클립공(3)을 관통한다. 상기 연결목부(9)의 선단에는 양측으로 경사지게 탄성날개(1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날개(11)는 상기 패널(1)의 일측 표면에 그 선단이 걸어진다. 상기 탄성날개(11)의 선단 사이의 폭은 상기 클립공(3)의 폭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공(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날개(11)가 탄성변형되었다가 클립공(3)을 통과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클립공(3)을 통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클립몸체(7)중 상기 탄성날개(11)가 구비된 반대쪽에는 상기 패널(1)의 타측 외면에 선단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탄성지지부(13)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3)는 도면을 기준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형상으로, 가장자리가 패널(1) 방향으로 굽어 있으며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선단 가장자리가 패널(1)에 밀착된다.
상기 클립몸체(7)에는 상기 탄성지지부(13) 측에 커넥터결합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15)는 커넥터클립(5)과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17)를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커넥터(17)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7)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클립(5)은 상기 커넥터(17)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1)의 클립공(3)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7)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거나, 상기 패널(1)의 클립공(3)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커넥터(17)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클립공(3)에 상기 커넥터클립(5)을 억지로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넥터(17)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와이어와 함께 잡아당겨져 상기 커넥터(17)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 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7)와 상대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가 그 와이어의 길이가 짧거나 설치방향이 맞지 않아 상기 커넥터(17)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삽입되지 않고 비스듬히 삽입되는 경우, 상대 커넥터의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17)와의 결합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넥터(17) 및 상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정확하게 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커넥터클립(5)을 구성하는 상기 클립몸체(7)와 커넥터결합부(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상기 커넥터결합부(15)가 흔들리면 상기 커넥터클립(5)과 연결된 상기 커넥터(17)에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결합부(15)로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커넥터(17)에 전달됨으로 인해 상기 커넥터결합부(15)와 커넥터(17)가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와 패널 사이의 상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커넥터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신축부가 구비되는 커넥터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패널에 고정되는 패널결합부와; 상기 패널결합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 그리고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커넥터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커넥터결합부가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신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축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의 외면과 접하는 상기 신축부의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패널결합부와 커넥터결합부 사이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에는 일측으로 개구되게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커넥터클립을 구성하는 패널결합부와 커넥터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패널결합부와 커넥터결합부가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신축부가 형성되므로, 패널의 클립공에 커넥터클립의 패널결합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커넥터결합부는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클립과 결합된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커넥터클립의 패널결합부와 결합된 커넥터는 신축부에 의해 유동가능하므로, 상대 커넥터가 그 와이어의 길이가 짧거나 설치방향이 맞지 않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클립의 패널결합부는 신축부에 의해 커넥터결합부에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차량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커넥터클립과 연결된 커넥터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진동에 의한 충격이 완화됨으로 인해 커넥터클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클립(30)(이하 '클립'이라 칭함)은 커넥 터(미도시)에 장착된 상태로 자동차의 패널(미도시) 등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클립(3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클립(30)은 패널에 결합되기 위한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31)는 상기 클립(30)을 패널(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패널결합부(31)에는 연결목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목부(32)는 아래에서 설명될 신축부(5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목부(32)는 그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상기 패널의 클립공(미도시)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목부(32)의 선단 양측에는 탄성날개(33)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날개(3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목부(32)의 선단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지지부(35)를 향해 비스듬히 연장된다. 즉, 상기 탄성날개(33)는 상기 연결목부(32)에 그 기저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목부(3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날개(33)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날개(33)의 선단에는 상기 패널의 일측 표면에 지지되는 지지단(3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33')은 상기 패널의 일측 표면에 지지되어 클립(30)이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목부(32)의 하단부에는 탄성지지부(3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지지부(35)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가장자리가 상기 탄성날개(33)를 향해 굽어있으며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지지부(35)는 상기 클립(30)이 상기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 패널의 표면에 양측 선단이 밀착되면서 약간 탄성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지지부(35)는 대략 그 형상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지지부(35)는 그 가장자리가 상방을 향해 약간 라운드지는 타원 또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31)의 하방에는 커넥터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40)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육면체형상이다. 상기 커넥터결합부(40)에는 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40)의 형상은 결합되는 커넥터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결합부(40)의 양단에는 리브걸이단(41)이 길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진 리브걸이단(41)은 커넥터의 대응되는 부분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의 외면 일측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의 사이에는 신축부(4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신축부(44)는 그 양단이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상기 커넥터결합부(4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신축부(44)는 도 2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링 형상이다.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가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가 커넥터결합부(40)에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40)의 외면과 접하는 상기 신축부(44)의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 사이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신축부(44)는 도 2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가 상기 신축부(44)가 원형으로 형성했을 때보다 길기 때문이다.
상기 신축부(44)의 중앙에는 변형공간(45)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45)은 상기 신축부(44)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빈 공간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44)의 일측에는 개구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6)는 신축부(44)의 변형공간(45)과 연통되도록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6)는 상기 개구부(46)가 형성되지 않은 클립(30)을 사용했을 때보다 커넥터결합부(40)를 더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46)는 상기 신축부(44)의 탄성변형이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개구부(46)가 형성되지 않은 클립(30)의 패널결합부(31)는 상기 신축부(44)에 의해 커넥터결합부(40)와 평행하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개구부(46)가 형성된 클립(30)의 패널결합부(31)는 탄성변형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46)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넥터(미도시)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대물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클립(30)과 커넥터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30)의 커넥터결합부(40)를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클립(30)을 상기 패널의 클립공을 향해 위치시킨 후, 상기 패널결합부(31)를 상기 클립공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패널결합부(31)의 연결목부(32)가 상기 클립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날개(33)는 선단이 상기 연결목부(32)측에 인접하도록 탄성변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신축부(44)는 삽입력에 의해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커넥터결합부(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널결합부(31)의 연결목부(32)가 상기 클립공을 통과하면 상기 탄성날개(33)는 원형으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날개(33)의 지지단(33')은 상기 패널의 표면에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신축부(44)도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거나, 상기 패널의 클립공이 정확한 위치로부터 벗어난 곳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클립(30)은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신축부(44)는 상기 패널결합부(31)와 상기 커넥터결합부(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패널의 클립공을 다시 형성하거나,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고도 상기 클립(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의 클립공에 클립(30)의 패널결합부(31)가 고정된 상태에서 커넥터결합부(40)는 유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클립(30)과 결합된 커넥터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의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30)의 패널결합부(31)와 결합된 커넥터는 신축부(44)에 의해 유동가능하므로, 상대 커넥터가 그 와이어의 길이가 짧거나 설치방향이 맞지 않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31)는 상기 신축부(44)에 의해 상기 커넥터결합부(40)에 탄성지지된다. 즉, 상기 커넥터결합부(40)에 외부 진동에 의한 충격이 상기 신축부(44)에 전달되는데, 상기 신축부(44)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패널결합부(2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클립에 의해 커넥터가 패널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클립 31: 패널결합부
32: 연결목부 33: 탄성날개
33': 지지단 35: 탄성지지부
40: 커넥터결합부 41: 리브걸이단
44: 신축부 45: 변형공간

Claims (4)

  1. 패널에 고정되는 패널결합부와;
    상기 패널결합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 그리고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커넥터결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와 상기 커넥터결합부가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신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결합부의 외면과 접하는 상기 신축부의 외주면의 길이는 상기 패널결합부와 커넥터결합부 사이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에는 일측으로 개구되게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KR2020080011455U 2008-08-27 2008-08-27 커넥터클립 KR201000024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55U KR20100002452U (ko) 2008-08-27 2008-08-27 커넥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55U KR20100002452U (ko) 2008-08-27 2008-08-27 커넥터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52U true KR20100002452U (ko) 2010-03-09

Family

ID=4419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455U KR20100002452U (ko) 2008-08-27 2008-08-27 커넥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45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519B1 (ko) * 2010-03-10 2012-06-1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유동방지 파스너
CN103608603A (zh) * 2011-06-09 2014-02-26 标致·雪铁龙汽车公司 用于固定在刚性件的开口中的柔软材料接触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519B1 (ko) * 2010-03-10 2012-06-14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유동방지 파스너
CN103608603A (zh) * 2011-06-09 2014-02-26 标致·雪铁龙汽车公司 用于固定在刚性件的开口中的柔软材料接触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926B2 (en) Fastener
US7556542B2 (en) Electrical connector in the form of a socket contact having a special lamellar construction
CN112092765A (zh) 紧固夹
KR101455866B1 (ko) 도어 커넥터
KR20100002452U (ko) 커넥터클립
KR100830701B1 (ko) 커넥터클립
KR102204446B1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US20150340792A1 (en) Contact having a resistant primary lance for locking in a contact chamber of a plug-in connector
CN106394433B (zh) 电线引导装置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JP2014171275A (ja) プロテクタ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2920Y1 (ko) 커넥터 하우징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5637Y1 (ko) 커넥터클립
KR20080003675U (ko) 커넥터하우징
KR20100002454U (ko)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KR20090004119U (ko) 커넥터
KR200444896Y1 (ko) 커넥터
CN210517632U (zh) 用于线束的线束保持装置
KR102496262B1 (ko) 정션블록 단자 구조
KR200464162Y1 (ko) 커넥터클립의 고정장치
KR20090121095A (ko) 후크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