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262B1 - 정션블록 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정션블록 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262B1
KR102496262B1 KR1020170172549A KR20170172549A KR102496262B1 KR 102496262 B1 KR102496262 B1 KR 102496262B1 KR 1020170172549 A KR1020170172549 A KR 1020170172549A KR 20170172549 A KR20170172549 A KR 20170172549A KR 102496262 B1 KR102496262 B1 KR 10249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lock
spring
hole
insertion groo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474A (ko
Inventor
박성철
김경태
신승환
박규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2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높은 진동 부하가 부가되는 상태에서도 높은 전기 접속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정션블록 단자 구조{TERMINAL STRUCTURE FOR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높은 진동 부하가 부가되는 상태에서도 높은 전기 접속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션블록 하우징(500)에는 릴레이류(3), 퓨즈류, 커넥터와 단자(1)가 장착된다. 차량의 기능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정션블록 하우징(500) 내 회로수는 점점 증가한다. 이에 정션블록 하우징(500)의 크기 및 중량은 점점 증대되어 정션블록 하우징(500) 내 부가되는 진동 부하가 점점 증대하게 된다. 이는 전지 접속 부품인 단자의 보다 높은 내진동성을 요구한다.
종래의 단자 구조에서는 단자 삽입 전 단자의 래치에서 공정간 이동 중 또는 취급 중에 가는 전선이나 기타 이물질의 끼임으로 변형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하우징 내 단자 체결이 불완전상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자와 하우징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부품간 조립을 위한 유격(상하 좌우 유격)으로 인하여 하우징에서 단자로 진동 부하가 전달되어 단자의 접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18843 A KR 20-2009-0000752 U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높은 진동 부하가 부가되는 상태에서도 높은 전기 접속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관통홀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제1스프링부가 형성된 바디부; 바디부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탄성을 가지며 삽입시 제1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제2스프링부가 형성된 커넥트부; 및 일측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바디부가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바디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래치가 돌출형성되고, 커넥트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래치보호가이드가 형성되어, 바디부의 제1관통홀에 삽입시 래치와 걸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치보호가이드는 돌출된 래치에 커넥터부의 삽입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래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의 타측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삽입홈에 삽입되어 바디부와 하우징의 체결을 유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탄성을 가지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제2삽입홈에 삽입시 걸림후크가 바디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의 걸림후크에는,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의 타측에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스프링부는 끝단이 바디부의 내벽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3삽입홈 및 제1관통홀에 상대 단자 삽입시 탄성력에 의해 상대 단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스프링부는 끝단이 절곡되어, 상대 단자 삽입시 제2스프링부의 끝단의 가압에 의해 바디부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제1스프링부는 끝단이 절곡되어, 상대 단자 삽입시 제2스프링부의 끝단의 가압에 의해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스프링부는 탄성력에 의해 제2스프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대 단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따르면,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높은 진동 부하가 부가되는 상태에서도 높은 전기 접속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라인 공급 전 하네스 공정에서 단자 래치의 변형으로 인한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부하에 대한 내진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가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의 바디부 및 커넥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상대 단자가 결합되는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가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의 바디부 및 커넥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상대 단자가 결합되는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는, 제1관통홀(101)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관통홀(101)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제1스프링부(110)가 형성된 바디부(100); 바디부(100)의 제1관통홀(101)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탄성을 가지며 삽입시 제1스프링부(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제2스프링부(320)가 형성된 커넥트부(300); 및 일측에 제1삽입홈(501)이 형성되며, 바디부(100)가 제1삽입홈(501)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커넥트부(300) 및 후술할 상대 단자(700)가 삽입될 제1관통홀(101)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관통홀(101)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제1스프링부(110)가 형성되어 커넥트부(300)를 보호하며 정션블록 또는 하우징(500) 내 기계적 구조로 체결을 담당한다.
제1스프링부(1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대 단자(700) 삽입시 하우징(500)가 맞닿으면서 탄성을 가지게 되어 X축(1-1')방향의 진동 부하를 흡수하고, 후술할 제2스프링부(320)의 상대 단자(700)에 대한 접촉력을 보조한다.
커넥트부(300)는 바디부(100)의 제1관통홀(101)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탄성을 가지며 삽입시 제1스프링부(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제2스프링부(320)가 형성되어 전선과 압착되어 회로간 전기 접속을 담당한다.
제2스프링부(3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대 단자(700) 삽입시 탄성에 의해 상대 단자(700)를 압착하고, 접촉을 유지한다.
하우징(500)은 일측에 제1삽입홈(501)이 형성되어 바디부(100)가 제1삽입홈(501)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트부(300)가 체결된 바디부(100)를 수용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래치(130)가 돌출형성되고, 커넥트부(3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래치보호가이드(330)가 형성되어, 바디부(100)의 제1관통홀(101)에 삽입시 래치(130)와 걸림 체결된다.
여기서, 래치(130)는 바디부(100)의 X축방향(1-1') 양 측단에 돌출형성되고, 래치보호가이드(330)는 커넥트부(300)의 X축방향(1-1') 양 측단에 돌출된 래치보호가이드(330)가 형성되어 래치(130)와 걸림 체결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래치보호가이드(330)가 래치(130)에 외측에서 내측방향, 즉 커넥터부(300)의 삽입방향으로 체결됨으로 체결됨으로써, 단자(1) 삽입 전 가는 전선이나 기타 이물질의 끼임으로 인한 바디부(100)의 래치(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500)의 타측에는 제2삽입홈(502)이 형성되며, 제2삽입홈(502)에 고정부재(600)가 삽입되어 바디부(100)와 하우징(500)의 체결을 유지한다.
고정부재(60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탄성을 가지는 걸림후크(610)가 형성되어, 제2삽입홈(502)에 삽입시 걸림후크(610)가 바디부(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 체결된다. 이를 통해, 단자(1) 체결 유지 기능뿐만 아니라 걸림후크(610)의 탄성을 통해 하우징(500)에서 단자(1)로 전달되는 Y축(2-2')방향의 진동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600)의 걸림후크(610)에는 제2삽입홈(50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62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600)를 제2삽입홈(502)에 삽입시 단자(1)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대 단자가 본 발명의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체결되는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하우징(500)의 타측에 제3삽입홈(503)이 형성되고 제2스프링부(320)의 끝단(322)은 바디부(100)의 내벽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3삽입홈(503) 및 제1관통홀(101)에 상대 단자(700) 삽입시 탄성력에 의해 상대 단자(700)와 접촉되어 고정시키게 된다. 제2스프링부(320)와 상대 단자(700)와의 접촉력은 제2스프링부(320)가 상대 단자(700)를 고정시키고 있는 힘으로써, 접촉력이 높을수록 접촉 저항은 낮아진다.
제1스프링부(110)는 끝단(112)이 절곡되어 상대 단자(700) 삽입시 제2스프링부(320)의 끝단의 가압에 의해 바디부(100)의 내벽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의 X축방향(1-1') 양 측단인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2관통홀(102)이 형성되며, 제1스프링부(110)는 끝단(112)이 절곡되어, 상대 단자(700) 삽입시 제2스프링부(320)의 끝단(322)의 가압에 의해 제2관통홀(102)을 관통하여 하우징(500)의 내벽에 접촉된다. 제1스프링부(110)가 내벽과의 접촉을 통해 탄성이 발생하여 단자(1)로 전달하는 진동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프링부(110)는 탄성력에 의해 제2스프링부(320)를 가압함으로써 상대 단자(700)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스프링부(110)는 제1스프링부(110)와 하우징(500) 내벽과의 간섭량만큼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프링부(320)의 접촉력을 보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구조에 따르면, 정션블록에 체결되는 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높은 진동 부하가 부가되는 상태에서도 높은 전기 접속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라인 공급 전 하네스 공정에서 단자 래치의 변형으로 인한 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부하에 대한 내진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정션블록 단자 100: 바디부
101: 제1관통홀 102: 제2관통홀
110: 제1스프링부 130: 래치
300: 커넥트부 320: 제2스프링부
330: 래치보호가이드 500: 하우징
501: 제1삽입홀 502: 제2삽입홀
503: 제3삽입홀 600: 고정부재
610: 걸림후크 620: 경사면
700: 상대 단자

Claims (10)

  1.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관통홀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제1스프링부가 형성된 바디부;
    바디부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탄성을 가지며 삽입시 제1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제2스프링부가 형성된 커넥트부; 및
    일측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바디부가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제1스프링부는 끝단이 절곡되고, 하우징으로 상대 단자의 삽입시 제2스프링부의 가압에 의해 제1스프링부가 바디부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래치가 돌출형성되고,
    커넥트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래치보호가이드가 형성되어, 바디부의 제1관통홀에 삽입시 래치와 걸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래치보호가이드는 돌출된 래치에 커넥터부의 삽입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래치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타측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삽입홈에 삽입되어 바디부와 하우징의 체결을 유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탄성을 가지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제2삽입홈에 삽입시 걸림후크가 바디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림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걸림후크에는,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타측에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며,
    제2스프링부는 끝단이 바디부의 내벽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3삽입홈 및 제1관통홀에 상대 단자 삽입시 탄성력에 의해 상대 단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8. 삭제
  9.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관통홀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는 제1스프링부가 형성된 바디부;
    바디부의 제1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탄성을 가지며 삽입시 제1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제2스프링부가 형성된 커넥트부; 및
    일측에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바디부가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바디부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스프링부는 끝단이 절곡되며, 하우징으로 상대 단자의 삽입시 제2스프링부의 가압에 의해 제1스프링부가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스프링부는 탄성력에 의해 제2스프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대 단자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단자 구조.
KR1020170172549A 2017-12-14 2017-12-14 정션블록 단자 구조 KR10249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49A KR102496262B1 (ko) 2017-12-14 2017-12-14 정션블록 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49A KR102496262B1 (ko) 2017-12-14 2017-12-14 정션블록 단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74A KR20190071474A (ko) 2019-06-24
KR102496262B1 true KR102496262B1 (ko) 2023-02-08

Family

ID=6705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49A KR102496262B1 (ko) 2017-12-14 2017-12-14 정션블록 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2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992B1 (ko) * 2000-12-28 2003-05-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
KR200443255Y1 (ko) 2007-07-20 2009-02-04 주식회사 아시아 연결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정션박스와 커넥터의결합구조
KR20090048947A (ko) * 2007-11-12 2009-05-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이에 이용되는 판형단자 및 하우징
KR100950674B1 (ko) * 2007-12-21 2010-04-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1601299B1 (ko) 2010-08-24 201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정션박스
KR20140008879A (ko) * 2012-07-12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삽입성 및 결합성이 향상되는 커넥터 단자
KR20140008778A (ko) * 2012-07-12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용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74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7710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8808026B2 (en) Waterproof structure
US6280262B1 (en) Connector
EP2797173A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KR20120027020A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US6217358B1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JP2012142089A (ja) コネクタ部材
KR101234175B1 (ko) 자체 정렬 연결구
KR20100027008A (ko)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단자 위치 확정 부재
WO2019171970A1 (ja) 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CN110062984B (zh) 具有锁夹的插拔连接器
KR102496262B1 (ko) 정션블록 단자 구조
KR100733849B1 (ko) 암단자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9008B1 (ko) 탄성 접촉편을 구비한 차폐 커넥터
JP2019165000A (ja) 弾性押圧要素を有する電気プラグ
CN107528143B (zh) 用于与基板接触的端子、使用了该端子的连接器以及具有该连接器的连接器装置
CN107017485B (zh) 具有端子检查机构的基板连接器
JPH10223311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12952481B (zh) 电连接器总成及其板端连接器与线端连接器
CN112952482B (zh) 电连接器总成及其板端连接器与线端连接器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CN114361841A (zh) 电端子
KR101489787B1 (ko) 두 개의 스프링 구역을 갖는 직결식 플러그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