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266A -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266A
KR20100002266A KR1020097022677A KR20097022677A KR20100002266A KR 20100002266 A KR20100002266 A KR 20100002266A KR 1020097022677 A KR1020097022677 A KR 1020097022677A KR 20097022677 A KR20097022677 A KR 20097022677A KR 20100002266 A KR20100002266 A KR 2010000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gree
throttle opening
torque
requested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453B1 (ko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0000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84Throttle control device with means for signalling a certain throttle opening, e.g. by a steplike increase of throttle closing spr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13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 F02D2041/1432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the system including a filter, e.g. a low pass or high pass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요구 토크로부터 산출한 스로틀 개도에 기초하여 스로틀 밸브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스로틀 밸브의 과대한 반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요구 토크를 집약하고 (단계 100),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02). 그 감도가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먼저, 진동적인 요구 토크만을 스로틀 개도로 변환하고 (단계 106), 다음으로 그 이외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요구 토크를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다 (단계 108). 계속해서, 단계 106 에서 산출된 요구 스로틀 개도와, 단계 108 에서 산출된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하여, 최종적인 스로틀 개도를 산출한다.
내연 기관의 제어장치, 요구 토크, 스토틀 개도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7073호,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목표 토크의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의 변화가 큰 영역에서의, 목표 토크의 미동에 대한 스로틀 밸브의 과대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상기 영역 이외에서는 목표 토크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고, 상기 영역 내에서는 액셀 개도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7073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목표 토크는, 액셀 개도에 기초하는 운전자의 요구로부터 출력될 뿐만 아니라, 차량 운동 제어 등으로부터도 출력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그 차량 운동 제어 등의 운전자 이외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요구 토크로부터 산출한 스로틀 개도에 기초하여 스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경우에, 스로틀 밸브의 과대한 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로서,
내연 기관에 대해, 개개의 목적에 기초하여 각각 요구 토크를 출력하는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 (感度) 가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감도 판정 수단과,
상기 감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복수의 상기 요구 토크 중, 가장 진동적인 요구 토크를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 제 1 요구 스로틀 개도와, 그 이외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요구 토크를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 제 2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함으로써,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스로틀 개도 산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발명은,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로서,
내연 기관에 대해, 개개의 목적에 기초하여 각각 요구 토크를 출력하는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스로틀 개도 산출 수단과,
상기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감도 판정 수단과,
상기 감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기관 회전수가 상기 감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영역으로 이행하도록,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은, 상기 집약 후 요구 토크를 할증 보정함으로써,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은, 보기 (補機) 부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제 1 발명에 의하면, 내연 기관에 대해 검출되는 복수의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큰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가장 진동적인 요구 토크만을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 제 1 요구 스로틀 개도와, 그 이외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요구 토크를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 제 2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함으로써, 최종적인 스로틀 개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집약 후 요구 토크를 그대로 스로틀 개도로 변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가 과대하게 반응 (작동)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로틀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내연 기관에 대해 검출되는 복수의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큰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감도가 작은 영역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스로틀 밸브가 과대하게 반응 (작동)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로틀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집약 후 요구 토크를 할증 보정함으로써, 기관 회전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로틀 밸브의 과대한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보기 부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관 회전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로틀 밸브의 과대한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비교예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하는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 실행되는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 은 토크-스로틀 개도 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 실행되는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0 내연 기관
12 피스톤
16 흡기 통로
18 배기 통로
26 촉매
32 흡기 밸브
36 배기 밸브
50 ECU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형태 1.
[시스템 구성의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의 내연 기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하는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내연 기관 (10) 을 구비하고 있다. 내연 기관 (10) 의 기통 수 및 기통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연 기관 (10) 의 각 기통 내에는, 피스톤 (12) 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기통에는, 흡기 통로 (16) 및 배기 통로 (18) 가 연통되어 있다.
흡기 통로 (16) 에는, 전자 제어식의 스로틀 밸브 (20) 가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 밸브 (20) 의 근방에는, 스로틀 밸브 (20) 의 개도 (이하,「스로틀 밸브」라고 한다) 를 검출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 (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 통로 (18) 에는,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촉매 (26) 가 배치되어 있다.
내연 기관 (10) 의 각 기통에는, 흡기 포트 내에 연료를 분사시키는 연료 인젝터 (28) 와, 연소실 내의 혼합기에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플러그 (30) 와, 흡기 밸브 (32) 와, 배기 밸브 (36) 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시한 바와 같은 포트 분사식 기관에 한정되지 않고, 통 내 직접 분사식 기관이나, 포트 분사와 통 내 직접 분사를 병용하는 기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내연 기관 (10) 의 크랭크축 (24) 의 근방에는, 크랭크축 (24) 의 회전 각도 (크랭크각) 를 검출하기 위한 크랭크각 센서 (4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셀 페달의 근방에는, 액셀 개도를 검출하는 액셀 포지션 센서 (44)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엔진 ECU (Electronic Control Unit) (50) 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ECU (이하 간단히「ECU」라고 한다) (50) 에는, 상기 서술한 스로틀 포지션 센서 (22), 크랭크각 센서 (42), 액셀 포지션 센서 (44) 등의 각종 센서 나, 상기 서술한 스로틀 밸브 (20), 연료 인젝터 (28), 점화 플러그 (30) 등의 각종 액추에이터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시스템은, 또한 차량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ABS-ECU (52) 와,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 (Vehicle Stability Control) 을 제어하는 VSC-ECU (54) 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1 의 특징]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연 기관 (10) 에 대해, 복수의 요구 토크가 검출된다. 이 요구 토크로는, 예를 들어, 액셀 개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운전자로부터의 요구 토크, 보기류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보기류 구동 요구 토크, ABS-ECU (52) 로부터 출력되는 ABS 요구 토크, VSC-ECU (54) 로부터 출력되는 VSC 요구 토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ECU (50) 는, 그것들 복수의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스로틀 밸브 (20) 에 대한 스로틀 개도 지시값 (이하, 간단히「스로틀 개도」라고 한다) 을 산출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비교예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비교예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
도 2 는, 비교예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요구 토크 A, B, C 의 세 가지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중, 요구 토크 A 는, 요구 토크 B, C 와 비교하여 진동 (미소한 변동) 을 반복하고 있다.
도 2(b) 는, 요구 토크 A, B, C 를 집약한 (예를 들어 서로 더한) 요구 토크 (이하「A, B, C 집약 요구 토크」라고 한다) 를 도시하고 있다. 이 A, B, C 집약 요구 토크는, 요구 토크 A 의 진동에서 기인하여 진동하고 있다.
내연 기관 (10) 에서는, 엔진 회전수와 스로틀 개도에 따라서 토크가 정해진다. ECU (50) 에는, 그 관계를 나타내는 맵 (이하「토크-스로틀 개도 맵」이라고 한다) 이 기억되어 있다. 도 2(c) 는, 도 2(b) 의 A, B, C 집약 요구 토크를 그 토크 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변환하여 산출된 스로틀 개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 (10) 에서는, 스로틀 밸브 (20) 가 전개 (WOT : Wide Open Throttle) 에 가까운 영역 (이하, 「WOT 영역」이라고 한다) 에서는, 토크의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의 변화가 비교적 커진다는 성질이 있다. 이 때문에, 도 2(c)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OT 영역에서는, A, B, C 집약 요구 토크의 진동에 수반하는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도하게 커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비교예의 수법으로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면, WOT 영역에서 스로틀 밸브 (20) 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급격한 작동을 반복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스로틀 밸브 (20) 에 부담이 가해져,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의 폐해를 일으킨다.
(본 실시형태의 스로틀 개도 제어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기로 하였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스로틀 개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 에 도시하는 요구 토크 A, B, C 가 있는 경우에, 먼저, 그 중에서 가장 진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요구 토크 A 만을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다 (도 3(c)).
이어서, 가장 진동적인 요구 토크 A 이외의 요구 토크 B, C 를 집약한 (예를 들어 서로 더한) 요구 토크 (이하「B, C 집약 요구 토크」라고 한다) 를 산출한다 (도 3(b)). 계속해서, 이 B, C 집약 요구 토크를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다 (도 3(c)).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요구 토크 A 를 만족시키는 요구 스로틀 개도와, B, C 집약 요구 토크를 만족시키는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함 (예를 들어 서로 더함) 으로써, 최종적인 스로틀 개도를 산출한다 (도 3(d)). 이상 설명한 도 3 에 도시하는 경우의 신호의 흐름을 정리하면, 도 4 와 같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 방법에 의하면,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토크 A 를 만족시키는 스로틀 개도는, 감도가 민감한 WOT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변동이 과대해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요구 토크 A 를 만족시키는 스로틀 개도와, B, C 집약 요구 토크를 만족시키는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하여 산출되는 최종적인 스로틀 개도도, 그 변동이 과대해지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수법에 의하면,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대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구체적 처리]
도 5 는, 상기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 ECU (50) 가 실행하는 루틴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에 도시하는 루틴에 의하면, 먼저, 내연 기관 (10) 에 대해 검출되어 있는 복수의 요구 토크가 집약 (예를 들어 서로 더해짐) 된다 (단계 100).
이어서, 상기 단계 100 에서 산출된 집약 후 요구 토크 (이하「집약 후 요구 토크」라고 한다) 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102). 이 처리 102 에서는, 예를 들어, 전술한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있어서, 집약 후 요구 토크가 소정 WOT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된다. 혹은, 집약 후 요구 토크의 미소 변화 ΔTrq 와, 집약 후 요구 토크를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시험적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스로틀 개도의 미소 변화 ΔTA 로부터, ΔTA/ΔTrq 를 산출하고, ΔTA/ΔTrq 가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된다.
상기 단계 102 에서,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집약 후 요구 토크를 그 대로 스로틀 개도로 변환해도,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대해지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집약 후 요구 토크가 스로틀 개도로 변환된다 (단계 104).
한편, 상기 단계 102 에서,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먼저 복수의 요구 토크 중, 진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요구 토크만이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로 변환된다 (단계 106).
계속해서, 상기 단계 106 에서 선택된 진동적인 요구 토크 이외의 요구 토크가 집약됨과 함께, 그 집약된 요구 토크가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로 변환된다 (단계 108). 그리고, 상기 단계 106 에서 산출된 요구 스로틀 개도와, 상기 단계 108 에서 산출된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함으로써, 최종적인 스로틀 개도가 산출된다 (단계 110).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 영역이어도,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대 (급격) 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로틀 밸브 (20) 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에서는, ABS-ECU (52) 및 VSC-ECU (54) 가 상기 제 1 발명에서의「요구 토크 출력을 수단」에 상당한다. 또, ECU (50) 가 액셀 개도에 기초하여 운전자로부터의 요구 토크를 산출하는 것, 및 보기류의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구동 요구 토크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제 1 발명에서의「요구 토크 출력 수단」이, 상기 단계 100 및 102 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1 발명에서의「감도 판정 수단」이, 상기 단계 106 ∼ 110 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1 발명에서의「스로틀 개도 산출 수단」이 각각 실현되고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대해 설명하는데,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 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시스템 구성을 이용하여, ECU (50) 에, 후술하는 도 7 에 도시하는 루틴을 실행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의 특징]
도 6 은, 토크-스로틀 개도 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는, 엔진 회전수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즉, 스로틀 개도가 크고, 또한 엔진 회전수가 낮은 영역에서는,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지만, 동일하게 스로틀 개도가 큰 영역이어도, 엔진 회전수가 높아질수록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는 낮아져 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 영역이던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를 변화 (상승) 시킴으로써,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지 않은 영역으로 이행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엔진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하기의 두 개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로 했다.
(1) 보기를 구동하기 위한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2) 집약 후 요구 토크를 할증시키고,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구체적 처리]
도 7 은, 상기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 ECU (50) 가 실행하는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 에 도시하는 루틴에 의하면, 먼저, 내연 기관 (10) 에 주어져 있는 복수의 요구 토크가 집약된다 (단계 120). 이어서, 상기 단계 120 에서 산출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122). 이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 1 의 단계 102 의 처리와 동일하다.
상기 단계 122 에서,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다음으로, 현재 상태가 연비 우선 모드인지 여부가 판별된다 (단계 124). 본 실시형태에서, ECU (50) 는, 운전자의 조작, 혹은 차량 상태 등에 따라, 소정의 경우에 연비 성능을 특별히 우선하는 연비 우선 모드로 내연 기관 (10) 을 운전한다. 단계 124 에서, 그 연비 우선 모드로 판별된 경우에는, 보기류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오프된다 (단계 126).
한편, 상기 단계 124 에서, 연비 우선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 120 에서 산출된 집약 후 요구 토크 Trq-rq 가, 하기 식에 의해 보정된다 (단계 128).
Trq-rq = Trq-rq + ΔTrq … (1)
상기 (1) 식에 의하면, 상기 단계 120 으로 산출된 집약 후 요구 토크 Trq-rq 에 보정분 ΔTrq 가 가산됨으로써, 집약 후 요구 토크가 할증된다.
상기 단계 126 혹은 128 의 처리 후에, 집약 후 요구 토크가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로 변환된다 (단계 130). 이 때, 상기 단계 126 의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보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소비되는 토크가 경 감되므로, 엔진 토크에 여유가 생겨 엔진 회전수가 상승한다. 한편, 상기 단계 128 의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집약 후 요구 토크가 할증되어 있으므로, 엔진 토크에 여유가 생겨 엔진 회전수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큰 영역으로부터,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신속히 이행하므로,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대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에 도시하는 루틴의 처리에 의하면, 연비 우선 모드시에는, 보기 구동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연료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22 에서,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집약 후 요구 토크를 그대로 스로틀 개도로 변환해도, 스로틀 개도의 변동이 과대해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토크-스로틀 개도 맵에 기초하여, 집약 후 요구 토크가 그대로 스로틀 개도로 변환된다 (단계 130).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는, ECU (50) 가, 상기 단계 120 및 130 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발명에서의「스로틀 개도 산출 수단」이, 상기 단계 122 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발명에서의「감도 판정 수단」이, 상기 단계 124, 126, 128 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발명에서의「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이 각각 실현되었다.

Claims (4)

  1. 내연 기관에 대해, 개개의 목적에 기초하여 각각 요구 토크를 출력하는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감도 판정 수단과,
    상기 감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복수의 상기 요구 토크 중, 가장 진동적인 요구 토크를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 제 1 요구 스로틀 개도와, 그 이외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요구 토크를 스로틀 개도로 변환한 제 2 요구 스로틀 개도를 집약함으로써,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스로틀 개도 산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2. 내연 기관에 대해, 개개의 목적에 기초하여 각각 요구 토크를 출력하는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의 요구 토크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요구 토크를 집약한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스로틀 개도를 산출하는 스로틀 개도 산출 수단과,
    상기 집약 후 요구 토크에 기초하여, 토크 변화에 대한 스로틀 개도 변화의 감도가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감도 판정 수단과,
    상기 감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기관 회전수가 상기 감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영역으로 이행하도록,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은, 상기 집약 후 요구 토크를 할증 보정함으로써,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회전수 변경 수단은, 보기 부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관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KR1020097022677A 2007-05-14 2008-03-17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KR101108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8514A JP4301323B2 (ja) 2007-05-14 2007-05-14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JP-P-2007-128514 2007-05-14
PCT/JP2008/054882 WO2008139778A1 (ja) 2007-05-14 2008-03-17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66A true KR20100002266A (ko) 2010-01-06
KR101108453B1 KR101108453B1 (ko) 2012-01-31

Family

ID=400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677A KR101108453B1 (ko) 2007-05-14 2008-03-17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0289B2 (ko)
EP (1) EP2146078A1 (ko)
JP (1) JP4301323B2 (ko)
KR (1) KR101108453B1 (ko)
CN (1) CN101680384B (ko)
WO (1) WO2008139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5533B2 (ja) * 2010-06-22 2014-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N107191154B (zh) * 2016-03-15 2020-07-3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井口回压调控方法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896B2 (ja) 1998-09-17 2004-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627532B2 (ja) 1998-10-02 2005-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0192838A (ja) * 1998-12-25 2000-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エンジン制御装置
JP3332011B2 (ja) * 1999-06-22 2002-10-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270099B2 (ja) * 2004-10-19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7254472B2 (en) * 2005-02-09 2007-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ordinated torque control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JP2007046502A (ja) * 2005-08-08 2007-02-22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4780003B2 (ja) * 2007-03-09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6078A1 (en) 2010-01-20
WO2008139778A1 (ja) 2008-11-20
US8240289B2 (en) 2012-08-14
KR101108453B1 (ko) 2012-01-31
JP4301323B2 (ja) 2009-07-22
US20100101532A1 (en) 2010-04-29
CN101680384B (zh) 2012-07-18
JP2008280984A (ja) 2008-11-20
CN101680384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3313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460093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6291803A (ja) エンジンのトルク制御装置とそれを備えた車両制御システム
US6584834B1 (en) Method for detecting combustion misses
KR101108452B1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JPH0960543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108453B1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JP200828607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0962640A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66764B2 (ja) 内燃機関用制御装置
JP4710804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190358A (ja) 内燃機関のトルク制御装置
JP201200748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9240322A (ja) 車両パワートレインの制御装置
EP2165057B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099225A (ja) 車両の自動走行制御装置
JP2007170198A (ja) 内燃機関のトルク制御装置
US8219301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8170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107216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7278133A (ja) エンジン軸トルク推定装置
JP200124848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612233Y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011058418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150388A (ja) エンジンのトル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