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011A - 사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011A
KR20100002011A KR1020080072166A KR20080072166A KR20100002011A KR 20100002011 A KR20100002011 A KR 20100002011A KR 1020080072166 A KR1020080072166 A KR 1020080072166A KR 20080072166 A KR20080072166 A KR 20080072166A KR 20100002011 A KR20100002011 A KR 2010000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opening
closing door
storage tank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식
Original Assignee
최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식 filed Critical 최희식
Publication of KR2010000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 축사의 여물통에 일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사의 여물통 상부측에 배치되어 사료가 저장되고, 상기 여물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여물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여물통 전체에 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료저장탱크;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여물통으로 사료를 투입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축의 사료 공급 시간에 맞춰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사료를 여물통에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축사에 구조 변경 없이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되어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가축, 소, 사료, 자동공급, 여물통

Description

사료 공급 장치{Feed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 축사의 여물통에 일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등의 가축을 사육하기 위해서 축사가 이용되고 있는데, 근래의 축사는 관리의 편리함 및 각종 자재들의 표준화 및 대량생산을 위하여 약 5마리의 소가 하나의 울타리에서 사육되도록 한 축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축사는 금속재 울타리의 전면에 사료가 투입되어 가축이 직접 먹을 수 있도록 한 여물통이 배치되어지며, 바닥에는 짚이나 건초 등을 깔아 소가 생활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육질을 갖는 소가 사육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소의 사육 과정에서는 고품질의 육질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양의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직접 여물통에 사료를 투입함에 따라 소의 사육이 매우 힘들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정 시간에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사료 공급 장치들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힘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축사 환경에 적용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 축사의 여물통에 일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 과정에서 사료가 개폐도어와 배출구의 사이 틈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이 줄어들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도어가 폐쇄될 때 사료가 잘게 부스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도어의 회전수에 따라 여물통으로 방출되는 사료의 양이 조절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에서 길러지는 가축의 수에 따라 저장되는 사료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너비조절판의 간격 조절 작동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와 별도로 건초를 가축에게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의 여물통 상부측에 배치되어 사료가 저장되고, 상기 여물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여물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여물통 전체에 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료저장탱크;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켜 상기 여물통으로 사료를 투입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개폐도어와 접촉 및 이격되면서 개폐되는 측 모서리가 반대측 모서리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의 끝단으로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될 때 개폐도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밀착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된 사료를 수용하여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사료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회전수에 따라 여물통으로 배출되는 사료의 양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내측에 저장되는 사료의 양이 줄어들도록 하는 너비조절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비조절판은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측방으로 관통되고 내측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양 단이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너비조절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일측에 건초를 저장하는 건초저장함이 구비되되, 축사와 마주보는 건초저장함의 일측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사료저장탱크와 개폐도어의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 축사의 여물통에 일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사료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가축의 사료 공급 시간에 맞춰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사료를 여물통에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종래의 축사에 구조 변경 없이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되어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 과정에서 사료가 개폐도어와 배출구의 사이 틈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이 줄어들도록 함으로서, 사료가 개폐도어와 배출구 사이 틈에 끼임에 따른 개폐도어의 작동불량 및 사료의 부스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판을 구비하여 개폐도어가 폐쇄될 때 사료가 잘게 부스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사료가 잘게 부스러짐에 따라 가축이 사료를 기피하거나 사료를 먹이는 과정에서 사료 찌꺼기가 남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도어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외측면에 사료수용홈을 형성하여 개폐도어의 회전수에 따라 여물통으로 방출되는 사료의 양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사료의 토출량을 정확히 조절하고 제어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질 뿐만 아니 라, 사료의 하중이 개폐도어에 가해져 개폐도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너비조절판을 구비하여 축사에서 길러지는 가축의 수에 따라 저장되는 사료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축의 수에 따른 최적의 양을 간편하게 여물통에 투입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너비조절판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사료저장탱크에 이동축을 구비하여 너비조절판의 간격 조절 작동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너비조절판을 사료저장탱크에 넣거나 빼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사료저장탱크의 사료저장 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초저장함을 구비하여 사료와 별도로 건초를 가축에게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축의 사육에 소요되는 사료 및 건초를 각각 별도로 최적의 시간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사육된 가축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개폐도어(20)의 폐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개폐도어(20)의 개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건조 된 분말 또는 입자 상태의 가축용 사료를 일정량씩 여물통에 자동으로 투입하기 위한 사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량의 사료가 저장되고 하면에 여물통의 폭과 대응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사료저장탱크(10)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1)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0)로 구성된다.
상기 사료저장탱크(10)는 대량의 사료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사료가 투입되도록 하되 여물통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통체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여물통의 폭과 대응되도록 개방된 배출구(11)를 형성하여 배출구(11)를 통해 사료가 배출될 때 여물통 전체에 고르게 사료가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료저장탱크(10)는 내측면이 상기 배출구(1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료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사료가 배출구(1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도어(20)는 상기 배출구(11)에 결합되어 배출구(11)를 개폐시킴에 따라 사료가 여물통으로 투입되거나 투입이 중단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유압실린더 등에 의해 개폐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제어가 간편하면서도 원활한 개폐 작동을 위하여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일측에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개폐도어(20)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개폐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20)는 상술한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단면이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개폐판(22)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1)는 개폐도어(20)의 개폐 작동 시에 개폐도어(20)와 접촉 또는 이격되면서 개폐되는 측 모서리가 그 반대 측 모서리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개폐도어(20)의 개폐 작동 과정에서 배출구(11)의 최초로 개방되는 부분이 개방전인 부분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개폐도어(20)의 회전 개폐 작동 과정에서 사료가 개폐도어(20)의 상면을 따라 상시 하부 측 개방부 측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개폐도어(20)와 배출구(11) 사이의 틈으로 사료가 끼어들어 개폐도어(20)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사료가 잘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배출구(11)의 내측면에는 상술한 개폐도어(20)의 끝단이 맞닿는 도어지지앵글(12)을 구비함으로써, 개폐도어(20)의 폐쇄 작동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배출구(11)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료저장탱크(10)에 대량의 사료를 미리 저장한 후에 상술한 구동모터의 작동을 별도의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하여 사료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양 만큼만 여물통으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축사에서 사료를 공급하고 관리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사료저장탱크(10)의 일측에는 사료저장탱크(10)의 사료가 배출될 때 사료저장탱크의 내측면에 찌꺼기가 들러붙는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구(11)로 배출되도록 사료저장탱크(10)에 진동을 가하는 통상의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는것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개폐도어(20)의 폐 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개폐도어(20)의 개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배출구(1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20)가 폐쇄될 때 개폐도어(20)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밀착판(13)을 구비하여 개폐도어(20)와 배출구(11) 사이의 틈에 사료가 끼여 잘게 부서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밀착판(13)은 탄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구(11)와 개폐도어(20) 사이에는 밀착판(13)이 탄성 변형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개폐도어(20)와 배출구(11) 사이의 틈에 사료가 끼일 때 밀착판(13)이 변형되면서 사료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료가 잘게 부서져 찌꺼기로 남거나, 가축이 부서진 사료를 먹는 것을 기피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에는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수가 사료저장탱크(10)의 기준 마릿수 보다 적어질 때 사료가 저장되는 공간이 줄어들도록 하는 너비조절판(30)이 구비된다.
상기 너비조절판(30)은 측면 및 하면이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료가 저장되는 공간 및 그에 따라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11)의 면적을 줄여 가축의 마릿수에 따른 최적의 양으로 사료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면에는 가축의 마릿수에 따른 최적화된 면적 간격으로 돌기를 형성하고, 너비조절판(30)이 돌기에 걸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하중에 의해 너비조절판(30)이 불필요하게 밀려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너비조절판(30)의 설치 및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너비조절판(30)의 위치 이동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너비조절판(30)은 상술한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에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너비조절판(30)에 측방으로 관통되고 내측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31)을 형성하고,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에는 양 단부가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체결공(31)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나선이 형성된 이동축(32)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축(32)에 형성된 나선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 측이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술한 너비조절판(30)이 이동축(32)의 양 측에 이격되어 체결되도록 하며, 이동측의 일측 끝단에는 사료저장탱크(10)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면서 이동축(32)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방향 또는 핸들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너비조절판(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너비조절판(30)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최적의 사료 저장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이동축(32)은 핸들에 의한 수동 회전 뿐만 아니라, 통상의 모터에 결합되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너비조절판(30)의 이동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에는 상술한 이동축(32)과 평행하게 이격된 보조가이드(33)를 구비하고, 상기 너비조절판(30)이 보조가이드(33)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료에 의해 발생되는 측방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사료저장탱크(10)의 일측에 건초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만 개방되어 가축이 건초를 먹을 수 있도록 한 건초저장함(40)이 구비되도록 하여 소나 말, 염소 등의 반추동물의 사육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건초를 자동으로 적정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건초저장함(40)은 외측면이 망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습기에 의한 건초의 부패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축사와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41)를 구비하여 건초저장함(40)에 저장된 건초를 가축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41)는 건초저장함의 일측 모서리에 회전축(411)을 형성하여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회전축(411)의 일측 끝단에는 풀리(412)가 형성되도록 하며, 통상의 모터(42)가 풀리(412)와 연결되도록 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맞춰 모터(42)가 작동되면서 도어(41)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사료저장탱크(40)에 저장 된 사료와는 별도의 시간에 건초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료와 함께 가축의 사육에 소요되는 건초 까지도 자동으로 일정 시간에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축사의 관리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료저장탱크(10)를 소나 말, 염소 등을 사육하는 통상의 축사의 여물통(1)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사육에 필요한 최적의 양의 사료를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가축의 육질 및 상품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개폐도어(20)가 도시된 것과 같이 배출구(11)의 폭과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배출구(11)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양 끝단에 회전축(21)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개폐도어(20)의 외측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함몰된 하나 이상의 사료수용홈(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료수용홈(23)의 상면 개방부는 상기 배출구(11)와 같거나 좁은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사료저장탱크(10)에 저장된 사료를 배출시킬 때에는 개폐도어(20)에 별도의 구동모터를 결합시킨 후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개폐도어(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사료수용홈(23)이 배출구(11)의 내측에 위치될 때 사료저장탱크(10)에 저장된 사료가 사료수용홈(23)으로 밀려내려오게 된다.
이후, 개폐도어(2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사료가 저장된 사료수용홈(23)의 개방부는 하방을 향하게 되어 사료가 하방으로 쏟아져 내리게 되며, 이를 반복 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료수용홈(23)의 부피와 대응되는 부피의 사료가 반복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료수용홈(23)은 상기 개폐도어(20)의 외측면에 다수개를 형성하여 사료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개폐도어(2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 만으로도 일정량의 사료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폐도어(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사료의 하중에 의한 지지력이 극대화되어 개폐도어(20)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사료의 배출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개폐도어의 폐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b는 개폐도어의 개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개폐도어의 폐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b는 개폐도어의 개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물통
10 : 사료저장탱크
11 : 배출구 12 : 도어지지앵글
13 : 밀착판
20 : 개폐도어
21 : 회전축 22: 개폐판
23 : 사료수용홈
30 : 너비조절판
31 : 체결공 32 : 이동축
33 : 보조가이드
40 : 건초저장함
41 : 도어 411 : 회전축
412 : 풀리 42 : 모터

Claims (7)

  1. 축사의 여물통 상부측에 배치되어 사료가 저장되고, 상기 여물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여물통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여물통 전체에 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1)가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배출구(1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료저장탱크(10);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구(11)를 개폐시켜 상기 여물통으로 사료를 투입시키는 개폐도어(20);
    를 포함하는 사료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개폐도어(20)와 접촉 및 이격되면서 개폐되는 측 모서리가 반대측 모서리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도어(20)는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의 끝단으로 상기 개폐도어(20)가 폐쇄될 때 개폐도어(20)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밀착판(1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1)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에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유입된 사료를 수용하여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사료수용홈(23)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20)의 회전수에 따라 여물통으로 배출되는 사료의 양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에 저장되는 사료의 양이 줄어들도록 하는 너비조절판(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비조절판(30)은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측방으로 관통되고 내측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31)이 형성되며, 양 단이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체결공(31)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너비조절판(3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축(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탱크(10)의 일측에 건초를 저장하는 건초저장함(40)이 구비되되, 축사와 마주보는 건초저장함(40)의 일측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공급 장치.
KR1020080072166A 2008-06-27 2008-07-24 사료 공급 장치 KR20100002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1708 2008-06-27
KR1020080061708 2008-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11A true KR20100002011A (ko) 2010-01-06

Family

ID=4181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166A KR20100002011A (ko) 2008-06-27 2008-07-24 사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0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866B1 (ko) * 2015-03-25 2016-08-08 장웅진 염소 급이통
CN106259015A (zh) * 2016-07-28 2017-01-04 洛宁中迈金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动物专用食槽
KR20200062691A (ko) * 2018-11-27 2020-06-04 정연수 고속공기를 이용한 어류용 사료살포기
CN116548332A (zh) * 2023-07-12 2023-08-08 成都肇元科技有限公司 一种保育育肥猪粥料饲喂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866B1 (ko) * 2015-03-25 2016-08-08 장웅진 염소 급이통
CN106259015A (zh) * 2016-07-28 2017-01-04 洛宁中迈金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动物专用食槽
KR20200062691A (ko) * 2018-11-27 2020-06-04 정연수 고속공기를 이용한 어류용 사료살포기
CN116548332A (zh) * 2023-07-12 2023-08-08 成都肇元科技有限公司 一种保育育肥猪粥料饲喂机
CN116548332B (zh) * 2023-07-12 2023-11-14 成都肇元科技有限公司 一种保育育肥猪粥料饲喂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2011A (ko) 사료 공급 장치
CN103004631A (zh) 一种哺乳母猪用定量喂食器
CN115553222A (zh) 一种畜禽养殖用自动送料装置
KR20100091423A (ko) 축사용 목걸림틀의 자동 개폐장치
CN108338387B (zh) 一种畜牧用节能型碎料机
KR101214099B1 (ko) 트랙터를 이용한 사료 혼합 공급장치
RU2435367C1 (ru) Кормораздатчик
CN212589573U (zh) 一种牛羊养殖用喂养装置
CN215380670U (zh) 一种畜牧饲养用具有清洁功能的投喂盒
KR200468326Y1 (ko)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CN212937307U (zh) 一种养羊自动饲料装置
CN213281069U (zh) 一种牛羊养殖用自动下料喂食设备
KR101818821B1 (ko)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CN205106003U (zh) 一种养鸡用饲料槽
WO2021159154A1 (de) Vorrichtung zum füttern von vieh
KR200436019Y1 (ko) 티엠알 사료 자동공급기
CN205196623U (zh) 猪饲槽
KR102378867B1 (ko) 볏짚 공급기
CN218773153U (zh) 一种自动加料的畜牧用畜牧食槽
CN213961275U (zh) 一种种猪养殖用饲料槽
CN220875478U (zh) 一种牲畜喂养自动搅拌下料装置
CN214514368U (zh) 一种可定量下料的牛羊养殖用饲料混合装置
CN210699937U (zh) 一种tmr搅拌机
CN211721459U (zh) 一种畜牧用安全智能定时投食装置
CN221015606U (zh) 一种牛羊饲料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