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867B1 - 볏짚 공급기 - Google Patents

볏짚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867B1
KR102378867B1 KR1020200042087A KR20200042087A KR102378867B1 KR 102378867 B1 KR102378867 B1 KR 102378867B1 KR 1020200042087 A KR1020200042087 A KR 1020200042087A KR 20200042087 A KR20200042087 A KR 20200042087A KR 102378867 B1 KR102378867 B1 KR 10237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raw
opening
frame
circular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711A (ko
Inventor
박우용
박우경
고희순
Original Assignee
박우용
박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용, 박우경 filed Critical 박우용
Priority to KR102020004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농가의 소 사육에 필요한 원형 볏짚(곤포 사일리지)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볏짚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팬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며 소가 볏짚을 원활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공급하고, 개폐장치에 개폐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볏짚 제공 시간을 조절하여 볏짚이 과잉으로 공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볏짚이 소진될때까지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볏짚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볏짚 공급기{Rice-roofed feeder}
본 발명은 축산농가의 소 사육에 필요한 원형 볏짚(곤포 사일리지)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볏짚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팬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며 소가 볏짚을 원활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공급하고, 개폐장치에 개폐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볏짚 제공 시간을 조절하여 볏짚이 과잉으로 공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볏짚이 소진될때까지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볏짚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소의 사료용으로 볏짚 또는 목초 등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수확이 끝난 볏짚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거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추수가 끝난 논을 보면, 볏짚이 원통형으로 처리되어 있는 곤포 사일리지를 흔히 볼 수 있다.
곤포 사일리지는 볏짚을 말아 발효 첨가제를 넣은 뒤 곤포라고 불리는 하얀 비닐로 싸서 시간을 두고 숙성시킨 사료를 말하는 것으로, 영양 많고 비교적 저렴하여 일반 사료 값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축산 농가에서는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곤포 사일리지를 생산하는 방법은 주로 논에서 이용하는 농용 트랙터의 후방에 원형 베일러를 설치한 후 농용 트랙터를 주행하면 논바닥에 흩어져 있는 볏짚을 원형 베일러가 수거하면서 압축, 결속시킨다. 그런 다음, 별도의 장비로 볏짚에 발효 첨가제를 넣고 곤포를 씌워서 곤포 사일리지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곤포 사일리지는 직경과 폭이 각각 1m를 넘고 무게도 500kg을 초과하여 인력으로 운반하기 매우 곤란하며, 축사농가에서는 이를 구입하여 수작업도구를 사용하여 곤포를 벗긴 후 사일리지 사료를 여물통에 펼쳐서 일일이 분산 공급함으로써, 상당한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가 사일리지 사료를 먹을 때 여물통 밖으로 버려져 낭비되는 양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사육사가 매일 사일리지 사료를 갖다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8342호 볏짚 자동 급이 장치, 등록특허 제10-0972457호 및 제10-0994487호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볏짚 자동 급이 장치 및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는 볏짚이 기준치 이상으로 무거울 경우 볏짚의 공급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축사팬스의 먹이구와 공급되는 볏짚의 거리가 적절해야 가축이 볏짚을 편하게 취식할 수 있으나 종래에는 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볏짚 자동 급이 장치 및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는 볏짚을 가축에게 규정량 공급할만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볏짚의 비정상적인 소모로 인하여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778342 (등록번호) 2007.11.15. KR 10-0972457 (등록번호) 2010.07.20. KR 10-0994487 (등록번호) 2010.11.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축사팬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및 감김 상태가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밀려들어 오게 하여 소가 볏짚을 원활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의 혀가 닿지 않는 상하 위치에서 원형 볏짚을 지지하고, 소의 혀가 닿는 그 사이에는 원형 볏짚을 압박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소가 쉽게 원형 볏짚에서 볏짚을 뽑아 먹을 수 있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장치에 개폐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볏짚 제공시간을 조절하여 볏짚이 과잉으로 공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볏짚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해 지속적인 볏짚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볏짚이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하되, 상기 접촉부에 볏짚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와 송아지가 볏짚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사 안으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빗살을 부착하여 손실을 방지하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볏짚 제공 시간이 끝나면 슬라이딩 도어가 하강하여 개방부를 닫는슬라이딩 도어가 축사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소가 볏짚을 먹다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더라도 개폐판을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판 하부에 고무판을 구비하여 슬라이드 도어 하강시 소가 놀라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으며 소의 부상을 방지하는 볏짚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팬스(1) 전방에 고정설치되고, 소머리가 유입되는 개방부(110)와, 상기 개방부(110) 상부에 폐쇄부(120)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내부면(210)과, 상기 내부면(210)에서 상향경사지고 전방이 개방되는 경사면(220)과, 상기 경사면(22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부(230)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면(220)에서 원형 볏짚(10)의 일측면과 맞닿아 원형 볏짚(10)을 지지하되 내부면(210) 및 경사면(220)이 고정되어 이동이 없는 바닥프레임(2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와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결합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설치되되 하나 이상의 절곡부(330)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창살이 이격형성되어 창살사이로 원형 볏짚(10)이 공급되는 공급프레임(300); 및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에는 원형 볏짚(10)의 일측면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촉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접촉부(13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공급프레임(300)의 각 창살에 형성된 절곡부(330)는 축사팬스(1)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형볏짚(10)은 상기 경사면(220), 공급프레임(300) 및 접촉부(130)만에 의하여 무게가 지지되며 상기 공급프레임(300)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접촉부(130)은 원형 볏짚(10)과 면접촉되도록 전면을 향하여 절곡면(13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조절수단(511)에 입력되는 개폐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510)에 결합된 회전축(520)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기어(521) 및 하부기어(522)에 설치된 체인(530)이 회전하여 슬라이드 도어(540)가 승, 하강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는 하단부에 축사방향으로 열리도록 개폐판(550)이 경첩(551)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개폐판(550) 하단부로 고무판(560)이 연장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원형 볏짚(10)은 상기 접촉부(130)와 상기 경사면(220)과 접촉되며, 상기 절곡부(330)에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급프레임(300)의 각 창살에 형성된 절곡부(330)는 축사팬스(1)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축사팬스(1) 하부에서 내부면(210)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개방부(110)에서 내부면(210) 상부측에 빗살형태의 걸림부(15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축사팬스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을 지지하되, 원형 볏짚의 압축 및 감김 상태가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도록 하여 상기 전면프레임의 개방부 사이 공간에서 일정각도로 절곡형성되는 공급프레임을 통해 소가 볏짚을 원활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소의 혀가 닿지 않는 상하 위치에서 원형 볏짚을 지지하고, 소의 혀가 닿는 그 사이에는 원형 볏짚을 압박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소가 쉽게 원형 볏짚에서 볏짚을 뽑아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개폐장치의 조절수단에 개폐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볏짚 제공시간을 조절하여 개폐장치가 구동하여 슬라이드 도어가 전면프레임의 개방부를 닫아 볏짚이 과잉으로 공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볏짚이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해 지속적인 볏짚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볏짚이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하되, 상기 접촉부에 절곡형성되는 절곡면에 볏짚이 면접촉되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소와 송아지가 전면프레임의 개방부를 통해 공급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내부면에 배치된 볏짚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부 하부에서 내부면 상부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축사 안으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 볏짚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볏짚 제공 시간이 끝나면 슬라이딩 도어가 하강하여 개방부를 막는 슬라이드 도어에 힌지결합되는 개폐판이 축사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소가 볏짚을 먹다가 슬라이드 도어가 닫히더라도 개폐판을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판 하부에 고무판과 같은 완충재를 구비하여 슬라이드 도어 하강시 소가 놀라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의 부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과 바닥프레임과 공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볏짚 공급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과 바닥프레임과 공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볏짚 공급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기에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볏짚 공급기를 통해 소에게 원형 볏짚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축산농가의 소 사육에 필요한 원형 볏짚(10)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팬스(1) 전방에 고정설치되고, 소머리가 유입되는 개방부(110)와, 상기 개방부(110) 상부에 폐쇄부(120)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 하부에서 돌출되는 내부면(210)과, 상기 내부면(210)에서 일정각도 상향경사지는 경사면(220)과, 상기 경사면(22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부(230)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면(220)에서 원형 볏짚(10)의 일측면과 맞닿아 상기 원형 볏짚(10)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2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와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결합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설치되되 일정각도로 절곡형성되는 다수개의 창살이 이격형성되어 창살사이 공간으로 원형 볏짚(10)이 공급되되, 상기 원형 볏짚(10)과 이격되는 공급프레임(3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10)이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폭이 150cm, 높이가 210cm 정도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다리(140)가 구성된다.
상기 다리(140)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소 머리가 유입되는 개방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110) 상부에는 폐쇄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지면에서부터 상기 폐쇄부(120) 하부, 즉 개방부(110) 상부까지의 높이가 약 145c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프레임(100)에서 개방부(110) 상부까지의 높이는 소가 머리를 들었을 때 볏짚을 뽑아서 먹을 수 있되 볏짚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그 높이가 더 높으면 볏짚을 뽑아진 볏짚이 축사 안으로 낙하될 수 있다. 축사 내부는 소들이 이동하며 밟을 수 있고, 변과 접촉될 수 있어 축사 내부로 낙하된 볏짚을 먹으면 소의 위생이 나빠질 위험이 높다. 본 발명은 축사 내부로 낙하되는 볏짚을 소가 먹지 않도록 다양한 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110)는 약 100cm의 높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의 머리가 원활하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프레임(100)에서 막힌 구조로 이루어지는 폐쇄부(120)에는 볏짚의 일측면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접촉부(130)이 이격되어 양측에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30)에 의해 원형 볏짚(10)이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접촉되고, 공급프레임(300)과 사이에서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부(130)은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고, 그 경사가 폐쇄부(120)로부터 45~55도 정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볏짚(10)은 접촉부(130)의 중간 정도에서 상부가 접촉하며, 접촉부(130)의 하단에서는 원형 볏짚(10)이 만나지 않아, 원형 볏짚(10)의 하중이 접촉부(130) 하단에는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130)은 상기 폐쇄부(120)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면 원형 볏짚(10)에 접촉시 원형 볏짚(10)을 지지하면서 볏짚 안으로 파고 들어 볏짚을 뚫거나 볏짚이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원형 볏짚(10)이 하부로 내려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접촉부(130)의 끝단에는 원형 볏짚(10)과 면접촉되도록 전면에 절곡면(131)이 형성된다. 절곡면(131)은 접촉부(130)의 끝단에서 수직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약간 비스듬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절곡면(131)은 상기 접촉부(130)의 끝단부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 볏짚(10)과 맞닿아 상기 접촉부(130)이 볏짚을 지지하되, 면접촉되어 볏짚 안으로 삽입되거나 걸리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130)이 형성되는 폐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구부(110)에는 소의 머리가 들어와서 소가 볏짚을 원활하게 취식하도록 구비되는데, 소는 개구부(110)의 중심측에서 볏짚을 취식하지 않고 원형 볏짚(10)이 전면프레임(100)의 접촉부(130) 또는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과 접촉되어 있는 가장자리측의 볏짚을 취식하려는 습관적 성향이 있다. 개구부(110)의 중심측은 공급프레임(300)의 절곡된 부분으로 서로 이격된 공급프레임(300)은 원형볏집과 이격되어 볏짚에 가해지는 압력이 매우 약해 소가 혀를 내밀면 쉽게 볏짚을 당길 수 있다. 그러나, 소는 공급프레임(300)의 중심측이 아닌 공급프레임(300)의 상부와 하부의 볏짚을 먼저 먹는다. 공급프레임(300)의 상부와 하부도 원형 볏짚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최초 원형 볏짚을 볏짚 공급기에 올려놓았을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압력이 높은 편이 아니나 절곡된 중심측보다는 접촉부(130) 및 경사면(220)에 가해진 압력의 영향으로 어느 정도의 압력이 존재한다. 소는 압력이 가장 약한 공급프레임(300)의 중심부가 아닌 폐쇄부(120) 근처의 상부와, 경사면(220) 근처의 하부에 있는 볏짚부터 먼저 먹는다.
이에 본 발명은 소의 습관적 성향을 반영하여 원형 볏짚(10)이 전면프레임(100)의 접촉부(130) 또는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과 접촉되어 있는 부분에서도 소가 볏짚을 빼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하고 소가 가장자리측 볏짚을 취식하더라도 원형 볏짚(10)이 자연스럽게 슬립 이동(미끄러짐)하며 공급프레임(30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공급'은 볏짚공급기가 직접 볏짚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소가 혀로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당겨져 공급프레임(300)을 통하여 개방부(110)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원형 볏짚은 폐쇄부(120)에 경사지게 고정된 접촉부(130)와 상부가 접촉되고,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과 하부가 접촉되어 공급기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220)과 접촉부(130)의 중간 지점에서 원형 볏짚(10)이 고정되도록 하여 공급프레임(300)의 상단과 하단에서 원형 볏짚(10)의 자중이 없거나 최소로 하여, 소가 쉽게 볏짚을 빼내어 먹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접촉부(130)의 중간과 상기 경사면(220) 사이의 간격이 접촉부(130) 하단과 경사면(220)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한다.
소가 공급프레임(300)의 상부의 볏짚을 먹게 되면, 접촉부(130) 주변의 볏짚이 적어지게 되어 공간이 생긴다. 접촉부(130)과 접촉된 원형 볏짚은 최상단이 아닌 도 7과 같이 중간보다 위의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의 밑이 소에 의하여 볏짚이 사라지면 그 상부의 하중과 접촉부(130)에 의하여 하방으로 압력을 받게 되면서 공급프레임(300)의 상부로 볏짚이 내려온다.
다음으로 소가 공급프레임(300)의 하부의 볏짚을 먹게 되면, 경사면(220)에서 하방으로 원형볏짚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압력을 받게 되면서 공급프레임(300)의 하부로 볏짚이 내려온다.
본 발명의 폐쇄부(120), 특히 접촉부(130)과 경사면(200)은 원형 볏짚을 지지하며 접촉하는 위치가 되고, 도 7과 같이 경사진 각도로 벌어져 원형 볏짚은 그 자중에 의하여 축사방향(후방)인 전면프레임(100)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와 같이 축사 내부로 이동하려는 원형 볏짚이 접촉 지점에서 개방부로 약간 이동된 위치부터 소가 볏짚을 먹기 시작하여 원형볏짚의 상부와 하부가 지속적으로 개방부(110)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별도의 노동력 없이 원형볏짚을 소가 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축사팬스(1) 하부에서 벽이 형성되는 상기 개방부(110)의 하부에서 지면에 수평으로 내부면(210)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내부면(210) 상부측에 빗살형태의 걸림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촘촘하게 구비되는 빗살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면(210)에 떨어진 볏짚을 송아지가 취식하다가 축사방향(후방)으로 끌고 가기 위해 빼낼 경우 상기 걸림부(150)의 빗살에 걸려 상기 개방부(110)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면(210)은 도 4 또는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10)에서 원형 볏짚이 고정된 축사 바깥쪽으로 공급프레임(300)과 결합되기 전 부분이며, 소가 원형 볏짚에서 볏짚을 혀로 뽑아 먹다가 일부가 낙하할때에 낙하되는 지점이다. 내부면(210)은 외측 경사면(220)과 결합되고, 축사쪽 내측 상부에 상기 걸림부(1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송아지의 경우 처음 놓여진 원형 볏짚의 하부에서 볏짚을 뽑아 먹을 힘이 부족하여, 내부면(210)에 떨어진 볏짚을 먹어야 한다. 이때 좀더 편히 먹기 위해 축사 내부로 볏짚을 갖고 이동하려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프레임(20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일정높이(지면으로부터 약44cm)에서,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의 하부측에서 수직으로 전방을 향해 내부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면(210)에서 일정각도 상향경사지는 경사면(220)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0)은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면(210)으로부터 약 28도 정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경사면(220)에 접촉되는 원형 볏짚(10)이 공급프레임(30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면(210)은 측면길이가 약 30c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즉 공급프레임(300)에서 떨어진 볏짚을 송아지가 먹을 수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면(210)의 축사팬스(1) 하부에서 벽이 형성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축사방향으로 볏짚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면(220)은 측면길이가 약 113.5cm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면(210)으로부터 약 38.5cm 떨어진 곳에서 상기 공급프레임(300)의 하단이 삽입고정되는 공급프레임 삽입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0)은 원형 볏짚(10)의 일측면 하부측이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그 무게를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받침부(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경사면(220)과 내부면(210)은 받침부(230)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이동이 없다.
상기 공급프레임(30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와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결합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설치되되 중심부측에서 일정각도로 개방부(110) 쪽으로 절곡형성되는 다수개의 창살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창살사이 공간으로 볏짚이 공급된다. 공급프레임(300)은 상부가 축사에 근접되게 폐쇄부(120)와 결합되고, 하부가 축사에서 이격되게 경사면(220)에 결합되어, 공급프레임(300)의 중간에서 낙하하는 볏짚이 개방부(110)와 공급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공급프레임(300)은 하나 이상의 절곡부(330)가 형성되며, 이때 절곡부(330)는 전면프레임(100)인 축사 내부(후방)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절곡부(33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원형 볏짚과 이격되면서도 근접하여 소가 먹기 쉽도록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절곡부(330)가 하나인 상태로 도시하였고, 이에 맞추어 설명한다.
공급프레임(30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 하부에서 연장설치되는 상부절곡부(310)와, 상기 상부절곡부(310)에서 연장되되 상기 상부절곡부(310)보다 원만한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의 공급프레임 삽입부(221)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하부절곡부(320)로 형성되며, 창살사이로 볏짚이 공급되되 원형 볏짚(10)이 상부절곡부(310) 또는 하부절곡부(32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볏짚이 눌려서 빠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느슨하게 닿아 소가 혀로 잡아당겼을 때 볏짚이 원활하게 창살 사이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급프레임(300)은 중심부측에서 절곡형성되어 상부절곡부(310)와 하부절곡부(320)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절곡부(310)와 하부절곡부(320) 사이각이 150° 내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공급프레임(300)의 직하방에는 소에 의하여 뽑혀진 볏짚이 낙하되는 공간인 내부면(210)이 구비되어, 소 또는 송아지가 낙하된 볏짚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하였듯이, 내부면의 끝단에는 축사쪽(후방)으로 볏짚의 이동을 방해하는 빗살형태의 걸림부(150)가 구비되어, 가능하면 내부면(210)에서만 볏짚을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볏짚이 축사 내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바닥프레임(200)의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원형 볏짚(10)이 양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측면프레임(40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측면프레임(400)은 원형 볏짚(10)의 측면을 지지하며, 소가 계속적으로 먹어 원형 볏짚(10)이 어느 정도 형태가 변경되어도 공급기의 좌우로 볏짚이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측면프레임(400)은 내측에 그물망 또는 철판이 형성되어 원형 볏짚(10)을 양측에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프레임(400)은 전면프레임(100)과 바닥프레임(200)을 상하에서 고정하여 견고하게 유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볏짚 공급기는 상기 전면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조절수단(511)에 입력되는 개폐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510)에 결합된 회전축(520)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기어(521) 및 하부기어(522)에 결합설치된 체인(530)이 회전하여 슬라이드 도어(540)가 승강 및 하강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장치(500)는 상기 조절수단(511)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520)과, 상기 회전축(520)에 설치되는 상부기어(521)와 함께 움직이는 하부기어(522)에 걸쳐져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양측면에서 회전하는 체인(530)과, 상기 체인(530)에 상부고정부(541) 및 하부고정부(542)가 결합되어 상기 체인(53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도어(54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510)는 상기 회전축(520)과 결합되어 구동되면 회전축(520)을 회전하게 되는데, 제어반으로 구비되는 조절수단(511)에 구비되는 버튼을 이용해 모터(510)의 전원과 슬라이드 도어(540)의 개폐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인(530)은 상기 회전축(520)에 설치되는 상부기어(521)와, 상기 상부기어(521)와 이격형성되어 전면프레임(100)의 다리(140)에 설치되는 하부기어(522)에 결합장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양측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인(53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양측에서 외부로부터 보호를 위해 덮개(531) 내측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531)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체인(530)이 이동하는 홈이 상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는 상부 양측에 상부고정부(541)가 돌출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하부고정부(54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인(5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전면프레임(100) 후면에 설치되는 레일(570)에 의해 상기 레일(570) 내측에서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570)은 상부측이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 후면에 볼트로 이루어지는 상부걸림부(571)로 고정설치되고, 하부측이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다리(140)에 볼트로 이루어지는 하부걸림부(572)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의 상부고정부(541) 및 하부고정부(542)가 각각 상기 상부걸림부(571) 및 하부걸림부(572)에서 걸려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는 전면프레임(100)의 후면에 설치되고, 하단에 축사방향으로 개방되는 개폐판(550)이 경첩(551)으로 힌지결합되는데 소가 취식하는 도중에 공급 제한시간이 되어 슬라이드 도어(540)가 내려와 공급을 중단할 때 소가 개폐판(550)을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개폐판(550)은 후방(축사방향)으로만 열리고 전방(원형 볏짚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여 볏짚 공급시간이 제한되었을 때 소나 송아지가 취식을 할 수 없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550) 하단에는 고무판(560)이 연장설치되며, 고무판 이외에 다른 완충재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고무판(560)은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가 하부로 내려와 상기 개방부(110)를 닫아 공급을 중단할 때 취식중이던 소가 놀라거나 다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사육사가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원형 볏짚(10)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경사면(22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접촉부(130)에 원형 볏짚(10)이 직접 접촉되어 지지되며, 원형 볏짚(10)과 공급프레임(300)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공급프레임(300)을 통해 소가 혀를 집어넣어 볏짚을 잡아당겨서 취식하며 일부 볏짚이 하부로 떨어지면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내부면(210)에 떨어지게 되고, 상기 내부면(210)에 떨어진 볏짚은 송아지가 취식하도록 구비된다.
송아지가 개방부(110)를 통해 내부면(210)에서 볏짚을 취식하다가 축사 안으로 끌고 들어가려고 하면 상기 개방부(110)에 설치된 걸림부(150)에 볏짚이 걸려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게 된다.
상기 공급프레임(300)을 통해 공급되는 원형 볏짚(10)은 소가 취식하는 동안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바닥프레임(200)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그 크기가 줄어들게 되며 모두 소진될 수 있도록 한다.
사육사는 볏짚이 공급되는 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개폐장치(500)의 조절수단(511)에 입력하면 결정된 공급시간이 끝난 후 모터(510)가 구동하여 상기 폐쇄부(120)에 위치했던 슬라이드 도어(540)가 내려오며 개방부(110)를 막아 볏짚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소의 먹이 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축사팬스(1) 전방에 설치되어 원형 볏짚(10)을 지지하되, 원형 볏짚(10)의 압축 상태가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슬립하도록 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 사이 공간에서 일정각도로 절곡형성되는 공급프레임(300)을 통해 소가 볏짚을 원활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개폐장치(500)의 조절수단(511)에 개폐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볏짚 제공시간을 조절하여 개폐장치(500)가 구동하여 슬라이드 도어(540)가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를 닫아 볏짚이 과잉으로 공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볏짚이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해 지속적인 볏짚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볏짚이 소진될 때까지 볏짚의 공급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볏짚이 상기 전면프레임(100)에 형성된 접촉부(130)에 접촉되어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자연스럽게 슬립하여 하부로 이동하되, 상기 접촉부(130)에 절곡형성되는 절곡면(131)에 볏짚이 면접촉되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소와 송아지가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를 통해 공급프레임(300)과 바닥프레임(200)의 내부면(210)에 배치된 볏짚을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방부(110) 하부에서 내부면(210) 상부에 걸림부(150)를 형성하여 볏짚이 상기 걸림부(150)에 걸리도록 하여 소나 송아지가 축사 안으로 볏짚을 끌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 볏짚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볏짚 제공 시간이 끝나면 하강하여 개방부를 막는 슬라이드 도어(540)에 힌지결합되는 개폐판(550)이 축사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소가 볏짚을 먹다가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슬라이드 도어(540)가 닫히더라도 개폐판(550)을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볏짚 공급기는 슬라이드 도어(540)의 개폐판(550) 하부에 고무판(560)과 같은 완충재를 구비하여 슬라이드 도어(540) 하강시 소가 놀라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의 부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1 : 축사팬스 10 : 원형 볏짚
100 : 전면프레임 110 : 개방부
120 : 폐쇄부 130 : 접촉부
131 : 절곡면 140 : 다리
150 : 걸림부
200 : 바닥프레임 210 : 내부면
220 : 경사면 221 : 공급프레임 삽입부
230 : 받침부
300 : 공급프레임 310 : 상부절곡부
320 : 하부절곡부 330 : 절곡부
400 : 측면프레임
500 : 개폐장치 510 : 모터
511 : 조절수단 520 : 회전축
521 : 상부기어 522 : 하부기어
530 : 체인 531 : 덮개
540 : 슬라이드 도어 541 : 상부고정부
542 : 하부고정부 550 : 개폐판
551 : 경첩 560 : 고무판
570 : 레일 571 : 상부걸림부
572 : 하부걸림부

Claims (7)

  1. 축사팬스(1) 전방에 고정설치되고, 소머리가 유입되는 개방부(110)와, 상기 개방부(110) 상부에 폐쇄부(120)를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내부면(210)과, 상기 내부면(210)에서 상향경사지고 전방이 개방되는 경사면(220)과, 상기 경사면(22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부(230)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면(220)에서 원형 볏짚(10)의 일측면과 맞닿아 원형 볏짚(10)을 지지하되 내부면(210) 및 경사면(220)이 고정되어 이동이 없는 바닥프레임(2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와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경사면(220)에 결합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설치되되 하나 이상의 절곡부(330)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창살이 이격형성되어 창살사이로 원형 볏짚(10)이 공급되는 공급프레임(300);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폐쇄부(120)에는 원형 볏짚(10)의 일측면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촉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접촉부(13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공급프레임(300)의 각 창살에 형성된 절곡부(330)는 축사팬스(1)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형볏짚(10)은 상기 경사면(220), 공급프레임(300) 및 접촉부(130)만에 의하여 무게가 지지되며 상기 공급프레임(300)으로 공급되는
    볏짚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30)은 원형 볏짚(10)과 면접촉되도록 전면을 향하여 절곡면(131)이 형성되는 볏짚 공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조절수단(511)에 입력되는 개폐시간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510)에 결합된 회전축(520)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기어(521) 및 하부기어(522)에 설치된 체인(530)이 회전하여 슬라이드 도어(540)가 승, 하강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개방부(11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장치(500)를 더 포함하는 볏짚 공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540)는 하단부에 축사방향으로 열리도록 개폐판(550)이 경첩(551)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개폐판(550) 하단부로 고무판(560)이 연장설치되는 볏짚 공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볏짚(10)은 상기 접촉부(130)와 상기 경사면(220)과 접촉되며, 상기 절곡부(330)에서 이격되는 볏짚 공급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축사팬스(1) 하부에서 내부면(210)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개방부(110)에서 내부면(210) 상부측에 빗살형태의 걸림부(150)가 형성되는 볏짚 공급기.
KR1020200042087A 2020-04-07 2020-04-07 볏짚 공급기 KR10237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87A KR102378867B1 (ko) 2020-04-07 2020-04-07 볏짚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87A KR102378867B1 (ko) 2020-04-07 2020-04-07 볏짚 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711A KR20210124711A (ko) 2021-10-15
KR102378867B1 true KR102378867B1 (ko) 2022-03-24

Family

ID=7815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087A KR102378867B1 (ko) 2020-04-07 2020-04-07 볏짚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8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42B1 (ko) 2006-09-06 2007-11-30 한정교 볏짚 자동 급이 장치
KR100994487B1 (ko) 2009-12-30 2010-11-15 최대식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100972457B1 (ko) 2010-04-07 2010-07-26 최대식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20130100594A (ko) * 2012-03-02 2013-09-11 유정춘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711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555B2 (en) Animal feeder
US20130112148A1 (en) Horse Feeder
CA2894122A1 (en) Horse feeder for slow and controlled grazing
KR102378867B1 (ko) 볏짚 공급기
US11252936B1 (en) Animal feeding reservoir and dispenser
US6481373B2 (en) Programmable hay-forage feeder
KR100972457B1 (ko) 사일리지 사료 자동 공급장치
US6606962B2 (en) Horse feeder
KR101331707B1 (ko) 염소 또는 양용 사료 급이기
EP0257039A1 (en) Installation for pig production
US5947055A (en) Movable livestock feeder for baled hay with solid trough
KR101509912B1 (ko) 염소 또는 양용 주사료 및 조사료 급이기
KR20100002011A (ko) 사료 공급 장치
CN203968911U (zh) 一种自动饲养装置
CA2806809C (en) Horse feeder
KR20230101125A (ko) 볏짚 공급 장치
CA1172923A (en) Animal feeder
SU1505424A3 (ru) Автокормушка дл выдачи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корма мелким лабораторным животным, содержащимс в клетке
US20070289538A1 (en) Livestock Feeder
CN217242028U (zh) 一种猪仔采食槽
GB2570894A (en) Fodder feeder
US20220287269A1 (en) Animal feeder
US20230276769A1 (en) Animal feeder
AU2006200723A1 (en) Livestock feeder
NL2022392B1 (en) Horse f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