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594A -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 Google Patents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594A
KR20130100594A KR1020120021953A KR20120021953A KR20130100594A KR 20130100594 A KR20130100594 A KR 20130100594A KR 1020120021953 A KR1020120021953 A KR 1020120021953A KR 20120021953 A KR20120021953 A KR 20120021953A KR 20130100594 A KR20130100594 A KR 2013010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feed plate
forage
curv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춘
Original Assignee
유정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춘 filed Critical 유정춘
Priority to KR102012002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0594A/ko
Publication of KR2013010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의해 급이판에 안착된 조사료가 사람없이 무동력으로 가축이 당겨 먹는 힘만으로 상기 조사료를 마지막까지 가축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기의 전장길이를 최소화하여 사람 또는 트랙터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전.후방 고정프레임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레일본체의 상측에, 전방향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레일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선레일과; 상기 곡선레일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조사료가 안착되고, 후방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부가 곡선레일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급이판과; 상기 전방 고정프레임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측에 조사료 급이구가 형성되며, 상기 조사료 급이구의 상측이 다수의 쇠창살로 가려진 전면철창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The auto feeder of bulky feed for cattle without power}
본 발명은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의해 급이판에 안착된 조사료가 사람없이 무동력으로 가축이 당겨 먹는 힘만으로 상기 조사료를 마지막까지 가축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기의 전장길이를 최소화하여 사람 또는 트랙터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는 볏짚이나 생건초 등과 같이 가축의 젖이나 고기 및 알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유기,무기(無機) 영양소를 공급하는 사료중에서 조섬유의 함량이 높고 거칠며 부피가 큰 반면에 값이 싸며 가소화영양소가 적게 들어있는 사료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축사앞에 놓인 구유에 사람이 조사료를 쌓아두면, 가축이 구유의 조사료를 먹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조사료 공급방식은 사람이 직접 구유에 조사료를 일일이 공급해야만 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78342호 '볏짚 자동 급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이는 축사펜스의 전방측에 먹이구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볏짚탑재대와 볏집탑재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볏짚공급대를 구성하되 볏짚의 무게감소량에 따라 접힘량이 정해지는 탄성부재를 두어 볏짚의 무게에 따라 탄성수단이 펼져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볏짚, 즉 조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볏짚 자동 급이 장치는, 초기 장치에 조사료 탑재시 탄성부재를 사람이 직접 일일이 펼쳐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펼침작업시 부주의로 인해 탄성부재를 놓치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순간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업자가 타격을 받아 다치게 되는 안전의 위험성을 수반하고, 특히 힘이 약한 축산농가의 여자들 경우에는 장치 사용의 어려움으로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와 관련한 부속장치 및 부품으로 인해 제작의 어려움 및 원가 상승을 초래함으로써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고, 장치의 전장길이가 길어 장치 사용시 트랙터 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 확보가 어려워 공간활용 및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랙터에 의해 급이판에 안착된 조사료가 사람없이 무동력으로 가축이 당겨 먹는 힘만으로 상기 조사료를 마지막까지 가축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기의 전장길이를 최소화하여 사람 또는 트랙터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이판에 안착된 뭉치 형태의 조사료가 지면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조사료의 전방 및 후방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흘러 내린 일부 조사료에 의해서 지면이 오손되거나 급이판의 롤러에 끼어 주행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급이판이 기기의 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의 한 형태는, 전.후방 고정프레임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레일본체의 상측에, 전방향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레일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선레일과; 상기 곡선레일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조사료가 안착되고, 후방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부가 곡선레일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급이판과; 상기 전방 고정프레임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측에 조사료 급이구가 형성되며, 상기 조사료 급이구의 상측이 다수의 쇠창살로 가려진 전면철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본체는, 후방측 상부에 급이판이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급이판은, 후방 상측에 조사료의 후면 및 양측면을 고정하는 후면고정부 및 한 쌍의 측면고정부로 이루어진 조사료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사료 고정부재는 급이판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이판은, 곡선레일의 상.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구비된 롤러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선레일의 양측에, 곡선레일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버A,B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A,B와 곡선레일의 사이에는 급이판의 롤러지지대가 주행하는 롤러 주행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철창부의 양측에, 한 쌍의 제1,2 측면철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면철창부는 전면철창부의 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후방 고정프레임은, 하부 양측에 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사료가 안착되는 급이판이 전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레일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축이 급이판에 안착된 뭉치로 된 조사료를 당겨 먹는 힘만으로도 급이판이 곡선레일을 따라 무동력으로 축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힘이 약한 축산 농가의 여자들도 간편하게 기기를 이용한 조사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이판이 축사에 인접한 전면철창부의 하부 조사료 급이부를 관통하면서 급격히 상측으로 기울어져 조사료를 쏟아내듯이 공급하므로 마지막까지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가축에 조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이판이 곡선레일을 따라 무동력으로 축사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직선 운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기기의 전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사람 또는 트랙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확보로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급이판 상에 조사료를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b 내지 도 4d는 가축이 조사료를 당겨 먹음에 따라 조사료가 줄어들면서 급이판이 곡선레일을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의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전.후방 고정프레임(11)(12)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는 박스 형태의 레일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본체(1)는 상측에 전방향 곡선을 이루는 판상의 곡선레일(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곡선레일(2)의 상부측에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프레임에 의해서 하부가 지지되고 후방측이 상향으로 절곡 형성된 급이판(5)이 구비되며, 상기 급이판(5)은 곡선레일(2)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급이판(5)의 후방 상측에는 급이판(5)에 안착된 볏짚뭉치, 즉 조사료(B)의 후방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조사료 고정부재(7)가 힌지(H) 결합되고, 상기 조사료 고정부재(7)는 금속재질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후면고정부(7a)와 한 쌍의 측면고정부(7b)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본체(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 고정프레임(11)(12)에 의해서 하부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방 고정프레임(11)(12)의 하부 양측에는 통상의 높이조절구(14), 즉 전.후방 고정프레임(11)(12)에 나선결합되어 회전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급이판(5)이 곡선레일(2)의 후방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본체(1)의 상부 후방측에 급이판(5)을 걸림으로 고정하는 스토퍼(13)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13)는 곡선레일(2)에 수직방향으로 구멍을 뚫고 볼트로 체결 및 삽입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급이판(5)이 레일본체(1)의 후방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급이판(5)은 하부측에 한 쌍의 상부롤러(6a)와 하부롤러(6b)를 갖는 롤러지지대(6)가 형성되고, 상기 곡선레일(2)의 양측에는 곡선레일(2)과 동일한 곡선형 판재로 이루어진 커버A,B(3)(3a)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A,B(3)(3a)와 곡선레일(2)의 사이에는 급이판(5)의 롤러지지대(6)가 주행할 수 있는 롤러 주행공간부(4)가 곡선레일(2) 및 커버A,B(3)(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전방 고정프레임(11)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전면철창부(8)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면철창부(8)는 급입판()이 통과하는 조사료 급이구(8a)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사료 급이구(8a)의 상측에는 다수의 쇠창살로 가려진다. 또한, 상기 전면철창부(8)의 양측에는 급이판(5)에 안착된 볏짚 뭉치, 즉 조사료(B)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제1,2 측면철창부(9)(9a)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1,2 측면철창부(9)(9a)는 전면철창부(8)의 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를 이용하여 조사료(B)를 급이판(5) 상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급이판(5) 상에 안착된 조사료(B)는 조사료 고정부재(7)의 후면고정부(7a)와 양측 한 쌍의 측면고정부(7b)에 의해 후방 및 후방 양측이 지지 및 고정되고, 조사료(B)의 전방 및 전방 양측은 레일본체(1)의 전방측에 쇠창살로 가려진 전면철창부(8)와 제1,2 측면철창부(9)(9a)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전면철창부(8)의 하부측 조사료 급이구(8a)를 통하여 조사료(B)를 당겨 먹기 시작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료가 줄어든 양만큼 급이판(5)이 레일본체(1)의 곡선레일(2)을 따라 전면철창부(8)의 조사료 급이구(8a) 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급이판(5)의 이동은 급이판(5)의 하부측에 구비된 롤러지지대(6)에 형성된 상.하부롤러(6a)(6b)가 곡선레일(2)에 구름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지지대(6)는 커버A,B(3)(3a)와 곡선레일(2) 사이의 롤러 주행공간부(4)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급이판(5)은 상부측 한 쌍의 상부롤러(6a)와 함께 하부롤러(6b)가 곡선레일(2)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곡선레일(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사료가 거의 소비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이판(5)이 전면철창부(8)의 조사료 급이구(8a)를 관통하면서 급격히 기울어져 조사료를 쏟아내듯이 공급하므로 마지막까지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가축에 조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조사료가 안착되는 급이판이 전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레일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축이 급이판에 안착된 뭉치로 된 조사료를 당겨 먹는 힘만으로도 급이판이 곡선레일을 따라 무동력으로 축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급이판이 축사에 인접한 전면철창부의 하부 조사료 급이부를 관통하면서 급격히 상측으로 기울어져 조사료를 쏟아내듯이 공급하므로 마지막까지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가축에 조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급이판이 곡선레일을 따라 무동력으로 축사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직선 운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기기의 전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사람 또는 트랙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레일본체 2: 곡선레일
3,3a: 커버A,B 4: 롤러 주행공간부
5: 급이판 6: 롤러지지대
6a,6b: 상.하부롤러 7: 조사료 고정부재
7a: 후면고정부 7b: 측면고정부
8: 전면철창부 8a: 조사료 급이구
9,9a: 제1,2 측면철창부 H: 힌지

Claims (7)

  1. 전.후방 고정프레임(11)(1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레일본체(1)의 상측에, 전방향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레일본체(1)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선레일(2)과;
    상기 곡선레일(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조사료(B)가 안착되고, 후방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부가 곡선레일(2)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급이판(5)과;
    상기 전방 고정프레임(11)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측에 조사료 급이구(8a)가 형성되며, 상기 조사료 급이구(8a)의 상측이 다수의 쇠창살로 가려진 전면철창부(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본체(1)는, 후방측 상부에 급이판(5)이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판(5)은, 후방 상측에 조사료(B)의 후면 및 양측면을 고정하는 후면고정부(7a) 및 한 쌍의 측면고정부(7b)로 이루어진 조사료 고정부재(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사료 고정부재(7)는 급이판(5)에 힌지(H)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판(5)은, 곡선레일(2)의 상.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상부롤러(6a)와 하부롤러(6b)가 구비된 롤러지지대(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레일(2)의 양측에, 곡선레일(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커버A,B(3)(3a)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A,B(3)(3a)와 곡선레일(2)의 사이에는 급이판(5)의 롤러지지대(6)가 주행하는 롤러 주행공간부(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철창부(8)의 양측에, 한 쌍의 제1,2 측면철창부(9)(9a)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면철창부(9)(9a)는 전면철창부(8)의 후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고정프레임(11)(12)은, 하부 양측에 높이조절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KR1020120021953A 2012-03-02 2012-03-02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KR20130100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53A KR20130100594A (ko) 2012-03-02 2012-03-02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53A KR20130100594A (ko) 2012-03-02 2012-03-02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94A true KR20130100594A (ko) 2013-09-11

Family

ID=4945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953A KR20130100594A (ko) 2012-03-02 2012-03-02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05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4239A (zh) * 2017-12-18 2018-06-01 柏涛涛 一种便于增添食料的牲畜食用槽
KR20210124711A (ko) * 2020-04-07 2021-10-15 박우용 볏짚 공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4239A (zh) * 2017-12-18 2018-06-01 柏涛涛 一种便于增添食料的牲畜食用槽
KR20210124711A (ko) * 2020-04-07 2021-10-15 박우용 볏짚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6334B1 (en) Device for feeding animals
US6789504B1 (en) Bale feeder for horses
HU216785B (hu) Mellső terelőkorlát fejőházakhoz, valamint ilyen terelőkorláttal ellátott fejőház
EP3248458B1 (en) Mobile piggery installation
KR20130100594A (ko) 무동력 가축용 조사료의 자동공급기
EP2120534B1 (en) Lying box for a loose house
DK2702866T3 (en) Mobile animal shed
CN216452560U (zh) 一种可调节的定位牛卧床
GB2471707A (en) A livestock accommodation divider
US5947055A (en) Movable livestock feeder for baled hay with solid trough
CA2726776C (en) Livestock feeder
US11252936B1 (en) Animal feeding reservoir and dispenser
KR200463284Y1 (ko) 원형베일 조사료의 자동 급이기
RU69739U1 (ru) Станок для осеменения животных
KR102419877B1 (ko) 베일 조사료 공급장치
CN216567605U (zh) 一种可调节栅栏间距的新型羊舍
CN215898591U (zh) 下料口食料回调结构
CN217608946U (zh) 一种稻田除草用稻鸭混合种养的新型鸭舍
CN213974075U (zh) 一种牲畜转运装置
CN212697097U (zh) 一种便携式幼畜捕捉控制笼
CN109892234A (zh) 一种内置调升清便畜牧殖棚
CN216018394U (zh) 一种犊牛岛
CN217014325U (zh) 一种猪的固定设备
CN219981796U (zh) 一种虎园饲养用饲养虎笼舍
JPS6298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