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456A -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 Google Patents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456A
KR20100001456A KR1020080061357A KR20080061357A KR20100001456A KR 20100001456 A KR20100001456 A KR 20100001456A KR 1020080061357 A KR1020080061357 A KR 1020080061357A KR 20080061357 A KR20080061357 A KR 20080061357A KR 20100001456 A KR20100001456 A KR 2010000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wallpaper
flame retardant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904B1 (ko
Inventor
박호제
Original Assignee
박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제 filed Critical 박호제
Priority to KR102008006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폭의 섬유원단을 방염가공하고 잉크젯 출력이 가능하도록 가공한 벽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는 기재층과, 방염층과, 잉크흡수층과, 항습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우레탄, 레이온, 부직포, 아크릴 등이며, 천연섬유는 견, 모, 면, 마 등에서 선택된다. 상기 방염층은 폴리우레탄수지와 방염제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잉크흡수층은 폴리우레탄수지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방염층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항습층은 수지와 벽지의 슬림을 방지하기 위한 충진제와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염처리 후에도 잉크흡수층을 구비한 벽지를 제공함으로써, 벽지에 원하는 색상 또는 디자인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광폭벽지, 방염벽지, 잉크젯 출력

Description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Fireproof wallpaper for inkjet printing}
본 발명은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폭의 섬유원단을 방염가공하고 잉크젯 출력이 가능하도록 가공한 벽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지원단은 원단 폭이 약 110㎝ 정도의 소폭이므로 시공시 다수의 벽지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로 인하여 시공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디자인이나 색상을 연결할 때 디자인이나 색상을 맞추기가 어려웠다. 또한, 색상이나 디자인을 맞추기 위하여 버리는 부분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색상이나 디자인이 가미된 섬유벽지를 생산하기 위하여 염색 또는 날염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였다. 이 경우 염색 또는 날염공정시 많은 오폐수가 배출되어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염 섬유벽지는 잉크젯 프린터로 출력할 경우 선명도(발색도)가 현저히 떨어져서 원하는 색상이나 디자인을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기존의 방염 섬유벽지에 원하는 색상 또는 디자인이나 사진 등을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대량으로 주문을 하여야 하며, 동시에 많은 준비 시간이 주어져야만 원하는 방염 섬유벽지가 생산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염효과가 탁월하면서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 디자인 및 사진 등을 고해상도로 원하는 시간 및 원하는 수량을 제공하면서 수질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폭의 벽지를 연결하는 시공상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색상이나 디자인을 맞출 때 발생하는 버리는 부분을 없애기 위하여 광폭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의 출력시 잉크의 빠른 흡수 및 잉크의 번짐 현상을 방지하며 뛰어난 고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원단을 시공한 후 표면에 더러운 먼지 오염물질이 묻었을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벽면의 습기가 벽지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습성을 향상시키면서 방염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폭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는 기재층과, 방염층과, 잉크흡수층과, 항습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은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우레탄, 레이온, 부직포, 아크릴 등 이며, 천연섬유는 견, 모, 면, 마 등에서 선택된다. 상기 방염층은 폴리우레탄수지와 방염제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잉크흡수층은 폴리우레탄수지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방염층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항습층은 수지와 벽지의 슬림을 방지하기 위한 충진제와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에 있어서, 상기 방염층은 코팅이 잘되기 위한 첨가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염제는 인산염, 규산염, 붕소염, 함린, 유기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에 있어서, 상기 방염층은 폴리우레탄수지가 20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방염제가 20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가 3 내지 15 중량%이고, 용매가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은 충진제와 첨가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제는 잉크흡수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제올라이트, 클레이, 규산알미늄, 지당(TiO2), 실리카(S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UV흡수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형광증백제, 소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폴 리우레탄수지가 15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충진제가 10 내지 20 중량%이고, 첨가제가 5 내지 12 중량%이고, 용매가 40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에 있어서, 상기 항습층은 상기 수지가 아크릴수지, EV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서 2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진제가 지당(TiO2), 실리카(SiO2),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서 5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가제가 평활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서 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염처리 후에도 잉크흡수층을 구비한 벽지를 제공함으로써, 벽지에 원하는 색상 또는 디자인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폭의 벽지를 제공함으로써, 소폭의 벽지로 시공시 발생하는 이음매의 시공시간 지연, 색상·디자인 연결시 낭비되는 벽지원단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벽지에 색상 또는 디자인을 표현할 때 꼭 거쳐야하는 날염, 염색 공정을 생략함으로 인하여 수질오염 등을 줄이고, 생산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벽지에 비하여 오염 및 습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염벽지는 기재층(3)과, 방염층(5)과, 잉크흡수층(7)과, 항습층(4)을 포함한다.
기재층(3)은 폴리에스터, 나일론, 우레탄, 레이온, 부직포, 아크릴 등의 합성섬유와, 면, 견, 모, 마 등의 천연섬유 중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광폭으로 제직된다.
방염층(5)은 폴리우레탄수지와, 방염제와, 첨가제와, 용매로 구성되며, 나이프 코팅방식 또는 콤마 코팅방식으로 기재층(3)의 상부에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방염제는 인산염, 규산염, 붕소염, 함린, 유기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첨가제는 습윤분산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매는 증류수가 사용된다. 또한, 방염층(5)은 상기 폴리우레탄수지가 20 내지 40 중량(wt)%이고, 상기 방염제가 20 내지 50 중량(wt)%이고, 상기 첨가제가 3 내지 15 중량(wt)%이고, 상기 용매가 20 내지 40 중량(wt)%로 구성된다.
잉크흡수층(7)은 잉크젯 대형 프린터로 출력시 방염층(5)의 코팅액에 혼합된 방염제에 의하여 잉크흡수력이 저하되고 잉크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고해상도의 선명한 색상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잉크흡수층(7)은 폴리우레탄수지와, 충진제와, 첨가제와, 용매로 구성되며 나이프 코팅방식 또는 콤마 코팅방식으로 방염층(5)의 상부에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제올라이트, 클레이, 규산알미늄, 지당(TiO2), 실리카(S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첨가제는 UV흡수제, 습윤분산제, 계면활성제, 형광증백제, 소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매는 증류수가 사용된다. 또한, 잉크흡수층(7)은 폴리우레탄수지가 15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충진제가 10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가 5 내지 12 중량%이고, 상기 용매가 40 내지 60 중량%로 구성된다.
항습층(1)은 잉크젯 대형 프린터로 벽지에 출력시 벽지의 슬림현상을 방지하며, 정전기 발생으로 인하여 잉크가 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항습층(1)은 아크릴수지, EV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와, 충진제와, 첨가제와, 용매로 구성되며, 나이프 코팅방식 또는 콤마 코팅방식으로 기재층(3)의 하부에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제는 지당(TiO2), 실리카(SiO2),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첨가제는 평활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용매는 증류수가 사용된다. 또한, 항습층(1)은 상기 수지가 20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충진제가 10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가 5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용매가 20 내지 60 중량%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실험한 각각의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실험에서 잉크젯 프린터는 일본 무토(MUTHO)사의 VJ1604 기종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구 분 잉크흡수층 방염층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15 ~ 20 wt% 폴리우레탄수지 15 ~ 20 wt%
충진제/방염제 지당 1 ~ 5 wt% 실리카 10 ~ 18 wt% 인산염 5 ~ 10 wt% 규산염 5 ~ 10 wt% 붕소염 5 ~10 wt%
첨가제 UV흡수제·습윤분산제·계면활성제 2 ~ 5 wt% 형광증백제, 소포제 3 ~7 wt% 습윤분산제 3 ~ 8 wt% 계면활성제 3 ~7 wt%
용매 증류수 40 ~ 60 wt% 증류수 30 ~ 40 wt%
실험예 1에서 방염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15 내지 20 중량%와, 방염제로서 인산염 5 내지 10 중량%, 규산염 5 내지 10 중량%, 붕소염 5 내지 10 중량%와, 첨가제로서 습윤분산제 3 내지 8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30 내지 40 중량%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잉크흡수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15 내지 20 중량%와, 충진제로서 지당 1 내지 5 중량%, 실리카 10 내지 18 중량%와, 첨가제로서 UV흡수제·습윤분산제·계면활성제 2 내지 5 중량%, 형광증백제·소포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4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구분 잉크흡수층 방염층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20 ~ 25 wt% 폴리우레탄수지 20 ~ 25 wt%
충진제/방염제 실리카 10 ~ 18 wt% 지당 1 ~ 5 wt% 인산염 10 ~ 15 wt% 붕소염 5 ~ 10 wt%
첨가제 UV흡수제·계면활성제·분산제 2~5wt% 형광증백제, 소포제 3 ~ 7 wt% 습윤분산제 3 ~ 8 wt% 계면활성제 3 ~ 7 wt%
용매 증류수 30 ~ 50wt% 증류수 30 ~ 40 wt%
실험예 2에서 방염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20 내지 25 중량%와, 방염제로서 인산염 10 내지 15 중량%, 붕소염 5 내지 10 중량%와, 첨가제로서 습윤분산제 3 내지 8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30 내지 40 중량%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잉크흡수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20 내지 25 중량%와, 충진제로서 지당 1 내지 5 중량%, 실리카 10 내지 18 중량%와, 첨가제로서 UV흡수제·분산제·계면활성제 2 내지 5 중량%, 형광증백제·소포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3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3
구분 잉크흡수층 방염층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15 ~ 20 wt% 폴리우레탄수지 30 ~ 40 wt%
충진제/방염제 탄산칼슘 7 ~ 15 wt% 지당 1 ~ 3 wt% 인산염 15 ~ 25 wt% 규산염 10 ~ 15 wt%
첨가제 UV흡수제·계면활성제·분산제 2~5wt% 형광증백제, 소포제 3 ~ 7 wt% 습윤분산제 3 ~ 8 wt% 계면활성제 3 ~ 7 wt%
용매 증류수 40 ~ 60wt% 증류수 20 ~ 40 wt%
실험예 3에서 방염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30 내지 40 중량%와, 방염제로서 인산염 15 내지 25 중량%, 규산염 10 내지 15 중량%와, 첨가제로서 습윤분산제 3 내지 8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20 내지 40 중량%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잉크흡수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15 내지 20 중량%와, 충진제로서 지당 1 내지 3 중량%, 탄산칼슘 7 내지 15 중량%와, 첨가제로서 UV흡수제·분산제·계면활성제 2 내지 5 중량%, 형광증백제·소포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4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4
구분 잉크흡수층 방염층 항습층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15~20wt% 폴리우레탄수지 30~40wt% EVA 수지 20~50wt%
충진제/방염제 /충진제 탄산칼슘 7~15 wt% 지당 1~3 wt% 인산염 15 ~ 25 wt% 규산염 10~15 wt% 탄산칼슘 10~20wt%
첨가제 UV흡수제·계면활성제·분산제 2~5wt% 형광증백제,소포제 3~7 wt% 습윤분산제 3~8wt% 계면활성제 3~7wt% 분산제 2~5wt% 평활제·대전방지제 3~7wt%
용매 증류수 40 ~ 60wt% 증류수 20~40wt% 증류수 20~60wt%
실험예 3에서 방염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30 내지 40 중량%와, 방염제로서 인산염 15 내지 25 중량%, 규산염 10 내지 15 중량%와, 첨가제로서 습윤분산제 3 내지 8 중량%, 계면활성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20 내지 40 중량%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잉크흡수층은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15 내지 20 중량%와, 충진제로서 지당 1 내지 3 중량%, 탄산칼슘 7 내지 15 중량%와, 첨가제로서 UV흡수제·분산제·계면활성제 2 내지 5 중량%, 형광증백제·소포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4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항습층은 수지로서 EVA수지 20 내지 50 중량%,와, 충진제로서 탄산칼슘 10 내지 20 중량%와, 첨가제로 분산제 2 내지 5 중량%, 평활제·대전방지제 3 내지 7 중량%와, 용매로서 증류수 2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예들의 성능을 평가하면 아래의 표 5와 같다.
구분 건조속도 (흡수성) 잉크퍼짐성 (번짐) 선명성 (발색도) 항습성 내오염성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
실험예 4 × ×
(◎ : 뛰어남, ○ : 우수, △ : 보통, × : 나쁨)
상기의 실험에서는 실험예 1의 경우가 건조속도, 잉크퍼짐(번짐), 발색도(선명성), 항습성, 내오염성에서 최고의 결과가 나왔으며, 다음으로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의 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실한 방염효과를 최대한 살리면서, 잉크젯 출력시 고해상도(선명성), 잉크번짐(퍼짐), 잉크흡수(건조속도), 잉크젯 출력후 기재층 표면에 오염물질로 인한 오염제거,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방지, 잉크젯 출력시 슬림(미끄러짐) 방지 및 정전기 발생의 방지 등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항습층 3 : 기재층
5 : 방염층 7 : 잉크흡수층

Claims (6)

  1.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기재층과,
    폴리우레탄수지와 방염제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형성된 방염층과,
    폴리우레탄수지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방염층의 상부에 형성된 잉크흡수층과,
    수지와 벽지의 슬림을 방지하기 위한 충진제와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와 용매를 구비하며, 상기 기재층의 하부에 형성된 항습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층은
    코팅이 잘되기 위한 첨가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염제는 인산염, 규산염, 붕소염, 함린, 유기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층은 폴리우레탄수지가 20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방염제가 20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첨가제가 3 내지 15 중량%이고, 용매가 20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은
    잉크흡수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제올라이트, 클레이, 규산알미늄, 지당(TiO2), 실리카(S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와,
    UV흡수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형광증백제, 소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흡수층은 상기 폴리우레탄수지가 15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충진제가 10 내지 20 중량%이고, 첨가제가 5 내지 12 중량%이고, 용매가 4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습층은
    상기 수지가 아크릴수지, EV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서 20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충진제가 지당(TiO2), 실리카(SiO2),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서 5 내지 20 중량%이고,
    첨가제가 평활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서 5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출력용 방염벽지.
KR1020080061357A 2008-06-27 2008-06-27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KR10100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357A KR101004904B1 (ko) 2008-06-27 2008-06-27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357A KR101004904B1 (ko) 2008-06-27 2008-06-27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56A true KR20100001456A (ko) 2010-01-06
KR101004904B1 KR101004904B1 (ko) 2010-12-28

Family

ID=4181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357A KR101004904B1 (ko) 2008-06-27 2008-06-27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4937A (zh) * 2013-03-29 2013-07-10 苏州国昊壁纸有限公司 一种具有立体效果的木纤维壁纸
KR101290634B1 (ko) * 2011-08-02 2013-07-30 김기범 칼라샌드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벽지의 제조방법
CN105150629A (zh) * 2015-08-21 2015-12-16 江苏鑫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板
CN111395046A (zh) * 2020-03-25 2020-07-10 上海知贤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环保防火墙纸、环保胶及防火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9997A (ja) 1998-03-23 1999-10-12 Teijin Ltd 難燃性壁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34B1 (ko) * 2011-08-02 2013-07-30 김기범 칼라샌드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벽지의 제조방법
CN103194937A (zh) * 2013-03-29 2013-07-10 苏州国昊壁纸有限公司 一种具有立体效果的木纤维壁纸
CN105150629A (zh) * 2015-08-21 2015-12-16 江苏鑫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板
CN111395046A (zh) * 2020-03-25 2020-07-10 上海知贤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环保防火墙纸、环保胶及防火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904B1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904B1 (ko) 잉크젯 출력이 가능한 방염벽지
US7429293B2 (en) High gloss high gamut pigment inkjet ink
US7722179B2 (en) Slow-penetrating inkjet fixer composition and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nd using same
EP2043870B1 (en) Printing method and ink jet printing device
CN1970654A (zh) 喷墨墨水组合物、包含该墨水的墨盒和包含该墨盒的喷墨记录装置
US20090027443A1 (en) Inkjet printer and inkjet printing method
AU9749301A (en) Recorded matter, method of producing recorded matter, method for improving image fastness, image fastness-improving agent, image fastness improving kit, dispenser, and applicator
WO2021162174A1 (ko) 탈취 및 항균 기능이 있는 부직포 잉크젯 출력소재
KR20170045683A (ko) 잉크젯 프린터용 섬유 전용 수성 전사 잉크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섬유전사지
CN102991175A (zh) 一种环保医用喷墨打印胶片
JP3841164B2 (ja) 水溶性界面活性剤組成物
CN1196600C (zh) 大孔性油墨接受介质
KR100743107B1 (ko) 잉크젯 실사용 방염원단
KR101170728B1 (ko)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벽면 접착용 잉크젯 출력용 점착 또는 접착 원단과 그 제조방법
CN100494567C (zh) 喷墨打印材料的渗透涂布方法
KR20070032161A (ko) 프린터 출력과 먹을 이용한 붓글씨 쓰기가 가능한 리본원단
KR101795636B1 (ko) 수성그라비아 인쇄를 위한 섬유 전사용 수성잉크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섬유전사지
CN101033348B (zh) 喷墨打印涂料及采用该涂料制成的喷墨打印仿真材料
JP5552535B2 (ja) 印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印刷用助剤
JP329197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CN109972446A (zh) 一种适用于高速打印的白板纸及其制备方法
CN203063305U (zh) 一种环保医用喷墨打印胶片
KR100573957B1 (ko) 대형플로터 출력용 원단
US20160009092A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WO2019087826A1 (ja) 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