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617A -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617A
KR20100000617A KR20080060181A KR20080060181A KR20100000617A KR 20100000617 A KR20100000617 A KR 20100000617A KR 20080060181 A KR20080060181 A KR 20080060181A KR 20080060181 A KR20080060181 A KR 20080060181A KR 20100000617 A KR20100000617 A KR 2010000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ouch
input
character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구
원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617A/ko
Priority to US12/360,226 priority patent/US8947367B2/en
Priority to PCT/KR2009/000596 priority patent/WO2009157637A1/en
Publication of KR2010000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17A/ko
Priority to US14/593,479 priority patent/US93422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문자 입력 장치는,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 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협소한 면적 상에서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터치, 터치 스크린, 드래그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 중인 모바일(Mobile) 제품군은 휴대하기 간편한 작은 크기의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면서, 제품디자인을 중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급적이면 Hard Key를 배제하고 터치 스크린, 터치패드, 터치키(이하, 터치센서로 표기)를 채용한 Physical User Interface (이하, PUI로 표기) 를 많이 채택하고 있고, 이를 활용한 문자입력기능이 필요한 Application SW를 내장하고 있다.
기존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소프트 키패드 입력 방식과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이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에 키패드 형태의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한 후 펜 클릭으로 입력을 받는 방식이다. 또한, 수기 입력 방식은 사람의 수기(즉, 필기체)를 인식하여 데이터 코드로 변환 시켜 주는 방식이다.
소프트 키패드 입력 방식의 경우 협소한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할 수 있는 키보드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수기 입력 방식의 경우 다양한 사람의 수기를 인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에서의 사전검색기능이나 네비게이터(Navigator)에서의 목적지 입력기능, Bluetooth 설정에서의 PIN Code입력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터치센서의 면적이 작아서, 소프트 키패드 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문자입력을 쉽게 행할 수 없어 문자 입력시 입력오류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좁은 면적의 터치 센서 상에서 용이한 문자입력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 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상기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입력되는 문자를 나열하는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는, 일체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깅 궤적이 자유 곡선 형태인 경우, 상기 드래깅 궤적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문자를 변경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제1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 터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터치 영역 및 제2 터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는, 한글자모, 영문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특수 문자, 기호 문자, 도형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a)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 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a) 단계는, 상기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문자를 나열하는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b) 단계는, 상기 드래깅 궤적이 자유 곡선 형태인 경우, 상기 드래깅 궤적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문자를 변경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를 감지하는 영역은, 제1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영역 및 제2 터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는, 한글자모, 영문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특수 문자, 기호 문자, 도형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협소한 면적의 터치 센서 상에서도 다양한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체 문자인식이 어려운 터치 센서 류에서도 문자입력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본 문자 입력 장치(100)는 네비게이터(Navigator), 전자수첩,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등 터치 센서 류를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표시되는 문자는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이거나,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 중 첫 번째 문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touch)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기타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접촉에 따른 터치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접촉은 사용자의 손끝은 물론 터치 가능한 기타 다양한 물체가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된 영역의 일측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고, 드래깅이 이루어지면 드래깅 상태에 따라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드래깅(draging)이란 어느 한 지점을 터치시킨 채로 터치된 지점을 끌어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드래깅 상태에 따른 궤적은 사용자의 오차를 허용한, 직선 형태, 자유 곡선 형태, 포물선 형태, 원 형태, 사각형 형태, 다이아몬드 형태 등 사용자의 임의의 동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문자는, 한글자모, 영문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러시아어, 특수 문자, 기호 문자, 도형문자, 및 숫자 등 현재 문자의 개념에 포함되는 또는 미래에 포함될 각종 종류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30)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부(110)와 일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경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입력부(130)는 터치 종료시에 입력되는 문자를 나열하는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 유기 EL(Organic Eletroluminescence) 등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문자 입력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제어 부(220) 및 입력부(230)를 포함하며, 입력부(230)는 인터페이스부(2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210) 및 입력부(230)는 일체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30)은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210) 상에서 터치를 감지하지 못하는 소정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 220)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드래깅의 방향과는 관계없이 순전히 이동 거리만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깅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이동한 경우, Y축 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이동한 경우, XY, 또는 YX축 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이동한 경우 등에 모두 동일한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기설정된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거리의 양 끝 지점을 점 p 및 점 q라고 하면, 점 p 및 점 q이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투영된 점 p' 및 q' 간의 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 210)는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라인은 일직선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일직선 상에서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라인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 220)는 드래깅이 자유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드래깅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설정된 기준 방향 즉, Y축 또는 X축 방향으로의 드래깅 정도에 따라 문자를 변경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터치된 지점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부(120, 220)에서 터치 인식한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된 지점의 일측이란, 터치된 지점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터치가 종료된 위치의 문자, 즉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하이라이트 방식을 이용하거나 커서를 이용하여 입력부(130, 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입력창 상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의 종료란, 터치된 손끝 또는 기타 물체의 접촉을 종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10, 210)는 제1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 터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영역은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제2 터치 영역은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다. 또는, 제1 터치 영역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제2 터치 영역은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터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영역이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 터치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가 인터페이스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입력장치(300)의 일 영역에 입력부(3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입력부(33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인터페이스부(310) 즉,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310)의 일부 영역에는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311)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이드 영역(311)을 따라 드래깅하면,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터치 지점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를 수행하기 전에는 문자가 표시되지 않으며, 터치가 수행된 후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가 표시되게 되며, 드래깅에 따라 문자 및 문자 표시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만을 표시하였으나, 그 이외에 본 입력장치(300) 또는 본 입력장치(300)를 구비한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 버튼이 터치 스크린 내에서 소프트 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입력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전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터치 스크린(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에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가 인터페이스부와 별도로 구 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입력장치(500)는 별도로 구성된 입력부(530)와 인터페이스부(510)는 별도로 마련된다. 즉, 입력부(530)를 포함하는 영역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인터페이스부(510)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30)를 포함하는 영역은 본 입력장치(500) 또는 본 입력장치(500)를 구비한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부(330)가 인터페이스부(310)와 일체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루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드래깅에 따라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6b는 드래깅 상태에 따른 드래깅 궤적이 자유 곡선 형태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a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310) 내에서 드래깅에 의해 이동한 거리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최초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할 때마다, 이동된 거리에 대응하는 문자를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d1 내지 d5의 길이가 같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해당 거리를 이동한 경우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기설정된 다음 순서의 문자를 지시하게 된다. 즉, 최초 터치 지점이 영문 대문자 "A"를 지시하는 경우 드래깅에 따라 거리 "d1" 만큼 이동하는 경우 영문 대문자 "B"를 지시하게 되고, 이어서, 다시 거리 "d2(=d1)" 만큼 이동하 는 경우 영문 대문자 "C"를 지시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영문 대문자 "F"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를 종료하게 되면, 입력부(330)에는 "F"가 입력된다.
도 6b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310) 내에서 사용자의 드래깅에 따라 기준축(예를 들어, X축)으로 투영된 점 간의 거리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d1' 내지 d5'의 길이가 같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드래깅에 따라 어느 한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된 경우, 이동되기 전 지점과 이동된 후의 지점을 X축에 투영시킨 지점이 일정한 거리가 되는 경우 기설정된 다음 순서의 문자를 지시하게 된다. 즉, 최초 터치 지점이 영문 대문자 "A"를 지시하는 경우 드래깅에 따라 X축 방향으로 거리 "d1'" 만큼 이동하는 경우 다음 영문 대문자 "B"를 지시하게 되고, 이어서, 다시 X 축 방향으로 거리 "d2'(=d1')" 만큼 이동하는 경우 다음 영문 대문자 "C"를 지시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영문 대문자 "F"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를 종료하게 되면, 입력부(330)에는 "F"가 입력된다.
도 6c는 터치 스크린 패널 내에 터치 영역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표시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에 따르면,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311)이 터치 스크린 패널(310) 내에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가이드 영역(311)을 따라 드래깅을 수행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가이드 라인(311)을 따라 드래깅하다가 영문 대문자 "F"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를 종료하게 되면, 입력부(330)에는 "F"가 입력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310)은 하나의 모드의 문자 입력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문자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키("ABC", "abc", "ㄱㄴㄷ", "ㅏㅑㅓ")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b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310)은 적어도 두 개의 모드의 문자 입력을 모드 선택 없이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각 영역은 일정한 폭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가로 영역은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 세로 영역은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한글 모음, 자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 일어 히라가나 및 가타카나 등이 서로 다른 문자 모드가 해당 영역에서 입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표시되는 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310) 상에서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준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최초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영문 대문자 "F")가 터치 지점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 종료된 지점에서 표시된 문자(영문 대문자 "I")가 입력부(330)에 입력된다. 또는, 인터페이스부(310) 상에서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 중 첫 번째 순서의 문자(예를 들어, 영문 대문자 "A")가 최초 터치 지점의 일측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는 각 이동 지점을 X축에 투영시킨 지점이 일정한 거리에 해당하는 경우, 기설정된 순서의 다음 문자를 표시하는 경우를 전제로 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한다(S910). 이어서,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S920).
여기서,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표시되는 문자는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이거나,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 중 첫 번째 문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 후,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창에 입력한다(S930).
여기서, S920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S920 단계는, 기설정된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깅 궤적이 자유 곡선 형태인 경우, 드래깅 궤적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문자를 변경 표시할 수 있다.
또는, S920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설정된 지점을 기준으 로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라인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드래깅 상태에 따른 드래깅 궤적은, 사용자의 오차를 허용한, 직선 형태, 자유 곡선 형태, 포물선 형태, 원 형태, 사각형 형태, 다이아몬드 형태 등 사용자의 임의의 동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를 감지하는 영역은, 제1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터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문자는, 한글자모, 영문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특수 문자, 기호 문자, 도형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가 인터페이스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가 인터페이스부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드래깅에 따라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표시되는 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문자 입력 장치 110, 210 : 인터페이스부
120, 220 : 제어부 130, 230 : 입력부

Claims (21)

  1.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 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되는 문자를 나열하는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는, 일체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깅 궤적이 자유 곡선 형태인 경우, 상기 드래깅 궤적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문자를 변경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제1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 터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터치 영역 및 제2 터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자모, 영문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특수 문자, 기호 문자, 도형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a)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 및 문자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가 종료되면 터치 종료 시에 표시되던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a) 단계는,
    상기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일 측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문자를 나열하는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따라 기설정된 순서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최초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설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터치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b) 단계는,
    상기 드래깅 궤적이 자유 곡선 형태인 경우, 상기 드래깅 궤적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문자를 변경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영역은 ,
    제1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1 터치 영역 및 제2 모드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2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영역 및 제2 터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자모, 영문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특수 문자, 기호 문자, 도형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60181A 2008-06-25 2008-06-2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00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0181A KR20100000617A (ko) 2008-06-25 2008-06-2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US12/360,226 US8947367B2 (en) 2008-06-25 2009-01-27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PCT/KR2009/000596 WO2009157637A1 (en) 2008-06-25 2009-02-0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14/593,479 US9342238B2 (en) 2008-06-25 2015-01-0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0181A KR20100000617A (ko) 2008-06-25 2008-06-2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17A true KR20100000617A (ko) 2010-01-06

Family

ID=4144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0181A KR20100000617A (ko) 2008-06-25 2008-06-2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947367B2 (ko)
KR (1) KR20100000617A (ko)
WO (1) WO2009157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0677B2 (en) * 2010-01-06 2013-08-1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range of values
KR20110082310A (ko) * 2010-01-11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US9501161B2 (en) * 2010-10-22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haracter input
JP5836062B2 (ja) * 2010-11-08 2015-12-24 株式会社東芝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検索装置
US20120331383A1 (en) * 2011-06-27 2012-12-27 Choung Shik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Korean Characters
US9535511B2 (en) * 2011-06-29 2017-01-03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US9772759B2 (en) 2011-10-14 2017-09-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ata input using virtual sliders
US9645733B2 (en) * 2011-12-06 2017-05-09 Google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document viewing windows
EP2634672A1 (en) * 2012-02-28 2013-09-04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US9696879B2 (en) 2012-09-07 2017-07-04 Google Inc. Tab scrubbing using navigation gestures
KR20140131070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268198A (zh) * 2013-05-24 2013-08-28 广东国笔科技股份有限公司 手势输入方法及装置
EP3161603B1 (en) 2014-06-27 2019-10-16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KR102508833B1 (ko) * 2015-08-05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US10061435B2 (en) * 2016-12-16 2018-08-28 Nanning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Handheld device with one-handed input and input method
JP2019021108A (ja) * 2017-07-19 2019-02-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445519B2 (en) * 2017-08-29 2019-10-1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resistant to capture
CN112230813A (zh) * 2020-10-16 2021-01-15 北京天融信网络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输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23114022A (ja) * 2022-02-04 2023-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JPH0981320A (ja) * 1995-09-20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入力式選択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JP3727399B2 (ja) * 1996-02-19 2005-12-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EP0907947A4 (en) * 1996-06-24 1999-10-20 Koevering Company Van MUSIC INSTRUMENT SYSTEM
US5917476A (en) * 1996-09-24 1999-06-29 Czerniecki; George V. Cursor feedback text input method
JPH10154144A (ja) * 1996-11-25 1998-06-09 Sony Corp 文章入力装置及び方法
US6542171B1 (en) * 1998-07-08 2003-04-01 Nippon Telegraph Amd Telephone Corporation Schem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polygonal-shaped slider
US6169538B1 (en) *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AU2001253393A1 (en) * 2000-04-11 2001-10-23 Cirque Corporation Efficient entry of characters into a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US6741235B1 (en) * 2000-06-13 2004-05-25 Michael Gor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GB0112870D0 (en) 2001-05-25 2001-07-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e
US20030014239A1 (en) * 2001-06-08 2003-01-16 Ichbiah Jean D.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accented and other extended characters
JP4088749B2 (ja) * 2001-11-09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377432B1 (ko) * 2002-03-29 2003-05-09 주식회사 네오패드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CN1280700C (zh) * 2002-07-04 2006-10-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自适应虚拟键盘
KR100477852B1 (ko) 2002-08-16 2005-03-22 강훈기 터치스크린용 문자입력장치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US20040160419A1 (en) * 2003-02-11 2004-08-19 Terradigital Systems Llc. Method for entering alphanumeric characters in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31711B2 (en) * 2003-02-12 2006-1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bezel pivoting mechanism
JP2006209258A (ja) * 2005-01-25 2006-08-10 Kenwood Corp Av処理装置、av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02067A (ja) * 2005-04-22 2006-11-02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KR20070006477A (ko) * 2005-07-0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적 메뉴 배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152980A1 (en) * 2006-01-05 2007-07-05 Kenneth Kocienda Touch Screen Keyboar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690292B1 (ko) 2005-09-22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US20070097085A1 (en) * 2005-10-27 2007-05-03 Kentaro Iwatsuki Data processing device
JP4769552B2 (ja) * 2005-11-14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端末及び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CN1979398A (zh) * 2005-12-01 2007-06-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字符输入功能的电子装置
US7556204B2 (en) * 2006-04-19 2009-07-07 Nokia Corpro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input
US8089472B2 (en) * 2006-05-26 2012-01-0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Bidirectional slider with delete function
KR20080006666A (ko) * 2006-07-13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처리 방법
KR100805770B1 (ko)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문자입력장치
KR100770936B1 (ko) 2006-10-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54718A (ko) 2006-12-13 2008-06-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TWI325551B (en) * 2006-12-29 2010-06-01 Htc Corp Input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thereof
US8018432B1 (en) * 2007-04-20 2011-09-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User interfaces and methods to search content in a nonlinearly convergent manner
US8018441B2 (en) * 2007-06-11 2011-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20090058823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Virtual Keyboards in Multi-Language Environment
US20090144667A1 (en) * 2007-11-30 2009-06-0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for enabling user input
KR101636705B1 (ko) * 2009-08-0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7367B2 (en) 2015-02-03
US9342238B2 (en) 2016-05-17
US20150121288A1 (en) 2015-04-30
US20090322692A1 (en) 2009-12-31
WO2009157637A1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617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JP2013527539A5 (ko)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JP2006524955A (ja)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縮小型キーボードのための曖昧でないテキスト入力方法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US91891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80119647A (ko) 문자열에 문자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US201501239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for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00103275A (ko)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JP201210887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手書き入力処理方法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US20160328141A1 (e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61450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20110048754A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
US20150301739A1 (en) Method and system of data entry on a virtual interface
CN108733227B (zh) 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KR101149892B1 (ko) 휴대용 단말기,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16209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29

Effective date: 201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