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209A -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209A
KR20090016209A KR1020070080683A KR20070080683A KR20090016209A KR 20090016209 A KR20090016209 A KR 20090016209A KR 1020070080683 A KR1020070080683 A KR 1020070080683A KR 20070080683 A KR20070080683 A KR 20070080683A KR 20090016209 A KR20090016209 A KR 2009001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haracter
point
input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김현준
김주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209A/ko
Publication of KR2009001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터치의 종료가 감지되면,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패드 화면이 협소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원하는 글자를 정확하게 입력함으로써 오타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여러 번 터치하지 않고 1회의 터치만으로도 원하는 글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80683
입력, 터치, 접촉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드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숫자, 영문자, 한글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PDA, PMP, UMPC 등의 이동 단말기에 입력장치로서 키 버튼을 구비하는 대신에, 터치스크린 위에 가상 키패드 또는 키패드 화면을 표시하는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가상 키패드 또는 키패드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 그 위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함으로써 그 지점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키패드 방식은 휴대폰에 구비되는 12개-15개 키의 숫자 키들에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반 컴퓨터 및 노트북에 구비되는 30개 이상 키의 쿼티(QWERTY) 키보드 자판을 구현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수십 개에 이르는 키들을 가상 키패드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의 키가 디스플레이되는 면적에 매우 작아서 사용자가 원하 는 키가 아닌 그 주변의 키를 터치하게 됨으로써, 오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오타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키의 입력 횟수에 따라 문자가 변경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한번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키의 숫자를 줄이는 경우,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 횟수가 클 뿐만 아니라, 터치 패드 방식의 한계로서 터치 횟수에 대한 감각이 불량하기 때문에,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키패드 화면이 협소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원하는 글자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번 터치하지 않고 1회의 터치만으로도 원하는 글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터치의 종료가 감지되면,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된 후의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기본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은,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문자가 확대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기본 키패드 화면 위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대의 배율은 터치 지속 시간 또는 터치 이동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은, 확대 창 내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문자는 상기 확대 창의 중앙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은, 상기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문자의 주변에 있는 문자의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는, 터치 종료 시에 확대 창에 표시된 문자들 중에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문자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입력된 문자를 입력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하는 단계 이후,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 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의 시작 및 종료,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입력부;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고, 터치의 종료가 감지되면,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키패드 화면이 협소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원하는 글자를 정확하게 입력함으로써 오타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여러 번 터치하지 않고 1회의 터치만으로도 원하는 글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이 완료되면 미세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키 감이 살아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 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입력부(110), 메모리(120), 제어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터치의 시작 및 종료,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터치 패드 방식이 적용된 것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메모리(120)는 기본 키패드 화면 정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 정보(즉, 확대창 정보) 및, 각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현재 문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치이다.
제어부(130)는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고, 터치의 종료가 감지되면,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터치가 시작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에서 현재 터치지점(x0,y0)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즉, 확대창 정보) 정보를 이 화면(확대창)을 독출하여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이 확대 창은 변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경우(즉, 드래그(drag) 되는 경우), 현재 터치지점이 변화됨에 따라 확대창 의 화면은 변화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와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만약, 이 터치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의 각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현재 문자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는 데, 예를 들어, 터치 종료 지점(x1,y1)에 해당하는 현재 문자가 "r"일 경우, "r"이라는 문자를 최종적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한편,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와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출력부(140)는 현재 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출력부에 기본 키패드 화면을 출력한다(S110 단계). 그런 다음,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즉, 입력부를 통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접촉이 감지되기 시작하면(S120 단계),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되는 키패드 화면(확대 창)을 표시한다(S130 단계). 도 3 내지 도 5는 터치를 시작하고 드래그 했을 경우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들의 예들이다. 우선, 도 3의 (a)를 참조하면, 기본 키패드 화면(A)이 표시되어 있고, 그 위에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확대 창)(B)이 표시되어 있다. 확대 창에는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되는 문자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주변에 있는 문자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한편, 터치의 시작이 감지된 후 터치가 이동(drag)된 경우에만, 상기 S130 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터치 지점이 이동된 경우, 즉, 입력자가 드래그(drag)를 한 경 우(S140 단계의 '예'), S130 단계에 표시되었던 확대 창의 표시가 변화할 수 있다(S150 단계).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지속 시간 또는 터치 지점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현재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문자가 점차 확대될 수도 있고,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지점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확대 창에 표시되는 문자들이 변화할 수도 있다. 물론, 도 4의 (a) 및 (b)과 같이 처음 터치가 시작되어 확대 창의 표시된 이후, 드래그가 발생하더라도 확대 창의 표시가 변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터치 지점이 이동됨에 따라, 확대 창에 표시되는 문자들이 변화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지점이 확대 창의 중앙에 오도록 확대 창을 표시할 수도 있고, 현재 지점에 대응하는 문자(t)가 확대 창의 중앙에 오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터치가 종료가 되는 경우(S160 단계의 '예'),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한다(S170 단계). 예를 들어, 도 3의 (c) 및 (d) 경우, 문자"r" 지점에서 터치를 종료하였으므로 'r'을 입력하고, 도 4의 (b) 및 (c) 경우, 문자"v"지점에서 터치를 종료하였으므로 'v'를 입력한다. 한편, 도 5의 (b) 및 (c) 경우는, 터치 종료 시점에서 확대 창의 정중앙에 "r"이 위치하였으므로 'r'을 입력한다. 문자가 입력된 다음, 입력된 문자를 문자 입력창에 출력할 수도 있고, 키 감을 살리기 위해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터치를 시작하고 드래그 했을 경우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들의 제1 예.
도 4는 터치를 시작하고 드래그 했을 경우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들의 제2 예.
도 5는 터치를 시작하고 드래그 했을 경우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들의 제3 예.
도 6은 도 5에 표시된 화면들 중 확대 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

Claims (9)

  1.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터치의 종료가 감지되면,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된 후의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은,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문자가 확대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기본 키패드 화면 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의 배율은 터치 지속 시간 또는 터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은, 확대 창 내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문자는 상기 확대 창의 중앙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은,
    상기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문자의 주변에 있는 문자의 이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는, 터치 종료 시에 확대 창에 표시된 문자들 중에서 가장 중앙에 위치하는 문자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입력된 문자를 입력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터치의 시작 및 종료,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입력부;
    터치의 시작이 감지되면, 현재 터치지점에 대응하는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고, 터치의 종료가 감지되면, 터치 종료 지점 또는 터치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070080683A 2007-08-10 2007-08-10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KR20090016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683A KR20090016209A (ko) 2007-08-10 2007-08-10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683A KR20090016209A (ko) 2007-08-10 2007-08-10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209A true KR20090016209A (ko) 2009-02-13

Family

ID=4068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683A KR20090016209A (ko) 2007-08-10 2007-08-10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2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543A3 (en) * 2009-07-09 2011-03-31 Palm, Inc. Automatic enlargement of viewing area with selectable objects
US9223486B2 (en) 2009-05-1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486B2 (en) 2009-05-1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WO2011005543A3 (en) * 2009-07-09 2011-03-31 Palm, Inc. Automatic enlargement of viewing area with selectable objects
US9372614B2 (en) 2009-07-09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enlargement of viewing area with selectable obj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cetti et al. TypeInBraille: a braille-based typing application for touchscreen devices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043944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JP5755219B2 (ja) 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携帯端末及びその入力方法
EP2653955B1 (en)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KR20100000617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55563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2009122890A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
US8949731B1 (en) Input from a soft keyboard on a touchscreen display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KR20070100209A (ko) 터치펜과 같은 보조도구가 필요 없는 터치스크린버튼입력방법
KR20140131070A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16209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
JP6085529B2 (ja) 文字入力装置
JP2013171295A (ja) 携帯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20090022111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15229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창 출력방법 및 문자입력창 출력장치
KR101898194B1 (ko) 점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59691B1 (ko) 2단 또는 3단의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