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91U -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091U
KR20100000091U KR2020080008519U KR20080008519U KR20100000091U KR 20100000091 U KR20100000091 U KR 20100000091U KR 2020080008519 U KR2020080008519 U KR 2020080008519U KR 20080008519 U KR20080008519 U KR 20080008519U KR 20100000091 U KR20100000091 U KR 201000000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
transfer
center axis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강동욱
이상진
김민우
박자연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주) 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주) 루텍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to KR2020080008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091U/ko
Publication of KR20100000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01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 B29C2045/14918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in-mould-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68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72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822Phase or stage of control
    • B29C2945/76829Feeding
    • B29C2945/76836Feed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사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을 금형내로 이송시켜 사출제품의 성형시 필름의 전사이미지가 사출제품에 전사되도록 함에 있어서, 금형에 필름의 셋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사출공정의 진행시 필름의 멈춤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며, 필름의 이송시 필름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과 대응되는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위치되고 전사이미지(I)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크(M)를 구비하고,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표시된 마크(M)를 감지하는 센서(S)를 구비하여,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에 배치된 마크(M)를 기준으로 신속히 셋팅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제품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인몰드, 사출, 마크, 센서, 수평위치, 전사, 이미지

Description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horizontal position control device of film for inmold injection}
본 고안은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을 금형내로 이송시켜 사출제품의 성형시 필름의 전사이미지가 사출제품에 전사되도록 함에 있어서,
금형에 필름의 셋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사출공정의 진행시 필름의 멈춤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며, 필름의 이송시 필름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몰드 사출 성형은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 사이로 전사이미지가 인쇄된 필름을 통과시키면서 제품성형시 발생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이미지가 제품 표면에 전사되도록 하여 제품 성형과 동시에 표면을 장식하게 된다.
인몰드 사출에 사용되는 필름은 표면에 전사이미지가 일정간격두고 연속적으로 인쇄되며 별도의 이송장치에 롤 형태로 감겨져 사출성형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인몰드 사출용 필름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표면에 전사이미지(I)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인쇄되고, 양측 표면에는 필름(F)의 멈춤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M)와, 필름의 이송시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M)가 필름(F)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인몰드 사출용 필름(F)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 금형(10)에 설치된 멈춤위치 감지 센서(S)와 기울어짐 감지 센서(S)에 상기 필름(F) 양측 표면으로 인쇄된 마크(M)가 각각 위치되도록 이송장치(40)를 셋팅하여 롤상의 필름(F)을 공급하게 된다.
이송장치(40)에 의해 필름(F)의 이송이 시작되어 고정측 금형(10)에 설치된 센서(S)가 필름(F) 일측의 멈춤위치 마크(M)를 감지하게 되면 전사이미지(I)가 금형의 제품성형공간부(30)에 위치한 상태로 필름(F)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F)이 정지하게 되면 금형이 닫히고 용융된 수지가 제품성형공간부(30)에 주입되며, 성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전사이미지(I)가 제품 표면에 전사된 후 금형이 열리면서 성형제품이 추출된다.
필름(F)의 전사이미지(I)가 제품 표면으로 전사된 성형제품의 추출이 완료되면 다시 필름(F)이 이송되면서 성형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성형과정 중 필름(F)의 자동공급을 반복하면서 필름(F)의 이송방향이 기울어지게 되면 고정측 금형(10)에 설치된 기울어짐 감지센서(S)가 필름(F) 타측 표면에 표시된 기울어짐 마크(M)의 이탈을 감지하여 이송장치(40)를 정지시키고 필름(F)의 이송이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F)의 이송이 멈추게 되면 작업자가 필름(F)의 위치를 다시 셋팅한 후 제품성형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몰드 사출 성형과정에서 필름(F)의 표면에 인쇄된 전사이미지(I)가 제품의 장식표면의 위치에 정확하게 전사되도록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으로 이송되는 필름(F)의 위치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셋팅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필름 셋팅과정은 필름(F)의 양측 표면에 인쇄된 마크(M)가 금형 양측에 설치된 멈춤위치 감지 센서(S)와 기울어짐 감지센서(S)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필름(F)의 수평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바, 이러한 수평위치의 조정은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래에는 소량 다품종의 제품을 생산하는 추세에 따라 필름의 교체가 자주 반복되어 생산성 저하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필름(F)의 이송시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M)는 필름(F)의 이송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일측 방향에 편향되게 나란히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기울어짐 마크(M)의 표시영역이 기울어짐 감지 센서를 완전히 벗어나지 않으면 필름의 미세한 기울어짐을 센서가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필름(F)의 미세한 기울어짐에 대해서 필름(F)의 중앙부 표면에 위치한 전사이미지(I)의 영역 테두리가 제품성형공간부(30)의 장식표면 영역 테두리를 쉽게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필름(F)의 중앙부 표면에 인쇄된 전사이미지(I)가 제품성형공간부(30)의 장식표면에 정확히 일치되지 못하게 되면 제품 성형시 전사이미지(I)가 장식표면과 어긋나게 전사되어 불량제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본 고안은 소량 다품종의 생산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필름 및 필름이송장치의 셋팅을 더욱 편리하게 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출공정의 진행시 필름의 멈춤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며, 필름의 이송시 필름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금형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위치되고 전사이미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크를 구비하고,
금형의 중심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표시된 마크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형의 중심축상에서 금형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형의 중심축상에서 금형의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의하면, 금형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필름의 멈춤위치 및 기울어짐을 함께 표시하는 마크를 전사이미지 사이에 배치시키고,
필름의 멈춤위치와 기울어짐을 함께 표시하면서 상기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표시된 마크를 감지하는 센서를 금형의 중심축선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필름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셋팅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름의 표면에 인쇄된 전사이미지가 제품의 장식표면의 위치에 정확하게 전사되도록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면서 생산성을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량 다품종의 생산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필름 및 필름이송장치의 셋팅을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배치된 마크를 고정측 금형의 중심축상에 위치한 센서에 간단히 맞추어 주기만 하면 셋팅작업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완료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출공정의 진행시 필름의 멈춤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며, 필름의 이송시 필름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금형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위치되고 전사이미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크를 구비하고, 금형의 중심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표시된 마크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가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위치한 마크를 감지하여 필름의 멈춤위치를 감지하고,
사출성형과정 중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이 고정측 금형의 중심축상에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필름의 멈춤위치를 감지하던 센서가 필름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도록 하며,
소량 다품종으로 성형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름 및 필름이송장치의 셋팅을 필름상의 이송중심축상에 배치된 마크를 기준으로 신속히 셋팅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제품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인몰드 사출용 금형 및 필름 또는 수평위치제어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의한 사출성형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제어장치는 중앙부 표면에 전사이미지(I)가 일정간격으로 인쇄된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위치하며 상기 전사이미지(I) 사이로 배치되는 마크(M)가 구비되고,
상기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표시된 마크(M)를 감지하며 금형(10)의 중심축상에 위치하는 센서(S)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서 고정측 금형(10)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S)를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 위치시킴으로써,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위치한 마크(M)를 감지하여 필름(F)의 멈춤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출성형과정 중 필름(F)의 자동공급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필름(F) 상의 이송중심축(C)이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필름(F)의 멈춤위치를 감지하던 센서(S)가 필름(F)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은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에 대한 필름상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축선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의 성형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 설치된 센서(S)에 필름(F)상의 마크(M)가 위치되도록 이송장치(40)를 셋팅하여 롤 상태로 감겨진 필름(F)의 공급준비를 완료한다.
필름(F)의 셋팅이 완료되고 이송장치(40)가 작동되면 고정측 금형(10)과 가동측 금형(20) 사이로 필름(F)의 이송이 시작된다.
그리고, 필름(F)이 이송되면서 고정측 금형(10)에 설치된 센서(S)가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위치한 마크(M)를 감지하게 되면, 이송장치의 작동이 멈추 게 되고 전사이미지(I)가 고정측 금형(10)의 제품성형공간부(30)에 위치한 상태로 필름(F)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크(M)를 감지하여 멈춤위치를 감지한 센서(S)에 의해 필름(F)이 정지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금형(20)이 닫히고 용융수지가 제품성형공간부(30)에 주입된다.
그리고, 용융수지가 주입되면 제품성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필름(F) 표면에 인쇄된 전사이미지(I)가 성형제품 표면에 전사되고, 가동측 금형(20)이 열리면서 성형제품이 추출된다.
전사이미지(I)가 제품 표면으로 전사된 성형제품의 추출이 완료되면 이송장치(40)가 다시 작동하여 필름(F)이 고정측 금형(10)과 가동측 금형(20) 사이로 이송되어 상술한 사출성형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인몰드 사출 성형과정 중 이송장치(40)에 의해 필름(F)의 자동공급을 반복하면서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이 금형의 중심축(C)상에서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고정측 금형(10)에 설치된 센서(S)가 마크(M)의 이탈을 감지하여 이송장치(40)가 작동을 멈추게 되고 필름(F)의 이송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필름(F)의 이송이 멈추게 되면 작업자가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위치되고 전사이미지(I) 사이에 배치된 마크(M)를 기준으로하여 고정측 금형(10)에 설치된 센서(S)에 위치되도록 맞추어 주기만 하면,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과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이 일치되면서 간단히 셋팅이 완료되어 제품성형과정을 신속히 재수행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량 다품종의 생산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필름 및 필름이송장치의 셋팅과정에서 상기 마크(M)를 고정측 금형에 설치된 센서에 위치되도록 필름을 간단히 조절하여 주면 셋팅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에 의한 사출성형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인몰드 사출용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종래의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필름 M:마크
I:전사이미지 S:센서
10:고정측 금형 20:가동측 금형
30:제품성형공간부 40:이송장치

Claims (3)

  1.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과 대응되는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위치되고 전사이미지(I)의 사이에 배치되는 마크(M)와,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 위치되어 상기 필름(F)상의 이송중심축(C)상에 표시된 마크(M)를 감지하는 센서(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서 고정측 금형(10)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고정측 금형(10)의 중심축(C)상에서 고정측 금형(10)의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KR2020080008519U 2008-06-25 2008-06-25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KR201000000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519U KR20100000091U (ko) 2008-06-25 2008-06-25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519U KR20100000091U (ko) 2008-06-25 2008-06-25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91U true KR20100000091U (ko) 2010-01-06

Family

ID=4419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519U KR20100000091U (ko) 2008-06-25 2008-06-25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09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2890B2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よる容器の成形方法
KR100918029B1 (ko) 필름 포밍장치 및 방법
KR102080039B1 (ko) Pvc 파이프 엘보우 밴딩성형장치
US10973160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US7611036B2 (en) Film feeding machine
KR101580825B1 (ko)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젤라틴 시트 공급장치
KR20100000091U (ko) 인몰드 사출용 필름의 수평위치 제어장치
KR101968473B1 (ko) 고속 타발기의 타발용 소재 이물질 선별장치
KR20130000678A (ko)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EP1941982A1 (en) Film feeding machine
JP2009083204A (ja) 加飾シート送り装置および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404599B1 (ko) 립스틱 성형장치
JP5342576B2 (ja) 旋回可能な下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22020B1 (ko) 장신용 인조손톱 전사장치의 전사필름 피치 자동조절장치
JP5584402B2 (ja) 樹脂製品形成装置、樹脂シート成形装置、樹脂シートトリミング装置、シート搬送装置、樹脂製品製造方法、及び、シート搬送方法
JP2008504991A (ja) 樹脂溶融物用カレンダー成形機の操作方法
JP2001105451A (ja) 加飾成形品の製造装置
JP2014223742A (ja)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成形装置
CN105922499B (zh) 注射成型机及注射成型机的操作画面
JP6158142B2 (ja) 旋回可能な上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KR101423561B1 (ko) 도광판 제조장치
US7641830B2 (en) Method of continuously feeding film piece for molding process
WO2009000032A1 (en) Pressure thermoforming process
CN112154056B (zh) 片导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