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736A -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736A
KR20090131736A KR1020080057641A KR20080057641A KR20090131736A KR 20090131736 A KR20090131736 A KR 20090131736A KR 1020080057641 A KR1020080057641 A KR 1020080057641A KR 20080057641 A KR20080057641 A KR 20080057641A KR 20090131736 A KR20090131736 A KR 2009013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composition
skin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무현
박선규
황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5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736A/ko
Publication of KR2009013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하며,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43787292-PAT00001
피부, 주름

Description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및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에서도 멜라노사이트에서 형성되는 멜라닌 이라는 색소가 피부색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멜라닌은 티로신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도파퀴논, 류코도파크롬, 도파크롬, 5,6-디하이드록시인돌 및 인돌-5,6-퀴논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으로 변환되는 산화 과정의 최종 생성물이다. 멜라닌 생합성은 매우 복합한 과정으로 아직까지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멜라닌은 유해한 자외선에 대한 자연적 방어 역할을 제공하지만 멜라닌이 과잉생산되는 경우 기미, 주근깨 등의 과다 색소침착을 유발한다.
피부 색소 침착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알부틴, 데옥시알부틴, 옥타데센다이온산, 공액 리놀레산, 니아신아미드, 하 이드로퀴논, 코지산, 글루타치온, 아젤라인산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이 실제로 미백 제품들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유효 성분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제형 제작의 난이성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이다. 콜라겐은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계속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효과로부터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에 의한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한편, 콜라겐 합성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JP8-231370), 베튤린산(betulinic acid)(JP8-208424), 클로렐라 추출 물(JP9-40523, JP10-36283)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피부 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주름 개선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안전하고, 제품의 제조 및 보관 과정에서 열, 광, 시간의 경과 등에 의해 활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며, 다양한 제형을 만들기에 적합한 용해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무엇보다도 우수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활성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특성을 갖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활성을 가지며, 피부에 안전하고, 제형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제조 및 보관시 안정성을 갖는 유효 성분을 스크리닝하는 과정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및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한 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43787292-PAT00002
미백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이나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미백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미백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미백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미백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 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미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미백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미백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미백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성분인 알부틴과 비교할 때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다. 또한, 친수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제품의 적용시 휘발성이 낮고, 피부 투과성이 우수하며, 제형화가 용이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광, 열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농도로도 미백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에 매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서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미백용 의약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및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써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이라 함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 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 반점 또는 검버섯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조성물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0.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않는 반응이 발생 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외에 공지의 미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미백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미백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미백 성분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알부틴, 데옥시알부틴, 옥타데센다이온산, 공액 리놀레산, 니아신아미드, 코지산, 글루타치온, 엠브리카닌 A, 엠브리카닌 B,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미백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중량%는 미백 활성, 피부 안전성, 화학식 I의 화합물과의 제형화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한 공지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낮시간 동안에 사용되는 리브-온 형태의 제품으로 제형화되는 경우 공지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노출에 따른 멜라닌 생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벨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 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질말로네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칠부틸페놀, 테레프탈리덴디캄퍼설폰산 및 그 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는 자외선 차단 활성, 피부 안정성, 제형화시의 용이성, 피부에 적용될 제형의 용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화장수, 로션,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가 다소 낮아도 되므로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는 낮아질 것이며,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선 스크린 제품이나,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제품으로 제형화될 경우, SPF 및 PA 수치는 높게 설정되어야 하므로 총 조성물 중의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는 높아질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놀랍게도 위와 같은 미백 활성과 함께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제공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주름 개선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이나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주름 개선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주름 개선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주름 개선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주름 개선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주름 개선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주름 개선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주름 개선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주름 개선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주름 개선 성분인 레티노산과 비교할 때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능을 나타내며,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친수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제품의 적용시 휘발성이 낮고, 피부 투과성이 우 수하며, 제형화가 용이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광, 열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농도로도 주름 개선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에 매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주름 개선용 의약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및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써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주름 개선'이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의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피부의 주름 생성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 조성물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0.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외에 공지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주름 개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주름 개선 성분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 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주름 개선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중량%는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 피부 안전성, 화학식 I의 화합물과의 제형화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서 작용하는 피부적으로 허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일 경우, 상기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용매, 착색제, 보존제, 항산화제, 소포제, 항균제, 항재침착제, 효소, 식물 또는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왁스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I: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미백 효능 확인
실시예 1: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확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화학식 I의 화합물(Chromadex, USA, Product No. ASB-00016945-025)을 최종농도가 0.1mg/ml, 1mg/ml, 5mg/ml, 20mg/ml가 되도록 하여 알부틴 수용액과 함께 각각 B-16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세포 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이것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1N농도) 1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00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처리한 군의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시료 멜라닌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072±0.004 -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 0.1mg/ml) 0.063±0.002 12%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 1mg/ml) 0.033±0.001 54%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 5mg/ml) 0.009±0.002 88%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 20mg/ml) 0.005±0.003 95%
알부틴 (최종농도 200mg/ml) 0.035±0.002 52%
* 반복수 = 3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Arbutin)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월등히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확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 Melan-a (C57BL/6 mice melanocytes)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Victoria M. Virador et al. Analytical Biochemistry. 270:201-219. 1999).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최종 농도가 10ug/ml, 20ug/ml, 50ug/ml가 되도록 하여 알부틴 수용액(0.2mg/ml)과 함께 각각 Melan-a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키우고 시료를 첨가한 동일한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여 다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세포를 떼어내 일부는 MTT 어세이를 위해 96웰에 100 ul씩 분주하여 다음날 MTT 어세이를 수행하고 남은 세포는 원심분리하여 추출 완충액(Extraction buffer)으로 세포막과 멜라노좀을 파괴하여 세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각 30ul 세포 추출물을 표지화된 14C-티로신으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필터페이퍼에 떨어뜨려 건조시킨 후 비표지된 L-티로신으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측정기로 방사성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남은 세포 추출물로는 56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전체 단백질 생성량을 측정한다(BCA assay).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 저해율(%)은 방사성 멜라닌의 생성량의 값을 BCA 어세이 결과 단백질 값으로 나눈 후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시료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10mg/ml) 52%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20mg/ml) 44%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50mg/ml) 30%
알부틴(최종농도200mg/ml) 52%
* 반복수 = 3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Arbutin)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사이트 세포에 대하여 월등히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안정성 평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50% 에탄올에 1%로 용해한 후, 하기 조건에 노출시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빛(자연광, 2주일), 열(80℃, 8시간), 경시(차광, 25℃, 3개월)
표 3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표 3]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안정성 분석
시료 자연광 (2주일) 열 (80℃, 8시간) 경시 (차광,25℃,3개월)
화학식 I의 화합물 1% (50%에탄올) 60% 100% 100%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광, 열, 시간에 흐름에 대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제예
제조예 1 및 비교예 1
하기 표의 조성과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피부 외용연고를 비교예 1로 제조하였다.
[표 4]
조성물 제조예 1(중량%) 비교예1
-화학식 I의 화합물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2 8 5 6 적량 to 100 -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2 및 비교예 2
하기 표의 조성과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크림을 비교예 2로 제조하였다.
[표 5]
조성물 제조예 2 (중량%) 비교예2
-화학식 I의 화합물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향 -정제수 0.5 15.0 1.0 0.7 5.0 3.0 적량 적량 to 100 - 15.0 1.0 0.7 5.0 3.0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3 및 비교예 3
하기 표의 조성과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유연 화장수를 비교예 3으로 제조하였다.
[표 6]
조성물 제조예 3 (중량%) 비교예3
-화학식 I의 화합물 -에탄올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향 -색소 -정제수 0.2 10.0 1.0 0.2 5.0 6.0 적량 적량 to 100 - 10.0 1.0 0.2 5.0 6.0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4 및 비교예 4
하기 표의 조성과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영양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영양 화장수를 비교예 4로 제조하였다.
[표 7]
조성물 제조예 4 (중량%) 비교예4
-화학식 I의 화합물 -와셀린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수산화칼륨 -색소 -향 -정제수 0.1 2.0 0.8 1.2 적량 5.0 3.2 18.0 0.1 적량 적량 to 100 - 2.0 0.8 1.2 적량 5.0 3.2 18.0 0.1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5 및 비교예 5
하기 표의 조성과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팩을 비교예 5로 제조하였다.
[표 8]
조성물 제조예 5 (중량%) 비교예5
-화학식 I의 화합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색소 -향 -정제수 0.2 5.0 4.0 15.0 8.0 1.0 0.2 적량 적량 to 100 - 5.0 4.0 15.0 8.0 1.0 0.2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6 및 비교예 6
하기 표의 조성과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제조한 에센스를 비교예 6으로 제조하였다.
[표 9]
조성물 제조예 6 (중량%) 비교예6
-화학식 I의 화합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향 -정제수 1 10.0 10.0 5.0 5.0 1.0 0.1 적량 to 100 - 10.0 10.0 5.0 5.0 1.0 0.1 적량 to 100
실험예 I: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미백 색소 침착 저해 효과 확인
건강한 남여 20명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mm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cm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cm2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 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하기 3일전부터 조사 후 3주째까지 1일 2회씩 제조예 1-3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기제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제조예와 비교예의 색소침착도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침착을 억제한 정도를 효과있음, 효과없음의 2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실험물질 효과있음(명) 효과없음(명)
제조예 1 15 5
제조예 2 13 7
제조예 3 12 8
위의 표 10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3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I의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연고, 크림, 유연 화장수는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최소 12명 이상에 대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미백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II :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주름 개선 효능 확인
실시예 II -1: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 확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시판되는 기질인 Dabcyl-Abu-Pro-GLu-Gly-Leu-Glu(EDANS)-Ala-Lys-NH2의 Gly-Leu 결합을 콜라게나제가 분해함으로써 Dabcyl기의 N말단과 EDNAS의 C말단은 quencher로 작용기작을 이용하는 실험이다. 96웰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농도별로 화학식 I의 화합물(Chromadex, USA, Product No. ASB-00016945-025)을 넣고 반응버퍼와 시판되는 기질을 넣어서 37도에서 1시간을 반응시킨 후, EDTA 5ul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때 발색되는 정도를 플루로미터(flur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340nm/520nm에서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하였다(Bob Beekman et al., FEBS, 390, 221-225, 1996). 음성대조군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가하지 않은 군이 이용되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레티노산 1%를 넣은 군이 이용되었다.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학식 11]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율(%) =
{1-(시료와 기질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X100
[표 11]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효과
시료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저해율(%)
폴리다틴 1% 78
폴리다틴 0.5% 42
폴리다틴 0.1% 18
폴리다틴 0.05% 12
폴리다틴 0.001% 2
음성대조군(무처리) 0
양성대조군(레티노산) 60
상기 표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시료들의 상당수에서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II -2: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확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최종농도 0.5㎍/ml, 1㎍/ml, 2㎍/ml, 5㎍/ml, 10㎍/ml가 되도록 하여 각각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이용하고, 양성대조군으로서 최종농도 52.8mg/m의 Vit. C를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어떠한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12] 농도에 따른 세포 수준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시료 콜라겐 생성양 증가율(%)
음성대조군(무첨가) 1.472±0.074 -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0.5mg/ml) 1.550±0.060 105.30%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1mg/ml) 1.656±0.052 112.50%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2mg/ml) 1.777±0.063 120.70%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5mg/ml) 1.887±0.088 128.20%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10mg/ml) 1.987±0.067 135.00%
화학식 I의 화합물 (최종농도50mg/ml) 2.101±0.043 142.70%
양성 대조군 (Vit. C, 최종농도52.8mg/ml) 1.858±0.066 126.20%
*반복수 = 6
표 1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 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II -3: in vivo 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주름 개선 효과 평가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광에 의해 유발된 주름에 대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1,3-부틸렌글리콜에 0.5%로 녹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 조사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 10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키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1,3-부틸렌글리콜을 처리한 대조군과 0.5%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1일 2회 0.5ml/cm2(화학식 I의 화합물로 2.5mg/cm2)씩 6주간 처리한 군을 대상으로 개선 정도를 정성 판단하였다.
주름개선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시료 처리군 및 대조군을 시료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여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3] 마우스에 대한 주름개선효과
시료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대조군 9 1 0
화학식 I의 화합물 처리군 1 4 5
각 군의 개체수 = 10
실험예 II :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6과 비교예 6의 에센스에 대해서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35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30명을 1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조예 6의 에센스를, 2군은 비교예 6의 에센스를 안면부에 1일 1회 2개월간 도포하였다.
2개월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3]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의 주름개선 효과(명)
시료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비교예 6 8 5 2
제조예 6 3 5 7
표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6의 에센스를 사용한 경우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실험이 종료된 직후 레플리카를 눈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전에 대한 주름 밀 도에 대한 감소율을 평균하여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4]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의 주름개선 효과(영상분석)
시료 주름밀도 감소율(%)
비교예 14%
제조예 32%
표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6의 에센스를 도포한 경우 주름의 밀도가 사용 전보다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8043787292-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주름 개선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로 포함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080057641A 2008-06-19 2008-06-19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131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41A KR20090131736A (ko) 2008-06-19 2008-06-19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41A KR20090131736A (ko) 2008-06-19 2008-06-19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736A true KR20090131736A (ko) 2009-12-30

Family

ID=4169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641A KR20090131736A (ko) 2008-06-19 2008-06-19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036B1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508895A (ja) オピオイド受容体拮抗薬の使用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23753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20003178A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US20100034763A1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CO2 Extracts
JP2017530975A (ja) 10−ヒドロキシステアリン酸を含む化粧用組成物の使用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639408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047497A (ja)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
KR20090029536A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10100554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1149711B1 (ko) 저분자 후코이단,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가 함유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4742A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145814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131737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3233813B2 (ja) チロシナーゼ生合成促進剤及び白髪改善用又は白髪防止用頭髪用化粧料並びに日焼け用化粧料
KR20090131736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23651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559A (ko) 항노화 조성물
KR100901519B1 (ko) 플라티코딘-디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KR100769579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