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178A -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178A
KR20120003178A KR1020100063890A KR20100063890A KR20120003178A KR 20120003178 A KR20120003178 A KR 20120003178A KR 1020100063890 A KR1020100063890 A KR 1020100063890A KR 20100063890 A KR20100063890 A KR 20100063890A KR 20120003178 A KR20120003178 A KR 2012000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composition
skin
extrac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639B1 (ko
Inventor
김동현
박준성
심진섭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6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39B1/ko
Priority to PCT/KR2011/004755 priority patent/WO2012002730A2/ko
Publication of KR2012000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with skin ligh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s containing bee venom extracts}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흑갈색 색소로서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몸에서 멜라닌이 다량 생성된다. 멜라닌의 양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되고 멜라닌의 양이 많아질수록 피부는 검은색을 띠게 되므로, 멜라닌의 다량 생성은 기미, 점, 주근깨, 검버섯 등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피부 수분량이 감소하면 건조로 인한 각질이 자주 일어난다. 또한 피부의 윤기가 사라지고 잔주름이 쉽게 생기며 피부 노화도 일찍 시작된다. 즉, 개선된 피부를 가지기 위해서는 피부 수분 유지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미백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봉독”이란, 꿀벌의 산란관에서 나오는 독액(bee venom)을 의미하며, 신경통, 류머티즘, 요통 등에 효과가 좋아 민간요법으로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그리고“봉독 추출물”은 상기 봉독에 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물질 또는 용매의 분획을 총칭한다.
봉독을 몸에 침투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봉침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봉침 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봉침 요법은 관절염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봉침 요법의 사용 형태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직자법(直刺法)이라 하여 살아있는 벌의 꽁무니를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고 찌른 다음 약 30~60 초 가량 유침하여 봉독이 충분히 스며들게 한 다음 침을 뽑아주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발침법(拔針法)이라 하여 핀셋으로 벌에서 침을 떼어내어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살짝 댄 후 뽑아서 또 다른 부위에 시술하는 방법이다. 발침법은 자극이 강하지 않고 벌침 하나로 3~5 군데를 시술할 수 있어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세 번째로는, 대상포진과 같은 광범위한 질환에 시술하는 방법으로 산자법(散刺法)이 있다. 산자법은 삼릉침을 사용하여 자침하는 방법과 유사하며 침을 재빠르게 찔렀다 빼는 동작을 반복하여 넓은 환부를 소량의 침으로 치료하는 봉침 요법의 특성을 살린 치료법이다. 그리고 네 번째는 봉독액을 식염수를 통해 희석시킨 상태에서 그 희석액을 주사기를 통해 직접 인체의 경혈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환자가 자각하는 통증도가 훨씬 적되, 경혈에 직접 봉독을 침투시키기에 효과 또한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정확한 기혈을 찾아 봉독을 투입시키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았으며, 이상적인 치료를 위한 봉독의 분량(Doss)을 정확히 조절하기가 힘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시술의 형태가 한방용 침에 상기 봉독을 묻힌 상태에서 기혈을 찾아 침술과 함께 봉독을 경혈에 투입하는 방법이다. 한방용 침을 사용하는 방법은 그 침술 방법의 특성상 그 의학적인 효과는 많이 증진된 우수한 방법이지만, 그에 따른 문제점도 있다.
예를 들어, 한방용 침의 끝단에 봉독을 묻힌 상태에서 표피를 뚫고 경혈의 내부로 침투하는 과정에서, 봉독이 표피로 퍼져 정확한 경혈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면 충분한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방 침 치료시 해당 혈 자리에 침을 정확히 놓기 위해서 침관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의 통증을 줄이기 위해 침이 빠른 속도로 피부를 뚫도록 시침하면 그 과정에서 코팅된 봉독액이 경혈에 도착하기도 전에 표피층으로 흡수되어 본래의 효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를 기초로 본 발명자들은 봉독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봉독의 새로윤 효능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봉독 그 자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또한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동일 내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봉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다양한 전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충격법을 통해 수득한 봉독에 증류수를 부어 봉독에서 벌 또는 이물질을 부유시키고, 부유된 벌 또는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정제된 상태의 봉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봉독 추출물은 봉독을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봉독 추출물은 봉독을 물,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에 침출하고, 정제, 분리하는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C1~C5의 저급 알코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일 수 있다. 상기 C1~C5의 저급 알코올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상기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 용매 중 유기 용매의 부피는 10 내지 90%(v/v)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독 추출물은 혼합 용매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10 내지 90%(v/v)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 보다 구체적으로는 70%(v/v) 에탄올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용 조성물은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미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화장품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한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 과립구,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포말(foam)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미용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 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미용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파우더, 콘실 스틱,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바디 에센스, 바디 세정제, 염모제, 헤어 토닉, 모발 영양 화장수, 헤어 에센스, 헤어 세럼, 스칼프 트리트먼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셔너, 헤어 샴푸, 헤어 로션, 치약, 구강 청정제, 정발제, 양모제, 로션, 연고, 젤, 크림, 패치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봉독 성분에 의한 피부 미백 또는 피부 보습 효과 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봉독의 수득 및 봉독 추출물의 제조
전기 충격법에 의해 봉독을 얻었다. 전기 충격법을 통해 얻은 봉독에 증류수를 부어 봉독에서 벌 또는 이물질을 부유시켰다. 부유된 벌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정제된 봉독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봉독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득한 봉독의 3배 부피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5회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탈지시켰다. 탈지된 봉독에 다시 4배 부피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2일간 침적시켰다. 침적물에 대한 여과 및 원심 분리 과정을 거쳐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를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 다음, 수층을 부탄올로 5회 추출하여 제거하였다. 수득한 유기 용매 층을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엑기스를 메탄올에 녹인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추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봉독 추출물을 수득하여 실시예 1로 하였다.
[시험예 1] 피부 미백 효과 평가
1) 쥐의 색소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봉독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phorbol)-13-아세테이트 및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 색소 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Mel-Ab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 1ppm 및 10ppm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이 때, 하이드로퀴논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pat00001
봉독 추출물, 하이드로퀴논의 멜라닌 생성에 대한 억제 작용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1ppm) 13.5
실시예 1(10ppm) 35.2
하이드로퀴논(대조군) 43.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은 하이드로퀴논과는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봉독 추출물이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2) 인간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봉독 추출물의 인간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 부위에 직경 1.5㎝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 후 시험 물질인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과 하이드로퀴논을 각각 바르고, 한 곳은 아무 것도 바르지 않고 10주 동안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1주 단위로 피부의 색깔을 색차계 CR2002(일본, 미놀타 사)로 측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시험 물질에 따른 도포 개시 시점과 도포 완료 시점에서의 피부색 차이(△L*)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미백 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 값이 2 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1.5 이상 정도이면 미백 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시험물질 피부색 밝기 정도(△L*)
실시예 1 1.81 ± 0.15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1.89 ± 0.15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0.51 ± 0.1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은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피부색 밝기 정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봉독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피부색을 밝게 해 주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유도 시험
봉독 추출물의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일차 배양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하기 표 3과 같이 조성된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3분간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수행하고 난 후, 10분간 끓였다. 이를 1200 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 하여 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 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농도에 시험 물질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다.
사용 농도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대조군 저 Ca2 +(0.03 mM) 100
고 Ca2 +(1.2 mM) 206
실시예 1 0.1ppm 120
실시예 1 0.05ppm 10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봉독 추출물은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수분을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RT-PCR 분석을 통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 측정
봉독 추출물의 피부 보습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필라그린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독일 암 연구센터의 Dr. Fusenig로부터 분양 받은 해캣 세포주(Human kerationocyte HaCaT cell line)로서, 상기 세포를 60㎜ 디쉬에 1 ×105 개로 분주하고 1일간 배양한 후, 시험 물질을 하기 표 4과 같이 처리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배양 및 시험한 세포로부터 트리졸(Trizol, Gibco Laboratories, USA)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한 다음, 원 스텝 RNA PCR 키트(AMV)(Takara Bio Inc., Japan)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준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때, 프라이머(primer)로는 필라그린(filaggrin)에 대한 프라이머(바이오니아사, 한국)를 사용하였으며, 내부 대조군(internal control)으로는 베타-액틴(β-actin)을 이용하여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이미지 분석 후에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용농도 필라그린 생성량(%)
무처리 대조군 - 100
실시예 1 0.1ppm 180
실시예 1 0.05ppm 11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봉독 추출물은 피부의 천연보습인자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보습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하기 표 5의 조성비에 따라 영양 크림 제형의 외용제인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하기 배합 성분의 함량비의 단위는 중량%이다.
배합성분 실시예 2 비교예 1
정제수 To 100 To 100
봉독 추출물(실시예 1) 0.1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시험예 4] 피부 보습 개선 효과 측정
봉독 추출물의 사람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1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30대의 건강한 여성 40명을 20명씩 2조로 나누고, 각각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영양 크림을 온도 24-26℃, 습도 75%의 조건에서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시험 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 측정 시의 측정값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임상 결과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비교예 1 30 33 34 15
실시예 2 33 41 42 32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봉독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는 비교예 1를 도포한 군에 비하여 피부 수분 보유량이 더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 물질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인 6주 경과 후의 수치가 시험 물질 도포 중이었던 1주 내지 2주 경과 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시험 물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실시예 2의 도포에 의한 피부의 수분 보유량이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봉독 추출물을 사람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 보습 능력을 강화시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로션형 제제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2] 크림형 제제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3] 팩형 제제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제형예 4] 미용액형 제제
실시예 1의 봉독 추출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Claims (6)

  1.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봉독 추출물은 봉독을 물,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을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00063890A 2010-07-02 2010-07-02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KR10174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90A KR101746639B1 (ko) 2010-07-02 2010-07-02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PCT/KR2011/004755 WO2012002730A2 (ko) 2010-07-02 2011-06-29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90A KR101746639B1 (ko) 2010-07-02 2010-07-02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78A true KR20120003178A (ko) 2012-01-10
KR101746639B1 KR101746639B1 (ko) 2017-06-14

Family

ID=4540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890A KR101746639B1 (ko) 2010-07-02 2010-07-02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6639B1 (ko)
WO (1) WO2012002730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482A1 (ko) * 2012-03-08 2013-09-12 Jeong Wook Cheol 장수말벌독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64506B1 (ko) * 2013-06-07 2014-02-2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봉독 제조방법
WO2014081255A1 (ko) * 2012-11-26 2014-05-30 (주)비센 봉독의 지용성 분획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4196674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봉독 제조방법
KR101512064B1 (ko) * 2013-09-30 2015-04-14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57662A (ko) 2014-11-14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알러지 물질이 불활성화된 정제 봉독의 분리 방법
KR20170000753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봉독 함유 마이크로니들 패치
KR20190084887A (ko) 2018-01-08 2019-07-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제어를 위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8263B (zh) 2012-12-20 2014-08-20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具有护唇、美唇功效的蜂毒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7C (zh) * 1999-03-30 2004-01-28 佟玉杰 增白嫩肤剂
CN1268348C (zh) 2004-08-06 2006-08-09 芦朝辉 一种抗肿瘤的药物组合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482A1 (ko) * 2012-03-08 2013-09-12 Jeong Wook Cheol 장수말벌독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4379125A (zh) * 2012-03-08 2015-02-25 郑旭哲 金环胡蜂毒提取方法及用此的功能性化妆料组合物
WO2014081255A1 (ko) * 2012-11-26 2014-05-30 (주)비센 봉독의 지용성 분획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4506B1 (ko) * 2013-06-07 2014-02-2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봉독 제조방법
WO2014196674A1 (ko) * 2013-06-07 2014-12-11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봉독 제조방법
US9492486B2 (en) 2013-06-07 2016-11-15 Chung Jin Biotech Co., Ltd Preparation of bee venom with allergenic components removed
KR101512064B1 (ko) * 2013-09-30 2015-04-14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57662A (ko) 2014-11-14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알러지 물질이 불활성화된 정제 봉독의 분리 방법
KR20170000753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봉독 함유 마이크로니들 패치
KR20190084887A (ko) 2018-01-08 2019-07-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제어를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639B1 (ko) 2017-06-14
WO2012002730A2 (ko) 2012-01-05
WO2012002730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639B1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JP6387219B2 (ja) タンゲレチン及びegcg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394817B1 (ko)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9408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6620B1 (ko)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68434B1 (ko)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및 빈랑자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9B1 (ko)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55757A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